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511A - Process for production of surface-functional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nductive membranes - Google Patents

Process for production of surface-functional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nductive membra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511A
KR20070055511A KR1020077004403A KR20077004403A KR20070055511A KR 20070055511 A KR20070055511 A KR 20070055511A KR 1020077004403 A KR1020077004403 A KR 1020077004403A KR 20077004403 A KR20077004403 A KR 20077004403A KR 20070055511 A KR20070055511 A KR 20070055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unctional
graft polymer
conductive film
electroless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45490B1 (en
Inventor
코이치 카와무라
타케요시 카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387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56948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392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56968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464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66180A/en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5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490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03C17/328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coating of an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Abstract

기재 상에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 등이다.A step of 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on the substrate, and adsorb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of the graft polymer to form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nd a step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nd the method of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Description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 및, 도전막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SURFACE-FUNCTIONAL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NDUCTIVE MEMBRANES}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ductive film {PROCESS FOR PRODUCTION OF SURFACE-FUNCTIONAL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NDUCTIVE MEMBRANES}

본 발명은,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 및 도전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기능성 재료를 흡착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성의 표면층을 갖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 및 도전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having a functional surface layer formed by adsorbing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

종래, 임의의 기재에 기능성의 미립자 또는 저분자(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서, 각종의 기능을 갖는 표면층을 형성한 표면기능성 부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기재 상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킨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 상에 존재하는 그래프트 폴리머에 미립자 또는 저분자를 흡착시킨 재료를 들 수 있고, 이러한 재료는 여러가지 용도에 유용하다.Conventionally, various surface functional members which adsorb | suck functional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or low molecular weight (functional material) to arbitrary base materials, and form the surface layer which has various functions are proposed. As a material which made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b | suck on a base material, the material which made the fine particle or low molecule adsorb | suck to the graft polymer which exists on a base material is mentioned, for example, These materials are useful for various uses.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지지체 상에 존재하는 그래프트 폴리머쇄에, 미립자로서 실리카 입자를 흡착시킨 것이 반사방지부재로서 유용하다라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그래프트 폴리머에 적외선 흡수 색소를 흡착시킨 막(적외선 흡수층)은 종래의 색소를 함유시켜 도포한 막에 비해, 박층이며 높은 적외선 흡수능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그래프트 폴리머는 기재 와 직접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그래프트 폴리머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킴으로써 기재와의 밀착력이 강하고, 기계적인 내마모성이나 유기용제 내성이 높고, 내구성도 우수한 표면기능성 부재가 얻어지고 있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adsorbing silica particles as fine particles to a graft polymer chain present on a support is useful as an antireflection member. Patent Literature 2 describes that a film (infrared absorbing layer) in which an infrared absorbing dye is adsorbed on a graft polymer is thinner and has a higher infrared absorbing ability than a film containing a conventional dye. In addition, since the graft polymer as described above is directly bonded to the substrate by covalent bonding, by adsorb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the graft polymer, adhesion to the substrate is strong, mechanical wear resistance and organic solvent resistance are high, and surface durability excellent in durability. Absence was obtained.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표면기능성 부재에 있어서는, 그래프트 폴리머와 흡착물질인 기능성 소재는 이온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래프트 폴리머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도, 식염수 등의 전해질 용액에 접촉시킨 경우 등에, 상기 기능성 소재가 그래프트 폴리머로부터 탈리되어 버려, 기능성 소재의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옥외에서 사용되는 재료 등에 있어서는, 빗물 등에 장기에 걸쳐서 노출되면, 기능성 소재가 그래프트 폴리머로부터 탈리되어 버리는 경향이 현저했다.However, in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graft polymer and the functional material as the adsorbent material are bonded by ionic bonds, even when the functional material is adsorbed to the graft polymer, 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such as saline solu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functional material is detached from the graft polymer and the like, and the effect of the functional material does not persist. In particular, in materials used outdoors, when exposed to rain or the like for a long time, the tendency of the functional material to detach from the graft polymer was remarkable.

