KR20070065198A - 휴대무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무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198A
KR20070065198A KR1020060068095A KR20060068095A KR20070065198A KR 20070065198 A KR20070065198 A KR 20070065198A KR 1020060068095 A KR1020060068095 A KR 1020060068095A KR 20060068095 A KR20060068095 A KR 20060068095A KR 20070065198 A KR20070065198 A KR 20070065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ground plate
circuit
conductor portion
circui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556B1 (ko
Inventor
츠토무 미추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641,209 priority Critical patent/US7579991B2/en
Publication of KR2007006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안테나로부터의 누설전류가 저감된 휴대무선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무선장치는 안테나소자와, 안테나소자가 설치되는 안테나 그라운드판을 가지는 안테나와; 안테나 그라운드판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회로기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로 그라운드판; 및 안테나 그라운드판과 회로 그라운드판을 접속하는 접속 도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무선장치{Portable wirelss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무선장치의 회로 그라운드판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접속 도체부의 폭이 좁은 경우).
도 3은 도 1의 휴대무선장치의 회로 그라운드판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접속 도체부의 폭이 넓은 경우).
도 4는 도 1의 휴대무선장치의 안테나로부터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접속 도체부의 폭이 좁은 경우).
도 5는 도 1의 휴대무선장치의 안테나로부터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접속 도체부의 폭이 넓은 경우).
도 6은 안테나로부터의 방사패턴에서의 각도 표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와 접속 도체부 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비교예에서의 피크 각도의 회로 그라운드판 길이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접속 도체부가 안테나 그라운드판의 단부인 경우에서의 회로 그라운드판내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접속 도체부가 안테나 그라운드판의 중앙부인 경우에서의 회로 그라운드판내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접속 도체부가 안테나 그라운드판의 단부인 경우에서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접속 도체부가 안테나 그라운드판의 중앙부인 경우에서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피크 각도의 접속 도체부의 위치의존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공진 주파수 및 대역폭의 접속 도체부의 폭 의존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1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안테나소자 12...안테나 그라운드판
13...안테나 14...접속 도체부
16...회로 그라운드판
본 발명은 휴대무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로 그라운드판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저감한 휴대무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PDA(Personal Data Assisitant)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무선장치에서는, 무선부에서 발생한 고주파에 의해 베이스 밴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에서 노이즈가 발생된다. 이러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안테나 등을 설치하는 무선부 기판과 회로기판을 별도로 구성하는 구조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안테나와 회로기판은 급전선에 의해 얼마간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안테나와 회로기판이 접속되면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로 그라운드판에는 안테나에 의한 누설전류가 흐른다. 또한, 회로기판이 커지면 안테나 방사패턴 및 동작대역에 큰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회로 그라운드판이 큰 종래의 휴대무선장치의 경우, 안테나 방사패턴은 회로 그라운드판 측으로 피크를 가지는 형상이 되어 무선 통신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휴대무선장치에 있어서는, 인간의 손의 위치 등에 의해 회로기판에 흐르는 전류 분포가 변화한다. 이 결과, 휴대무선장치의 특성이 그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안테나로부터의 누설전류에 의한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 일본특허공개 제2003-1984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무선부의 기판과 제어 기판이 분리되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안테나로부터의 누설전류가 저감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어레이 안테나 등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종래의 휴대무선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로부터의 누설전류가 저감된 휴대무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무선장치는, 안테나소자와, 상기 안테나소자와 함께 안테나를 구성하는 안테나 그라운드판을 가지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회로기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로 그라운드판; 및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과 상기 회로 그라운드판을 접속하는 접속 도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도체부의 폭은 상기 안테나 소자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파장의 0.067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도체부는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의 중심부를 벗어난 위치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 그라운드판은 상기 회로기판의 이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소자는 유전체상에 프린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소자는 모노폴 안테나, 역F 안테나 및 패치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과 상기 회로 그라운드판은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소자가 복수로 구성된 어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어레이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안테나 소자는 개별적인 복수의 안테나 그라운드판 각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가 어레이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 각각은 복수의 접속 도체부를 통해 상기 회로 그라운드판에 병렬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무선장치는 소형 모노폴로 이루어지는 안테나(13)와, 회로기판과, 접속 도체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테나(13)는 T자 형상의 안테나소자(10)와, 안테나소자(10)가 배치된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을 가지고 있다. 회로기판의 이면에는 회로 그라운드판(16)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 판(12)은 접속 도체부(14)를 통해 이 회로 그라운판(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소자(10)의 한쪽 단부는 급전부(미도시)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소자(10)는 8mm×8mm×5mm정도의 유전체(11)상에 T자 모양의 프린트 패턴으로 마련되며, T자의 하부 선단은 급전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회로 부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은, 그 이면이 통상적으로 회로 그라운드판(16)으로 되어 있다. 회로 그라운드판(16)의 면적은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면적보다 크다. 예를 들어, 회로 그라운드판(16)이 123mm×70mm인 크기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은 12mm×10mm의 작은 면적으로 한다. 이때,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두께는 1mm이다.
