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621A - 광송수신기 모듈 - Google Patents

광송수신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621A
KR20070061621A KR1020050121240A KR20050121240A KR20070061621A KR 20070061621 A KR20070061621 A KR 20070061621A KR 1020050121240 A KR1020050121240 A KR 1020050121240A KR 20050121240 A KR20050121240 A KR 20050121240A KR 20070061621 A KR20070061621 A KR 20070061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receiving element
light receiving
circui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868B1 (ko
Inventor
박정우
고현성
백용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868B1/ko
Priority to US11/450,575 priority patent/US7373032B2/en
Publication of KR2007006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868B1/ko
Priority to US12/779,446 priority patent/USRE44375E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2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fluid, e.g. a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04B10/25891Transmission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6Monolithically integrated components, e.g. waveguides, monitoring photo-detectors,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에 쓰이는 광송수신기로서,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에 전기적 교화(crosstalk)가 억제되는 광송수신기(optical transceiver) 모듈을 제공한다. 그 광송수신기 모듈은 광송수신기( optical transceiver)에 있어서, 기판에 함께 집적되는 광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한 광송수신소자;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및 수광소자의 신호를 읽어내는 검출회로를 구비한 회로부; 및 기판 및 접지(ground)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의 전기적 교화(crosstalk)를 방지하는 교화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광송수신기(optical transceiver), 광원(optical source),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수광소자(photodetector), 교화(crosstalk), 단일기판 광송수신기(monolithic optical transceiver)

Description

광송수신기 모듈{Optical transceiver module}
도 1은 In-line타입으로 LD와 PD가 단일기판에 집적되는 광송수신소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송수신소자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모듈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송수신기 모듈을 회로 형태로 표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기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기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L1:광원.........................A1:흡수체
D1:수광소자.....................V2:기준 전원
C1,C2:컨트롤러 커패시터.........CT, CT1:교화 방지 커패시터
Tr1:교화 방지 트랜지스터 또는 광원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원
Tr2:광원 구동 트랜지스터........100,100a:회로부
122,132:정합(matching) 저항.....123,133:컨트롤러
124,134:컨트롤러 저항...........137:광원 구동기
138:전치 증폭기.................141:전원저항
200,200a:교화(crosstalk) 방지수단
220:교화 방지저항...............240:게이트 저항
본 발명은 광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통신에 가장 많이 쓰이는 부품인 광송수신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광송수신기를 구성하는 요소는 광원, 광원 드라이버, 수광소자, 광 필터, 전치증폭기(preamplifier) 등이 있다. 광송수신기는 이들 구성요소를 하이브리드 집적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광원, 광 필터, 수광소자를 단일기판에 구성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광원과 수광소자만을 단일기판에 구성하려는 시도도 많이 되어 왔다. 이렇게 부품들을 단일 집적할 경우, 패키지가 간단하여 패키지 비용이 줄어든다. 패키지 비용이 전체 부품가격의 절반이 넘는 광송수신기 모듈에 있어서는, 단일 집적 광소자들을 사용함으로써, 패키지 비용을 감소시키는 일은 필요하고도 중요한 일이다.
최근에 위와 같은 이유로 광원과 수광소자를 단일기판에 제작하려는 시도가 많이 되고 있다.
도 1은 In-line타입으로 LD와 PD가 단일기판에 집적되는 광송수신소자(optical transceiver)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송수신소자는 광원과 수광소자를 단일기판에 in-line형태로 집적한 소자이다. 여기서 L로 표시된 부분이 광원 부분으로 보통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LD)로 이루어진다. D로 표시된 부분은 수광소자 부분으로 보통 포토 디텍터(photo-detector:PD)이다. 한편, A 부분은 LD와 PD 사이에는 LD에서 나오는 빛이 PD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흡수체(absorptor)이다. LD, 흡수체 및 PD의 각 도파로 또는 활성층(1,2,3)은 기판 상에 동일 도파로 축을 가지고 형성되며, 입력광과 출력광은 그러한 도파로(1,2,3)를 통해 전달된다.
