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816A - 차량 보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보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816A
KR20070061816A KR1020077005767A KR20077005767A KR20070061816A KR 20070061816 A KR20070061816 A KR 20070061816A KR 1020077005767 A KR1020077005767 A KR 1020077005767A KR 20077005767 A KR20077005767 A KR 20077005767A KR 20070061816 A KR20070061816 A KR 2007006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ystem
load floor
doors
door
sp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트 이. 존스톤
브루스 스트리벨
돈 올레스코
스콧 블랙니
윌리엄 도손
앤드류 시니아스키
그레이 니벨트
코리 킴벨
리 벨독
조지 오스트랜더
스콧 벨
짐 백스터
제프 한니반
쿠리언 포덴
그레그 소로카
패트릭 에크하우트
마이클 보고바이칸
조셉 라우카
마이클 스왈츠
랄프 제르드
수잔 블락손
Original Assignee
콜린스 앤 아이크만 프로덕츠 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린스 앤 아이크만 프로덕츠 콤파니. filed Critical 콜린스 앤 아이크만 프로덕츠 콤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6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내에 보조 아이템 및/또는 "수납가능한" 시트를 위한 폐쇄 보관소를 제공하기 위한 보관 시스템은, 하중 지지 커버를 갖는 보관소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내 리세스 위에 위치하는 힌지결합식 도어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스페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차량 설치가 용이한 모듈형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리세스는 프레임의 일부로서 조립 또는 성형될 수 있는 격실 형태일 수 있다. 도어, 래치, 힌지, 안전 스트랩, 및 슬라이딩 도어 갭 은폐물에 대한 다양한 구성 또한 개시된다.
스페이스 프레임, 도어, 래치, 보강 구조물, 격실, 해제 스트랩, 갭 은폐물

Description

차량 보관 관리 시스템{VEHICLE STORAGE MANAGEMENT SYSTEM}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4년 8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601,686호 및 2005년 4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673,005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운송 차량용 보관 시스템, 특히 로드 플로어(load floo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때로는 절첩되거나 "수납가능한(stowable)" 시트 조립체를 보관할 수 있는 차량내 보관 격실(compartment)의 커버링(covering)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션 왜건(station wagon: 좌석을 젖힐 수 있는 상자형 자동차)"의 재등장과 함께 미니밴 및 SUV(Sports utility vehicle)가 점점 대중화됨에 따라, 그 용도를 더 확장하려는 욕구가 있다. 즉, 다중 시트 및 착석 배치(여덟 명까지의 승객)를 제공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대형 아이템을 보관 및 수송하기 위한 화물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화물 공간은 로딩 및 언로딩의 편의를 위해서뿐 아니라 보관 능력의 증대를 위해서 비교적 편평한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차량들은 요구되는 장점의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2열 및 3열의 절첩 식(folding) 또는 착탈식(removable) 시트(seat)를 구비한다. 이러한 시트의 목적은 자동차를 승객 운반 및 화물 운반과 같은 다기능에 적합하게 하기 위함이다. 절첩식 또는 착탈식 시트의 사용은 여러가지 장점 및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절첩식 시트는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최소한의 행동을 요구하지만, 화물에 대해서는 이용가능한 차량 체적의 부분적인 사용만을 제공할 수 있다. 화물 체적은 또한 불균일해서,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로드 플로어(load floor)를 제공할 수 있다. 착탈식 시트는 화물 체적의 이용가능성을 최대화하지만, 사용자 측면에서는 시트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려면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며, 분리된 시트는 차량 외부에 보관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시트는 승객-운반 구조로 다시 전환되기 위해 쉽게 이용될 수 없다.
또한, 절첩식 시트에서, 한 줄 이상의 뒷좌석 조립체는 시트 쿠션 및 이 시트 쿠션에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를 구비한다. 시트 쿠션과 시트 등받이는 차량 내에 보다 큰 화물 체적을 제공하도록 전방으로 피봇(pivot)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트 쿠션은 대체로 수평한 착석 위치와 전방으로 절첩된 직립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차량의 플로어에 피봇 결합된다. 또한, 시트 등받이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수직한 착석 위치와 수직 시트 쿠션 근처의 전방으로 절첩된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시트 조립체를 차량의 플로어에 대해 절첩할 수 있다. 절첩 수단은 시트 쿠션을 착석 위치와 차량의 플로어 부근에 놓이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시트 등받이를 직립 착석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에서 시트 쿠션 위에 놓이는 전방 절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시트 쿠션과 시트 등받이를 각각의 착석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로크(lock)하기 위해 통상 다중 또는 복합 래칭(latching) 기구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절첩 시트에서는, 절첩된 시트 등받이가 테이블 또는 보관소 표면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시트 조립체는 차량 내의 보관 공간(화물 체적)을 차지하고 비평탄한 플로어 표면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에 대한 개선이, 비교적 편평한 로드 플로어를 제공하기 위해 시트 근처에 있는 차량 플로어 내의 재사용되는 공간 또는 폭포 영역으로 절첩되는 "수납가능한" 시트였다. 시트 등받이의 후방 또는 쿠션의 바닥은 차량 플로어의 오목한 공간을 채우는 로드 플로어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절첩될 수 있다. 절첩 세트 및 로드 플로어 제공 수단의 다른 예가 발명의 명칭이 "로드 플로어 시스템"인 미국 특허 제6,752,44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이 특허는 전방을 향하는 시트의 제2 열과 더불어 확장된 캡 픽업(cab pickup)에 사용되는 신축가능한(retractable) 패널에 관한 것이다. 신축가능한 패널은 시트가 직립될 때는 시트 쿠션 아래에 보관되고, 시트가 절첩될 때는 폭포 영역 위에 로드 플로어를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발명의 명칭이 "절첩식 차량 시트 조립체"이며 리어사(Lear Corporation)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6,705,658호는 직립 위치로부터 차량 플로어 내의 수납 공동 내의 절첩된 위치로 피봇가능한 절첩식 차량 시트 조립체, 및 접힌 시트를 커버하는 차량 로드 플로어로서 작동하는 슬라이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 설계는 로드 플로어 위에 피봇 지점을 가지며, 따라서 시트가 절첩될 때 편평한 로드 플로어를 제공할 수 없다.
요구되는 것은, 무겁고 부피가 큰 시트의 수동 제거와 연관된 부수적인 복잡성 및 불편함이 없이 화물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트를 비켜놓을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이다. 또한, 자동차의 기존 플로어에 쉽게 합체될 수 있고, 제2 열과 제3 열의 시트가 직립될 때 차량의 플로어 팬(floor pan)에 형성된 리세스(recess), 통(tub), 및 잠재적인 보관 격실을 커버하며, 절첩된 시트 위에 비교적 스무스한 내구성 있는 하중 지지 표면(load bearing surface)을 제공하도록 시트를 리세스 내로 절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도 요구된다.
