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622A -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622A
KR20070061622A KR1020050121241A KR20050121241A KR20070061622A KR 20070061622 A KR20070061622 A KR 20070061622A KR 1020050121241 A KR1020050121241 A KR 1020050121241A KR 20050121241 A KR20050121241 A KR 20050121241A KR 20070061622 A KR20070061622 A KR 2007006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voice
unit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869B1 (ko
Inventor
정우석
김도영
정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8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1Analogue/digital/analogu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 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무선 접속 장치는 소정 전송속도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정합부;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인지 음성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다중화/역다중화부;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이면, 무선신호를 유선망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호처리부; 무선신호가 음성 데이터 신호이면, 음성 데이터를 표준에 따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코덱부; 호처리부 또는 음성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생성된 패킷을 유선망에 전송하는 유선망 정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 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Wired/wireless connection device, wireless matching device and telephone device for VoIP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PSTN망과 IP망이 상호 연동하는 망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IP망을 통해 무선 VoIP 서비스를 위한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유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화 단말기(23)에 대한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지그비 MAC 계층에서 VoIP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킷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접속 장치(21)와 무선 단말기(23)간 호설정 및 음성통화과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이.오.아이.피.(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 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지그비(ZigBee)를 이용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 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VoIP는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여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설비들을 위한 IP 전화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VoIP는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인 PSTN 처럼 회선에 근거한 전통적인 프로토콜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들 내에 디지털 형태로 음성정보를 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VoIP와 인터넷 전화기술의 주요 장점은 기존 IP 네트웍을 그대로 활용해 전화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 사용자들이 시내전화 요금만으로 인터넷, 인트라넷 환경에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VoIP는 공중 인터넷 또는 기업 내부의 인트라넷상에서 IP를 이용해 음성과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인 ITU-T H.323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VoIP 포럼을 통해 만들어졌다. VoIP 포럼은 또한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을 장려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고, 자동 전화분배와 음성메일을 위한 터치폰 신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VoIP를 유무선 구간에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고전송 대역폭을 지원하는 무선 구간에 대한 정합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전송 대역폭 무선 구간으로부터 인입/출되는 데이터를 및 H.323과 같은 복잡한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프로세서 및 관련 고전송 대역폭을 갖는 유무선 정합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고성능 프로세서 및 고전송 대역폭에 의해 VoIP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나 H.323과 같은 프로토콜을 하나의 단말에서 처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성능 프로세서 및 고전송 대역폭은 단순한 음성 서비스를 위해서는 불필요하고, 또한 필요 이상의 고전송 대역폭 제공에 따른 가격 상승 문제로 인해 종래의 PSTN용 900MHz 대의 유무선 전화기를 대체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그비와 같은 수백 Kbps 대의 저전송 대역폭을 가지는 무선 정합 기능을 이용하여 종래 PSTN용 유무선 전화기를 대체할 수 있는 VoIP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 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유무선 접속 장치는 소정 전송속도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정합부; 상기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인지 음성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다중화/역다중화부; 상기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이면, 상기 무선신호를 유선망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호처리부; 상기 무선신호가 음성 데이터 신호이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표준에 따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코덱부; 상기 호처리부 또는 음성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생성된 패킷을 상기 유선망에 전송하는 유선망 정합부를 포함함을 특징 으로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정합 장치는 소정 전송속도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음성신호 또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정합부; 입력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신호로 상기 무선 정합부에 출력하고,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입력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로 상기 무선 정합부에 출력하는 DTMF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전화 장치는 소정 전송속도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무선 정합 장치; 및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무선 정합 장치와 통신하고, 유선망과도 통신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PSTN망과 IP망이 상호 연동하는 망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PSTN망(12)에서 유선 전화기(11)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는 이종 망간 상호 연결 장치인 게이트웨이(13)를 통해 패킷망인 IP망(14)으로 송수신되고, 이 음성 데이터는 다시 유무선 브릿지(bridge, 15)를 통해 타겟 컴퓨터(16) 또는 타겟 휴대 단말기(17)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전화기(11, 17)를 통한 음성 서비스를 위해서는 통화 연결 및 해지를 위한 호 설정, 호 해지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호 설정, 해지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서 IP망(14)에서는 SIP 또는 H.323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 이들 통신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개방형 구조 7계층(OSI 7 Layer)중 5번째 층에 해당하는 세션(session)층에서 동작한다. 그러나 세션 층에서 해당 패킷을 확인하는 것은 시스템에 상당한 부담(overload)이 된다. 즉, 패킷 확인은 OSI 7계층중 1번째 층에서 패킷을 검사한 후 2번째 계층으로 전송하고, 이 과정을 반복하여 5번째 계층까지 패킷이 전송된 후 해당 패킷의 데이터인 페이로드(payload)를 검사하여 관련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 부담은 고성능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요구할 뿐 아니라 고전송 대역폭을 요구하게된다. 실제 100 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이더넷(ethernet)은, 2번째 계층인 MAC층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면 약 70 ~ 80 Mbps의 전송속도를 나타내지만, 4번째 계층인 TCP/IP층에서 송수신하면 약 12 ~ 13 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고성능 프로세서 및 고전송 대역폭에 대한 요구는 단말기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여 사용자에게 VoIP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전송 대역폭을 이용한 VoIP 서비스를 도입한다.