G로 표시된 회절 격자(diffraction grating)를 통해 피드백(feedback)이 이루어지고, 피드백은 이득을 공급하는 활성층(1)과 함께 DFB(Distributed FeedBack) LD가 되어 광원으로 쓰이며, 따라서 LD가 출력신호(S1)를 내보게 된다. 입력신호(S2)는 LD의 도파로(1)와 흡수체(A)의 도파로(2)에 대해 투명한(transparent) 파장을 쓰므로, 입력신호(S2)는 LD와 흡수체에서 흡수되지 않고 수광소자인 PD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출력신호(S1)의 파장은 1.3㎛이고 입력신호(S2)의 파장은 1.55㎛가 되며, LD의 활성층(1)과 흡수체의 활성층(2)은 밴드갭 파장(bandgap wavelength)이 1.3㎛이고 PD의 활성층(3)은 밴드갭 파장(bandgap wavelength)이 1.55㎛가 된다. 따라서, 입력신호(S2)는 LD의 활성층(1)과 흡수체의 활성층(2)을 통과하여 PD에 도달하지만, 출력신호(S1)는 도달하지 못한다. 이러한 광송수신소자에 대한 내용은 OFC98, p.350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단일기판 집적 광송수신소자의 단점은 전기적 교화(crosstalk)이다.
도 2는 도 1의 광송수신소자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모듈 구성도로서, 단일기 판 집적 광송수신소자에서 LD를 구동하고 PD로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내는 모듈 구성을 포함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6,148,015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LD를 구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LD에서 나오는 빛이 PD로 흡수되는 것을 막는 흡수체(A)에서 발생된 광전류를 읽어서 컨트롤러(16)로 보낸다. 컨트롤러(16)에서는 이 광전류를 적당한 물리량, 특히 전압(V1)과 비교하여, LD로 직류전류를 흘려 보낸다. 여기에서 컨트롤러(16)는 양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이다. 이때, 흡수체(A)는 일반적인 광송수신소자에서 모니터 PD의 역할을 하며, 이러한 모니터 PD의 전류를 읽어 LD의 직류 구동 전류를 조절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여기서, 컨트롤러(16) 앞 부분의 박스는 인덕터(14)이고 입력단(LI) 전단의 커패시터(CI)는 LD를 구동하는 교류전류를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PD로 들어오는 신호를 읽어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PD는 일반적으로 역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서 동작시킨다. 따라서, 기판(10)을 접지(ground)로 잡고 마이너스 전원(19)을 인가함으로써, PD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걸게 된다. 여기서, 마이너스 전원(19) 전단의 박스는 직류전원만을 통과시키는 인덕터(17)이다. 한편, 커패시터(CO)는 감지된 교류성분을 출력단(DO)으로 통과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단일기판 집적 광송수신소자의 기판을 접지로 잡고, LD에는 플러스 바이어스를 걸고, PD에는 마이너스 바이어스를 거는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 에 문제가 되는 것은, LD쪽에 걸어 주는 플러스 전기적 교류 파워가 접지로 빠지는 것이 아니라 마이너스전원에 연결된 PD쪽으로 전달되는 점이다.
도 3은 도 2의 광송수신기 모듈을 회로 형태로 표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원(L), 흡수체(A) 및 수광소자(D)는 모두 다이오드 형태로 표현된다.여기서 수광소자(D)는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린 다이오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린 다이오드는 DC로는 open이지만 AC로는 커패시터이다. 따라서 광원(L)에 입력되는 AC파워는 커패시터(역 바이어스 걸린 다이오드,D)를 통해 접지보다도 마이너스 전압인 노드 1(Node 1)로 전달되기 쉽다. 이러한 현상을 전기적 교화라고 하는데, 전기적 교화는 수신기(receiver)의 감도(sensitivity)를 현저히 저하시킨다.
예를 들면, 광원에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10dBm이상의 큰 파워를 갖는다. 반면에 수광소자 또는 수신기(receiver)의 전치 증폭기의 입력단에 -60 ~ -70 dBm의 잡음만 들어와도 수신기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결국 광원에 인가되는 신호의 -70~-80dB이상이 수신기로 전달되어도 수신기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특히, 광원과 수신기를 하이브리드로 집적하는 방식에서보다, 단일기판 집적 광송수신소자를 사용한 광송수신기를 제작할 때, 이 문제는 더 심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일기판 광송수신소자를 사용하여 모듈을 구성할 때,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의 전기적 교화(crosstalk)를 줄일 수 있는 광송수신기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송수신기( optical transceiver)에 있어서, 기판에 함께 집적되는 광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한 광송수신소자;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수광소자의 신호를 읽어내는 검출회로를 구비한 회로부; 및 상기 기판 및 접지(ground)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의 전기적 교화(crosstalk)를 방지하는 교화 방지수단;을 포함한 광송수신기 모듈(module)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적 교화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과 접지 사이에 커패시터 및 저항 각각을 연결시킨다.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AC 전류를 접지로 통과시킴으로써, 수광소자로의 AC 파워의 전달을 최소화한다.
