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711A -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711A
KR20070056711A KR1020050115705A KR20050115705A KR20070056711A KR 20070056711 A KR20070056711 A KR 20070056711A KR 1020050115705 A KR1020050115705 A KR 1020050115705A KR 20050115705 A KR20050115705 A KR 20050115705A KR 20070056711 A KR20070056711 A KR 20070056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image
display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731B1 (ko
Inventor
허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731B1/ko
Priority to CNA2006101287555A priority patent/CN1901641A/zh
Publication of KR2007005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가정보로 인하여 시청중인 방송화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송, 영상표시기기, 부가정보, 방해, 디스플레이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영상표시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설정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된 경우 부가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너 110 : 디먹스
120 : 키 입력부 130 : 메모리
140 : 부가정보 추출부 150 : 부가정보 처리부
160 : 제어부 170 : 영상처리부
18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기로써, 티브이 또는 모니터 등이 대표적인 영상표시기기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티브이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국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식의 티브이는 영상신호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정보, 예를 들면,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등을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영상표시기기에서 부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영상신호에 부가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핍(PIP)창을 만드는 방법이고, 셋째는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부가정보만을 디스플레이 방법이다.
여기서, 핍창을 만들 경우 화면이 너무 작아 인식이 불가능하므로, 대개 오버랩 방법이나 부가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버랩 방법이나 부가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티브이 방송화면과 동시에 부가정보를 시청할 경우, 방송화면 상에 부가정보가 겹치게 되어 티브이 방송을 시청하는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부가정보만을 시청할 경우에는 방송시청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단지 화면의 특정 위치에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히 관심 있어 하는 정보의 전달과 인식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 요구에 부합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디지털 방식의 영상표시기기는 16:9 모드 외에 4:3 모드, 와이드 모드, 확대 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에 의하여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을 변경시킬 수 있는데, 종래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가 4:3 모드로 시청을 하는 경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빈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신호에 부가정보를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부가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 으로써, 부가정보로 인하여 시청중인 방송화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원하는 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부가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부가정보 추출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부가정보 처리부; 및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에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부가정보를 매칭시켜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정보 추출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부가정보의 항목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된 경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부가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반대쪽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방송사 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스포츠 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부가정보 추출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상기 변경된 부가정보를 매칭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추출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가 미리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부가정보의 항목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된 경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부가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반대쪽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방송사 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스포츠 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영상표시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영상표시기기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100)와, 상기 튜너(100)를 통해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는 디먹스(110)와,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120)와,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와,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부가정보 항목에 따라 상기 디먹스(110)에서 분리된 부가정보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부가정보 추출부(140)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추출부(140)를 통해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부가정보 처리부(150)와, 상기 디먹스(11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부가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170)와, 상기 영상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키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이 선국될 수 있도록 상기 튜너(100)에 제어 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튜너(100)를 통해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는 디먹스(110)로 입력되어 영상 및 부가정보로 분리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가정보는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방송사 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스포츠 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등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데이터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먹스(110)에서 분리된 부가정보는 부가정보 추출부(140)로 입력되는데, 부가정보 추출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먹스(110)로부터 출력되는 부가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를 부가정보 처리부(150)로 전달하며, 부가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한 다음 이를 영상처리부(17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구성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부가정보 추출부(140) 및 부가정보 처리부(15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설정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3은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며, 도 4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된 경우 부가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이용해서 화면 에 어떤 부가정보를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시킬 것인지를 사전에 설정해 두면, 즉,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사전에 설정해 놓으면, 이렇게 설정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는 메모리(130)에 저장된다.
도 2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화면에 영상신호와 함께 다양한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해당 부가정보를 시청하던 중, 키 입력부(120)를 통해 여러 부가정보들 중에서 <채널>과 <날짜>의 부가정보는 화면의 좌측 상향에, <시간>과 <날씨>의 부가정보는 화면의 우측 상향에, <뉴스정보>는 화면의 하부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하는데, 이에 따라 메모리(13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 항목과 그 디스플레이 위치가 저장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디먹스(110)를 통해 방송신호가 영상 및 부가정보로 분리되면, 분리된 영상과 부가정보는 각각 영상처리부(170)와 부가정보 추출부(140)로 입력되며, 상기 부가정보 추출부(140)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부가정보 항목 따라 입력된 부가정보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부가정보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통해 부가정보의 항목/위치 변경을 선택하면,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부가정보 추출부(140)를 통해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여 이를 영상처리부(170)로 전달한다.
도 3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채널>과 <날짜>의 부가정보는 화면의 우측 상향으로 위치가 변경되었고, <시간>과 <날씨>의 부가정보 는 화면의 좌측 상향으로 위치가 변경되었으며, 화면의 하부에는 <뉴스정보> 대신 <스포츠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부가정보의 항목이 변경되었다.
