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859A -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859A
KR20070055859A KR1020050114327A KR20050114327A KR20070055859A KR 20070055859 A KR20070055859 A KR 20070055859A KR 1020050114327 A KR1020050114327 A KR 1020050114327A KR 20050114327 A KR20050114327 A KR 20050114327A KR 20070055859 A KR20070055859 A KR 20070055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rotor
air conditioner
stator
connec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488B1 (ko
Inventor
공병구
심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4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송풍팬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동시에 송풍량을 늘리고,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송풍효율 및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BLDC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송풍팬의 외측에서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덕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BLDC 모터

Description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DUCT CONNECTING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를 측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 2b는 도 1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모터 및 서포터 부분 확대도
도 4a는 도 3a의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제진부재가 서포터의 서포터 고정부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a는 도 3a의 시로코팬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6a의 평면도
도 7a는 도 3a의 로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저면 사시도
도 8a는 도 3a의 로터부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로터에 적용되는 마그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3a의 스테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코어 확대도로서, 스파이럴 코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스테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코어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분할코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스테이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코어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통코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 내지 2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소음 저감을 위한 각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7 내지 도 19는 플러그 부재 및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0은 차단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레이싱 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와 도 2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토출 방향 전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들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 2:송풍장치
3:열교환기 4:제어장치부
41:하우징 42:개폐도어
11:흡입구 12:전방토출구
14:탑커버 15:커버패널
17:베이스바아 18:덕트
19:필터어셈블리 21:팬하우징
211,212 :흡입구 213:토출구
25:시라우드 26:제진패드
50:송풍팬 54:주판
56:부싱 560a:베이스부
560b:허브부 560c:볼트 체결공
58:리벳 6:BLDC모터
60:로터 60a:로터프레임
602:바닥면 602a:허브부
602b:관통홀 602c:냉각핀
602d:통공 602e:엠보싱부
602f:배수홀 602g:위치결정공 -로터의
602h:체결공-로터 604:측벽면
604a:절곡부 604b:절곡부
60b:마그네트 65: 스테이터
65a:스파이럴코어 652a:베이스부
654a:티스 656a:요입홈
65b:인슐레이터 650b:인슐레이터 어퍼
651b:인슐레이터 로우어 655b:체결부
656b:위치결정돌기 657a:코어 적층용 리벳
65':스테이터 65a':분할코어
65":스테이터 65a":통코어
68:샤프트 680:세레이션
680a, 680b: 샤프트측 단턱 685:평면구간
69a,69b:베어링 70:로터부싱
72:치합부 720:세레이션
74:체결부 740:위치결정용 결합돌기
742:체결용 통공 76a, 76b:보강리브
80:서포터 82:베어링하우징부
822a, 822b:서포터측 단턱 84:스테이터 고정부
842:위치결정홈 844:통공
86:서포터 고정부 88a,88b,88c:보강리브
90:제진부재
본 발명은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정 등에 매립되어 덕트를 통해 실내에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정화시켜 순환시키는 공기조절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cooling cycle)을 구성하는 부품이 하나의 유니트(unit)에 구비되는 일체형과 2개의 유니트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공기조화기는 제품 형태에 따라 실내기를 벽에 거는 벽걸이형과 실내기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상치형과 실내기를 천장에 매달거나 천장 내부에 설치하는 천정형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는 천정 내부에 설치된 하나의 실내기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덕트를 통해 동시에 여러 실내공간에 냉방공기를 공급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는 앞서 언급된 분리형, 즉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압축 및 액화시키는 실외기(outdoor unit)와, 증발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실내기(indoor unit)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들은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일반 단상 또는 삼상 유도모터가 적용되기 때문에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팬모터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유도 모터는 전반적으로 효율이 40 ~ 50 % 이하로 낮을 뿐 아니라 특히 회전력인 토크 특성이 안정적인 영역이 좁아 회전수를 가변하는 영역의 범위가 제한되고, 회전수가 토크 특성이 안정적인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상 소음 및 효율 저하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팬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동시에 송풍량을 늘리고,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송풍효율 및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 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며, 상기 로터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스테이터고정부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설된 베어링하우징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1개의 베어링은 송풍팬 내측에 위치 하도록 배치된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두께가 1.2~2.5mm 범위 로 형성된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체적으로 천정 내부에 설치되는 상자형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 및 토출하는 송풍장치(2)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장치(2)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3)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는 내부의 송풍장치(2)나 열교환기(3)와 같은 구성부들을 보호하며, 실내와 연통하는 덕트(18)와 각각 연결되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일측부에는 제어장치부(13)가 부착되며, 그 내부에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송풍장치(2) 및 열교환기(3)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관련부품들이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1)의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 개방된 부분에 탑커버(14)가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14)에는 필요시 상기 케이스(1)의 전방토출구(12)를 대신할 수 있도록 상부토출구(141)가 형성되며, 이 상부토출구(141)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커버패널(15)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토출구(141)와 커버패널(15)은 상기 케이스(1)의 전방토출구(12)의 크기 및 형태와 상응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으로 공기조화기를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케이스(1)의 하부면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대략 U자형의 베이스바아(17)들이 부착된다. 