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833A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8833A KR20070058833A KR1020050117601A KR20050117601A KR20070058833A KR 20070058833 A KR20070058833 A KR 20070058833A KR 1020050117601 A KR1020050117601 A KR 1020050117601A KR 20050117601 A KR20050117601 A KR 20050117601A KR 20070058833 A KR20070058833 A KR 200700588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es
- fuse
- interlayer insulating
- memory device
- semiconductor mem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01L23/5256—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 H01L23/525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the change of state resulting from the use of an external beam, e.g. laser beam or 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도이다. 1 is a layout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5 through 7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210: 제 1 층간 절연막 122, 222: 퓨즈110, 210: first interlayer
130, 230: 제 2 층간 절연막 120, 220: 제 1 산화막130, 230: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0, 220: first oxide film
125, 225: 제 2 층간 절연막 140, 240: 제 3 층간 절연막125 and 225: second interlayer
150, 250: 가드링 160: 260: 감광막 패턴150, 250: Guard ring 160: 260: Photosensitive film pattern
162, 262: 퓨즈 윈도우162, 262: fuse window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 전원을 필터링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filtering an external power supply more effectively.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 상에 설정된 회로 패턴을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집적 회로를 갖는 셀(cell)들을 형성하는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 FAB) 공정과, 셀들이 형성된 기판을 칩(chip) 단위로 패키징(packaging)하는 어셈블리(assembly)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다. In general,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a fabrication (FAB) process of repeatedly forming a circuit pattern set on a substrate to form cells having integrated circuits, and packag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cells are formed in chips. It is manufactured by carrying out an assembly process of packaging.
그리고 패브리케이션 공정과 어셈블리 공정 사이에는 기판 상에 형성된 셀들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공정(electrical die sorting; EDS)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n electrical die sorting (EDS) process is performed between the fabrication process and the assembly process to examin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lls formed on the substrate.
각 셀들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공정을 통하여 불량 셀을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된 불량 셀들은 리페어(repair)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미리 제작된 리던던시 셀(redundancy cell)로 대체되므로, 실제 칩 동작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Defective cells may be selected through a process of inspec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cell. Here, the selected defective cells are replaced with a redundancy cell prepared in advance by performing a repair process, so that the defective cells can be normally operated during actual chip operation to improve the yield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이러한 리페어 공정은 불량 셀에 연결된 배선 부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단선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 때, 레이저 빔에 의해 끊어지는 배선을 퓨즈(fuse)라 하며, 이러한 퓨즈들 밀집된 부분을 퓨즈 영역이라 한다. This repair process is performed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to the wiring part connected to the defective cell and disconnecting it. At this time, the wiring broken by the laser beam is called a fuse, and the dense parts of the fuses are called a fuse area.
이와 같은 퓨즈 영역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셀 영역에 형성되는 워드 라인 또는 비트 라인을 형성할 때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퓨즈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서 비교적 하부에 위치하는 워드 라인 또는 비트 라인에 형성할 경우 퓨즈 오픈 공정시 식각 깊이가 증가되므로 최근에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배선 이나 캐패시터의 전극용 도전층을 퓨즈로 사용한다. Such a fuse region may be formed together when forming a word line or a bit line formed in a cell region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owever, when the fuse is formed on a word line or a bit line that is located relatively lower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reases, the etching depth increases during the fuse open process. The conductive layer for the electrode of the metal wiring or the capacitor which is located at is used as the fuse.