이상과 같이, 표면기능성 부재에 있어서의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의 향상에 대해서는, 더 나은 개량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As mentioned above, it is a present situation that further improvement is calculated | required about the reten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in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persistence.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또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소자 등으로 대표되는 화상표시체(디스플레이)가 텔레비젼, 컴퓨터나 최근 보급되어 온 각종 모바일장치 등, 여러가지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게 되었으며, 놀라운 발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지구환경을 배려한 탈(脫) 화석 에너지의 일환으로서, 태양전지의 고기능화에 의한 보급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ly, image displays (displays) represented by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plasma displays (PDPs), and electroluminescent (EL) device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elevisions, computers, and various mobile device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widely used and is making amazing progress. In addition, as part of de-fossil energy in consider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issemination by high functionalization of solar cells.

이러한 표시소자, 태양전지에는 투명 도전막이 사용되고 있다. 이 투명 도전막은 높은 전기전도성과 가시광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 구체적으로는 파장 380∼780㎚의 범위에 있어서 80%이상의 투과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used for such a display element and a solar cell. It is preferable that this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an achiev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specifically, transmittance of 80% or more 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 to 780 nm.

당초, 도전막은 Au, Ag, Cu, Al 등의 금속을 두께 3∼15㎚정도의 박막으로 제막해서 이용하고 있었지만, 금속박막은 흡수가 크고, 또한 막강도에도 문제가 있었다. 최근, 투명 도전막으로서 유리기판 상에 주석을 도펀트로서 함유하는 산화인듐(In2O3)을 제막해서 이루어지는 소위 ITO막이라고 부르는 저저항막이 액정 등의 표시소자용 전극으로서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ITO의 경우, 출발원료가 희소 금속인 인듐이기 때문에 고가인 점에서 기판의 저비용화에는 한계가 있다.Initially, the conductive film was formed by forming a metal such as Au, Ag, Cu, Al into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 to 15 nm, but the metal thin film had a large absorption and also had a problem in film strength. In recent years, a low resistance film called an ITO film formed by forming an indium oxide (In 2 O 3 ) containing tin as a dopant on a glass substrate a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has been widely used as an electrode for display elements such as liquid crystals. However, in the case of ITO, since the starting material is indium, which is a rare metal,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cost of the substrate because it is expensive.

이 때문에, 산화아연(ZnO)을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도전막이 비용 및 안정공급의 관점에서 서서히 보급되고 있다. 이 ZnO막은 Al 등의 불순물을 첨가함으로써 ITO에 필적하는 저저항막이 얻어진다. 이러한 ZnO계 투명 도전막은 스퍼터링법 및 CVD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퍼터링법은 제조장치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아지며, 대면적의 막은 형성하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CVD법은 장치가 저렴하며, 연속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낮지만, 평활한 표면의 막을 형성하면 저항값이 오르고, 도전성이 낮아지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어느 방법을 취해도, 금속박막은 막강도가 불충분하며 내마모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For this reas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which has zinc oxide (ZnO) as a main component is gradually spreading from a viewpoint of cost and stable supply. By adding an impurity such as Al, the ZnO film obtains a low resistance film comparable to that of ITO. Such a ZnO-bas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generally produced by sputtering or CVD. The sputter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becaus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s expensive, and a large area film is difficult to be formed. In addition, the CVD method is low in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device is inexpensive and continuous production is possible, but there is a drawback that if the film having a smooth surface is formed, the resistance value increases and the conductivity becomes low. Moreover, even if any method, such as a sputtering method and a CVD method, was taken,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a metal thin film had insufficient film strength and was low in abrasion resistance.