도 2는 IP망을 통해 무선 VoIP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VoIP 서비스 장치가 VoIP의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 처 리를 위한 유무선 정합 장치와 음성 신호를 디지털로 변경하여 저전송 대역폭 무선 정합을 가지는 무선 정합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무선 정합 장치는 저렴한 단말기 가격을 고려하여 저전송 대역폭을 가지는 무선 정합을 적용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비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지그비 이외에도 수 Mbps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가지는 모든 무선 정합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IP망(14)에 유무선 정합 장치로서 유무선 접속 장치(21)가 연결되고, 무선 정합 장치로서 무선 전화 단말기(23)는 유무선 접속 장치(21)에 연결된다. 유무선 접속 장치(21)와 무선 전화 단말기(23)의 연결은 저전송 대역폭의 통신구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무선 VoIP 서비스를 위해서는 유선구간과 무선구간 접속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AP 대신 유무선 접속 장치(21)를 도입한다. 유무선 접속 장치(21)로는 저전송 대역폭을 가지는 무선 정합 기술로서 지그비 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이 적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무선 접속 장치(21) 및 무선 전화 단말기(23)는 일반 900 MHz 유무선 전화기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무선랜을 이용하는 VoIP의 경우, AP와 단말기간에 호처리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채택된 SIP 또는 H.323의 부담을 덜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유무선 접속 장치(21)와 무선 전화 단말기(23) 간의 무선 통신 구간(22)에 지그비를 채택한다. 그러나 지그비는 대역폭이 수백 Kbps 정도로 제한된 대역을 제공하므로 SIP나 H.323을 제공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비의 MAC 계층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즉 무선 전화 단말기(23)에서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지그비 MAC 계층을 통해 유무선 접속 장치(21)로 전송한다. 유무선 접속 장치(21)는 수신한 데이터를 음성 코덱 변환 또는 호처리를 수행한 다음, IP망(14)을 통해 원하는 단말 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은 64 Kbps 정도이며, 핀 드롭(pin drop) 정도의 품질 서비스가 가능한 광대역 음성 코덱의 경우도 128 Kbps 또는 256 Kbps 이내로 충분하다. 즉, 지그비 MAC 계층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에 300 Kbps 이내의 대역폭으로 고품질의 음성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유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무선 정합부(31), 다중화/역다중화부(32), 호처리부(33), 음성코덱부(34), 패킷 생성부(35) 및 IP망 정합부(36)를 포함한다. 또한 유무선 접속 장치를 통해 직접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유선 전화 모듈(37)을 더 포함한다.
무선 정합부(31)는 지그비 RF 계층, 지그비 물리 계층 및 지그비 MAC 계층의 스택(stack)을 갖는 지그비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전화 단말기(23)와 통신한다.
다중화/역다중화부(32)는 무선 정합부(3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호처리 신호인지 음성 데이터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수신된 신호가 호처리 신호이면, 호처리부(33)는 수신된 지그비 MAC계층 데이터를 SIP 또는 H.323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 패킷 생성부(35)는 호처리부(33)에서 변환된 데이터에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헤더를 추가하여 호처리 패킷을 생성한다. IP망 정합 부(36)는 호처리 패킷을 IP망(14)로 전송한다.