전술한 내용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며, 차량 내의 제2 열과 제3 열의 시트를 차량의 플로어 팬의 오목부(depression) 내로 피봇 절첩시킬 수 있는 힌지형 도어를 가지며, 따라서 이 힌지형 도어가 절첩된 시트 위에 위치하여 하중 지지 평면(load bearing flat surface)을 갖는 증가된 화물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load floor system)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플로어에 폐쇄된 보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차량 플로어 팬 내의 오목부를 밀폐하도록 절첩되는 힌지형 도어를 구비하고, 또한 탑승자의 발 아래에서 차량의 플로어로서 작용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플로어에 하중 지지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스 프레임(space frame)으로 설계되고 비교적 얇아서 차량 내부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도록 비교적 높은 강도와 낮은 중량을 갖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형 도어를 세찬 닫힘 또는 끼임(pinching)을 방지하고 기저(underlying) 격실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방지하도록 임의의 각도로 배치하여 유지할 수 있는 마찰 힌지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기저 아이템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모터작동되는 도어를 구비할 수 있고 토크(torque) 모니터와 같은 끼임-방지 특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하면에 제공되고 도어 아래에 누군가가 끼였을 경우에 낮은 작동력을 요하도록 구성되는 어둠속에서 빛나는 안전 해제 스트립을 더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브래킷으로 보강된 스페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도어가 저밀도의 RRIM 또는 SRIM(structural reaction injection molded material)으로 형성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상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량의 주변 내부와 조화되도록 카펫으로 커버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기저 아이템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래칭, 언래칭(unlatching), 및 로킹 특징을 허용하는 각각의 도어에 대한 당김(pull) 래치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쉽게 조립될 수 있는 단일의 모듈형 스페이스 프레임 유닛인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이나 기저 보관 격실을 그 일부로서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이 통합된 모듈 유닛은 이후 차량 플로어에 끼워져서 조립 보관 모듈형(drop-in-place storage modular)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의 내측 보관 표면을 커버하는 카펫을 더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차량에 전달되는 노이즈를 감쇠시키기 위해 도어 및 통 또는 보관 격실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사운드 감소 재료를 포함시키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 격실에 하역망(cargo net)을 보유하기 위한 후크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상방으로 부분 절첩함으로써 그 위에 안착되는 발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로어 시스템의 도어 아래에 보관되기 위해 시트가 통과 이동해야 하는 플로어 내의 임의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슬라이드할 수 있는 하중 지지 갭 은폐물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저 격실에 부스러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덜컹거림(rattle)을 감소시키기 위해 힌지형 도어의 주위에 실(seal)을 구비하는 로 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개방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식료품 가방 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힌지형 도어의 하면에 장착되는 행거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보관 격실이 스페어 타이어를 위한 보관 영역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보관 격실이 냉각기 또는 저온 보관 영역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보관 격실이 랩톱 컴퓨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위한 수납 영역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실 또는 수납 영역에 전자 도킹 부재 또는 전자 콘센트 또는 조명등이 구비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드 플로어 시스템 골격에 가열-고정(heat-staked)되는 스틸 브래킷으로 보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력적인 로드 플로어를 제공하고 그 아래의 수납 공간을 은폐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픽업 트럭 또는 기타 하중 지지 차량의 베드(bed)용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벽 공간을 폐쇄하고 매력적이며 튼튼한 수납 영역을 허용하기 위해 임의의 운송 차량에 거의 수직한 구조로 번갈아 사용될 수 있는 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외부에 세척가능한 표면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소형 아이템을 깔끔하게 보관하기 위해 격실에 배치되는 일련의 제거가능한 재구성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중의 동요(jounce)를 방지하기 위해 절첩된 시트와 결합하기 위한 래치 수단을 더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스 프레임이 차량 플로어와 경계면 연결되어 윙윙거림, 삐걱거림 및 덜컹거림을 감소하기 위한 다수의 고무 범퍼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내의 임의의 보관 격실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lid) 또는 커버로서 작용할 수 있는 보관 또는 화물 관리 시스템용 도어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차량내 리세스를 커버하기 위한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리세스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그 각각의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하나 이상의 에지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도어는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이들 도어는 리세스를 커버하기 위해 프레임을 폐쇄하는 제1 위치와 도어가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피봇될 때 프레임 내에서 리세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다. 시스템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차량 내의 오목한 격실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closure)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는, 그 각각이 하나 이상의 에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서 격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문은 격실을 폐쇄하여 커버하는 제1 위치와, 도어가 격실로부터 멀리 피봇될 때 격실 내의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도어는, 격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절첩될 수 있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둘 이상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인접하는 시트들이 오목한 영역으로 피봇 또는 절첩될 수 있도록 차량 플로어 내의 오목한 영역 또는 수납 격실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형 도어로서, 차량에 편평한 화물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하강되는 힌지형 도어를 구비하는 스페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특히 운송 차량 용도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시트가 직립 또는 사용 조건에 있을 때, 도어는 오목한 영역 위에 위치하여, 하중 지지 특성을 갖는 폐쇄된 수납 영역을 제공한다.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탑승자를 기쁘게 하거나 심지어는 차량의 측벽에 수직 구조로 사용될 심미적 특징과 기능적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조립체에 보관 영역 또는 통을 통합시키도록 더 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설치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경량 모듈형 하중 지지면을 제공한다. 또한, 로드 플로어의 힌지형 도어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에 높은 강도와 낮은 중량 및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SRIM 또는 RRIM으로 제작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는 보다 가벼운 중량 및 추가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스틸 스탬핑과 조합하여 긴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 힌지 및 래치용 T-핸들 액추에이터의 사용도 고려된다. 보관 시스템의 도어는 또한 차량의 임의의 영역에서의 보관 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용도를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힌지형 도어의 부분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힌지형 도어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힌지형 도어의 저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도어의 힌지작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후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래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마찰 힌지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 힌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에 통합되는 보관 격실 또는 통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용 슬라이딩 도어 갭 은폐물의 사시도.
도 9a는 도 9의 갭 은폐물의 후면의 사시도.