막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금속 등의 도전성 입자를 바인더를 이용하여 기재 상에 고정화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어진 도전막은 바인더 자체는 도전성을 갖지 않고, 미립자의 고정상태에 따라서는, 도전성이 저하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충분한 막강도와 높은 도전성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했 다.In view of improving the film strength, a method of immobiliz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metal on a substrate using a binder has also been proposed. However, the conductive film obtained by this method does not have conductivity, and the conductivity may be lowered depending on the fixed state of the fine particles. Thus, the conductive film is insufficient for achieving sufficient film strength and high conductivity.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이온성 기를 갖는 표면 그래프트 중합체를 구비하는 기재를 사용하여, 그 이온성 기에 도전성 미립자를 정전적으로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도전막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이 도전막에 의하면, 도전성 미립자는 기재표면에 대해서 이온적으로 흡착되고, 고정화되어서 도전성 발현영역이 형성되는 점에서, 충분한 막강도와 높은 도전성을 양립하는 것에 일정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도전막과 같이, 이온결합에 의해 고정화된 도전성 입자는 식염수 등의 전해질 용액에 접촉된 경우 등에, 그래프트 중합체로부터 탈리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ductive film which electrostatically couples electroconductive fine particles to this ionic group using the base material provided with the surface graft polymer which has an ionic group, for example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3). .). According to this conductive film, the conductive fine particles are ionically adsorbed to the substrate surface and immobilized to form a conductive expression region, whereby a certain result can be achieved in achieving both sufficient film strength and high conductivity. However, like this conductive film,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immobilized by an ionic bond might detach | desorb from the graft polymer, for example, when it contacted electrolyte solution, such as saline.

이러한 점에서, 높은 도전성과 그 내구성에 대해서는, 더 나은 개량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esent situation is that further improvement is required for high conductivity and its durability.

또한 종래, 여러가지 도전막이 배선기판의 형성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기재표면에 형성한 동의 박막은 전기배선용의 동장 기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conductive films are conventionally used for the formation of wiring boards. For example, copper thin films formed on substrate surfaces such as polyimide are preferably used as copper-clad substrates for electrical wiring.

이러한, 회로기판 형성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폴리이미드 기판의 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동박을 점착시키고, 이 동박을 선택 에칭해서 소정 패턴의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금속층(동)과 기판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의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회로기판으로서의 내열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typical example of the circuit board forming method, there is a method of adhering a copper foil with an adhesive to the surface of a polyimide substrate, and selectively etching the copper foil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of wiring. 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heat resistance of the adhesive for bonding the metal layer (copper) and the substrate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resistance as the circuit board is lowered.

기재표면에의 금속층의 형성에 관해서는, 폴리이미드 기판에 스퍼터에 의해 금속층을 형성하고, 그 후에 도금을 행함으로써, 폴리이미드 기판 상에 동층을 형성한다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동기판 제작방법이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4 참조).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판과 동의 밀착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for the formation of the metal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ynchronous plate production method using no adhesive, which forms a copper layer on the polyimide substrate by forming a metal layer on a polyimide substrate by sputtering and then plating, is performed. It is developed (refer patent document 4). However, in this method, since no adhesive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opper is bad.

기판과 금속의 밀착성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기판표면을 에칭처리에 의해 표면 요철화하고, 앵커효과에 의해 밀착성을 개량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기판표면의 요철화는 미세배선, 및 고주파적성의 점에서 불리하게 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uneven by etching, and the adhesion may be improved by the anchor effect. However, unevenness of the substrate surfac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fine wiring and high frequency adaptability.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기재표면에 그래프트 폴리머를 결합시키고, 이 그래프트 폴리머를 개재시킴으로써 높은 밀착성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기판에 플라즈마처리를 행하고, 폴리이미드 기판표면에 중합개시기를 도입하고, 그 중합개시기로부터 모노머를 중합시켜서, 폴리이미드 기판표면에 표면 그래프트 폴리머를 도입하는 표면처리를 행함으로써, 폴리이미드 기판과 동층의 밀착성을 개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1 참조).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플라즈마처리라는 대규모의 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oint, the graft polymer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high adhesion may be expressed by interposing the graft polymer. As such a technique, for example, a surface i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to a polyimide substrate, a polymerization initiator is introduced to the surface of the polyimide substrate, and a monomer is polymerized from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introduce a surface graft polymer onto the surface of the polyimide substrate. By performing a process, the method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a polyimide substrate and a copper layer is proposed (refer nonpatent literature 1). However, this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a large-scale treatment such as plasma treatment is required.