안테나 그라운드판(12)과 회로 그라운드판(16)은, 예를 들어 폭(W) 3mm의 접속 도체부(1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부(14)의 단면은 원, 사각형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접속 도체부(14)의 폭(W)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수신되는 전파의 파장에 대해서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안테나(1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회로 그라운드판에서의 전류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시뮬레이션은, 안테나(13)와 회로 그라운드판(16)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치수를 가지고, 접속 도체부(14)의 폭(W)이 1mm(약 0.0175λ)인 경우로서, 후술하는 도 3의 경우에 비해 접속 도체부의 폭(W)이 좁은 경우이다. 여기서, 안테나(13)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주파수는 5.25GHz로 하였다. 회로 그라운 드판(16)에서 안테나(13)로부터의 누설전류가 큰 영역은 국소적으로 전류밀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도 3에서 진하게 표시된 부분이 누설전류가 큰 영역이다. 누설전류가 작은 영역은 도 3에서 흐리게 표시된다. 덧붙여, 시뮬레이션에는 FDTD법(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맥스웰 방정식을 시간축과 공간축에 대해서 중심차분화하는 방법이다.
도 3은, 접속 도체부(14)의 폭(W)이 도 2보다 큰 12mm(약 0.21λ)인 경우의 전류 분포이다. 안테나(13)와 회로 그라운드판(16)의 치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치수를 가진다.
도 2 및 도 3에서의 전류 분포는, 안테나 그라운드판(12)과 회로 그라운드판(16)을 접속 도체부(14)로 접속함으로써 안테나로부터의 누설전류가 저감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접속 도체부(14)가 폭이 좁은 도 2의 경우, 농도가 진한 영역, 즉 누설전류가 큰 영역이 더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안테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대응되는 안테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방사패턴은 원거리에서의 전자기파상기 방사패턴(far field)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안테나 방사패턴에서의 각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좌표의 원점은 안테나(13)이다. θ는 수직면(50)내에서 안테나 천정부 방향을 향한 수직축으로부터의 각도를 나타내고, φ는 수평면(52)내에서 회로기판의 회로 그라운드판(16)의 수평축의 일 방향과의 각도를 나타낸다. 안테 나(13)로부터의 방사 강도는 지향성을 갖기 때문에, 안테나(13)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P점(θ, φ)에서의 방사 강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패턴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서, 그래프의 종축은 P점의 각도θ(도)를 나타내고, 그래프의 횡축은 P점의 각도φ(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같이 접속 도체부(14)의 폭(W)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는 수직면내에서 약 70도이고 약간 윗쪽을 향해 있으므로, 접속 도체부(14)의 폭(W)이 좁은 경우가 휴대무선장치로서는 바람직하다. 방사 강도의 수평면내 피크 각도는 약 90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접속 도체부(14)의 폭(W)이 도 4의 경우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는 수직면내에서 약 140도가 되어 수평면보다 아래쪽을 향한다. 또한, 수평면내에서 약 120도가 된다.
도 4와 도 5를 비교하여 볼 때, 접속 도체부(14)의 폭(W)이 좁은 편이,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를 수평면내보다 상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무선장치로서는 더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의 접속 도체부(14)의 폭(W) 의존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종축은 피크 각도(θp), 그래프의 횡축은 접속 도체부(14)의 폭(W)(mm)이고, 폭(W)을 1 내지 12mm의 범위로 변화시키고 있다. 폭(W)이 3.8mm(0.067λ)이하인 경우, 피크 각도(θp)는 약 70도이고 수평면보다 윗쪽을 향하고 있어, 휴대무선장치로서 적합하다. 폭(W)이 3.8mm 보다 두꺼워지면, 피크 각도(θp)는 약 140도가 되어 수평면보다 아래쪽을 향한다. 안테나의 각도를 변화시키면 통신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피크 각도(θp)가 70도인 편이 사용하기 쉽다. 따라서, 접속 도체부(14)의 폭(W)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파장의 0.067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비교예에 있어서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와 회로기판의 회로 그라운드판의 길이와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비교예는 휴대무선장치의 안테나가 분리된 안테나 그라운드판을 구비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이다.