상기 베이스바아(17)의 하부면에는 팔레트(pallet)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 등이 체결되는 체결홀(17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기(3)는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 및 응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로서, 냉매관을 지나는 저온저압의 액냉매가 열교환 핀 사이를 지나는 실내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화하면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부(4)는 케이스(1)의 일측부에 내삽되며 제어를 위한 각종 전기부품과 PCB 등이 설치되는 하우징(41)과, 상기 케이스(1)의 측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하우징(41)을 개폐하는 개폐도어(42)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은 양측면부가 케이스(1)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41)의 양측면부에 걸림편(412)이 'ㄱ'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케이스(1)에 상기 걸림편(412)이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412)이 걸림홈(111)에 삽입되면서 하우징(41)이 자중에 의해 케이스(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도어(42)에는 A/S 등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개폐도어(42)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4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덕트(18)와 전방토출구(12)의 연결부에는 토출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와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어셈블리(19)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9)는 세균 등을 걸러내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필터(191)와, 미세먼지 등을 집진하는 집진필터(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진필터(192)는 종이필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항균필터(191)와 집진필터(192)는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필터어셈블리(19)의 일측에 필터 장착부의 개폐를 위한 도어(미도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회전식 또는 슬라이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풍장치(2)는 송풍팬(50)과, 상기 송풍팬(50)을 구동시키는 BLDC모터(6)와, 상기 송풍팬(50)의 외측에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팬하우징(21) 및, 상기 팬하우징(21)의 일측 흡입구(212) 쪽에 설치되어 BLDC모터(6)를 지지하는 서포터(80)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50)은 원심팬의 일종인 시로코팬(sirocco fan)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하우징(21)에는 흡입구(211, 212) 및 토출구(213)가 형성되는데, 상기 팬하우징(21)의 토출구(213)는 냉각된 공기가 덕트로 바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의 전방토출구(12)를 통하여 덕트(18)와 연결된다. 상기 팬하우징(21)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상기 팬하우징(21)은 직육방체 골조 형태로 연결된 팬프레임(27)에 의해 지지되면서 케이스(1) 내부에 고정된다.
도 3a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 송풍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송풍장치(2)의 송풍팬(50)에는 상기 BLDC모터(6)의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송풍팬(50)에 전달하는 샤프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8)는 BLDC모터(6)와 가까운 쪽이 상기 서포터(80) 내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2개의 베어링(69a, 69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샤프트(68)의 말단부는 팬하우징(21)의 흡입구(211) 쪽에 설치된 베어링(28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284)은 외측 베어링하우징(282) 내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외측 베어링하우징(41)은 상기 팬하우징(21)의 흡입구(211) 쪽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개 서포트브라켓(2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BLDC모터(6)는 상기 샤프트(68)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로터부싱(70)과, 상기 로터부싱(70)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부싱(70)을 통해 구동력을 샤프트(68)로 전달하는 로터(60)와, 상기 로터(60)와 더불어 BLDC모터(6)를 구성하도록 상기 로터(60)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서포터(80)상에 동심도가 유지되도록 고정되는 스테이터(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부싱(7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50)은 그의 중심축선이 상기 팬하우징(21) 상하부면 중심선에 대해 편심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팬하우징(21)의 상하부면 중심선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50)의 중심축선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 3a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팬하우징(21)과 송풍팬(50) 사이의 공간은 좌우측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1)의 상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포밍부(215)가 형성되며, 상기 팬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된 포밍부(214)는 대략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팬하우징(21) 양측 흡입구(211)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시라우드(25)가 구비된다. 