또한 기재표면에 그래프트 폴리머를 결합시킨 경우, 기판과 금속에 충분한 밀착성은 얻어지지만, 고습도 등의 조건에서는 그래프트 폴리머로부터 금속이 벗겨져 버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When the graft polymer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sufficient adhesion to the substrate and the metal can be obtained. However, the metal may peel off from the graft polymer under conditions such as high humidity. Therefore, improvement is required.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3-112379호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112379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2003-57435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57435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개 2003-8040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8040

특허문헌4:일본 특허공개 2003-46223호 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46223

비특허문헌1:N.Inagaki, S.Tasaka, M.Masumoto, "Macromolecules", 1996년, 제29권, p.1642Non Patent Literature 1: N. Inagaki, S. Tasaka, M. Masumoto, "Macromolecules", 1996, Vol. 29, p.1642

본 발명은, 기재표면에 기능성 소재가 강고하게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갖고, 또한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이 우수한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having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in which a functional material is strongly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having excellent retention and durability of the functional material.

본 발명은, 높은 도전성을 갖고, 또한, 그 내구성이 우수한 도전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is invention provid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which has high electroconductivity and is excellent in the durability.

본 발명은, 높은 도전성 및 밀착성을 갖고, 또한, 도전성 소재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이 우수한 도전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is invention provid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which has high electroconductivity and adhesiveness, and is excellent in the retention property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ts durability.

즉 본 발명의 제1형태는, 기재 상에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이하, 적당하게 「상호작용성 기」라고 칭한다.) 및 가교성 관능기(이하, 적당하게 「가교성 기」라고 칭한다.)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이다.That is,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is a functional group (henceforth "interacting group" suitably called) which can interact with a functional material on a base material,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henceforth "crosslinkable group" suitably). Directly adhering to the graft polymer having a graft polymer; adsorbing a functional material to form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on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which has a process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said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by providing energy.

본 발명의 제2형태는, 기재 상에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상호작용성 기) 및 가교성 관능기(가교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이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p of 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nteracting group)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rosslinkable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conductive particles on a substrate, and the graft polymer ha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has a step of adsorbing the conductive particles to form a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and a step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ctiv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의 제3형태는, 기재 상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상호작용성 기) 및 가교성 관능기(가교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부여해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무전해 도금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이다.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nteracting group)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rosslinkable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on a substrate, Form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by apply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to the graft polymer, and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And it has a process of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ctiv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1.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1.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functional member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은, 기재 상에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상호작용성 기) 및 가교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이하, 적당히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이라고 함)과,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이하, 적당히 「기능성 소재 흡착층 형성공정」이라고 함)과,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가교구조 형성공정」이라고 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nteracting group) and a crosslinkable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functional material on a substrate (hereinafter,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A step of adsorb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form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formation process" as appropriate), and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By providing energy to the said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it has a process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said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henceforth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proces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은,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한 후에, 그래프트 폴리머중에 존재하는 가교성 기를 반응시켜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그래프트 폴리머중의 상호작용성 기에 흡착된 기능성 소재가 가교구조중에 내포되어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안정되게 고정화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소재 흡착층은 높은 내구성을 발휘함과 아울러,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에 대해서도 현저하게 향상된 것이라고 추측된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al material is adsorbed to an interactive group of a graft polymer bonded directly on a substrate to form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nd then a crosslinkable group present in the graft polymer is reacted. A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lthough the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lear, by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bed to the interacting group in the graft polymer is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so that it is stably immobilized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xhibiting high durability, but also remarkably improved in retain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functional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각 공정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sequentially.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the graft polymer is directly bonded onto the substrate.