그러나,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금속으로 형성된 퓨즈를 컷팅할 때 인접한 퓨즈까지 손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심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페어 페일(fail) 및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However, when cutting a fuse formed of metal by irradiating a laser beam, it may damage adjacent fuses. Such a phenomenon may be intensified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of the repair fail and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퓨즈 컷팅시 부산물들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can prevent the by-products scattered during the fuse cutting.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된 다수의 퓨즈, 다수의 퓨즈 상에 적층된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 및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에 형성되어 각 퓨즈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며 퓨즈 컷팅시 인접 퓨즈를 보호하는 다수의 퓨즈 윈도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uses formed on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second and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stacked on a plurality of fuses, And a plurality of fuse windows formed in the second and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s to expose portions of each fuse and to protect adjacent fuses during fuse cutting.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 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은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다수의 퓨즈를 형성하고, 퓨즈들을 덮는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을 적층하고,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에 각 퓨즈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며 퓨즈 컷팅시 인접 퓨즈를 보호하는 다수의 퓨즈 윈도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es forming a plurality of fuses on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stacking second and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covering the fuses, Exposing a portion of each fuse to the second and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s and forming a plurality of fuse windows that protect adjacent fuses when the fuse is cu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1 is a layout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는 다수의 퓨즈(12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퓨즈(122)는 직선 형태로써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퓨즈(122)들은 셀 영역의 배선(미도시)과 동일층에 위치 하며 금속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1 and 2, a plurality of
그리고, 다수의 퓨즈(122)들이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는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130, 140)이 적층되어 있다. 이 때, 제 2 층간 절연막(130)은 산화막으로써 셀 영역의 구조에 따라 다수의 산화막이 적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산화막(120, 125)이 적층된 형태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 3 층간 절연막(140)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의 흡습을 방지하기 위한 패시베이션막으로써 질화물로 형성되어 있다.Second and third
이와 같은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130, 140)에는 직선 형태의 각 퓨즈(122)들 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다수의 퓨즈 윈도우(162)들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의 퓨즈 윈도우(162)들은 각각 각기 다른 퓨즈(122) 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며, 각각의 퓨즈 윈도우(162)들 사이에는 제 2 및 제 3 절연막(130, 140)이 위치한다. In the second and third
따라서, 퓨즈(122a)를 컷팅하기 위해 퓨즈 윈도우(162)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때, 퓨즈 윈도우(162)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130, 140)이 장벽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퓨즈(122a)가 컷팅되면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막(130, 140)에 의해 인접하는 퓨즈(122)들로 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when irradiating a laser beam into the
그리고 퓨즈 윈도우(162)들은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영역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 지그 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직선 형태의 퓨즈(122)들이 밀집된 영역 둘레에는 가드링(150)이 형성 되어 있다. 가드링(150)은 다수의 산화막들로 형성된 제 2 층간 절연막(130)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퓨즈(122)들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퓨즈 윈도우(162)를 형성함에 따라 퓨즈 윈도우(162)를 통해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드링(150)은 가드링 패턴(124, 128)과 상하에 위치하는 가드링 패턴(124, 128)을 연결하는 콘택(126)들로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층간 절연막(210) 상에는 다수의 퓨즈(22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퓨즈(222)들은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곡선으로 형성된 다수의 퓨즈(222)들은 각 퓨즈(222)들 간의 피치가 넓은 영역(A)과 조밀한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퓨즈(222)들 간의 피치가 넓은 영역(A)은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퓨즈(222)가 컷팅되는 컷팅 영역(A)이다. 그리고 퓨즈들 간의 피치가 조밀한 영역으로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지 않는 언컷팅(B) 영역이다. 이러한 퓨즈(222)들은 셀 영역의 금속 배선(미도시)과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다.3 and 4, a plurality of
그리고, 곡선 형태의 퓨즈(222)들이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막(210) 상에는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230, 240)이 적층되어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2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산화막이 적층되어 있으며, 제 3 층간 절연막 (240)은 패시베이션막으로써 질화막으로 형성되어 있다.Second and third
이러한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230, 240)에는 각 퓨즈(222)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퓨즈 윈도우(262)들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퓨즈 윈도우(262)들은 퓨즈(222)들간의 피치가 넓은 컷팅 영역(A)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 퓨즈 윈도우(262)들은 퓨즈(222) 상의 일부분을 각각 노출시킨다. 따라서, 피치가 넓은 컷팅 영역(A) 상에 위치하는 퓨즈(222)들 사이에는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230, 240)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 퓨즈(222)들을 격리시킨다. 그러므로 퓨즈(222a) 컷팅을 위해 레이저 빔이 조사될 때 발생하는 부산물들이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230, 240)에 의해 인접 퓨즈(222)들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se
그리고, 제 2 층간 절연막(230)에는 가드링 패턴(224, 228)과 상하에 위치하는 가드링 패턴(224, 228)들을 연결하는 콘택(226)들로 형성된 가드링(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드링(150)은 퓨즈(222)들이 밀집한 영역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어, 퓨즈 윈도우(262)를 통해 습기가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a
이하, 도 5 내지 도 7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3, and 4.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5 through 7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층간 절연막(210) 상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퓨즈(222)들을 형성한다. 이 때, 퓨즈(222)들은 셀 영역의 금속 배선들(미도시)과 함께 형성되며 퓨즈(222)들 둘레에는 가드링 패턴(22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퓨즈들은 티타늄(Ti), 탄탈륨(Ta), 질화 티타늄(TiN), 질화 타탈륨(TaN), 알루미늄(Al), 텅스텐(W) 또는 구리(Cu)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단일막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다층막일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5, a metal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first