상기 시라우드(25)는 팬하우징(21)의 양측 흡입구(211)(212) 주변에 체결되는 체결면(25a)과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소정곡률의 안내면(25b)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시라우드(25)는 팬하우징(21)과는 별도로 형성되나, 팬하우징(2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시라우드(25)의 두께는 끝단으로 갈수록 다른 부위에 비해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a, 도3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80)는, 볼베어링등의 상기 샤프트(68)를 지지하는 베어링(69a)(69b)들이 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하우징부(82)와, 상기 베어링하우징부(82)의 외측으로 방사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서포터(80)를 팬하우징(21)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포터 고정부(86)와, 상기 서포터 고정부(86)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터(65)를 고정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스테이터(65)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서포터(80)의 서포터 고정부(86)는 삼발이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서포터(80)는 알루미늄등의 금속재질로서, 주조(鑄造)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80)는, 상기 서포터를 팬하우징(21)에 조립시 적어도 상기 서포터의 스테이터 체결면이 팬하우징(21)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포터 고정부(86)의 끝단부가 스테이터 체결면에 비해 위쪽에 위치하도록 팬하우징(21)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80)에는 서포터 고정부(86)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88a)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리브(88a)는 스테이터 고정부(84) 및 베어링하우징부(82) 외주면에도 동시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80) 및 스테이터(65)에는, 상기 서포터(80)에 스테이터(65)를 체결시 동심도를 맞출 수 있는 위치결정돌기 및 위치결정홈(842)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포터(80)의 스테이터 고정부(84)에는 스테이터(65)와의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홈(842)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테이터(65) 상에 위치결정용 돌기(656b; 도 10참조)가 구비된다. 이 때, 위치 결정용 돌기가 서포터에 형성되고 위치결정용홈이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서포터(80)의 스테이터 고정부(84) 면상에는 모터 냉각성능을 높이기 위한 통공(8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부(82)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단턱(822a)(822b)중 하부측에 형성되는 단턱(822a)은 상기 샤프트(68) 외주면 상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중 하부측에 설치되는 하부 베어링(69a)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ㄱ"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부(82)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단턱(822a)(822b)중 상부측에 형성되는 단턱(822b)은 상부측에 설치되는 상부 베어링(69b)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부(82) 내측에 위치하며 로터(6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68)의 외주면 하부 및 상부에도, 상기 샤프트(68) 상에서의 하부 베어링 및 상부 베어링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위치결정용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80)의 베어링하우징부(82)는 상기 양측 베어링(69a)(69b) 사이의 거리가 가능한 멀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서 축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이상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양측 베어링중, 로터 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상부 베어링(69a)은 송풍팬 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하부 베어링(69b)보다 지지력 및 직경이 더 큰 베어링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지지용 베어링중 상부 베어링(69a; 도 3a 참조)은 송풍팬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팬하우징(21)과 시라우드(25)의 접촉면에는 진동을 억제하는 제진패드(2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라우드(25)의 체결면(25a)과 이에 맞닿는 팬하우징(21)의 공기흡입구(211)(212) 주변면 사이에 제진패드(26)가 개재되어, 모터의 진동이 팬하우징(2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80)의 서포터 고정부(86)와 팬하우징(21) 사이에는 제진부재(90)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진부재(90)는, 상기 팬하우징(21)에 맞닿는 본체부(901)와, 상기 서포터 고정부(86)에 형성되는 제진부재 고정홀(866)을 통해 강제로 삽입되어 서포터 고정부(86)에 고정되는 헤드부(902)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901)와 헤드부(902)를 관통하는 통공(90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진부재(90)의 헤드부(902)에는, 서포터(80)를 팬하우징(21)측에 고정시킬 때, 상기 제진부재(90)를 관통하는 볼트(15d)등의 체결부재에 작용하는 체결력에 의해 발생하는 제진부재(9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철판등 금속재로 된 커버브라켓(95)이 덧씌워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브라켓(95)은 헤드부(902)를 감쌀 수 있도록 대략 U자형으로 이루어진 철편을 말한다.
즉, 상기 제진부재(90)는 서포터 고정부(86)에 형성된 제진부재 고정홀(866) 을 통해 헤드부(902)를 강제로 밀어 넣음에 따라 본체부(901)와 헤드부(902)를 연결하는 목부분이 제진부재 고정홀(866) 주변에 걸려 고정된다. 그와 같이 된 상태에서 헤드부(902)에 커버브라켓(95)을 씌운 다음, 볼트(15d)를 커버브라켓(95) 및 제진부재(90)의 통공(930)을 관통하여 팬하우징(21)에 체결되도록 하면 상기 서포터(80)는 팬하우징(21)에 고정된다.
도 3a, 도 3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팬(50)은, 팬 내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 블레이드(52)를 연결하는 주판(54)이 구비되고, 상기 주판(54) 중심부에는 샤프트(68)와 송풍팬(50)과의 체결을 위한 부싱(56)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52)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개별 블레이드들을 상호 결속시켜 팬의 고속회전시 블레이드 유동 및 이로 인해 야기되는 소음등을 방지하는 고정판(53a)(53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56)은, 주판(54)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의 베이스부(560a)와, 상기 베이스부(560a) 중앙에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중앙에 샤프트(68) 삽입공이 구비되는 허브부(56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싱(56)은 2개의 피스로서, 주판(54)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리벳(58)에 의한 리벳팅 혹은 스크류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부싱(56)의 허브부(560b) 외주면상에는 볼트 체결공(560c)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68)의 중간부분의 외주면 상에는 조립시 상기 볼트 체결공(560c)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15f)의 압착력이 가해지는 평면구 간(685)이 형성된다.
조립시, 상기 평면구간(685)에 볼트의 압착력이 가해짐에 따라 송풍팬(50)은 샤프트(68)에 견고히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부싱(70)은, 로터프레임(60a) 하부(즉, 로터프레임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샤프트(68) 및 로터프레임(60a)과 결합되어진 것을 알 수 있으나, 상기 로터부싱(70)은 로터프레임(60a) 상부(즉, 로터프레임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샤프트(68) 및 로터프레임(60a)과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부싱(70)은, 중앙에 샤프트(68)가 끼워져 맞물리게되는 치합부(72)와, 상기 로터프레임(60a)과의 체결을 위해 상기 치합부(72) 주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로터부싱(70)의 체결부(74)에는 복수개소에 상기 로터프레임(60a)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형성된 위치결정용 결합돌기(7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터부싱(70)의 체결부(74)에는 로터프레임(60a)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용 통공(74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부싱(70)의 치합부(72) 및 체결부(74)에는 각각 보강리브(76a)(7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8) 상단부 외주면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로터부싱(70)의 치합부(72) 중앙홀 내주면에는 상호 치합을 위한 세레이션(680)(720)이 각각 형성된다.