이렇게, 기판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하면 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고무 협회지, 제65권, 604, 1992년, 스기이 신지 저, 「매크로 모노머에 의한 표면개질과 접 착」의 기재를 참고로 할 수 있다. 그 외에, 이하에 서술하는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Thus, as a method of forming the state in which the graft polymer is bonded on the substrate, a known method may be applied.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Surface Modification and Adhesion by Macromonomers”. In addition, the method called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described below can also be applied.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는,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raft polymer in this invention was formed by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이란, 일반적으로, 고체표면을 형성하는 고분자 화합물쇄 상에 활성종을 부여하고, 이 활성종을 기점으로 해서 별도의 단량체를 더 중합시켜, 그래프트(접목) 중합체를 합성하는 방법이다.In general,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s a method for synthesizing a graft (grafting) polymer by providing an active species on a polymer compound chain forming a solid surface, further polymerizing another monomer based on the active species. .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으로서는, 문헌에 기재된 공지의 방법을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고분자 실험학10, 고분자학회편, 1994년, 교리츠슛판(주) 발행, p135에는,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으로서, 광그래프트 중합법, 플라즈마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흡착 기술 편람, NTS(주), 타케우치 감수, 1999. 2 발행, p203, p695에는, γ선, 전자선 등의 방사선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이 기재되어 있다.As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for re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any known method described in the literature can be used. For example, Shin Molecular Experimental Science 10, Polymer Society of Japan, 1994, published by Kyoritsu Shotan Co., Ltd., p135, describes the photograft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plasma ir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as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n addition, ir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s such as gamma rays and electron beams are described in the adsorption technique manual, NTS Corporation, Takeuchi Supervision, issued Feb. 1999, p203, p695.

광그래프트 중합법의 구체적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소63-9265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296895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평11-11941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a specific method of the photografting polymerization method, the method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3-92658,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296895,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119413 can be used.

플라즈마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 방사선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에 있어서는, 상기에 기재된 문헌, 및 Y. Ikada et al, Macromolecules vol.19, page 1804(1986)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ET 등의 고분자 표면을 플 라즈마 또는 전자선으로 처리하여 표면에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그 후에 그 활성표면과 모노머를 반응시킴으로써 그래프트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In the plasma ir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t can be produced by the methods described above, and by the methods described in Y. Ikada et al, Macromolecules vol. 19, page 1804 (1986) and the like. Specifically, a graft polymer can be obtained by treating a surface of a polymer such as PET with a plasma or an electron beam to generate radicals on the surface, and then reacting the active surface with a monomer.

광그래프트 중합법은, 상기에 기재된 문헌 이외에, 일본 특허공개 소53-17407호 공보(간사이 페인트)나, 일본 특허공개 2000-212313호 공보(다이니폰잉크)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필름 기재의 표면에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후에 라디칼 중합 화합물을 접촉시켜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그래프트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The photograft polymeriza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film base material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3-17407 (Kansai Paint)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12313 (Dainippon Ink) in addition to the documents described above. A graft polymer can also be obtained by apply | coating a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then irradiating light by making a radical polymerization compound contact.

또한 기판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이들 외에, 고분자 화합물쇄의 말단에 트리알콕시실릴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부여하고, 이것과 기재표면 관능기의 커플링반응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Moreover, as a means of forming the state in which the graft polymer is couple | bonded on the board | substrate, besides these, reactive functional groups, such as a trialkoxy sil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 amino group, a hydrox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a high molecular compound chain, and this is described with this. It can also be formed by the coupling reaction of the surface functional group.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을 이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method in the case of using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는, 기재표면에 하기에 나타내는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및 가교성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을 접촉시키고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판표면에 활성점을 발생시켜서, 이 활성점과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성 기가 반응하여 표면 그래프트 중합반응이 야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ve point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y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with a polymerizable compound having an interactive group and a polymerizable compound having a crosslinkable group and imparting energy, thereby producing the active point and the polymerizable compound. Polymerizable groups react to caus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이들 중합성 화합물의 기재표면에의 접촉은 상기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중에 기재를 침지함으로써 행해도 되지만, 취급성이나 제조효율의 관점에서는, 상기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을 기판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ct of the polymerizable compound to the substrate surface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substrate in the 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lymerizable compoun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by apply | coating to.