그리고, 퓨즈(222)들은 퓨즈(222a)들 간의 피치가 넓은 컷팅 영역(A)과 퓨즈(222b)들간의 피치가 조밀한 언컷팅 영역(B)으로 구분되는 곡선 형태의 퓨즈(22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퓨즈(122)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122)들 간의 피치가 일정한 직선 형태의 퓨즈(122)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222)들 및 가드링 패턴(224)이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막(210) 상에 제 2 층간 절연막(230)을 형성하고, 가드링(250)을 완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퓨즈(222)들과 가드링 패턴(224)이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막(210) 상에 제 1 산화막(220)을 형성하고 가드링 패턴(224)과 연결되는 콘택(226)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산화막(220) 상부에 콘택(226)과 연결되는 가드링 패턴(228)을 형성하고 제 2 산화막(22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퓨즈(222)들이 밀집한 영역 둘레에 가드링(250)이 형성되고, 다수의 산화막이 적층된 제 2 층간 절연막(230)이 완성된다.In more detail, the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층간 절연막(230) 상에 패시베이션막으로써 제 3 층간 절연막(240)을 형성한다. 이 때, 제 3 층간 절연막(240)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의 흡습을 방지하기 위해 질화물로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third
그리고 나서 제 3 층간 절연막(240)에 퓨즈 윈도우(262)를 형성하기 위한 감광막 패턴(260)을 형성한다. 이 때, 감광막 패턴(260)은 하부에 위치한 퓨즈(222)들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퓨즈(222)들이 곡선 형태인 경우 피치가 넓은 컷팅 영역(A)에서 각각의 퓨즈(222a)를 노출시키도록 퓨즈 윈도우(262)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퓨즈(222)들이 직선 형태인 경우 각각의 퓨즈(222)들 상에서 퓨즈(222)들의 일부분울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Then, a
다음으로, 감광막 패턴(260)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각 퓨즈(222)들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식각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퓨즈 윈도우(262)들은 각각 퓨즈(222a)들의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퓨즈 윈도우(262)에 의해 노출된 퓨즈(222a) 양측에는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막(230, 240)이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컷팅될 퓨즈(222a)와 인접 퓨즈(222a)가 격리된다. 그러므로 퓨즈(222a) 컷팅시 발생되는 부산물이 인접 퓨즈(222a)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Next, using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각 퓨즈들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퓨즈 윈도우들을 형성함으로써 컷팅될 퓨즈와 인접하는 퓨즈들을 격리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isolate the fuse to be adjacent to the fuse to be cut by forming fuse windows that expose a portion of each fuse.
그리고 산화막 및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막에 퓨즈 윈도우를 형성하고 남은 절연막에 의해 퓨즈들이 격리될 수 있으므로 인접 퓨즈들을 격리시키기 위한 또 다른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fuse window may be formed in an insulating film formed of an oxide film and a nitride film, and the fuses may be isolated by the remaining insulating film, another structure for isolating adjacent fuses may not be formed,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따라서, 퓨즈 컷팅시 발생되는 부산물이 산화막 및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막에 의해 차단되므로 리페어 페일을 줄일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nce by-products generated during fuse cutting are blocked by an insulating film made of an oxide film and a nitride film, a repair fail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601A KR20070058833A (en) | 2005-12-05 | 2005-12-05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601A KR20070058833A (en) | 2005-12-05 | 2005-12-05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8833A true KR20070058833A (en) | 2007-06-11 |
Family
ID=3835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7601A KR20070058833A (en) | 2005-12-05 | 2005-12-05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58833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5754A (en) * | 2010-01-21 | 2011-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sensor and imaging device comprising the sensor |
-
2005
- 2005-12-05 KR KR1020050117601A patent/KR2007005883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5754A (en) * | 2010-01-21 | 2011-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sensor and imaging device comprising the sens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63887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6448113B2 (en) | Method of forming fuse area structure including protection film on sidewall of fuse opening in semiconductor device | |
US6507086B1 (en) | Fuse area structure having guard ring surrounding fuse opening i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100663364B1 (en) |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use region having fuse isolation barri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0703983B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2003086687A (en) | Semiconductor device | |
KR100675296B1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use pattern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 |
KR20010037795A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us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7633136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70058833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20070081640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20240145399A1 (en) |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monitoring pattern structure with cover pattern layer and contact patterns disposed over monitoring pattern structure | |
KR20070076931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20090070826A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fu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70056417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CN113394193B (en) | Semiconductor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thereof, and fusing method of laser fuse | |
KR100833588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1043741B1 (en) | Antifuse, repair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98950B1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fu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CN113629035A (en) | Electric fuse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thereof | |
KR19990085774A (en) |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fuse exposure window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70076044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20060105819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20040060001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20070081641A (en)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