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006A -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006A
KR20070062006A KR1020050121642A KR20050121642A KR20070062006A KR 20070062006 A KR20070062006 A KR 20070062006A KR 1020050121642 A KR1020050121642 A KR 1020050121642A KR 20050121642 A KR20050121642 A KR 20050121642A KR 20070062006 A KR20070062006 A KR 20070062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information
devices
home networ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616B1 (ko
Inventor
강태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6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은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 정보, 및 디바이스의 절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디바이스가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디바이스와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디바이스 정보에서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에 따라 디바이스의 절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절전 기능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한 지출 감소 효과를 가져온다.
홈 네트워크, 홈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절전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 제어장치{Method for saving power of device be linked with home network and the power saving control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 제어장치를 포함한 홈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 제어장치의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홈 네트워크 110 : 홈 게이트웨이
112 : 디바이스 관리부 114 : 절전 관리부
116 : 저장부 120 : PLC 디바이스
130 : HA 디바이스 140 : 센서 디바이스
150 : 이더넷 디바이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 제어장치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설정 및 상호 연동된 디바이스들의 상태에 따라 디바이스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텔레비전과 함께 인터넷 냉장고, 비디오, 오디오 등과 같은 가전 제품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구성하는 추세이다. 또한, 가전 제품만이 아니라 통신매체, 보안매체 등이 통합되어 통합관리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가 점차 실용화되고 있다. 즉, 홈 네트워크란 말 그대로 가정 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공유와 홈 오토메이션 등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가전 제품 즉, 디바이스들은 지능형으로 탈바꿈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디바이스간 상호 연동도 가능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홈 네트워크 이용시, 수돗물 또는 가스를 틀어놓거나 조명을 켜 놓은 채 외출을 한다거나, 조명이나 텔레비전을 켜 놓은 채 잠이 드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패턴 인식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거나 일정시간 후에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절전 예약 기능을 선택하였다. 그러면, 디바이스가 직접 절전 모드 선택시 또는 일정시간 경 과 후 절전 모드를 수행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절전 모드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능형이 아닌 디바이스는 선택된 시점에만 절전 모드를 수행하기 때문에 조명을 켜 놓은 채 외출하는 등의 실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낭비를 해결하지 못한다.
그리고, 사용자 패턴 인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지능형 홈 게이트웨이가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패턴에 알맞는 절전 환경을 제공하였다. 일 예로, 한 달 내내 새벽 1시부터 5시까지 조명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면, 홈 네트워크는 이를 사용자 패턴으로 인식하여 새벽 1시가 되면 자동으로 조명을 껐다.
따라서, 어느 날 하루 늦게까지 일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해도 자동으로 조명이 꺼지게 됨으로써 사용자 패턴 인식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여러 명이 사는 가정에서는 환경상 개개인의 패턴 인식이라는 것은 의미가 없고, 오동작 발생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디바이스의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는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전 모드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디바이스의 절전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 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은 디바이스 정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서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전 수행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가 절전이 필요한 상황 및 사용자가 설정한 판단 기준에 해당하는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전 수행 단계는,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가 부동작 상태이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 제어장치는, 디바이스 정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서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 태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을 수행하는 절전 관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전 관리부는, 위치 관계 및 초기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 제어장치를 포함한 홈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절전 제어장치는 연동된 디바이스(device)의 절전 모드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디바이스의 절전을 제어함으로써, 절전의 신뢰성을 높이고 디바이스의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100)는 홈 게이트웨이(110)와 각종 디바이스들(120, 130, 140, 150)을 포함한다.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110)는 연동된 각종 디바이스들(120, 130, 140, 150)의 절전 모드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디바이스들(120, 130, 140, 150)의 절전을 제어하는 절전 제어장치의 일 예이다.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디바이스(120)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디바이스로써,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비디오, 오디오, 세탁기 등이 있다. HA(Home Automation) 디바이스는 자동화 디바이스로써, 일 예로, 조명기기, 가스 원격 검침기, 및 수도 원격 검침기 등이 있다. 센서 디바이스(140)는 센서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로써, 현관문 등에 설치되어 여닫힘에 의해 출입을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 및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센서 등이 있다. 이더넷 디바이스(150) 는 랜을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로써, PC(Personal Computer), 인터넷 텔레비전, 및 인터넷 냉장고 등이 있다.
이상의 디바이스들(120, 130, 140, 150)은 상호 연동가능하며, 홈 게이트웨이(110)의 제어에 의해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홈 게이트웨이(110)는 디바이스 관리부(112), 절전 관리부(114), 및 저장부(116)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부(112)는 연동되는 디바이스들(120 내지 150)의 정보를 저장부(116)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표 1은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낸다.