도 8은, 비교예의 안테나가 설치된 휴대무선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휴대무선장치에 있어서,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의 회로 그라운드 길이(도 8의 Lg) 의존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라운드 길이(Lg)가 커짐에 따라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는 커진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길이(Lg)가 0.5λ의 경우 피크 각도(θp)는 약 116도이고, 1.5λ의 경우 약 140도가 되어, 모두 수평면 보다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비교예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약 70도와 상향의 피크 각도(θp)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되듯이, 안테나(13)를 구성하는 작은 면적의 안테나 그라운드판(12)과 회로기판의 보다 큰 면적인 회로 그라운드판(16)과의 사이를 그 폭(W)이 송수신되는 전파의 파장에 대해 충분히 좁은 접속 도체부(14)로 접속한다. 이 결과, 안테나 그라운드판(12)과 회로기판의 회로 그라운드판(16)은, 저주파 내지 직류파에서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고주파에서 거의 서로 독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결과, 안테나(13)로부터 회로 그라운드 판(16)으로 누설되는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듯이,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가 수평면내보다 상향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는 휴대무선장치에 적합한 방사특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접속 도체부(14)의 안테나 그라운드판(12)에의 접속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접속 도체부(14)의 위치가 안테나 그라운드판(도 1의 12)의 단부인 경우의 누설전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1은 접속 도체부(14)의 위치가 안테나 그라운드판 (12)의 중앙부인 경우의 누설전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안테나(13)로부터의 누설전류가 큰 영역이 내용이 진하게 표시되고, 작은 영역이 흐리게 표시된다. 안테나(13)와 회로 그라운드판(16)의 치수는 도 1과 동일하다. 또한,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파의 주파수는 5.25GHz로 하였다.
도 10 및 도 11에서의 전류 분포는, 안테나 그라운드판(12)과 회로기판의 회로 그라운드판(16)을 폭(W)이 좁은 접속 도체부(14)로 접속함으로써 안테나(13)로부터의 누설전류를 저감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접속 도체부(14)의 위치가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단부인 도 10의 경우, 농도가 진한, 즉 누설전류가 큰 영역을 더 작게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0에 대응한 방사패턴의 수직 및 수평면내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3은 도 11에 대응한 방사패턴의 수직 및 수평면내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접속 도체부(14)의 위치가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단부인 경우는,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는 수직면내에서 약 70도이고 약간 윗쪽으로 향해 있으므로, 휴대무선장치로서는 바람직하다. 방사 강도의 수평면내 피크 각도는 약 90도이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접속 도체부(14)의 위치가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중앙부인 경우는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는 수직면내에서 70 내지 130도로 넓어지고, 방사강도의 피크가 두 지점에서 나타나고 있다.
도 14는 방사 강도의 수직면내에서의 피크 각도(θp)의 접속 도체부(14)의 위치 의존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접속 도체부(14)의 위치가 4.0 내지 6.0mm인 중앙부에 있어서는, 피크 각도(θp)가 100 내지 130도가 되어 수평면 보다 아래쪽을 향한다. 사용시에 안테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속 도체부(14)가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단부 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피크 각도(θp)가 약 70도가 되어 방사 강도의 피크 각도(θp)를 수평면내에서 상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무선장치로서는 더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진 주파수 및 대역폭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공진 주파수 및 대역폭의 접속 도체부(14)의 폭(W) 의존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시뮬레이션은 접속 도체부(14)의 위치가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단부인 경우이다. 상기 그래프의 종축은 공진 주파수 및 대역폭이고, 횡축은 접속 도체부(14)의 폭(W)(mm)이다. 접속 도체부(14)의 폭(W)이 1 내지 6mm의 범위에서 공진 주파수는 5.24 내지 5.36GHz의 범위로 변할 수 있다. 또한, 폭(W)이 좁을 수록 공진 주파수를 낮게 할 수 있고 안테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폭(W)이 1 내지 6mm의 범위에 있어서, 대역폭은 170 내지 200MHz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아래쪽에서 본 모식도이다.