즉, 로터부싱(70)은 체결부(74)의 체결용 통공(742)을 관통하는 볼트(15a)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로터프레임(60a)에 체결되고, 치합부(72) 중심부를 통해 삽입되어 로터부싱(70)과 세레이션 결합되는 샤프트(68)는 그 단부의 체결홀로 삽입되는 볼트(15b)에 의해 로터부싱(70)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로터부싱(70)은 철판 재질의 로터프레임(60a)과는 진동모드가 다른 절연성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로터부싱(7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로터프레임과 일체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60)는, 로터프레임(60a)과 그 내측에 설치되는 마그네트(60b)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되, 대략 사발형태인 상기 로터프레임(60a)은 생산성 및 성형성등을 고려할 때 철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로터프레임(60a)이 사출물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재질의 철판과 그 외측을 감싸는 수지 재질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로터프레임(60a)은, 대략 원판형을 이루는 바닥면(602)과, 상기 바닥면(602)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면(60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벽면(604) 상에는 그 내면에 장착되는 마그네트(60b)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면을 갖는 절곡부(604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 되고, 그 바닥면(602) 중심에는 상기 로터(60)를 샤프트(68)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15b)등의 체결부재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602b)이 형성된 허브부(602a)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로터프레임(60a)은, 대략 원판형을 이루는 바닥면(602)과, 상기 바닥면(602)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면(6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철판 재질일 경우, 상기 바닥면(602)과 측벽면(604)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측벽면(604)의 개구부 끝단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1차 절곡되고, 그 끝단이 다시 2차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면(604)의 2차 절곡 방향은 바닥면(602)쪽이다.
이와 같이, 로터프레임(60a) 측벽면(604)의 개구부측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604b)는 로터 측벽면(604)의 강성을 높여 고속 회전시의 발생하는 로터의 찌그러짐 및 이에 따른 소음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프레임(60a)의 허브부(602a) 주변에는, 상기 로터(60)의 회전시 공기를 스테이터(65)쪽으로 불어넣어 스테이터(65)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는 복수개의 냉각핀(602c)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핀(602c)은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각핀(602c)은 랜싱 가공에 의해 로터(60)의 개구부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랜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통공(602d)은 통풍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핀(602c)이 로터(60)의 개구부 측을 향하도록 바닥면(602)에 대해 90°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핀은 로터의 개구부 측이 아닌, 송풍팬 반대쪽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프레임은 두께가 1.2~2.5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며, 특히 2mm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로터프레임은 철판 재질로서 로터프레임 자체가 백요크(back-yoke)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상기 로터프레임 내측 또는 외측에 링형의 백요크가 설치되거나, 상기 로터프레임 내측에 적층형 백요크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로터프레임이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로터프레임에 별도의 백요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터프레임은, 로터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철판프레임과, 상기 철판프레임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철판프레임 둘레에 와인딩되는 링형의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로터프레임 표면에는 방청을 위해 아연피막이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터프레임 내측 또는 외측에 백요크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백요크는 마그네트와 일체화되어 설치되거나 분리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프레임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마그네트와 백요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로터프레임 내측면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되고, 로터프레임 외측면에는 백요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프레임(60a) 바닥면(602)의 냉각핀(602c)과 냉각핀(602c)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로터프레임(60a)의 강도보강을 위한 엠보싱부(602e)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부(602e) 상에는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홀(602f)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터프레임(60a)은 수지 또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싱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샤프트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터프레임과 로터부싱과 샤프트는 인서트 사출성형등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60b)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피스가 호형(弧形)을 이루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즉, 볼록한 부분이 대략 C자에 가까움으로 이를 가리켜 C자형 마그네트(60b")라고 함)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로터와 후술하는 스테이터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즉 에어갭(air-gap)은 1mm를 유지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도 3b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65)는, 티스(654a)와 베이스부(652a)로 구성된 철판을 맨 하층부터 맨 상층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으로 회전시키면서 다층구조를 이루는 환형의 스파이럴코어(65a)와,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코어를 감싸며 상기 코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볼트(15c)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스테이터(65)를 팬하우징(21)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655b)를 구비한 인슐레이터(65b)와, 상기 코어의 티스(654a)에 권선되는 코일(65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테이터의 체결부(655b)는 상기 코어 내측으로 3군데 이상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부(655b)의 높이는 코어 전체 적층 높이의 20% 이상을 이루 게 된다.
