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273A -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 Google Patents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273A
KR20070058273A KR1020050117303A KR20050117303A KR20070058273A KR 20070058273 A KR20070058273 A KR 20070058273A KR 1020050117303 A KR1020050117303 A KR 1020050117303A KR 20050117303 A KR20050117303 A KR 20050117303A KR 20070058273 A KR20070058273 A KR 20070058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artition
spaces
pail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현
이상천
Original Assignee
민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현 filed Critical 민병현
Priority to KR102005011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8273A/ko
Publication of KR2007005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197Arrangements for locating the bottles
    • B65D2501/24203Construction of locating arrangements
    • B65D2501/2421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에 관한 것으로서, 통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공간 사이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공간에 정확한 유체의 양을 담은 후 따라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종 유체를 필요에 따라 정확하고 손쉽게 계량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유아나 어린이용 물약 통에 적용하면 매우 손쉽게 정확한 양의 약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유체, 계량, 통, 물약

Description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Pail for measuring amount of inner flui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유체 이동이 이루어지는 개념도,
도 3은 유체조절부의 일 실시예,
도 4와 도 5는 상기 유체조절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을 이용하는 형태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11: 유체조절부 11-1: 칸막이
11-2: 관통홈 12-1,12-2: 유체출입구
13: 계량표시부
본 발명은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국에서 조제한 물약을 담는 통과 같이 통의 내부에 들어 있는 유체를 손쉽게 계량하여 정확한 양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통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용도나 목적에 의하여, 일정 유체를 통에 담아 두고 필요에 따라 정확한 양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 하나의 예를 들자면, 약국에서 유아용 물약을 제조하여 약통에 담아주는 경우이다. 이때 사용자는 약사가 지시한 시간에 정확한 양의 물약을 따라 유아에게 먹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계량용 수저나 물약 통에 표시된 눈금에 따라 눈짐작으로 계량하여 약을 따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법으로는 정확한 양을 계량하기가 쉽지 않고, 부모의 입장에서는 정확한 양을 먹이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불안감이 따른다. 또한, 수저나 눈짐작으로 물약을 일단 꺼낸 후 그 양이 잘못된 경우에는 물약을 다시 통에 넣거나 버리고 다시 계량해야 하는 등 그 사용상의 불편이 적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 담긴 유체의 정확한 양을 손쉽고 편리하게 계량하여 꺼낼 수 있는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은, 유체를 담을 수 있는 통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공간 사이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체조절부; 상기 구분된 공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외부에서 유체를 넣거나 외부로 유체를 꺼낼 수 있게 해주는 유체출입구; 및 상기 구분된 공간 중 하나 이상의 공간에 담긴 유체의 양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량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조절부는 상기 통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에 형성된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통과 칸막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관통홈은 상기 칸막이가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10)은 외부에서 통의 내부에 들어 있는 유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조절부(11)는 통(10)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공간 사이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공간(내부공간 A, 내부공간 B)으로 구분된 예를 도시하였고, 이하의 설명에서도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공간의 수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체출입구(12-1,12-2)는 유체조절부(11)에 의해 구분된 공간에 외부에서 유체를 넣거나 그 공간에 들어 있는 유체를 외부로 꺼낼 수 있게 해주는 출입구이다.
이러한 유체출입구(12-1,12-2)는 구분된 모든 공간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구분된 각 공간 중 특정 공간에만 유체출입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유체출입구(12-1,12-2)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통(10)에는 사용자가 현재 대상 공간에 들어있는 유체의 양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량표시부(13)가 구비된다. 계량표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그 하나의 예는 눈금과 각 눈금에 대응하는 양을 표시하는 숫자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조절부(11)를 조절하여 각 구분된 공간 사이에서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통(10)이 유아용 물약 통으로 사용되는 경우 약사는 조제된 물약을 유체출입구 A(12-1)를 통해 내부공간 A에 담아주고, 사용자는 유체조절부(11)를 조절하여 약사가 지시한 물약의 정확한 양을 내부공간 B로 이동시킨 후 유체출입구 B(12-2)를 통해 따르면 된다. 이 때, 내부공간 B로 이동된 물약의 양은 계량표시부(13)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뜻하지 않게 약사가 지시한 양보다 많은 물약을 내부공간 B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다시 유체조절부(11)를 조절하여 내부공간 B의 물약을 다시 내부공간 A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체출입구는 구분된 모든 공간에 대하여 구비될 필요는 없다. 예로서, 도 2에서 유체출입구 B(12-2)만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사는 유체출입구 B(12-2)를 통해 내부공간 B에 물약을 담아 줄 수 있으며, 약사 또는 사용자가 유체조절부(11)를 통해 물약을 내부공간 A로 모두 이동시킨 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유체조절부(11)는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자면, 유체조절부(11)는 통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칸막이(11-1)와 칸막이에 형성된 관통홈(11-2)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통(10)과 칸막이(11-1)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예로는 종래 물약을 담는 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탄력성 있고 투명한 물약 통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관통홈(11-2)은 칸막이(11-1)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예와 같이 통의 양 측면에 힘(F)이 가해지면, 통(10)과 칸막이(11-1)는 재질의 성질상 압력을 받아 구부러질 것이고, 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예와 같이 관통홈(11-2)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칸막이(11-1)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므로 관통홈(11-2)은 일상적인 중력이나 유체가 흐르려는 힘 등에 의해서는 이동할 수 없거나 그 이동이 사용 목적상 유체의 계량에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영향밖에 주지 못할 정도만 이동하도록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는 칸막이(11-1)에 폭이 매우 좁고 길이가 1~2cm 정도되는 흠(구멍)으로 관통홈을 구성하는 것이다(얇은 칼로 한번 그은 정도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진 재질의 칸막이(11-1)에 난 관통홈(11-2)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물약의 흐름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닫혀있는 상태와 유사하게 되고,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도 5에 도시한 예와 같이 유체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으로 확대될 수 있다.
도 6은 실제 사용하는 형태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현재 물약이 담겨있는 내부공간 A가 내부공간 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칸막이(11-1)가 위치한 부분에 손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부 내부공간 A의 유체가 관통홈(11-2)을 통해 하부 내부공간 B로 이동한다. 물론, 내부공간 A의 유체가 충분한 경우에는 이처럼 기울이지 않고도 유체를 내부공간 B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 이외에도 이하의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특히, 도면에 기재된 모양이나 형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유체를 필요에 따라 정확하고 손쉽게 계량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용 물약 통에 적용하면 약사나 의사의 지시에 따른 정확한 양의 사용이 가능해지고, 수시로 이루어지는 약제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해준다.

