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798A -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798A
KR20070063798A KR1020050124028A KR20050124028A KR20070063798A KR 20070063798 A KR20070063798 A KR 20070063798A KR 1020050124028 A KR1020050124028 A KR 1020050124028A KR 20050124028 A KR20050124028 A KR 20050124028A KR 20070063798 A KR20070063798 A KR 2007006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gate
crystal pane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3798A/ko
Publication of KR2007006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Abstract

탑 샤시 체결시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는, 개구를 포함하는 일면, 상기 일면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벽들 및 상기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 수납 용기, 탑 샤시,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Receiving contain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샤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샤시를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 표시 장치 200 : 액정 표시 모듈
210 : 디스플레이 유니트 212 : 액정 패널
212a : 제 1 표시판 212b : 제 2 표시판
214 : 데이터 인쇄회로기판 215 : 편광 필름
216 : 데이터 TCP 218 : 게이트 TCP
220 : 백라이트 유니트
223, 225 : 제 1 및 제 2 램프부 224 : 도광판
230 : 몰드 프레임 240 : 탑 샤시
250 : 바텀 샤시 260 : 돌출부
310 : 전면 케이스 320 : 배면 케이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 샤시 체결시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기준전극과 컬러필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개재되며, 화소 전극과 기준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변경시키고, 이를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현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아 광선의 투과 여부를 결정하는 액정이 구비된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 액정 패널의 일측에 데이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데이터 구동 칩이 실장되는 데이터 연성회로기판, 액정 패널의 타측에 연결되며, 게이트 구동 칩이 실장되는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최근,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슬림화 및 경량화된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전면 케이스와 실제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유효 표시 영역까지의 폭을 감소시켜 전면 케이스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은 액정 패널의 타측에 연결되어 몰드 프레임의 배면과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조립된다.
그러나, 탑 샤시 체결시 탑 샤시 측면에 눌려지면서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이 몰드 프레임의 배면과 접촉되도로 절곡되어 체결이 되어야 하는데,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몰드 프레임의 배면과 접촉되도록 체결되지 않는다. 또한, 탑 샤시와 바텀 샤시의 공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탑 샤시가 눌려질 때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의 탄성으로 인해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이 접히게 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탑 샤시 체결시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는, 개구를 포함하는 일면, 상기 일면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벽들 및 상기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칩이 각각 실장되어 있는 제1 및 제 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트 유니트와,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와, 상기 디스플레이트 유니트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상기 액정 패널 상부에 위치하며 개구를 포함하는 일면과 상기 일면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벽들 및 상기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화상신호가 인가되어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액정 표시 모듈(200)과 액정 표시 모듈(200)을 수납하기 위한 전면 케이스(310) 및 배면 케이스(320)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모듈(200)은 화면을 나타내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21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210)은 액정 패널(212), 인쇄회로기판(214),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이하, TCP)(216) 및 게이트 TCP(218)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212)은 제 1 표시판(212a)과 제 2 표시판(212b) 및 액정(미도시)을 포함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표시판(212a)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적인 신 호의 입력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드레인 단자로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출력된다.
제 1 표시판(212a)에 대향하여 제 2 표시판(212b)이 구비되어 있다. 제 2 표시판(212b)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 G, B 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제 2 표시판(212b)의 전면에는 ITO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 1 표시판(212a)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오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화소 전극과 제 2 표시판(212b)의 공통 전극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제 1 표시판(212a)과 제 2 표시판(212b)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또한, 액정 패널(212)의 상부와 하부 표면에는 각각 편광 필름(215)이 배치되며,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220)에서 제공되는 빛 중에서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편광 필름(215)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 필름(215)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시켜 요오드(I2)와 이색성염료 용액에 담구어 요오드 분자와 염료분자를 연신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요오드 분자와 염료분자는 이색성을 가지기 때문에 편광 필름(215)의 연신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되고,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된다.
액정 패널(212)의 액정의 배열각과 액정이 배열되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인가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12)의 일측면에는 데이터 구동 신호의 인가 시기를 결정하는 연성회로기판의 일종인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216)가 부착되어 있고, 액정 패널(212)의 타측면에는 게이트의 구동신호의 인가시기를 결정하는 게이트 TCP(218)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데이터 및 게이트 TCP(216, 218)의 중앙부에는 데이터 구동 칩 및 게이트 구동 칩이 실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성회로기판에 데이터 및 게이트 구동 칩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TCP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액정 패널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존재하는 데이터 및 게이트 구동 칩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씨오지(Chip On Glass : COG) 방식 및 연성회로기판에 구동 칩을 실장하는 방법으로 씨오에프(Chip On Film : COF)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 패널(212)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각각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214)은 액정 패널(212)의 데이터 라인측의 데이터 TCP(216)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데이터 TCP(216)와 인쇄회로기판(214)을 몰드 프레임(230)의 배면과 접촉되도록 절곡시킨다.