Device Type Device Name Logical Address 현재 상태 동작 시간 위치
2200 조명 디바이스1 PLC일 경우 31byte 2005.09.11 13:00 거실
0a08 마그네틱 센서 디바이스2 센서 감지 여부 2005.09.11 13:00 현관
. . . . . . . . . . . .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정보는 다바이스 타입, 디바이스 이름, 논리 주소, 현재 상태, 동작 시간, 및 위치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현재 상태는 디바이스의 마지막 상태를 의미하며,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얻는 방법은 네 가지로 구분되어 진다. 이는, 사용자의 개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상태정보가 사용자의 요청이나 동작으로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디바이스 자체가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첫 번째로,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요청했을 경우에 현재 상태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용자가 직접 디바이스를 제어했을 경우에 현재 상태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디바이스 자체가 현재 상태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네 번째로, 에러정보로 현재 상태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경우가 절전 수행 여부의 판단기분이 된다.
논리 주소는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공통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체계로, 디바이스의 물리적인 연동(PLC, HA, 이더넷)에 관계없이 표현가능하다.
절전 관리부(114)는 사용자가 설정한 디바이스들(120 내지 150)의 절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절전 관리부(114)는 사용자가 설정한 절전이 필요한 절전 디바이스의 정보 및 절전 관련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부(116)에 저장한다. 표 2a는 절전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내고, 표 2b는 절전 관련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낸다.
Logical Address 절전 기능 사용자 설정 판단 기준(특정시간대, 사용시간) 절전 여부
디바이스 1 PLC일 경우 31byte 01:00~06:00 && 30분 이상 True
. . . . . . . .
표 2a를 참조하면, 절전 디바이스 정보는 논리 주소, 절전 기능, 사용자 설정 판단 기준, 및 절전 여부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1 즉, 조명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새벽 1시에서 6시까지 30분 이상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 절전 기능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절전 관리부(114)는 조명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새벽 1시에서 6시까지 30분 이상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 조명의 절전 기능을 위해 PLC(전력선 통신)일 경우 조명에 31바이트를 출력한다.
Logical Address 사용자 개입에 의해 발생한 디바이스의 마지막 상태 동작 시간
디바이스 1 PLC일 경우 31byte 2005.09.11 11:00
. . . . . .
표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전 관련 디바이스 정보는 논리 주소, 사용자 개입에 의해 발생한 디바이스의 마지막 상태, 및 동작 시간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1 즉, 조명은 2005년 9월 11일 오전 11시에 사용자의 개입에 의해 꺼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절전 관리부(114)는 11시 이후로는 조명이 꺼진 상태이므로 절전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 기능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 상호 연동된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판단하여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 디바이스와 관계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부(116)에 저장한다. 이때, 절전 디바이스와 관계있는 디바이스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초기 설정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표 3은 조명과 관계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낸다.
Logical Address(디바이스 1 - 조명) 동작 Value
디바이스 2 - 마그네틱 센서 센싱이 안되는 경우 절전 기능 수행
디바이스 3 - 동체 센서 센싱이 안되는 경우 절전 기능 수행
표 3을 참조하면, 조명 관련 디바이스는 마그네틱 센서와 동체 센서가 있다. 즉, 조명의 절전 기능 수행을 위해 마그네틱 센서와 동체 센서의 센서 상태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절전 관리부(114)는 마그네틱 센서와 동체 센서의 센싱이 안되는 경우에는 조명의 절전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수도의 잠금 기능 수행을 위해서는 세탁기 또는 식기 세척기 등의 동작 상태가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116)에는 홈 게이트웨이(110)에 연동된 디바이스 정보, 절전 디바이스 정보, 절전 관련 디바이스 정보, 및 절전 디바이스 관련 디바이스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16)에는 외출 모드 및 방범 모드 등의 선택 정보가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 제어장치의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이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이를 위해, 절전 관리부(114)는 각 디바이스 별로 절전 기능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표 4는 각 디바이스 별 절전 기능 정보를 나타낸다.
디바이스 기능 절전 기능 판단 기준
조명 조명 켜기 x(절전 기능 아님) 특정 시간대 사용시간 관련 디바이스 동작여부
조명 끄기 o(절전 기능)
수도 수도 열기 x(절전 기능 아님) 특정 시간대 사용시간 특정 시간대&&사용시간 관련 디바이스 동작여부
수도 잠그기 o(절전 기능)
TV TV 켜기 x(절전 기능 아님) 특정 시간대 사용시간 관련 디바이스 동작여부
TV 끄기 o(절전 기능)
기타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전 기능 정보는 각 디바이스별 기능, 절전 기능, 및 판단 기준 등을 포함한다. 조명을 끄거나 수도를 잠그는 기능이 절전 기능이며, 절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 기준으로는 특정 시간대에 해당 사용시간, 및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여부 등이 있다.