Claims (2)

  1. 유체를 담을 수 있는 통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공간 사이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체조절부;
    상기 구분된 공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외부에서 유체를 넣거나 외부로 유체를 꺼낼 수 있게 해주는 유체출입구; 및
    상기 구분된 공간 중 하나 이상의 공간에 담긴 유체의 양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량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부는 상기 통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에 형성된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통과 칸막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관통홈은 상기 칸막이가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KR1020050117303A 2005-12-03 2005-12-03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KR20070058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03A KR20070058273A (ko) 2005-12-03 2005-12-03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03A KR20070058273A (ko) 2005-12-03 2005-12-03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273A true KR20070058273A (ko) 2007-06-08

Family

ID=3835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303A KR20070058273A (ko) 2005-12-03 2005-12-03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82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2414A (en) Body fluid collection bottle
US3699815A (en) Improvements in body fluid collection bottle
US6837376B2 (en) Container for monitoring consumption of selected chemical compounds of a liquid
US9151605B1 (en) Beverage container cap
KR100706954B1 (ko) 수액 주입속도 측정장치
US9566388B1 (en) Syringe measurement marking and dosing system
US236997A (en) Dose-measuring bottle
US3742934A (en) Body fluid collection bottle for pediatric use
JP5822270B2 (ja) カップ付きボトル
US3955415A (en) Flowmeter
KR20070058273A (ko) 유체 계량이 가능한 통
US398528A (en) Measuring apparatus for liquids
JP2009541009A (ja) 薬剤の計量・希釈用カップ
WO2020014288A1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H07503538A (ja) 流体特性の測定
JP2011140325A (ja) 計量繰出し容器
US20180202852A1 (en) Measuring device, method and system
WO2013071700A1 (zh) 一种药瓶
JP2017167101A (ja) 計量カップ
KR20100012540U (ko) 정량물약병
CN212432271U (zh) 一种化学分析用定量容器
KR200416739Y1 (ko) 디지탈 계량 스푼
CN210962338U (zh) 医用弯盘
KR20090109166A (ko) 표시(처방)된 용량의 물약 또는 내용물을 정확히 계량하여사용할 수 있는 용기 또는 물약용기
JP6640682B2 (ja) 計量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