도 9b는 도 9의 갭 은폐물의 슬라이딩 도어중 하나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도어용 대체 래칭 시스템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구조 로드 플로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0의 래칭 시스템의 작동의 개략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0의 래치용 대체 액추에이터(actuator)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래치의 하면의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래치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래치의 하면의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래치의 하면의 대체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구조 로드 플로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후술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러나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명세서가 철저하고 완전하도록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공통적인 요소에 대해서, 실시예 사이에서의 참조부호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기존의 숫자에 알파벳을 추가함으로써 식별된다. 즉,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참조부호 10으로 지칭되는 요소는 후속 실시예에서 대응하여 10A, 10B로 지칭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설명이 하나의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하나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경우, 이 참조부호는 그 요소가 공통적인 다른 실시예에서 알파벳 문자로 식별되면서 똑같이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이 시스템(10)은, 차량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수납가능한 절첩 시트(20)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차량의 플로어(40) 내의 오목부, 리세스, 통 또는 폭포 영역(30) 위에 위치하는 모듈형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2 참조).
제1 실시예에서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은 차량 구조물 관통 구멍(18)에 부착되기 위한 스페이스 프레임(12)을 포함하며, 이 스페이스 프레임(12)은, 주위 트림 패널(trim panel)과 조화되도록 착색 및 입자형성되고(grained) 금속제 보강 브래킷(16, 16', 16")이 덧붙임되는(backed) 사출성형된 외부 프레임(14)을 구비한 다(도 5 참조). 브래킷(16, 16', 16")은 하나 이상의 힌지형 도어(70)의 부착을 위한 강성 구조물을 제공하며, 도어(70)가 편평하게 배치될 때는 스페이스 프레임(12)의 중심에 도어(70)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제공한다.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후면을 도시하는 도 5에 도시하듯이, 브래킷은 중심 지지 브래킷(16), 에지 브래킷(16'), 및 코너 브래킷(16")을 포함한다. 이들 브래킷은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탑승자와 같은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을 제조하기 위해 튼튼한 부착 수단 및 적절한 강성을 제공한다. 이들 브래킷(16, 16', 16")은 스페이스 프레임(12)을 보강하기 위해 사출성형된 외부 프레임(14)에 가열-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된 외부 프레임(14)은 후면을 따라서 다수의 리브(rib)(114)에 의해 일체적으로 보강되며(도 5 참조), 금속, 열경화성 플라스틱, 열가소성 플라스틱, 충진된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그 조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삽입(insert) 성형된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구조적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된 외부 프레임(14)은 예를 들어 ABS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도 차량의 내부 외관 테마와 조화되도록 사용될 수 있지만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PC/ABS) 블렌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힌지형 도어(70)는, 절첩가능한 시트(20)에 인접하고(도 2 참조) 차량 플로어(40) 내의 오목부, 격실, 통 또는 폭포 영역(30) 위의 위치에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오목부, 통 등은 절첩가능한 시트(20)가 직립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밀폐된 튼튼한 보관 격실(30)(도 2 참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한, 도어(70)는 인접한 시트(20)가 격실(30) 내로 절첩될 수 있도록 비켜서 절첩하기 위해 또한 격실(30)에 대한 접근 및 사용이 쉽도록 힌지형성된다. 이는 화물 체적과 로딩의 용이함을 최대화하기 위해 도어(70)가 차량의 플로어(40)의 잔여부와 동일 평면으로 펴지고 편평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시트 등받이(22)를 시트 쿠션(24) 상으로 접어서, 쿠션(24)을 전방 피봇 지점(F) 주위로 뒤집고, 시트 등받이(22)의 후면을 격실(30)의 바닥에 배치함으로써 시트(20)는 격실(30) 내로 전방 절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도 2 참조), 시스템(10)은 시트 등받이(22A)가 쿠션(24A) 상으로 절첩되도록 역으로 피봇될 수 있으며, 그 조합은 쿠션(24A)의 후방 근처 지점(R) 주위로 피봇되어, 시트(20A)를 시트 등받이(22)의 후면이 격실(30)의 바닥과 다시 결합하도록 후방으로 피봇시킬 수 있다. 어느 상황에서든, 절첩된 시트를 격실 내에 고정하고 험한 주행 도중의 보관된 시트(20, 20A)의 동요를 방지하기 위해, 격실(30)에는 래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유사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도어(70)는 도시된 것과 반대쪽 단부에서 힌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의 도어(70)는, 차량에 하중 지지 플로어를 제공하도록 협력되지만, 시트(20, 20A)가 수납되거나 직립되어도 여전히 격실(30)에 대한 접근성을 허용하는 일련의 힌지결합된 패널(72, 74, 76)(도 1 및 도 2 참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큰 패널(72)은 일정한 마찰 또는 토크 엔진 힌지(62)에 의해 한쪽 에지에서 브래킷(16) 및 플라스틱 외부 프레임(14)에 부착된다(도 3 참조). 이들 힌지는 구멍(18)을 통해서 차량 플로어(40) 에 부착되는 브래킷(16)에 볼트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어(70)에 리벳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힌지는 Concordville, Pa 소재의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사(Southco, Inc.)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원통형 하우징 내의 슬롯에 결합될 뿐 아니라 샤프트에 마찰 결합되는 스냅 링 또는 C-클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의 사시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형태의 마찰 힌지는 힌지형 도어(70)가 임의의 자세 또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끼임 지점을 제거하는 세찬닫힘 방지 특징을 제공하고, 격실(30)에 대한 접근을 위해서 또는 시트(20)를 격실(30) 내로 절첩하기 위해서 도어(70)를 그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접근이 완성되면, 도어(70)는 격실(30) 위에 놓이는 그 수평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시트(20)용 룸이 격실(30) 내로 절첩될 수 있도록, 도어(70)는 또한 피아노 또는 유사 힌지(64)에 의해 한쪽 에지를 따라서 제1 패널(72)에 부착되는 제2 패널(7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a 참조). 이는 도어를 개방 유지하기 위해 마찰이나 토크를 덜 요하는 도어(70)의 이동 암(arm)을 단축하며, 격실(30)에 대한 접근을 더 쉽게 해줄 수 있는 보다 짧은 도어를 제공한다. 이 제2 패널(74)은 도어(70)를 이것이 격실(30) 위에 놓일 때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래치 기구(90)(도 3 참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90)는 Concordville, Pa 소재의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사(Southco, Inc.)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슬램 특징을 갖는 매입형 당김 래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의 사시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래치(90)는 그 상부가 도어의 상면과 동일 평면이도록 도어(70) 내의 개구에 끼워지고, 도어(70)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기 계적으로 부착된다. 래치(90)는 스프링 로딩된 폴(pawl)(94)과 결합하는 핸들(92)을 구비한다(도 3a 및 도 6 참조). 폴(94)은 도어(70)를 폐쇄 위치에 래칭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스 프레임(12)의 에지에서 키퍼 특징부(도시되지 않음)와 결합하도록 스프링 로딩된다. 핸들(92)을 이동시키면, 스프링 로딩된 폴(94)은 키퍼로부터 결합해제되어 도어(70)를 개방 힌지시킬 수 있다. 래치(90)는 또한 격실을 로크시키거나 또는 개방될 때 격실 내에 조명을 제공하고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경우 표시될 감지/경고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에 결합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70)에 대한 대체 래칭 시스템의 분해도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래치 시스템은 스프링 로딩된 폴(94)을 결합해제하기 위해 가요성 당김 스트랩(100)(도 5 참조)과 결합하는 래치 핸들(92)의 승강에 의존할 수 있지만, 도 10 및 도 16에 도시된 대체 래칭 시스템은 도어(70)의 양면에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어(70)의 양면을 래치시킴으로써, 스페이스 프레임(12)에 대한 도어(70)의 보다 확실한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오프 로드(off load)"에서 주행될 수 있는 차량에서 또한 범프가 단일 래치를 느슨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듯이, 이 래칭 시스템(200)은 T-핸들(292)이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는 하우징(290) 내의 리세스에 배치되는 T-핸들(292)을 구비할 수 있다. T-핸들(292)과 하우징(290)은 도어의 폭방향 중심에서 오프셋되어 있는 도어(70)내의 오목부 또는 구멍에 위치한다(도 16 참조). 하우징(290) 아래에서 도어의 후면에는 T-핸들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캠 기구(300)가 설치될 수 있다.