이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에 별도의 체결부위가 없을 경우, 상기 인슐레이터의 체결부(655b)는 그 높이가 전체 코어 적층 높이의 20%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야만, 모터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충분히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체결부(655b)의 체결공에는 금속튜브(65d)가 압입되거나, 상기 금속튜브(65d) 대신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를 가짐으로써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갖게 되는 스프링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스파이럴코어(65a)는, 맨 하층으로부터 맨 상층에 이르기까지 스파이럴 형태로 와인딩되어 다층구조를 이루되, 상기 스파이럴코어(65a)의 베이스부(652a)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는 복수개의 티스(654a)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파이럴코어(65a)의 베이스부(652a)에는 코어의 와인딩시 응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요입홈(656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코어(65a)는 베이스부(652a)에 형성된 통공를 관통하는 리벳(657a)에 의해 리벳팅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파이럴코어(65a)의 와인딩 시작부위와 와인딩 끝부위는 각각 접하는 베이스의 소정 부위에 용접되어 접합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65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상하 피스로 제작되어 조립됨에 따라 코어를 감싸게 된다.
별도의 상하 피스로 제작되는 경우의 인슐레이터(65b)는, 코어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어퍼(650b)와, 코어의 하부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인슐레이 터 로우어(651b)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65b)는 별도의 상하 피스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몰딩에 의해 한번에 만들어 질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코어가 수지에 인서트된 상태로 가공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65b)는 권선된 코일(65c)면 보다 상하로 더 돌출된 면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인슐레이터(65b)의 티스부에 구비되는 리브는 상기 티스부에 권선된 코일면 보다 더 돌출된 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부는 그 수직방향 길이가 송풍팬측에 설치된 샤프트 지지 베어링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베어링과 샤프트의 끝단 사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하게 된다.(도 3a 참조)
또한,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부의 체적은 상기 코일 권선부 사이의 공간의 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방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에 감기는 코일의 권선방식은 집중권 혹은 분포권 중 하나이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스테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코어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분할코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3의 스테이터(65')의 경우에는 코어로서는 스파이럴코어(65a) 대신에, 분할코어가 적용된 것이다.
상기 분할코어(65a')는 티스(654a)와 베이스부(652a)로 구성된 철판을 모재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된 형태로 제작한 후, 분할된 코어 피스들을 용접(welding)하여 하나로 연결하여서 만든 코어이다.
도면의 W는 용접부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는 분리된 피스로서 상호 조립되는 형태의 인슐레이터(65b)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15와 같이 코어가 인서트 몰드되어 인슐레이터가 코어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스테이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코어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15에 도시된 스테이터(65")의 경우에는 코어로서 스파이럴코어(65a)나 분할코어 대신에, 티스(654a)와 베이스부(652a)로 구성된 철판이 원주방향을 따라 끊어짐 없이 통짜로 이어진 통코어(65a")가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며, 통코어의 구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5에서는 코어가 인서트 몰드되어 인슐레이터가 코어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14에서와 같이 분리된 피스로서 상호 조립되는 형태의 인슐레이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테이터(65') 외주면상에 형성된 각 티스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티스 사이의 틈새를 메워 이 틈새로 인한 소음발생을 차단하는 플러그부재(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부재(67)는, 상기 스테이터의 프레임 상면에 안착되는 허브부(911)와, 상기 스테이터를 터브 후벽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테이터의 체결용 리브부에 대응하도록 허브부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용 리브부(912)와, 상기 허브부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테이터의 티스 사이의 틈을 메우게 되는 플러그팁(9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만약, 스테이터에 플러그부재(67)가 설치되지 않아 상기 스테이터(7)의 각 티스 사이의 틈새가 존재하게 되면, 모터 구동시 각 티스 틈새의 공기가 압력차로 인해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공간으로 나오면서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부딪쳐 파열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파열음 주파수와 로터 혹은 스테이터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게 되면 공명음까지 발생하게 되어 소음을 증폭시킬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테이터의 티스 사이의 틈새를 메워줄 수 있는 비자성체로 된 구조물인 플러그부재(67)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스테이터(7)에 형성된 티스 사이의 공간에 정체된 공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팁은 티스 사이의 틈을 완전히 메우는 형태일수도 있지만, 티스의 입구를 봉쇄하는 형태이면 내부공간을 굳이 채우지 않는 형태라도 무방하며, 오히려 이와 같은 구조는 스테이터의 열방출에는 보다 유리할 것이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65') 외측에 각 티스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차단막(920)을 두어, 상기 스테이터의 티스 틈새에 정체해 있는 공기와 로터의 영구자석과 스테이터의 티스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의 마찰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차단막(920)은 비자성체로서, 스테이터의 티스 외측면 전체를 감싸는 링형태의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며, 이 차단막 또한 상기한 플러그부재(91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920)은 각 티스 틈새를 개별적으로 차단하도록 단위 피스(piece)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상기 스테이터의 티스에, 상기 스테이터의 코어티스(core teeth)가 서로 동여매이도록 레이싱(lacing) 처리하여 코어티스의 진동소음을 줄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레이싱 처리는 비자성 재질의 레이싱 실(930)에 의해 행해지며, 그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실(Polyester thread)에 의해 처리된다.