한편, 저항을 기판과 접지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광원에 가해지는 직류전류에 의해 기판의 전압을 높여 수광소자에 마이너스 전원을 가하지 않더라고 역 바이어스 전압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1pF 이상으로 하여 대부분의 AC 전류가 접지쪽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적 교화 방지를 위하여 상기 기판과 접지 사이에 커패시터 및 트랜지스터 각각을 연결시킨다.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흡수체가 전류로 변환한 신호로 상기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조절한다. 또한, 광원의 구동회로에 차동쌍(differential pair)을 포함할 때 상기 트랜지스터가 전류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가 MOS 트랜지스터인 경우에는 게이트와 접지 사이로 게이트 저항을 포함하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기 모듈의 회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광송수신소자를 다이오드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송수신기 모듈은 기판에 형성된 광원(L1), 흡수체(A1) 및 수광소자(D1)를 구비한 광송수신소자, 회로부(100) 및 교화 방지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L1)은 LD이고 수광소자(D1)는 PD이나, 다른 종류의 광원과 수광소자가 이용될 수도 있다.
교환 방지수단(200)은 기판 및 접지(ground) 사이에 각각 연결된 교화 방지저항(220)과 교화 방지 커패시터(CT)를 포함한다. 교화 방지저항(220)의 역할은 광원(L1)을 통해 흐르는 직류전류를 접지로 뽑아주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교화 방지저항(220)을 통해 흐르는 직류전류에 의해 기판 전압(VB)에 플러스 전압을 걸어 주는 역할을 한다. 기판 전압(VB)에 걸리는 플러스 전압은 흡수체(A1)와 수광소자 (D1)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거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수광소자(D1)에 마이너스 전원을 인가할 필요가 없다. 교화 방지 커패시터(CT)는 광원(L1)으로 흐르는 AC 전류를 접지로 뽑아내어, AC 전류가 커패시터의 효과를 갖는 수광소자(D1)를 통해 전치 증폭기의 입력단(DO)로 넘어가지 않게 한다.
이때, 수광소자(D1)가 갖는 유효 커패시턴스는 0.1~수pF의 값을 가지므로, 교화 방지 커패시터(CT)는 이보다 충분히 큰, 예컨대 수 nF의 커패시턴스를 가지게 하여 광원(L1)에 흐르는 AC전류를 교화 방지 커패시터(CT)를 통해 접지로 뽑아내는 효과를 크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광원(L1)에 입력되는 전기적 파워가 수광소자로 전달되는 효과, 즉 전기적 교화를 줄일 수 있다.
회로부(100)는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수광소자의 신호를 읽어내는 검출회로를 구비한다.
회로부(100)의 구동회로는 광원(L1) 및 흡수체(A1)와 연결되어 광원(L1)의 구동 전류를 조절한다. 구동회로는 컨트롤러(123) 및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저항(122)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23)는 전술한 대로 흡수체(A1)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과 기준 전압(V2)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이다. 한편, 컨트롤러(123)에는 DC 전류 및 AC 전류를 접지로 뽑아내기(bypass) 위한 컨트롤러 저항(124) 및 컨트롤러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데, 컨트롤러 커패시터(C1)는 흡수체(A)를 통해 발생하는 AC 광전류를 접지로 뽑아내는 역할을 한다.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저항(122)은 입력단(LI)에서 보는 유효 임피던스를 적절 한 크기, 예를 들어 50Ω로 맞추기 위한 저항이다.
광원(L1)의 직류구동전류는 피드백(feedback)에 의해 조절된다. 즉, 주변온도의 상승이나 광원(L1)의 특성 저하로 광원(L1)의 출력 세기가 약해질 때, 흡수체(A1)에서 흡수되는 빛의 세기는 약해지고, 따라서 컨트롤러 저항(124)에 흐르는 전류도 작아진다. 그러면 컨트롤러 저항(124)에 걸리는 전압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컨트롤러(123)의 출력 전류는 높아진다. 결과적으로 광원(L1)에 흐르는 직류 전류는 높아져, L1의 출력은 높아진다.
결과적으로 광원(L1)의 평균(average) 출력이 컨트롤러(123)에 의한 피드백을 통해 조절되는 것이다.