한편, 다중화/역다중화부(32)에서 무선 정합부(3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음성 데이터로 판별되면, 음성 코덱부(34)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국제 표준에 맞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코덱부(34)는 국내 및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G.711, G.723 및 G.729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국내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음성 코덱인 TTAS-KO.01.0045의 "계층형 다중 비트율 광대역 음성코덱"을 부가적으로 지원한다. 음성 코덱부(34)는 또한 일반적인 음성 코덱 처리를 위한 업/다운 샘플링(UP/DOWN sampling), 전처리, VAD(Voice Activity Detection), PLC(Packet Loss Concealment), LEC(Line Echo Canceller)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는 LSP(Label Switched Path) 및 ISP(In System Programming), 피치 이득 조절 및 고정 코드북 검색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한다.
패킷 생성부(35)는 음성 코덱부(34)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헤더를 추가하여 음성 패킷을 생성한다. IP망 정합부(36)는 생성된 음성 패킷을 IP망(14)으로 전송한다.
한편, IP망(14)으로부터 수신된 패킷은 상술한 과정의 역과정을 거쳐 지그비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전화 단말기(23)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접속 장치(21)는 유선 전화 모듈(37)을 통해 유선전화 기능도 제공한다. 유선 전화 모듈(37)은 광대역 음성 필터(371), A/D 및 D/A 변환부(372),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부(373), CID부(374)를 포함한다.
유선 전화 모듈(37)은 광대역 음성 필터(371)에 연결되고 음성 입출력을 위 한 마이크(37-1) 및 스피커(37-2), DTMF부(373)에 연결되고 전화번호 등과 같은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37-2), CID부(374)에 연결되어 발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37-4)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광대역 음성 필터(37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인간의 음성 신호는 50Hz ~ 7000Hz 정도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화기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방식에 적합하도록 설계하기 위해 인간의 음성대역의 중간영역인 300Hz-300Hz의 음성 대역을 8비트 8KHz로 샘플링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음성 대역을 협대역이라 하며, 종래의 전화기는 협대역 음성만을 송수신한다. 협대역 음성은 저음 부분과 고음 부분을 전송하지않기 때문에 음성이 명료하지않거나 음성의 자연성이 떨어져서 고품질 서비스에는 부적절하다. 이러한 기존 전화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50Hz ~ 7000Hz의 음성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광대역 음성 필터를 채용한다. 그에 따라 광대역 음성 이외의 음성 대역은 백색 노이즈 처리됨으로써 고품질 음성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마이크(37-1)를 통해 입력되고 광대역 음성 필터(371)를 통과한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이다. A/D 및 D/A변환부(372)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코덱부(34)로 출력한다.
IP망 정합부(36)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처리되어 스피커(37-2)로 출력된다.
또한 유선 전화 모듈(37)을 통해 호를 설정하도록 키패드(37-3)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DTMF부(373)는 키패드(37-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변경한다. 호처리부(33) 및 패킷 생성부(35)는 해당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RTCP 패킷을 생성한 다음, IP망 정합부(36)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화 단말기(23)에 대한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무선 전화 단말기(23)는 지그비에 의한 저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가격 절감을 위하여 코덱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제공하지않고 인간의 음성을 디지털화하여 지그비 MAC 계층에서 송수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도시된 무선 전화 단말기(23)는 지그비 정합부(41), A/D 및 D/A변환부(42), DTMF부(43) 및 광대역 음성 필터(44)를 포함하고, 음성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45) 및 스피커(46) 그리고 전화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47)를 더 포함한다.
지그비 정합부(41)는 지그비 RF 계층, 지그비 물리 계층 및 지그비 MAC 계층을 포함하고, 유무선 접속 장치(21)의 무선 정합부(31)와 통신한다.
지그비 정합부(41)는 무선 정합부(31)로부터 지그비 RF 계층, 지그비 물리 계층 및 지그비 MAC 계층의 순으로 신호를 수신하면, A/D 및 D/A 변환부(42)는 수신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광대역 음성 필터(44)는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스피커(46)를 통해 음성을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45)를 통해 입력된 음성은 광대역 고품질 음성 서비스를 위해 광대역 음성 필터(44)를 통과하게 되고, A/D 및 D/A 변환부(4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지그비 정합부(41)로 출력된다. 지그비 정합부(41)에서는 지그비 MAC 계층, 지그비 물리 계층, 및 지그비 RF 계층 순으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키패드(47)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혹은 기타 정보는 DTMF부(43)에서 해당 전화번호 및 정보를 갖는 신호로 변환되어 지그비 정합부(41)를 통해 무선 정합부(31)로 전송된다.