이 경우에는, BLDC모터의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코어티스가 레이싱 처리되어, 모터 구동시 극성 변화에 따른 코어티스의 진동이 방지되도록 레이싱 실(930)이 코어티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함에 따라, 공진에 의한 피크 노이즈 발생이 방지됨과 더불어 오버올 노이즈(overall noise)의 수준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전원 접속용 탭 하우징 어셈블리(300)(Tap housing assembly)를 통해 BLDC모터(6)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의 코일(65c)에 순차적으로 전류가 흘러 로터(60)가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BLDC모터(6)를 구성하는 스테이터(65)의 코일(65c)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65)와 마그네트(60b) 사이에 상호 전자기력이 발생되되, 센서에서 상기 마그네트(60b)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스테이터(65)의 코일 (65c)로 전류를 순차적으로 흘려줌으로 상기 스테이터(65)와 마그네트(60b) 사이에 상호 전자기력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60b)가 고정된 로터(6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BLDC모터(6)는 토크 특성이 안정적인 영역이 넓기 때문에 다양한 회전수에서 작동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적으로 운행됨에 따라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로터(60)의 회전이 일어나면, 상기 로터(60)에 결합된 로터부싱(70) 및 이에 세레이션 결합된 샤프트(68)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68)를 통해 송풍팬(50)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송풍팬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50)의 회전에 의해 송풍력이 발생하면, 케이스(1)의 흡입구(11)를 통해 공기가 강제 흡입된다. 케이스(1) 내로 강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3)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다음, 상기 팬하우징(10)의 양측 흡입구(211)(212)를 통하여 흡입된 후 팬하우징(21)의 토출구(213) 및 케이스(1)의 전방토출구(12)를 통해 덕트(18)로 토출된다.
상기 덕트(18)로 토출된 공기는 덕트의 안내를 받아 실내로 토출되어 냉방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BLDC모터(6)에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장치(2)가 작용할 때, 상기 BLDC모터(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로서는 홀센서(200)가 적용되는데, 상기 홀센서는 마그네트와 스테이터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마그네트의 외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의 송풍장치(1)는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대부분의 회전수에서 안정적인 동시에 높은 효율을 유지하는 BLDC모터(6)가 적용되기 때문에 회전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BLDC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고, 전 회전수 영역에서 안정적인 동시에 고효율 운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별도의 서포터(80)를 이용하여 팬하우징의 흡입 풍량이 작은 쪽에 BLDC모터(6)를 효과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BLDC 모터의 일부가 상기 팬하우징(21)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함으로 송풍장치(2)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모터 직결식 구조이므로 소음 및 고장 발생, 동력손실이 줄어들게 되며, 베어링하우징이 금속재질이므로 열적 변형이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2)는 로터(60)가 철판 구조로 되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 가능하므로 성형성이 뛰어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2)는 상기 로터프레임(60a)의 바닥면(602)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측벽면(604) 상에 마그네트(60b) 안착면을 갖는 절곡부(604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마그네트(60b)를 로터 내면에 부착시 상기 안착면에 의해 마그네트(60b)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므로, 로터(60)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로터프레임(60a)의 허브부(602a) 주변에는 복수개의 냉각핀(602c)이 방사상을 이루는 한편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로터(60)의 회전시 상기 냉각핀(602c)이 공기를 스테이터쪽으로 불어넣어 스테이터(65)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핀(602c)은 랜싱 가공에 의해 로터(60)의 개구부 쪽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랜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통공(602d)은 통풍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철판 재질의 로터(6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한번에 쉽게 성형되므로 인해, 로터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60)는 로터프레임(60a) 측벽면(604)의 개구부 끝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1차 절곡되고, 그 끝단이 다시 바닥면(602) 방향으로 2차 절곡된 형태이므로, 로터프레임(60a)의 강성을 높여 고속 회전시의 발생하는 로터(60)의 찌그러짐 및 이에 따른 소음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로터(60) 바닥면(602)의 각 냉각핀(602c)과 냉각핀(602c) 사이의 영역에는 엠보싱부(602e)는 로터(60)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상기 엠보싱부(602e)에 형성된 배수홀(602f)은 모터 외측으로의 수분 배출이 가능케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로터부싱(70)은 수지 재질로서 사출성형될 수 있는데, 철판으로 된 로터프레임(60a)과는 진동모드가 달라 로터(60)의 진동이 감쇠되어 샤프트(68)로 전달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와인딩이 용이한 구조의 스파이럴코어(65a)를 채택함으로 인해 모재의 낭비를 방지함과 더불어 제조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서포터(80)의 스테이터 고정부(84)의 강성을 높여 소음 및 진동을 줄여 기계적 신뢰성 향상 및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테이터(65)를 구성하는 스파이럴코어(65a)의 베이스부(652a)에 형성된 요입홈(656a)은 코어의 와인딩시 응력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와인딩 작업이 보다 작은 힘으로 쉽게 이루어지도록 돕게 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수지재질인 인슐레이터(65b)의 체결부(655b)는 그 높이가 전체 코어 적층 높이의 20%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체결부에 금속인 코어가 위치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지니게 되어, 모터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체결부(655b)에 파손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655b)의 높이는 적층된 코어의 전체 높이가 되도록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655b)의 높이는 적층된 코어의 전체 높이 이상이 될 수도 있으나, 상기 체결부(655b)는 그 높이가 지나치게 커지면 송풍장치의 구동부 전체높이가 커져서 송풍장치를 콤팩트화하는데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므로 이를 감안하여 체결부(655b) 높이는 전체 코어 적층 높이의 2배를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655b) 상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656b)는 서포터(80)의 위치결정홈(842)에 형합됨으로써 스테이터(65)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돕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로터프레임(60a)과 진동모드가 다른 수지재질의 로터부싱(70)이 구비되어 절연성능을 확보함과 더불어 로터에서 샤프트(68)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스테이터(65)가 견고히 서포터(80)에 지지될 뿐만 아니라 스테이터의 동심도 유지가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송풍장치(2)의 팬하우징(21)이 열에 강한 금속이면서 가벼운 판재로 이루어지므로 인해 저비용이면서 제작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8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도에 대한 열적 변형이 적으며, 수분에 의한 부식이 거의 없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는 샤프트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라인 혹은 애프터서비스시 부품 해체 및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5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즉 