그 다음, 상기 영상처리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부가정보 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부가정보를 함께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구성으로 부가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를 16:9 에서 4:3 으로 전환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정보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변경시켜 상기 부가정보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영상과 부가정보가 서로 독립적인 공간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부가정보로 인하여 시청중인 방송화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반대쪽의 여유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이용해서 화면에 어떤 부가정보를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시킬 것인지를 설정하면, 즉,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부가정보의 항목/위치가 설정되면(S501), 제어부(160)는 이렇게 설정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메모리(130)에 저장하는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 설정에 관해서는 도 2의 화면 예시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튜너(1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이 수신되면, 디먹스(110)는 수신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역다중화 하여 방송신호를 영상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는데, 이러한 디먹스(110)의 역다중화에 의해 부가정보가 추출되며(S502), 이렇게 디먹스(110)에 의해 추출된 부가정보는 부가정보 추출부(140)로, 영상은 영상처리부(170)로 각각 입력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가정보는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방송사 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스포츠 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 여러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부가정보 추출부(140)는 디먹스(110)로부터 입력된 부가정보 항목이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 항목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비교하여, 입력된 부가정보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를 부가정보 처리부(150)로 전달한다(S503).
그 다음,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통해 부가정보의 항목/위치 변경을 선택하면, 부가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부가정보 추출부(140)를 통해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여 이를 영상처리부(170)로 전달하는데(S504~S505), 부가정보의 항목/위치 변경에 관해서는 도 3의 화면 예시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상기 영상처리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150)로부터 입력되는 부가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데(S506),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화면 구성으로 부가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방송화면상에 부가정보가 오버랩 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전체 화면으로 영화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청중인 화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키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부가정보 항목을 아예 삭제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부가정보에 의한 화면 방해 없이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이용해서 화면에 어떤 부가정보를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시킬 것인지를 설정하면, 즉,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부가정보의 항목/위치가 설정되면(S601), 제어부(160)는 이렇게 설정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메 모리(130)에 저장하는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 설정에 관해서는 도 2의 화면 예시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튜너(1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이 수신되면, 디먹스(110)는 수신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역다중화 하여 방송신호를 영상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는데, 이러한 디먹스(110)의 역다중화에 의해 부가정보가 추출되며(S602), 이렇게 디먹스(110)에 의해 추출된 부가정보는 부가정보 추출부(140)로, 영상은 영상처리부(170)로 각각 입력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가정보는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방송사 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스포츠 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 여러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부가정보 추출부(140)는 디먹스(110)로부터 입력된 부가정보 항목이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 항목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비교하여 입력된 부가정보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여 이를 부가정보 처리부(150)로 전달한다(S603).
그 다음,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를 16:9 에서 4:3 으로 전환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정보 처리부(150)는 상기 부가정보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부가정보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킨 다음(S604~S605), 상기 디먹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에 상기 부가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606).
이와 같이 영상과 부가정보가 서로 독립적인 공간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 함으로써, 부가정보로 인하여 시청중인 방송화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 영상이 전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반대쪽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정보로 인하여 시청중인 방송화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부가정보의 항목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부가정보로 인하여 시청중인 방송화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들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관심있는 부가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드를 16:9 에서 4:3 으로 전환한 경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부가정보 추출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부가정보 처리부; 및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에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부가정보를 매칭시켜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정보 추출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부가정보의 항목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된 경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부가정보의 위치를 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반대쪽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방송사 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스포츠 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7.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부가정보 추 출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추출된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상기 변경된 부가정보를 매칭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추출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의 항목/위치가 미리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부가정보의 항목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부가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만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된 경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여유공간에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부가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의 항목/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16:9 에서 4:3 으로 전환되어 영상이 전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반대쪽의 여유공간으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영상정보, 시간정보, 날씨정보, 방송사 정보, 채널정보, 뉴스정보, 주식정보, 스포츠 정보, 교통정보, 증권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50115705A 2005-11-30 2005-11-30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81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705A KR100813731B1 (ko) 2005-11-30 2005-11-30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A2006101287555A CN1901641A (zh) 2005-11-30 2006-09-03 影像显示器械的附加信息显示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705A KR100813731B1 (ko) 2005-11-30 2005-11-30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711A true KR20070056711A (ko) 2007-06-04
KR100813731B1 KR100813731B1 (ko) 2008-03-13

Family

ID=3765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705A KR100813731B1 (ko) 2005-11-30 2005-11-30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3731B1 (ko)
CN (1) CN19016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4248A1 (en) * 2008-09-09 2010-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JP2010074772A (ja) * 2008-09-22 2010-04-02 Sony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5495424B2 (ja) * 2009-10-19 2014-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出力装置、映像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664B1 (ko) 1996-05-30 1999-06-01 윤종용 부영상 표시 위치 제어 방법
KR100253211B1 (ko) 1997-11-28 2000-04-15 구자홍 디스플레이의화면표시제어방법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1641A (zh) 2007-01-24
KR100813731B1 (ko)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0718B2 (en) Method an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KR10075467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US56941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levision program guides with category selection overlay
US20080307458A1 (en) Multichannel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broadcast-enabled mobile terminal
KR20070028652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50076389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program information for a video display appliance and method thereof
CN102204269B (zh) 处理多模式业务广播信号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数字电视接收机
WO2008056920A2 (en) Device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of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using the devices
KR100813731B1 (ko)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02702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629537B1 (ko) 프로그램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59639A (ko) 위젯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0269131B1 (ko) Epg정보를이용한채널선택장치및방법
EP2227007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proved i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4508815B2 (ja) 裏番組情報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70022B1 (ko)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6260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106221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KR20080042471A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0696106B1 (ko) Tv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46766A (ko)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KR20000010153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정보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101405939B1 (ko) 키워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100460964B1 (ko) 텔레텍스트방송의 수신이 용이한 영상디스플레이장치
KR20010001727A (ko) 프로그램 안내정보의 표시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