일 예로, 절전 관리부(114)는 조명의 절전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조명 정보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절전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조명의 현재 상태가 꺼짐(PLC일 경우 31byte)이면 절전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절전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되면(S200-Y), 절전 관리부(114)는 기설정된 절전 판단 기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구체적으로,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 디바이스 정보 및 절전 관련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해 절전 판단 기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 조명의 현재 상태가 켜짐으로 판단되면,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 디바이스 정보에서 조명의 특정 시간대에 해당 사용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절전 기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 관련 디바이스 정보에서 조명의 사용자 개입에 의해 발생한 마지막 상태 및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하였으면 절전 기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기설정된 절전 판단 기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10-Y),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을 수행할 디바이스와 관계있는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검색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S220). 이때,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 디바이스 관련 디바이스 정보에서 관련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디바이스 정보에서 검색한 관련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절전 관리부(114)는 절전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절전 관리부(114)는 검색한 관련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가 동작하지 상태이면 절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절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 관리부(114)는 해당 절전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을 수행한다(S240). 그리고, 절전 관리부(114)는 수행된 절전 기능을 저장부(116)에 저장하고 수행된 절전 기능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25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전 기능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한 지출 감소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디바이스 정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서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수행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가 절전이 필요한 상황 및 사용자가 설정한 판단 기준에 해당하는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수행 단계는,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가 부동작 상태이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4. 디바이스 정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기능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절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절전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서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상 기 디바이스의 절전을 수행하는 절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관리부는,
    위치 관계 및 초기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 제어장치.
KR1020050121642A 2005-12-12 2005-12-12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제어장치 KR100730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642A KR100730616B1 (ko) 2005-12-12 2005-12-12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642A KR100730616B1 (ko) 2005-12-12 2005-12-12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006A true KR20070062006A (ko) 2007-06-15
KR100730616B1 KR100730616B1 (ko) 2007-06-21

Family

ID=3835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642A KR100730616B1 (ko) 2005-12-12 2005-12-12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61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36B1 (ko) * 2007-09-19 2009-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절감 방법 및 그 장치
KR100946669B1 (ko) * 2007-12-12 2010-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비 절감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WO2011162555A2 (ko) * 2010-06-26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WO2011162587A2 (ko) * 2010-06-26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US8117470B2 (en) 2007-12-12 2012-02-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ome network client and server including energy-away control el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1162556A3 (ko) * 2010-06-22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WO2011162576A3 (ko) * 2010-06-25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WO2011162553A3 (ko) * 2010-06-22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US8645719B2 (en) 2008-11-20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274B1 (ko) * 1994-05-27 1998-11-16 전호인 절전형 가정 및 사무실 통합관리 전자시스팀
EP1489719A3 (en) * 2003-06-20 2007-05-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energy-saving recommended equipment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36B1 (ko) * 2007-09-19 2009-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절감 방법 및 그 장치
US8117470B2 (en) 2007-12-12 2012-02-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ome network client and server including energy-away control el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46669B1 (ko) * 2007-12-12 2010-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비 절감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US8645719B2 (en) 2008-11-20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1162553A3 (ko) * 2010-06-22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WO2011162556A3 (ko) * 2010-06-22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US9417616B2 (en) 2010-06-22 2016-08-16 Lg Electronics Inc. Electric product for effectively managing energy sources
WO2011162576A3 (ko) * 2010-06-25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US9836803B2 (en) 2010-06-25 2017-12-05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WO2011162555A3 (ko) * 2010-06-26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WO2011162587A3 (ko) * 2010-06-26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WO2011162587A2 (ko) * 2010-06-26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WO2011162555A2 (ko) * 2010-06-26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US9979201B2 (en) 2010-06-26 2018-05-22 Lg Electronics Inc. Component for a network system including a power sav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616B1 (ko)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616B1 (ko) 홈 네트워크에 연동된 디바이스의 절전방법 및 그 절전제어장치
US71812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home power management
EP257528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201602745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energy consumption systems
CN103151038A (zh) 在电子产品中实现语音识别操控的方法
JP5555141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084658A (ja) 家庭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5230038A (zh) 能量管理控制器、能量管理系统、能量管理方法以及程序
CN111965991A (zh) 智能控制开关的权限调节方法、装置、智能控制开关以及存储介质
CN112506401B (zh) 基于物联网的智能家电控制方法、终端、装置和存储介质
JP6688954B2 (ja) 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画面遷移方法
KR100455961B1 (ko) 조명등용 전자식 벽 스위치기의 방범기능 수행방법 및 그기능이 있는 스위치기
US10952306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ontrol of electrical loads
WO2018176873A1 (zh) 制冷设备显示屏端的控制方法及系统
CN115731684A (zh) 无线按键开关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KR102566857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
CN111897235A (zh) 一种多功能酒店rcu系统
WO2020082536A1 (zh) 控制方法、装置、智能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7350186B2 (ja) 配線器具
JP7393556B2 (ja) 操作装置、操作システム、操作方法、プログラム
KR101288877B1 (ko) 홈관리시스템 및 홈시스템 및 홈서버 및 운용방법
CN105517288A (zh) 一种具有低功耗灯光控制装置的无线灯光控制系统
CN105451422A (zh) 单火线无线灯光控制器
JP2021042930A (ja) 電気機器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KR20230018725A (ko) Ai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