BLDC모터(6)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송풍장치(2)의 위치 변경이 매우 용이하고, 따라서 송풍장치에 의한 공기의 토출 방향 변경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즉, 도 22와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탑커버(14)를 케이스(1)의 상부에 서 분리한 다음, 탑커버(14)의 커버패널(15)을 분리하여 케이스(1)의 전방토출구(12)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송풍장치(2)를 돌려서 팬하우징(21)의 토출구(213)가 탑커버(14)의 상부토출구(141)와 일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탑커버(14)를 케이스(1) 상면에 재결합시키면 탑커버(14)와 팬하우징(21)의 토출구(213)가 상호 일치되게 연통되면서 상측방향으로 토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와 다르게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탑커버(14)의 상부토출구(141)에 커버패널(15)(도 22참조)를 장착하지 않고, 상기 송풍장치(2)의 팬프레임(27)의 상면에 탑커버(14)의 상부토출구(141) 및 케이스(1)의 전방토출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쇄용 패널(29)을 고정되게 결합시킴으로써 토출 방향 변경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탑커버(14)를 분리하고, 송풍장치(2)를 돌려 팬하우징(21)의 토출구(213) 방향을 전환시키게 되면 폐쇄용 패널(29)이 탑커버(14)의 상부토출구(141) 또는 케이스(1)의 전방토출구(12)를 자동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탑커버(14)를 케이스(1)의 상면에 결합시키면 토출 방향의 전환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의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케이스에 하나의 송풍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나, 도 25와 도 26에 도시한 것처럼 하나의 케이스(1)에 복수개의 송풍장치를 구성하여 송풍용량을 2배로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케이스(1)에 2개의 전방토출구(12)가 개방되게 형 성되고, 케이스(1) 내부에 2개의 송풍장치(2)가 설치되되, 각 송풍장치(2)는 하나의 BLDC모터(6)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송풍장치(2) 중 제 1송풍장치(2a)에 BLDC모터(6)가 장착되고, 제 2송풍장치(2b)의 송풍팬(50)은 상기 BLDC모터(6)에 축연결된 샤프트(68)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 1송풍장치(2a)의 구성은 도 3a에 도시된 제 1송풍장치(2a)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송풍장치(2b)는 제 1송풍장치(2a)와 동일하게 팬하우징(21)과 송풍팬(50)을 구비한다. 상기 팬하우징(21)의 흡입구(211) 중 제 1송풍장치(2a)와 인접한 흡입구(212)에 서포터(80)가 고정된다. 상기 서포터(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6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9a, 69b)이 내삽된 베어링하우징(8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82)에는 제 1송풍장치(2a)의 서포터(80)와 마찬가지로 2개의 베어링(69a, 69b)이 장착될 수도 있으나, 1개 또는 3개 이상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샤프트(68)의 끝단부를 팬하우징(21)의 반대편 흡입구(211)까지 연장하고 이 흡입구(211) 부분에 샤프트(68)의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삽된 별도의 서포터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 실시예와 다르게 각각의 송풍장치에 BLDC모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송풍장치에 하나의 BLDC모터를 사용하되, BLDC모터의 로터에 2 개의 샤프트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시켜 양축 BLDC모터를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구동장치로 2개의 송풍팬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는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대부분의 회전수에서 안정적인 동시에 높은 효율을 유지하는 BLDC 모터가 적용되기 때문에 송풍팬의 회전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송풍장치가 전 회전수 영역에서 안정적인 동시에 고효율 운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송풍장치의 위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토출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여 하나의 공기조화기로 상부 토출형 공기조화기와 전방 토출형 공기조화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와 콤팩트한 크기로 하나의 케이스 내에 복수개의 송풍장치를 구성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57)

  1.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싱은 상기 로터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싱은 절연성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싱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로터프레임과 일체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은 수지 또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고, 로터부싱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샤프트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프레임과 로터부싱과 샤프트는 일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시로코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외측에서 송풍팬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팬하우징의 흡입구 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과 서포터 사이에는 팬하우징 내측으로의 공 기 유동을 안내하는 시라우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과 이에 체결되는 서포터에는 위치결정용 돌기 혹은 위치결정용홈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과 시라우드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제진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베어링이 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하우징부와,
    상기 베어링하우징부에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서포터를 팬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포터 고정부와,
    상기 서포터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고정부의 끝단부는 팬하우징 외측으로 노출 되도록 절곡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고정부의 끝단부는 스테이터 체결면에 비해 팬하우징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서포터를 팬하우징에 조립시 적어도 상기 서포터의 스테이터 체결면이 팬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고정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고정부와 팬하우징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제진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스테이터 고정부에는 스테이터와의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돌기 혹은 위치결정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 개방된 상부면에 탑커버가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 기 케이스의 토출구의 형태와 크기에 상응하는 형태와 크기의 상부토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에 상기 상부토출구 및 케이스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팬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 개방된 상부면에 탑커버가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의 형태와 크기에 상응하는 형태와 크기의 상부토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팬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팬프레임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탑커버의 상부토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쇄용 패널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내설되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 하는 각종 전기부품들이 실장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로 구성된 제어장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에 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케이스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에 'ㄱ'자형의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걸림편이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에 