T-핸들(292)을 어느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트랩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단축될 수 있도록 캠 기구(300)의 중심을 통해서 에지에는 가요성 안전 해제 스트랩(100A)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12a 및 도 12b에 개략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도 12a에서의 도어의 각 측면에서의 폴 부재(294) 사이의 거리는 (도 12b에 도시하듯이) 캠(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줄어든다. 도 12c는 도어를 격실 내부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스트랩을 당김으로써 마찬가지로 폴 부재(294)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키고 도어(도시되지 않음)의 언래치를 초래하는 손과 같은 힘(화살표 F)의 작용을 도시한다. 캠 기구(300)를 T-핸들(292)의 베이스내 슬롯에 대해 유지하기 위해 도어(70)의 후면에는 인클로저(310)가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는 나사에 의해 도어를 통해서 하우징(29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요성 안전 스트랩(100A)의 각 단부는 하우징(320)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된 폴 부재(294)와 결합할 수 있다. 폴을 스페이스 프레임(12)의 에지와 결합시키기 위해 하우징 내부에는 스프링(296)이 폴 부재(294)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이 스프링은 폴 부재(294)를 스페이스 프레임과 결합시킴으로써 도어(70)를 양 단부에서 래치시키기 위해 스트랩(100A) 부재가 인장 상태에 있지 않을 때 폴 부재(294)를 신장 조건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폴 부재는 나사를 통해서 도어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13a 내지 도 13c 참조), T-핸들(292a)은 하우징(290a) 내에서 수평으로 보관될 수 있으며(도 13c 및 도 16 참조), 스트랩(100A)을 단축시키고 폴 부재(294)를 후퇴시키기 위해 측방으로 회전(도 13b, 화살표 D') 되기 전에 접근을 위해 상방 회전(도 13a, 화살표 D)될 수 있다. 이후, 안전 스트랩(100A)의 탄성 속성은 T-핸들을 하우징(290a) 내에 다시 보관(도 13c, 화살표 D")될 수 있도록 그 본래 형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아이템이 떨어져 내릴 갭이 없이 깔끔하게 보이는 동일평면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제3 패널(76)(도 1 참조)은 피아노 또는 유사 힌지(66)에 의해 다시 하나의 에지를 따라서 제2 패널(74)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3 패널(76)은 시트(20) 아래의 공간을 폐쇄하며, 공간을 덜 차지하고 격실(30)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널(74)의 후면에 대해 Z-형 배치로 절첩되도록 패널(74)의 반대 방향으로 힌지결합된다.
이 힌지결합 과정이 도 4a 내지 도 4d에 부분적으로 순차 도시된다. 도 4a는 비절첩 래칭 위치에서 차량 플로어(40)와 동일 평면으로 위치하는 도어(70)를 도시한다. 언래칭 및 리프팅되면(도 4b), 패널(76, 74)은 피아노 힌지(64, 66) 주위로 회전하기 시작한다(도 4c 참조). 래치에 대한 상방 힘이 증가함에 따라, 도어(72)는 패널들이 상호 절첩될 때 역 Z형상을 닮기 시작한다. 도 4d는 패널(74, 76)이 패널(72)에 대해 편평하게 접히고 격실(30)에 대해 완전 접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거의 완전히 직립 위치에 있는 도어(70)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의 도어(70)는 상승 및 하강을 보조하도록 모터 구동될 수 있으며 끼임방지 경고 및 토크 모니터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발명의 명칭이 "차량 플로어 시스템용 힌지 장치"이며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그 전체가 본원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출원 제10/661,803호 및 미국 특허 제6,719,363호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는 다른 힌지 설계가 도어 패널(72, 74, 76)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힌지는 도어의 다중 힌지결합 이후 카펫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힌지 라인을 가로질러 연속적인 카펫팅 층을 갖는 옵션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프링 힌지(162)가 사용될 수 있다. 도어의 예상치 못한 세찬 닫힘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마찰 힌지 또는 토크 엔진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스프링 힌지(도 7a 참조)는 도어를 그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스프링 힌지(162)는 공통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대향하는 제1 힌지 리브(leave)(164) 및 제2 힌지 리브(166)를 포함할 수 있다. 권선된 비틀림 스프링(168)은 스프링 강선 등과 같은 탄성 특징을 갖는 스프링 부재를 여러번 감아서 형성될 수 있고 부착 핀(170)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스프링의 단부는 이후 도어(70)에 부착될 때 그 개방을 보조하도록 리브를 이격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기 위해 리브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도 16 참조).
도 1에 도시된 세 개의 세그먼트 힌지결합된 도어(70)는 대안적으로, 개방될 때 격실의 개방 공간의 적은 부분(1/4)만을 차지하도록 상호 절첩되도록 세 개의 힌지를 구비하는 네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서, 도 2의 격실(30)은 길이가 약 28인치일 수 있다. 도어가 접힌 구조에 있을 때 격실에 대해 접근하도록 보다 큰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서, 그 각각이 전후 차량 치수로 약 7인치인 네 개의 도어(72a, 72b, 74a, 76)(도 16 참조)가 상호 힌지결합된 후 전방 쿠션(24A)의 후면 근처에 놓이도록 튀겨 올라갈 수 있다(도 2 참조).