또한 에너지의 부여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열이나, 복사선 조사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UV램프, 가시광선 등에 의한 광조사, 핫플레이트 등에 의한 가열 등이 가능하다.Moreover, as a method of providing energy, heating and radiation irradiation can be used, for example. Specifically, light irradiation by UV lamp, visible light, etc., heating by a hot plate, etc. are possible, for example.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키는 그래프트 폴리머는, 상호작용성 기 및 가교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이며, 그 폴리머 구조중에 상호작용성 기와 가교성 기를 갖고 있음으로써, 기능성 소재의 흡착 및 가교구조 형성의 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ft polymer to be directly bonded on the substrate is a graft polymer having an interactive group and a crosslinkable group, and has an interactive group and a crosslinkable group in the polymer structure, thereby adsorbing and crosslinking the functional material. Both functions of formation can be exerted.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는,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과 가교성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한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재 상에 이 공중합체인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킬 수 있다.The graft polymer in this invention is formed by copolymerization of the polymeric compound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and the polymeric compound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The graft polymer which is this copolymer on a base material by using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mentioned above. Can be combined directly.

또,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및 가교성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은 모두 모노머, 매크로머, 중합성 기를 갖는 폴리머 중 어느 형태라도 상관없지만, 중합성의 관점에서 모노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ble compound having an interactive group and the polymerizable compound having a crosslinkable group may be any of monomers, macromers and polymers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but are preferably monomers from the viewpoint of polymerizability.

그래프트 폴리머의 형성에 사용되는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 및,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각각 1종씩을 사용해도 좋고, 복수종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좋다.As a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used for formation of a graft polymer, and a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1 type may respectively be used and multiple types of monomer may be used together.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와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를, 적어도 1종씩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또한 그 이외의 다른 공중합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In formation of the graft polymer in this invention, although it is necessary to use at least 1 sort (s) of the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and a crosslinkable group, in another range other than that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You may use a copolymer monomer.

그래프트 폴리머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과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의 함유비로서는, 기능성 소재의 흡착과 가교구조 형성의 양립의 관점에서는, 몰비로, 30:70∼99:1이 바람직하고, 50:50∼95:5가 보다 바람직하게, 60:40∼90:10이 더욱 바람직하다.As a content ratio of the monomer component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in a graft polymer, and the monomer component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30: 70-99: 1 is preferable at a molar ratio from a viewpoint of compatibility of adsorption of a functional material and formation of a crosslinked structure. 50: 50-95: 5 are more preferable, and 60: 40-90: 10 are still more preferable.

또, 기능성 소재의 흡착에 관한 사항 및 가교구조 형성에 관한 사항의 상세는 후술하는 「기능성 소재 흡착층 형성공정」 및 「가교구조 형성공정」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In addition, the detail regarding the matter regarding adsorption | suction of a functional material, and the matter regarding formation of a crosslinked structure is explained in full detail in descrip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formation process" and the "crosslinking structure formation process" mentioned later.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 및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which can be used for formation of the graft polymer in this invention, and th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are demonstrated in detail.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Monomers with Interacting Groups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는, 그래프트 폴리머에 흡착시키는 기능성 소재에 따른 상호작용성을 갖는 관능기이다.The interactive group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is a functional group having interactivity according to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bed to the graft polym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호작용성 기는 기능성 소재를 흡착할 수 있는 관능기이지만, 기능성 소재가 흡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가교반응에 이용되는 구조를 갖는 관능기로서 기능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group i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adsorbing a functional material, but when the functional material is not adsorbed, it may function as a functional group having a structure used for crosslinking reaction.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로서는, 극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온성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이온성 기를 갖는 모노머(이온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s an interactive group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ar group,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 ionic group. Therefore, as a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in this invention, the monomer (ionic monomer) which has an ionic group is used preferably.