인쇄회로기판(214)에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미도시)로부터 발생한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액정 패널(212)에 데이터 및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 공하기 위한 데이터부와 게이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214)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게이트 구동신호, 데이터 신호 및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신호들을 발생시켜 게이트 구동신호는 게이트 TCP(218)을 통하여 액정 패널(212)의 게이트 라인에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TCP(216)을 통하여 액정 패널(212)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210)의 아래에는 디스플레이 유니트(21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니트(220)가 구비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니트(220)는 액정 표시 모듈(200)의 양단에 구비되어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램프부(223, 22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램프부(223, 225)는 각각 제1 및 제2 램프(223a, 223b), 제3 및 제4 램프(225a, 225b)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램프 커버(222a, 222b)에 의해 각각 보호된다.
도광판(224)은 디스플레이 유니트(210)의 액정 패널(21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액정 패널(212)의 아래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램프부(223, 225)에서 발생된 광을 디스플레이 유니트(210)쪽으로 안내하면서 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상기 도광판(224)은 두께가 균일한 에지형이고, 제1 및 제2 램프부(223, 225)는 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광판(224)의 양단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램프부(223, 225)의 램프의 개수는 액정 표시 장치(100)의 전체적인 균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광판(224)의 위에는 도광판(224)으로부터 출사되어 액정 패널(212)로 향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광학시트들(22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224)의 아래에는 도광판(224)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224)으로 반사시켜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228)이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니트(210)과 백라이트 유니트(220)는 수납 용기인 몰드 프레임(23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몰드 프레임(230)은 직육면체의 박스상을 갖고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몰드 프레임(230)의 하부면에는 바텀 샤시(250)가 체결되고, 액정 패널(212)의 가장자리 소정영역과 몰드 프레임(230)의 측면이 감싸지도록 몰드 프레임(230)의 상부에는 탑 샤시(240)가 체결된다. 이때, 탑 샤시(240)는 백라이트 유니트(220) 상부쪽에 체결되어 액정 패널(212)을 고정시키며, 액정 패널(210)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탑 샤시(240)의 측벽 내부에는 탑 샤시 체결시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의 접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샤시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샤시(240)의 일면에는 액정 패널(212)의 유효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2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면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도록 측벽(24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242)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 내부에 다수 개의 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260)는 탑 샤시(240) 체결시 게이트 구동 칩(217)이 실장되어 있는 게이트 TCP(218)와 접촉된다. 이때, 돌출부(260)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260)의 개수는 게이트 구동 칩(217)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샤시를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아웃 리드 본딩(Out Lead Bonding ; OLB) 공정과 탭 솔더(TAB solder) 공정을 진행한 한 후에 몰드 프레임(미도시)에 액정 패널(212)을 설치한다. 그 다음, 액정 패널(212)이 몰드 프레임(2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탑 샤시(240) 및 바텀 샤시(미도시)를 체결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동 칩(217)이 실장되어 있는 게이트 TCP(218)와 접촉되도록 측벽 내부에 다수 개의 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있는 탑 샤시(240)를 사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샤시(240) 체결시 측벽 내부에 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있는 탑 샤시(240)를 사용하게 되면, 돌출부(260)가 게이트 구동 칩(217)이 실장되어 있는 게이트 TCP(218)를 밀어주면서 체결됨으로써 게이트 TCP(218)가 가지고 있는 탄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게이트 TCP의 접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탑 샤시 제작시 단순한 구조 변경만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네로우 베젤 형태(Narrow Bezel Type)의 액정 표시 장치에 쉽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조립 공정시 생산 시간(Tact Time)의 증가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측벽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탑 샤시를 사용함으로써 탑 샤시 체결시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이 가지고 있는 탄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게이트 연성회로기판의 접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개구를 포함하는 일면;
    상기 일면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벽들; 및
    상기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3. 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칩이 각각 실장되어 있는 제1 및 제 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트 유니트;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상기 디스플레이트 유니트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상기 액정 패널 상부에 위치하며 개구를 포함하는 일면과 상기 일면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벽들 및 상기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과 접촉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 칩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
KR1020050124028A 2005-12-15 2005-12-15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70063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28A KR20070063798A (ko) 2005-12-15 2005-12-15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28A KR20070063798A (ko) 2005-12-15 2005-12-15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798A true KR20070063798A (ko) 2007-06-20

Family

ID=3836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028A KR20070063798A (ko) 2005-12-15 2005-12-15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37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5704B2 (ja) 液晶表示装置
US6595651B2 (en) Light guid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1201733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10703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KR10079372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2391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5114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0580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5678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57332A (ko) 표시 장치
KR20080068164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3798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70025526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7581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8460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07008099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84858B1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2007010314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74790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80012694A (ko) 타일드 액정 표시 장치
KR10071594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6437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15909A (ko) 바텀 섀시를 변형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12972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10747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