도시된 무선 전화 단말기(23)는,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도 3에 도시된 유무선 접속 장치(21)에서 유선 전화 모듈(37)을 제외한 다른 기능블록들(31 내지 36)을 내장한다면,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와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도 5는 지그비 MAC 계층에서 VoIP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킷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그비 RF 계층에서 수신되고 추출된 데이터는 헤드 정보와 MAC 프로토콜 데이터를 포함한다. 헤드 정보는 프리앰블, 정상적인 프레임 내용이 시작됨을 알리는 프레임 동기 데이터인 SFD(Start of Frame Delimiter), 그리고 프레임 길이 필드를 포함한다. MAC 프로토콜 데이터는 프레임 제어, 일련번호(sequence number), 주소 필드, MAC 서비스 데이터 및 에러 검출을 위한 FCS(Frame Check Sequence)를 포함한다.
지그비 물리 계층은 지그비 RF 계층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서 헤드 정보를 분석하고 헤드 정보를 제거한 다음, MAC 프로토콜 데이터를 지그비 MAC 계층으로 전달한다.
지그비 MAC 계층은 수신한 MAC 프로토콜 데이터 중 MAC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VoIP 데이터의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MAC 서비스 데이터는 VoIP 제어 정보와 VoIP 데이터를 포함한다. VoIP 제어정보는 각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제 어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VoIP 제어정보값이 1이면 송신전화번호, 2는 호 설정중임을 나타내는 링백톤(ring back tone), 3은 통화중 톤(busy tone) 등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접속 장치(21)와 무선 단말기(23)간 호설정 및 음성통화과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무선전화 단말기(23)에서 통화버튼을 눌러서 후크오프(hook off)가 되면(61단계), 유무선 접속장치(21)에 통화음을 발생한다(62단계). 다음으로, 키패드(47)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무선전화 단말기(23)는 전화번호를 유무선 접속장치(21)에 송신한다(63단계). 유무선 접속장치(21)는 무선전화 단말기(23)에 연결음을 발생하고(64단계), IP망(14)과 통신하여 호를 설정한다(65단계). 호가 설정되면 음성통화를 진행하고(66단계), 음성통화가 종료되면 후크온(hook on) 신호를 유무선 접속장치(21)에 출력하고(67단계) 통화를 해제한다(68단계). 유무선 접속장치(21)는 IP망(14)에 호 해지 신호를 전송한다. IP망(14)과 유무선 접속장치(21)간의 호 설정, 통화진행 및 호 해지 등의 과정은 VoIP 프로토콜에 따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유무선 접속장치(21) 및 무선전화 단말기(23)간 통화설정은 일반적인 PSTN전화기에서 통화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새로운 통화설정 방법을 익힐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해 지그비 프로토콜을 도입함으로써 VoIP 서비스를 위한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고전송 대역폭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VoIP 음성 통화를 위한 장비의 가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에서는 가정에 존재하는 가전 제품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지그비 정합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추세이며, 본 실시예에서 채택된 무선 정합 장치는 홈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도 고품질의 VoIP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소정 전송속도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정합부;
    상기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인지 음성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다중화/역다중화부;
    상기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이면, 상기 무선신호를 유선망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호처리부;
    상기 무선신호가 음성 데이터 신호이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표준에 따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코덱부;
    상기 호처리부 또는 음성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생성된 패킷을 상기 유선망에 전송하는 유선망 정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합부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의 RF 계층;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헤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헤드 정보를 제거하는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의 물리계층; 및
    상기 헤드 정보가 제거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의 MAC 계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생성부는 상기 호처리부에서 변환된 신호에 RTCP 헤더를 추가하여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생성부는 상기 음성 코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RTP 헤더를 추가하여 패킷을 생성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망 정합부는
    VoIP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유선망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무선신호를 SIP 또는 H.323. 프로토콜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호처리 제어부에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코덱부에 출력하고, 상기 음성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유선 전화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 모듈은
    상기 음성신호의 잡음을 처리하는 광대역 음성 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
  9. 소정 전송속도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음성신호 또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정합부;
    입력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신호로 상기 무선 정합부에 출력하고,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입력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로 상기 무선 정합부에 출력하는 DTMF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정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광대역 음성 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정합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합부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의 RF 계층;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헤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헤드 정보를 제거하는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의 물리계층; 및
    상기 헤드 정보가 제거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의 MAC 계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 단말기.