도 1에 도시하듯이 도어(72)의 길이가 약 17인치이고 도어(74)의 길이가 약 7인치인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72, 74)는 개방시에 세찬 닫힘이 감소되도록 보다 균일하게 절첩되고 보다 낮은 중력 중심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각각 약 12인치로 동일할 수 있다.
도어(70)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바람직하게, 아름답게 보이는 차량 내부를 제공하기 위해 주변 패널과 조화되도록 장식될 수 있다. 도 1은 카펫부착된 도어(70)의 패널(72)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질인 도어에 대해서는 페인팅, 착색, 카펫, 직물, 비닐, 우레탄 또는 유사 커버링의 접착 도포, 및 몰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표면 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단일 작업으로 장식된 도어를 제공하기 위해 RIM 몰드의 공동에 카펫이 겉을 아래로 하여 로딩되고 카펫의 뒤에는 SRIM 또는 RRIM 전구체가 슈팅된다. 일부 "오프 로드" 차량에 대해서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표면을 쉽게 세척가능한 재료로 제작하거나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의 도어 패널(72, 74)은 당업계에 공지된 보강(RRIM) 또는 구조적(SRIM) RIM과 같은 매체 밀도 충진된 반동 사출 성형된(RIM: reaction injection molded) 우레탄 폴리머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우레탄 RIM 화합물의 사용은, 차량 내에서 화물 체적을 거의 차지하지 않는 낮은 프로파일의 얇은 도어를 도출하는 우수한 강도[길고 짧은 유리 섬유, 활석, 규회석, 나노-필러(nano-filler), 클레이 등의 사용으로 인함]의 저중량(저밀도)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예에서 도어 패널은 베이어 그룹(Bayer Group)의 Baydur 426 IMR을 사용하여 SRIM으로 성형되었다. 이 패널은 약 50%의 유리 함량과 약 1.6의 비중을 갖는 경화 패널을 생산하기 위해 Baydur가 포화된 2 oz/ft2의 연속 스트랜드 유리 매트를 여덟 층 구비하였다. 패널의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은 150만psi를 초과하였다. 패널은 0.250인치의 공칭 두께로 성형되었다. 패널의 하중 테스트에 의하면 패널은 2.25인치 반경을 갖는 시험용 발로부터의 약 250파운드의 하중(무릎 하중을 시뮬레이팅)이 0.33인치 미만의 편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72, 74)은 SRIM을 포함하지만 패널(76)은 강성을 위해 PC/ABS로 사출 성형되어 후면에 리브형성된다(도 3a 및 도 5 참조).
대안적으로, 보다 가볍고 보다 강성인 도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보강재로서 유리 섬유를 더 구비할 수 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도 1의 도어(72, 74)를 형성하기 위해 사출성형되거나 사출 압축성형될 수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서, 도어(72, 74)는 긴 유리 섬유[엘엔피 코오포레이션(LNP Corporation)사로부터의 Verton MTX]가 30% 충진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되었다. 10-12mm의 긴 유리 섬유를 50%까지 로딩한 결과 전술한 테스트 방법에 의하면 편향이 절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원에서 긴 유리 섬유는 약 4.0mm를 초과하는 길이를 갖는 섬유로서 이해된다.
도어(72, 7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펫으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폴리머가 충진된 긴 섬유를 카펫의 후면에 직접 몰딩하거나 카펫을 몰딩된 도어에 접착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70)는 약 0.056인치 두께의 스틸 베이스(380, 380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도어는 또한 베이스 패널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약 0.400인치 높이의 장방형 전도부(돌출부 또는 오목부)(384)를 구비할 수 있다. 전도부에 합치하도록 그 후면에 구성되고 도어에 대한 편평 상면을 제공하는 비충진 열가소성 시트(386, 386a)가 성형될 수 있다. 열가소성 몰딩(386, 386a)은 바람직하게 ABS 또는 PP일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도어(370)를 형성하기 위해 스틸 베이스(380, 380a)에 가열 고정되거나, 접착 부착되거나,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완성된 도어(370)를 형성하기 위해 열가소성 몰딩(386, 386a)의 노출된 표면에 카펫(390, 390a)이 접착될 수 있다.
도어의 베이스에 대해 스틸 스탬핑이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는, 도어 섹션(380, 380a)을 연결하는 피아노 힌지(264, 266)(도 11 참조)가 스틸 도어 섹션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된 후 도어 섹션(380, 380a)에 용접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어(70)의 패널(76)에 관하여, 이는 시트(20)가 격실(30) 내로 피봇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보다 짧은 패널이다. 피봇팅 시트 기구가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갭 은폐물 또는 슬라이딩 도어 조립체(5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도 9는 본체(52)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두 개의 도어(54, 56)를 구 비하는 슬라이딩 도어 갭 은폐물 조립체(50)의 사시도이다. 도 9에는, 하나의 도어(54)가, 로드 플로어(10) 근처로 직립 피봇되는 시트에 의해 남겨진 갭을 커버하도록 신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도어(56)는 대향 시트가 로드 플로어 시스템(10) 아래의 격실 내로 절첩될 때 후퇴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또한 패널(76) 아래에 있을 것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도어는 화살표 A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시트의 피봇팅이 본체(52) 내외로의 슬라이드 도어(54, 56)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도어(54, 56)는 텅(tongue) 특징부(156)에 의해 시트 피봇팅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도 9a는 슬라이드가능한 도어 조립체 갭 은폐물(50)의 후면도이다. 조립체는 본체(52)와 뒷판(58) 사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54, 56)를 구비한다.
이들 부품의 전부는 PC/ABS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뒷판(58)은 본체(52)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본체(52) 또는 뒷판(58) 내의 결합 특징부에 다이 로크되는 일련의 성형된 스냅 탭(160)에 의해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 뒷판은 또한, 슬라이딩 도어 갭 은폐물 조립체(50)를 스페이스 프레임(12)에 확실히 조립하기 위해(도 1 참조) 플라스틱 성형 외부 프레임(14) 내의 슬롯과 인터페이스 결합되는 일련의 돌출부 또는 포스트(150')를 구비한다.