회로부(100)의 검출회로는 수광소자로부터 수광신호를 검출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교화 방지저항(220)을 포함함으로써, 기판 전압(VB)이 플러스 전압이므로 도 3과 다르게 마이너스 전원이 불필요하고 그에 따라 인덕터 역시 불필요하다. 도 4의 출력단 또는 전치 증폭기 입력단(DO) 전단에 커패시터(Co)가 생략되었으나,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과 접지 사이에 커패시터 및 저항을 연결함으로써, 전기적 교화를 방지할 수 있고, 수광소자에 역 바이어스 전압을 자연적으로 걸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기 모듈의 회로도이다. 본 도면에서도 역시 광송수신소자는 다이오드 형태로 표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송수신기 모듈은 기판에 형성된 광원(L1), 흡수체(A1) 및 수광소자(D1)를 구비한 광송수신소자, 회로부(100a) 및 교화 방지수단(200a)을 포함한다. 역시 광원(L1)은 LD이고 수광소자(D1)는 PD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회로부(100a)에 광원 구동기(137) 및 전치 증폭기(138)가 더 포함되어 있고, 교화 방지수단(200a)에 교화 방지저항(220) 대신 교화 방지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광원(L1)으로 흐르는 AC 전류를 교화 방지 커패시터(CT1)를 통해 접지로 뽑아내어, AC 전류가 수광소자(D1)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이 구조에서는 광원(L1)에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컨트롤러(133)의 출력을 받아 교화 방지 트랜지스터(Tr1)로 조절한다. 컨트롤러 저항(134)은 도 4에서의 컨트롤러 저항(124)의 역할처럼 흡수체(A1)를 통해 흐르는 평균 광전류를 전압신호로 바꾸어, 컨트롤러(133)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컨트롤러 커패시터(C2)는 AC 광전류의 바이패스(bypass) 역할을 한다.
한편, 게이트 저항(240)은 컨트롤러(133)의 출력이 전류이므로 이를 전압신호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교화 방지 트랜지스터(Tr1)가 MOS 트랜지스터인 경우는 게이트로 입력되는 전류를 빼주기 위해 게이트 저항(240)이 필요하다. 그러나 교화 방지 트랜지스터(Tr1)가 바이폴라(bipolar) 트랜지스터일 때는 게이트 저항(240)을 생략한다. 교화 방지 트랜지스터(Tr1)는 광원 구동기(137) 내부의 차동쌍(Differential pair)의 전류원 즉, 광원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전류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광원(L1) 전단의 저항은 도 4의 저항(122)과 마 찬가지로 임피던스 매칭 저항(132)이다.
본 실시예의 광송수신기 모듈은 기존의 광원 구동기(LD Driver)와 트랜스임피던스 전치증폭기(Transimpedance preamplifier)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전치 증폭기(138)는 수광소자(D1) 후단에 위치하고, 광원 구동기(137)는 입력단(미도시)과 임피던스 매칭 저항(132) 사이에 연결된다. 광원 구동 트랜지스터(Tr2)는 광원 구동기(137) 내에서 광원을 구동하는 트랜지스터이다. 광원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입력에는 DATA의 상보(complementary,
Figure 112005072295240-PAT00001
)신호를 가한다. DATA가 '0' 신호일 때, 이것의 상보는 '1' 이므로, 광원 구동 트랜지스터(Tr2)는 전류를 뽑아내게(drain) 된다. 그러면 광원(L1)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감소하여 광원(L1)의 출력 세기는 감소하게 되므로, 빛 신호 '0' 이 출력되게 된다. 전원저항(141)은 일반적인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는 저항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에 전기적 교화를 방지하고 수광소자에 역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송수신기 모듈은 기판과 접 지 사이에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의 전기적 교화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판과 접지 사이에 저항 또는 트랜지스터를 연결함으로써, 수광소자에 역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으므로 수광소자 측에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어 소자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4)

  1. 광송수신기( optical transceiver)에 있어서,
    기판에 함께 집적되는 광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한 광송수신소자;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수광소자의 신호를 읽어내는 검출회로를 구비한 회로부; 및
    상기 기판 및 접지(ground)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의 전기적 교화(crosstalk)를 방지하는 교화 방지수단;을 포함한 광송수신기 모듈(module).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화 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수광소자에 역 바이어스(bias)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화 방지수단은,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화 방지수단은
    상기 기판과 접지 사이에 각각 연결된 커패시터 및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구동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흡수체와 함께 모니터링하는 모니터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구동회로 및 모니터회로 간의 피드백(feedback) 작용에 의해 전류의 공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화 방지수단은
    상기 기판과 접지 사이에 각각 연결된 커패시터 및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흡수체와 함께 모니터링하는 모니터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모니터회로를 통해 온-오프(on-off)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광원 구동을 위한 차동쌍(differential pair)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차동쌍(differential pair)의 전류원(surrent source)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10. 제3 항, 제4 항 또는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1pF 이상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수신기는,
    상기 광원과 수광소자 사이에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동작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역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상기 수광소자는 포토 디텍터(photo-dete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n형 반도체 또는 p형 반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수신기 모듈.