  12. 소정 전송속도 이하의 저전송 대역폭을 갖는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무선 정합 장치; 및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무선 정합 장치와 통신하고, 유선망과도 통신하는 유무선 접속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접속 장치는
    상기 무선 정합 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정합부;
    상기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인지 음성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다중화/역다 중화부;
    상기 무선신호가 호설정 신호이면,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유선망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호처리부;
    상기 무선신호가 음성 데이터라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표준에 따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코덱부;
    상기 호처리부 또는 음성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및
    생성된 패킷을 상기 유선망에 전송하는 유선망 정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망 정합부는
    VoIP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유선망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합 장치는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음성신호 또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정합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정합부;
    입력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신호로 상기 무선 정합부에 출력하고,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 날로그/디지털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입력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로 상기 무선 정합부에 출력하는 DTMF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전화 장치.
KR1020050121241A 2005-12-10 2005-12-10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KR10073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41A KR100734869B1 (ko) 2005-12-10 2005-12-10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41A KR100734869B1 (ko) 2005-12-10 2005-12-10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622A true KR20070061622A (ko) 2007-06-14
KR100734869B1 KR100734869B1 (ko) 2007-07-03

Family

ID=3835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241A KR100734869B1 (ko) 2005-12-10 2005-12-10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8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7286A1 (en) * 2006-03-08 2008-12-03 McMaster University Adaptive voice packetization
KR101049408B1 (ko) * 2009-07-15 2011-07-19 (주)엔스퍼트 DECT 스위칭을 위한 VoIP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칭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866A (ko) * 2000-01-21 2001-08-11 강충구 초단거리 구내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이용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과 가정자동화 시스템 및 그이용방법
KR20010076549A (ko) * 2000-01-26 2001-08-16 송정준 가정용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무료전화 접속방법
KR100348599B1 (ko) * 2000-05-22 2002-08-13 (주)클립컴 무선 디지털 네트워크 기능을 내장한 인터넷 프로토콜상의 음성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KR20030071971A (ko) * 2002-03-05 2003-09-13 비티비엑세스코리아(주) 블루투스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와 피시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40045246A (ko) * 2002-11-25 2004-06-01 정찬익 휴대폰 중계기 기능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7286A1 (en) * 2006-03-08 2008-12-03 McMaster University Adaptive voice packetization
EP1997286B1 (en) * 2006-03-08 2011-07-27 McMASTER UNIVERSITY Adaptive voice packetization
US8451728B2 (en) 2006-03-08 2013-05-28 Mcmaster University Adaptive voice packetization
KR101049408B1 (ko) * 2009-07-15 2011-07-19 (주)엔스퍼트 DECT 스위칭을 위한 VoIP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칭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869B1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7399B1 (en) Hi-fidelity line card
KR100607140B1 (ko) 인터넷 전화기
US79786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packet payload size
US62980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ability transporting aural information across a network
CN100461849C (zh) 通信终端及用于控制通信终端的方法
US7680042B2 (en) Generic on-chip homing and resident, real-time bit exact tests
US7986644B2 (en) Multi-fidelity conferencing bridge
US20070033030A1 (en) Techniques for measurement, adaptation, and setup of an audio communication system
US8848694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high-quality voice network architecture
US7545802B2 (en) Use of rtp to negotiate codec encoding technique
KR100734869B1 (ko)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접속 장치, 무선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EP1748590B1 (en) Wideband-narrowband telecommunication
US7313233B2 (en) Tone clamping and replacement
Cisco Synopsis of Basic VoIP Concepts
Cisco Voice-over-IP Overview
Cisco Voice-over-IP Overview
CN101325622A (zh) 宽频语音传输方法、系统以及语音处理设备
EP1295444B1 (en) Method to reduce the distortion in a voice transmission over data networks
JP4391362B2 (ja) 画像通信装置
US69524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cho assess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1077947A (ja) 音声帯域信号制御方式
EP1414024A1 (en) Realistic comfort noise for voice calls over packet networks
RU2253188C1 (ru) Система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KR20040028327A (ko) 차세대망에서의 음성서비스 제공 방법
Church et al. 10 Telephone Network Interfac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