접속 도체부(14)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폭(W)은 1mm(거의 0.0175λ)이하로 파장에 대해서 충분히 좁게 하여 회로기판의 회로 그라운드판(16)에서의 누설전류를 저감하고 있다. 안테나소자(10)는 모노폴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휴대무선장치는 제4세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 적합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의 안테나 근방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무선장치는 도 16에 예시된 소형의 안테나소자가 4개 설치된 어레이 안테나를 구비한 것으로, 도 16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무선장치의 안테나는 4개의 안테나소자(10)와 상기 안테나소자(10)가 각각 설치된 4개의 안테나 그라운드판(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10) 각각은 회로 그라운드판(16)에 개별적인 4개의 접속 도체부(1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4개의 안테나 그라운드판(10)은 접속 도체부(14)를 통해 회로 그라운드판(16)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안테나를 구비한 본 실시예의 휴대무선장치는 소형으로 제작가능하고 안테나로부터의 누설전류를 저감할 수 있으며, MIMO(Multi Input Multi Output)와 같이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필요로 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무선장치의 안테나 근방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무선장치는 역F 안테나를 안테나소자(10′)로 한 것으로 도 17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실시예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역F 안테나를 채용하였으므로, 상술된 모노폴 안테나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방사패턴이 달라질 수 있으나 대체적인 경향은 유사하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도 안테나 그라운드판(12)이 회로 그라운드판(16)과 접속 도체부(14)를 통하여 접속됨에 따라, 상술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누설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무선장치는 상기 역F 형태의 안테나소자가 복수개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를 구비하여 MIMO와 같은 통신 방식에 적합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테나소자가 모노폴 안테나이거나 역F 안테나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안테나소자는 패치 안테나이어도 된다. 이 경우, 안테나소자는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금속박막의 패치가 형성되고, 그 이면은 안테나 그라운드에 부착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테나를 구성하는 안테나소자와 안테나 그라운드판, 접속 도체부, 회로기판, 회로기판을 구성하는 회로 그라운드판 등의 구성 요소의 사이 즈, 형상, 재질, 배치 관계 등에 관하여,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각종 설계 변경을 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무선장치는 회로 그라운드판과 안테나 그라운드판이 직류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어도 고주파적으로는 거의 독립되어, 회로 그라운드판내에 발생하는 안테나에 의한 누설전류가 저감되는 동시에, 방사패턴을 수평면 보다 윗쪽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향 방사패턴은 휴대무선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휴대무선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안테나 소자가 설치되는 안테나 그라운드판을 가지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회로기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로 그라운드판; 및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과 회로 그라운드판을 접속하는 접속 도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체부의 폭은 적어도 상기 안테나 소자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파장의 0.067배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체부는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의 중심부를 벗어난 위치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체부는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그라운드판은 상기 회로기판의 이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유전체상에 형성된 프린트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모노폴 안테나, 역F 안테나 및 패치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과 상기 회로 그라운드판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소자가 복수로 구성된 어레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개별적인 복수의 안테나 그라운드판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판 각각은 복수의 접속 도체부를 통해 상기 회로 그라운드판에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장치.
KR1020060068095A 2005-12-19 2006-07-20 휴대무선장치 KR10121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41,209 US7579991B2 (en) 2005-12-19 2006-12-19 Portable wireles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4723A JP2007173929A (ja) 2005-12-19 2005-12-19 携帯無線装置
JPJP-P-2005-00364723 2005-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198A true KR20070065198A (ko) 2007-06-22
KR101217556B1 KR101217556B1 (ko) 2013-01-02

Family

ID=3829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95A KR101217556B1 (ko) 2005-12-19 2006-07-20 휴대무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173929A (ko)
KR (1) KR101217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511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6253B (zh) 2012-09-27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输入多输出天线、系统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172B2 (ja) * 2001-12-27 2006-02-22 株式会社東芝 携帯無線装置
JP2004104419A (ja) * 2002-09-09 2004-04-02 Hitachi Cable Ltd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
JP2005269228A (ja) * 2004-03-18 2005-09-29 Clarion Co Ltd アンテ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511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556B1 (ko) 2013-01-02
JP2007173929A (ja)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6934B2 (en) Antenna structure
JP2019088003A5 (ja) 携帯型通信装置
CN102956973B (zh) 天线隔离元件
US10283847B2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device
US8963794B2 (en) Distributed loop antennas
US1096500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US20080238783A1 (en) Ultra-wide band antenna and plug-and-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0854548A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US20190148830A1 (en) Communication device
US7579991B2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US7598912B2 (en) Planar antenna structure
WO2012077406A1 (ja) アンテナ装置
KR101217556B1 (ko) 휴대무선장치
US20030058172A1 (en) Antenna for use with radio device
TWI679807B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之無線通訊裝置
JP2000201014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JP2004320075A (ja) チップアンテナ、アンテナ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カード
US11056770B2 (en) Multi-antenna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3166600A1 (ja) アンテナ装置、無線端末及び無線モジュール
WO2020253938A1 (en) Continuous beam steering antenna structure
CN111342242B (zh) 多天线系统及其电子装置
US11688936B2 (en) Antenna module
US20230198150A1 (en) Antenna device
EP43332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09075448B (zh) 用于通信设备的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