KR1020050121240A 2005-12-10 2005-12-10 광송수신기 모듈 KR10073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40A KR100734868B1 (ko) 2005-12-10 2005-12-10 광송수신기 모듈
US11/450,575 US7373032B2 (en) 2005-12-10 2006-06-09 Optical transceiver module
US12/779,446 USRE44375E1 (en) 2005-12-10 2010-05-13 Optical transceive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40A KR100734868B1 (ko) 2005-12-10 2005-12-10 광송수신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621A true KR20070061621A (ko) 2007-06-14
KR100734868B1 KR100734868B1 (ko) 2007-07-03

Family

ID=3813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240A KR100734868B1 (ko) 2005-12-10 2005-12-10 광송수신기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373032B2 (ko)
KR (1) KR100734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85B1 (ko) * 2008-01-09 2014-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송수신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3064A (ko) * 2016-04-25 2016-09-28 주식회사 지파랑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센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745B1 (ko) 2010-04-28 2018-06-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방향 광전자 소자의 누화 저감
KR101819010B1 (ko) 2010-09-06 2018-01-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방향 광전자 소자의 누화 저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6938B1 (fr) * 1996-12-09 1999-01-08 Alsthom Cge Alcatel Dispositif, notamment a semiconducteur, pour le traitement de deux ondes, notamment lumineuses
US5997358A (en) * 1997-09-02 1999-12-07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ime-delayed signal compensation
US5867622A (en) 1997-07-15 1999-02-02 Kyocera Corporation Module for optical communication
US5861783A (en) * 1997-08-01 1999-01-19 Lucent Technologies Inc. Crosstalk reduction in parasitically coupled circuits with an RC network connecting circuit grounds
KR20010037485A (ko) * 1999-10-18 2001-05-07 윤종용 광원감시용 광소자
US7046868B2 (en) 2000-03-28 2006-05-16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Optical waveguide transmitter-receiver module
JP3921940B2 (ja) * 2000-12-07 2007-05-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送受信モジュール
FR2827089B1 (fr) * 2001-07-09 2003-10-03 Cit Alcatel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un terminal susceptible d'etre raccorde a un reseau local capable de tele-alimenter des terminaux
US6985674B2 (en) * 2001-11-27 2006-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optic transceiver array and fiber optic transceiver channel for short wave fiber optic communications
KR20030018024A (ko) * 2003-01-18 2003-03-04 (주) 파이오닉스 광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50025387A (ko) * 2003-09-06 2005-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적 혼신이 감소된 광송수신기
KR100532302B1 (ko) * 2003-11-11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광 트리플렉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85B1 (ko) * 2008-01-09 2014-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송수신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3064A (ko) * 2016-04-25 2016-09-28 주식회사 지파랑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센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4375E1 (en) 2013-07-16
US7373032B2 (en) 2008-05-13
KR100734868B1 (ko) 2007-07-03
US20070131955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76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plit voltage domain transmitter circuits
US5706117A (en) Drive circuit for electro-absorption optical modulator and optical transmitter including the optical modulator
Lambrecht et al. 90-Gb/s NRZ optical receiver in silicon using a fully differential transimpedance amplifier
US10090930B2 (en)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transceiver cells formed in a single integrated circuit
US20070152136A1 (en) Transimpedance amplifier protection circuits
KR100734868B1 (ko) 광송수신기 모듈
Ramon et al. 70 Gb/s low-power DC-coupled NRZ differential electro-absorption modulator driver in 55 nm SiGe BiCMOS
Tavernier et al. A high-speed POF receiver with 1 mm integrated photodiode in 180 nm CMOS
JP2007194365A (ja) 光送信回路
US9768881B2 (en) Devices and techniques for integrated optical data communication
US9813162B2 (en) Optical transmission circuit,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9246601B2 (en) Optical receiver
Dong et al. Analog front-end for a 3 Gb/s POF receiver
US20070189768A1 (en) Optical network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roesel et al. Ultra low power 10-to 25-Gb/s CMOS-driven VCSEL links
JP5669665B2 (ja) 光送受信器
US9331790B2 (en) Fully digital CMOS based optical receiver
Angelini et al. 64-Gb/s optical transmission using DFB-EAM transmitter and SOA-PIN-TIA receiver with-23.5-dBm record sensitivity
US5386109A (en) Pre-amplifier for optical receiving and optical receiver using the same
Li et al. Multi-rate low-noise optical receiver front-end
Jeong et al. A 20-Gb/s 1.27 pJ/b low-power optical receiver front-end in 65nm CMOS
US20050105574A1 (en) Laser driver for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JPH05227104A (ja) 光受信装置
CN108370274A (zh) 突发模式接收器
CN109560879A (zh) 具暗电流补正功能的光学接收电路及其暗电流补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