갭 은폐물 조립체(50)를 스페이스 프레임(12)에 더 확실히 결합시키기 위해 다른 돌출부 또는 포스트가 보강 브래킷(16) 내의 슬롯(170)과 결합한다. 돌출부는 조립체(50)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U형 스프링 패스너(fastener)(152)(도 9)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b는 시트 피봇팅 기구와 인터페이스 결합되는 텅-형상 부착 특징부(156)를 도시하는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54)의 사시도이다. 도어(54, 56)가 본체(52)와 뒷판(58) 사이의 공간을 자유롭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뒷판(58)과 결합하는 도어 스톱(158, 158') 또한 도시되어 있다. J형 또는 L형 특징부(158, 158')가 간섭을 제거하고 도어(54, 56)를 본체(52)와 뒷판(58) 사이에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휘어져야만 하도록 J형 또는 L형 특징부(158, 158') 사이의 거리는 뒷판(58)의 폭보다 크다. 도 9b에 도시하듯이, J형 또는 L형 특징부(158, 158')의 후면은 휘어질 수 있도록 타원형 개구 또는 슬롯(170)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의 다른 특징은 누군가가 격실(30)내에 갇히는 경우에 래치(9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안전 스트랩(100)이다. 이 특징은 도 3a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2004년 5월 21일자 및 2004년 12월 23일자로 각각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격실용 안전 해제 스트랩"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573,494호 및 제60/638,580호의 요지이며, 이들 가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그 전체가 본원에 원용된다. 스트랩(100)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랩 내의 구멍에 결합되는 핀에 의해 일단부에서 래치(90)에 부착되며, 대향 단부(102)는 도어(74)의 힌지판(64)과 결합하는 후크 특징부를 바람직하게 구비한다. 양 단부에서 연결되는 스트랩(100)은 래치(90)의 폴(94)을 그 키퍼로부터 결합해제시키기 위해 스트랩을 당김으로써 매우 낮은 힘이 가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트 랩(100)은 "어둠속에서 빛나는" 형광성 또는 발광성 안료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화합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4는 스트랩(100)이 핀(98)을 통해서 폴 부재(94)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도 6의 래치의 하면의 사시도이다. 이 래치(90)는 도 14a에 단면 도시되어 있는 바, 도 14a는 핀(98)이 스트랩(100)의 단부에 있는 슬롯에 끼워져서 커버(24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커버(242)는 나사에 의해 하우징(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관련 실시예에서는, 형성되는 하우징(90)의 후면에 "도그 하우스"(242a)를 직접 몰딩함으로써 래치 커버(242)가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커버(242)(도 14에 도시)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준다. 도 15에 도시하듯이 폴(94)의 핀 부분(98a)에 대한 스트랩(100)의 용이한 부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측 부분(243)이 휘어질 수 있고 스트랩이 쉽게 삽입될 수 있거나 느슨해지면 다시 삽입될 수 있도록 도그하우스(242a)를 약화시키기 위해 "도그하우스"(242a)에는 상측 부분(243)의 각 측부에 슬롯(244)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커버(242)를 "도그하우스"(242a)로 교체한 상태에서의 스트랩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다. 스트랩(100)의 단부를 핀(98a) 위로(도 15a에 도시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밀어내면 "도그하우스"(243)의 중심부가 상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도 15b). 화살표 E 방향으로의 스트랩(100)의 추가 이동은 스트랩 내의 구멍이 핀(98a) 위에 끼워질 수 있게 한다(도 13c). 핀(98a)은 추가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진입 스트랩(100)(도 15a 참조)을 향하는 표면에 경사 또는 테이퍼(99)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드 플로어 시스템(10)의 또 다른 추가 특징부는, 윙윙거림, 삐 걱거림 및 덜컹거림을 감소하기 위해 도어(70)를 스페이스 프레임(12)에 대해 쿠션완화시키는 연질 플라스틱 또는 고무 실 또는 버튼이다. 도 3a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어 패널(72, 74)의 수하(downstanding) 에지에 각각 부착되는 바람직하게 압출된 고무 프로파일 개스킷(82, 84)을 도시한다. 패널(76)의 경우에, 도어의 후면이나 스페이스 프레임(12)의 인접 결합면에는 연질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고리(grommet)나 버튼(86)이 설치될 수 있다(도 4b 참조).
도 8에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10A)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통, 인클로저 또는 격실(30A)은 스페이스 프레임 외부(14)에 부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그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는 차량에 쉽게 설치될 수 있고 다른 차량 표면에 대한 결합을 제거하여, 공차 문제를 줄이고 갭과 비평탄한 외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모듈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의 플로어는 약간 다른 형상일 수 있으며, "유틸리티 밴(utility van)"으로의 전환 목적을 위해서는 시트 및 모듈형 플로어 조립체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 제2 실시예 시스템(10A)의 구조는, 상측 부분이 시스템(10A)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는 스페이스 프레임(12A)을 구비하고, 스페이스 프레임이 플라스틱 외부 몰딩(14A)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도어(70A)가 스페이스 프레임(12A)에 힌지결합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상당히 유사하다.
도어(70A)는 격실(30A) 내의 절첩가능한 시트에 대한 접근 또는 수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일련의 힌지결합된 패널(72A, 74A, 76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도어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하중 지지 능력 및 에지를 따른 힌지 부착을 제공하기 위해서 스페이스 프레임(12A)에는 제조시에 브래킷(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보강재가 부착되거나 삽입-성형될 수 있다.
격실(30A)이 따로 성형되어 차량에 대한 조립 이전에 스페이스 프레임(12A)에 부착될 수 있지만, 스페이스 프레임(12A)과 인클로저(30A)는 단일 유닛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힌지형 도어(70), 래치(90A) 및 힌지(62A, 64A, 66A)가 도어 실, 범퍼 등과 함께 부착될 수 있다.