토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등을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세균을 걸러내는 항균필터와,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집진필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하부면이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U'자형태의 복수개의 베이스바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의 송풍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풍팬들은 하나의 BLDC모터의 로터에 연결된 샤프트에 축결합되어 동시에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풍팬들에 BLDC모터들이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송풍팬들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하우징부에 2개의 베어링이 일정 거리 이격되게 내설되어 샤프트의 2부분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중 로터로부터 먼 쪽에 있는 베어링은 송풍 팬의 내측에 위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중 로터 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베어링은 송풍팬 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베어링보다 큰 베어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은 두께가 1.2~2.5mm 범위 내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 내측 또는 외측에 링형의 백요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 내측에 적층형 백요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은 금속 재질로서 백요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3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스테이터 사이에 홀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외곽에 홀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은, 로터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철판프레임과, 상기 철판프레임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철판프레임 둘레에 와인딩되는 링형의 철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 표면에는 방청을 위해 아연이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송풍팬 쪽을 향해 돌출된 냉각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송풍팬 반대쪽을 향해 돌출된 냉각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에어갭이 1mm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코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권선된 코일면 보다 상하로 더 돌출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된 코일면 보다 더 돌출된 면은 인슐레이터의 티스부 끝단에 구비되는 리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8.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부는 그 수직방향 길이가 송풍팬측에 설치된 샤프트 지지 베어링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베어링과 샤프트의 끝단 사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부의 체적은 상기 코일 권선부 사이의 공간의 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0.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방식은 집중권임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1.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방식은 분포권임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2.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외주면상에 형성된 각 티스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티스 사이의 틈새를 메워 이 틈새로 인한 소음발생을 차단하는 플러그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3.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티스에는, 상기 스테이터의 코어티스(core teeth)가 서로 동여매이도록 레이싱(lacing)이 묶여진 것을 특징으로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4.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며, 상기 로터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5.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스테이터고정부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설된 베어링하우징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1개의 베어링은 송풍팬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6.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을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두께가 1.2~2.5mm 범위 로 형성된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57.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축연결되는 샤프트와;
    코어 및 코일과 상기 코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며 로터와 더불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터프레임 및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로터부싱과;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는 권선된 코일면 보다 상하로 더 돌출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KR1020050114327A 2005-11-28 2005-11-28 공기조화기 KR100932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327A KR100932488B1 (ko) 2005-11-28 2005-11-2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327A KR100932488B1 (ko) 2005-11-28 2005-11-2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859A true KR20070055859A (ko) 2007-05-31
KR100932488B1 KR100932488B1 (ko) 2009-12-17

Family

ID=3827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327A KR100932488B1 (ko) 2005-11-28 2005-11-2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4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35B1 (ko) * 2008-03-04 2009-12-21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전동 댐퍼의 제조방법 및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전동 댐퍼
CN106051930A (zh) * 2016-07-26 2016-10-26 刘俊星 一种风管式空调室内机的封装组件及其封装方法
KR20210133731A (ko) * 2020-04-29 2021-11-08 이범구 집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93B1 (ko) * 2012-09-17 2014-05-19 뉴모텍(주) 팬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963B1 (ko) * 2003-11-21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외기용 아우터 로터 타입 유도 모터의 원심팬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35B1 (ko) * 2008-03-04 2009-12-21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전동 댐퍼의 제조방법 및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전동 댐퍼
CN106051930A (zh) * 2016-07-26 2016-10-26 刘俊星 一种风管式空调室内机的封装组件及其封装方法
KR20210133731A (ko) * 2020-04-29 2021-11-08 이범구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488B1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809B1 (ko) 공조기용 송풍장치
KR100932488B1 (ko) 공기조화기
JP2008245362A (ja) 永久磁石モータおよび洗濯機
KR101055735B1 (ko) 공조기용 송풍장치
KR101692721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US20070290560A1 (en) Motor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ame Motor
CN1988334A (zh) 空调器用送风装置
KR10121269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47526B1 (ko) 송풍장치
KR100789826B1 (ko) 공기조화기
KR101147734B1 (ko) 송풍장치
KR101666896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20070100525A (ko) 송풍기 및 그 송풍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
KR101692722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19990081454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