스페이스 프레임(12A)과 격실(30A)의 통합 성형을 제공하기 위해서, 몰딩은 중량 특성에 대한 최선의 강도를 위해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및 핸드 레이업(hand-lay-up)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공정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저밀도 고강도의 얇은벽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동 사출 성형(RIM)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충진재 및 보강재를 구비하는 SRIM 또는 RRIM 방법은 요망되는 고강도 및 저중량을 제공한다. 프레임(12A) 및 격실(30A)을 포함하는 모듈은 단일 성형 단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보강재가 적소에 삽입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A)과 격실(30A)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성형하고 이후 나머지 하나를 제1 몰딩에 대해 성형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 프레임(12)이나 격실(30A)(도 8 참조)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는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차량 플로어의 일부이거나 또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10A)의 일체형 부분으로 서 성형되거나 간에 인클로저 또는 격실(30, 30A)은 차량 소유자를 놀라게 하고 기쁘게 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격실(30, 30A) 및 도어(70, 70A)의 내표면은 카펫이나 기타 매력적이고 세척하기 쉬운 재료로 장식될 수 있다. 도어는 개방될 때 식료품 백을 걸기 위한 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 격실은 그 공간의 정리를 돕기 위해 후크, 하역망, 및 재구성가능한 패널 또는 용기를 구비할 수 있다. 격실은 스페어 타이어, 랩톱 컴퓨터, 전자 기기 등을 보관하도록 설정 및 맞춤될 수 있다. 또한, 격실은 도킹 스테이션, 조명등, 콘센트, 스피커와 같은 전자 부재를 수용할 수 있거나, 심지어는 식품과 음료수를 보관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어(70, 70A) 및 격실(30, 30A)은 사운드 감소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감소 재료"란 용어는 따라서 사운드를 흡수, 감쇠, 격리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서 정의된다. 이는 도어 및/또는 통에 도포되는 발포재, 매스백(massback)과 같은 고충진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Maratex®, 재생모직물(shoddy),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2성분 섬유 및 그 조합과 같은 섬유상 재료의 층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로드 플로어 시스템(10, 10A)은 상면(도어, 스페이스 프레임)이 로드 플로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장식적이고 튼튼한 보관 격실을 픽업 베드에 제공하기 위해 픽업 트럭 등에서의 용도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은 SUV, 미니밴, 트럭, 버스 또는 기타 운송 차량의 측벽을 따라서 보관부를 제공하기 위해 수직 구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쉽게 설치되고 접근될 수 있는 매력적이고, 튼튼한 모듈형 보관 능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이러한 도어 구조물, 즉 RRIM, 긴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스틸 스탬핑에 부착된 열가소성 몰딩은 운송 차량 내부의 임의의 격실에 대한 덮개 또는 커버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 프레임 부분에 힌지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이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들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이 나타내는 바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7)

  1. 하나 이상의 시트에 인접하고, 차량의 플로어 내의 리세스를 커버하기 위한 로드 플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로드 플로어 시스템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전면과 후면을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으로서, 상기 성형 플라스틱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및
    각각이 하나 이상의 에지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로서, 상기 리세스를 커버하는 하중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스 프레임을 폐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기 리세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피봇되고,
    상기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상기 플로어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래치를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 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매입형 당김 래치인 로드 플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마찰 힌지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힌지는 상기 도어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토크 모니터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차량 플로어의 인접 부위와 조화되도록 장식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카펫, 천, 직물, 가죽,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층을 가지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세척가능한 표면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제작 중에 적소에 성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를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서 연장됨으로써 지지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상기 차량 플로어 내의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격실을 폐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절첩가능한 시트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스페어 타이어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전자 기기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내표면과 외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표면은 카펫으로 덮이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물품 동요를 방지하기 위해 래칭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과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사운드 감소 재료의 층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덜컹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플라스틱 실(seal) 및/또는 범퍼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과 상기 래치에는 안전 해제 스트랩이 직접 또는 간접 부착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0.33인치 미만의 편차를 갖는 3인치 면적에 걸쳐서 250파운드를 지지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PC/ABS로 사출 성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상기 플라스틱 성형된 스페이스 프레임에 가열-고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은 SRIM 또는 RRIM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전자 기기용 도킹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조명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를 검출 및 표시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발 받침대로서 구성될 수 있는 로 드 플로어 시스템.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와 상기 리세스는 사운드 감소 재료의 층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갭 은폐물을 더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3. 차량내 리세스를 커버하기 위한 보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전면과 후면을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으로서, 상기 성형 플라스틱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및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리세스를 커버하는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스 프레임을 폐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기 리세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스페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피봇되며,
    상기 차량은 측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관 시스템은 상기 측벽을 따라서 보관을 제공하기 위해 거의 수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시스템.
  34. 플로어와 측벽을 갖는 차량 내에 커버되는 보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로드 플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전면과 후면을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으로서, 상기 성형 플라스틱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며, 거의 편평한 하중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스 프레임을 폐쇄하고 상기 리세스를 커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내의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며,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피봇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 및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장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또한, 상기 측벽을 따라서 보관을 제공하기 위해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래치를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매입형 당김 래치인 로드 플로어 시스템.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마찰 힌지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힌지는 상기 도어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토크 모니터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차량 플로어의 인접 부위와 조화되도록 장식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카펫, 천, 직물, 가죽, 플라스 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층을 가지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세척가능한 표면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제작 중에 적소에 성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를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서 연장됨으로써 지지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절첩가능한 시트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4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스페어 타이어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전자 기기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내표면과 외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표면은 카펫으로 덮이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2.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시트 동요를 방지하기 위해 래칭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사운드 감소 재료의 층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4.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덜컹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실 및/또는 범퍼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과 상기 래치에는 안전 해제 스트랩이 직접 또는 간접 부착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0.33인치 미만의 편차를 갖는 3인치 면적에 걸쳐서 250파운드를 지지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PC/ABS로 사출 성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상기 플라스틱 성형된 스페이스 프레임에 가열-고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5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삽입 성형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성형된 스페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은 SRIM 또는 RRIM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플라스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SRIM 또는 RRIM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전자 기기용 도킹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4.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조명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를 검출 및 표시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발 받침대로서 구성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사운드 감소 재료의 층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8. 제34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갭 은폐물을 더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6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하역망용 후크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재구성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상면과 하면을 더 구비하며, 물품 고정을 위해 상기 하면에는 후크가 부착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2. 차량 내에 커버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로드 플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전면과 후면을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으로서, 상기 성형 플라스틱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며, 하중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스 프레임을 폐쇄하고 상기 리세스를 커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내의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며,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피봇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 및
    상기 플라스틱 성형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격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플로어 시스템은 또한, 상기 측벽을 따라서 보관을 제공하기 위해 거의 수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래치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매입형 당김 래치인 로드 플로어 시스템.
  77.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마찰 힌지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힌지는 상기 도어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79.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토크 모니터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1.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차량 플로어의 인접 부위와 조화되도록 장식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카펫, 천, 직물, 가죽,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층을 가지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세척가능한 표면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4.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제작 중에 적소에 성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를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서 연장됨으로써 지지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6.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절첩가능한 시트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7.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스페어 타이어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8.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전자 기기를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89.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내표면과 외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표면은 카펫으로 덮이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카펫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의 제작 중에 적소에 성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1.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시트 동요를 방지하기 위해 래칭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2.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사운드 감소 재료의 층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덜컹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실 및/또는 범퍼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4.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과 상기 래치에는 안전 해제 스트랩이 직접 또는 간접 부착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0.33인치 미만의 편차를 갖는 3인치 면적에 걸쳐서 250파운드를 지지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6.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PC/ABS로 사출 성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7.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상기 플라스틱 성형된 스페이스 프레임에 가열-고정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8.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구조물은 삽입 성형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성형된 스페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99.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은 SRIM 또는 RRIM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0.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SRIM 또는 RRIM을 포함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2.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전자 기기용 도킹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조명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를 검출 및 표시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발 받침대로서 구성될 수 있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6.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사운드 감소 재료의 층을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7. 제7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갭 은폐물을 더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8.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하역망용 후크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09.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격실은 재구성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10.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상면과 하면을 더 구비하며, 물품 고정을 위해 상기 하면에는 후크가 부착되는 로드 플로어 시스템.
  111. 부품들 사이의 갭을 은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을 갖는 본체;
    네 개의 측면을 가지며, 두 측면에는 그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수하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수하 플랜지에 의해 상기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뒷판;
    상기 뒷판과 상기 본체 사이의 상기 공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로서, 수하 플랜지를 갖지 않는 베이스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통해서 장착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를 기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갭 은폐 장치.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은 스냅 탭에 의해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는 갭 은폐 장치.
  113.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뒷판, 및 하나 이상의 도어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갭 은폐 장치.
  114. 차량 내의 리세스를 커버하기 위한 보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각각이 하나 이상의 에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리세스를 커버하기 위해 프레임을 폐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어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피봇될 때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리세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고;
    상기 시스템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시스템.
  115.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시스템.
  116.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는 매입형 당김 래치인 보관 시스템.
  117.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힌지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보관 시스템.
  118.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차량 플로어의 인접 부위와 조화되도록 장식되는 보관 시스템.
  119.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카펫, 천, 직물, 가죽,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층을 가지는 보관 시스템.
  120.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의 제작 중에 적소에 성형되는 보관 시스템.
  121.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 내의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격실을 폐쇄하는 보관 시스템.
  122.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치에는 안전 해제 스트랩이 직접 또는 간접 부착되는 보관 시스템.
  123.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충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보관 시스템.
  124. 제12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보관 시스템.
  125.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길이가 약 4.0mm보다 큰 보관 시스템.
  126.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성형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트로 커버되는 판금 스탬핑을 포함하는 보관 시스템.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카펫, 천, 직물, 가죽,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층을 구비하는 보관 시스템.
  128.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차량 내의 오목한 격실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각각이 하나 이상의 에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지 중 하나를 따라서 상기 격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격실을 폐쇄하여 커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어가 상기 격실로부터 멀리 피봇될 때 상기 격실 내의 접근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상기 격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절첩될 수 있는 함께 힌지결합되는 둘 이상의 패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29.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은 충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덮개.
  130.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덮개.
  131.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길이가 약 4.0mm보다 큰 덮개.
  132.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은 성형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트로 커버되는 판금 스탬핑을 포함하는 덮개.
  133.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은 카펫, 천, 직물, 가죽,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층을 구비하는 덮개.
  134. 제1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은 카펫, 천, 직물, 가죽,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층을 구비하는 덮개.
  135. 제132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 스탬핑은 일체 형성된 스프링 리브를 구비하는 덮개.
  136.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스트랩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매입형 당김 래치를 구비하는 덮개.
  137. 제136항에 있어서, T-핸들과 캠 장치가 상기 스트랩과 결합하고, 상기 T-핸들을 돌리면 상기 캠 장치가 상기 스트랩을 비틀어서 상기 래치를 결합해제시키는 덮개.
KR1020077005767A 2004-08-13 2005-08-15 차량 보관 관리 시스템 KR200700618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168604P 2004-08-13 2004-08-13
US60/601,686 2004-08-13
US67300505P 2005-04-20 2005-04-20
US60/673,005 2005-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816A true KR20070061816A (ko) 2007-06-14

Family

ID=3590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767A KR20070061816A (ko) 2004-08-13 2005-08-15 차량 보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89285A4 (ko)
JP (1) JP2008509835A (ko)
KR (1) KR20070061816A (ko)
WO (1) WO20060209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3008U1 (de) * 2012-03-26 2013-06-27 Zim Flugsitz Gmbh Fluggastsitz
US9016749B2 (en) 2013-09-24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lapsible rear seat storage assembly
US20160221485A1 (en) * 2013-10-18 2016-08-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inforcement for vehicle seat structures and components
CN111976844B (zh) * 2020-08-20 2022-07-01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车身地板总成、中排座椅安装结构及车辆
EP4011708A1 (en) * 2020-12-10 2022-06-15 Volvo Truck Corporation Motor vehicle with a box for electronic components extending below the floor of the cabi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4709B2 (en) * 2001-09-24 2003-11-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justable carg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9285A2 (en) 2007-05-30
JP2008509835A (ja) 2008-04-03
WO2006020974A2 (en) 2006-02-23
EP1789285A4 (en) 2008-10-01
WO2006020974A3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421B2 (en) Rear vehicle storage system
EP1121273B1 (en) Vehicle cargo compartment liner
US6106044A (en) Structural member for creating an accessible underseat storage enclosure
US11745665B2 (en) Automotive vehicle through body storage with combination door and step
US5626380A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luggage compartment
US8567846B1 (en) Vehicle having utility bed including seat
US20140326764A1 (en) Collapsible Automotive Storage Container
US20040105744A1 (en) Moveable load floor convenience center in automotive applications
US8752879B1 (en) Vehicle with pivoting seat back and stopper member
US20060255611A1 (en) Load floor system
US20140210234A1 (en) Vehicle including net structure
US20080145172A1 (en) Vehicle cargo retainer
GB2423065A (en) Vehicle rear storage system
US10889250B2 (en) Expandable cargo box assembly for a pickup truck
US20110062742A1 (en) Vehicle floor mat with folding portion
US20070187969A1 (en) Cargo Storage Compartment and Access Thereto
KR20070061816A (ko) 차량 보관 관리 시스템
US20220388578A1 (en) Split tailgate storage and accessory system
US7052069B2 (en)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door
US11479180B2 (en) Expandable cargo box assembly for a pickup truck
US11951949B2 (en) Collapsible cargo organizer
US20140217797A1 (en) Vehicle with pivoting seat back and latch assembly
US20100301626A1 (en) Cargo cage for an automobile
JPH1016647A (ja) Rv車のラゲージフロア構造
JP3100020B2 (ja) 乗り物用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