상기 이온성 모노머로서는, 암모늄, 포스포늄 등의 양의 하전을 갖는 모노머, 또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등의 음의 하전을 갖거나 음의 하전으로 해리될 수 있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As the ionic monomer, a monomer having a positive charge such as ammonium or phosphonium, or an acid group capable of dissociating with a negative charge or having a negative charge such as a sulfonic acid group, a carboxyl group, a phosphoric acid group or a phosphonic acid group A monomer etc. are mentioned.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온성 기를 형성할 수 있는 이온성 모노머란, 상기한 바와 같이, 암모늄, 포스포늄 등의 양의 하전을 갖는 모노머 또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등의 음의 하전을 갖거나 음의 하전으로 해리될 수 있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An ionic monomer capable of forming an ionic group which can be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nomer having a positive charge such as ammonium or phosphonium or a sulfonic acid group, a carboxyl group, a phosphoric acid group, a phosphonic acid group,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nd monomers having an acidic group which may have a negative charge of or dissociate into a negative charge.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 이온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다음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이타콘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산염, 알릴아민 또는 그 할로겐화 수소산염, 3-비닐프로피온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비닐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스티렌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2-술포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3-술포프로필렌(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애시드포스포옥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염,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할로겐화 수소산염, 3-트리메틸암모늄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틸암모늄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N-트리메틸-N-(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following monomers are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ionic monomer especially useful in this invention. For example, (meth) acryl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itac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allylamine or its halogenated hydrochlorides, 3-vinylpropi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vinylsulfonic acid or its alkalis Metal salts and amine salts, styrenesulf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2-sulfoethylene (meth) acrylate, 3-sulfopropylene (meth) acrylate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2-acrylamide-2-methyl Propanesulf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acid phosphooxypolyoxyeth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s or salts thereof, 2-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or their halogenated hydrochlorides, 3-trimethylammoniumpropyl (Meth) acrylate, 3-trimethylammoniumpropyl (meth) acrylamide, N, N, N-trimethyl-N- (2-hydroxy-3-methacryloyloxy Ropil) and the like ammonium chlorid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 아미드, N-모노메티롤(메타)아크릴아미드, N-디메티롤(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극성 모노머도 유용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2-hydr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N-monometholol (meth) acrylamide, N-dimetholol (meth) acrylamide, N-vinylpyrrolidone And polar monomers such as N-vinylacetamide and polyoxyeth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 are also useful.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특히, 아크릴산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음이온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Especially as a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in this invention, the monomer (anionic monomer) which has anionic functional groups, such as acrylic acid, is preferable.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group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가교성 기는, 상호작용성 기 또는, 그래프트 폴리머중에 함유되는 다른 관능기와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성 기이며, 예를 들면 수산기, 메티롤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group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is a reactive group which reacts with an interactive group or other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graft polymer to form a covalent bond. For example, a hydroxyl group, a metirol group, a glycidyl group, an isocyanate group, Functional groups, such as an amino group, are mention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용할 수 있는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즉 반응성 모노머)로서는,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In this invention, as a monomer (namely, a reactiv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which can be used, it can select from a well-known thing suitably, and can use.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것;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N-메티롤메타크릴아미드, 메티롤스테아로아미드 등의 메티롤기를 갖는 것;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것;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상품명: 카렌즈 M0I, 쇼와덴코)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 2-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 트, 2-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2-hydroxyethyl acrylate, 3-hydroxybut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3-hydroxyprop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 for example Those having a hydroxyl group such as acrylate, 3-hydroxybut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ose having a metirol group such as N-metholacrylamide, N-metholol methacrylamide, methirol stearoamide, etc .; Those having glycidyl groups such as glycidyl acrylate and glycidyl methacrylate; One having an isocyanate group such as 2-isocyanate ethyl methacrylate (for example, trade name: Carens M0I, Showa Denko); The thing which has amino groups, such as 2-aminoethyl acrylate and 2-aminoeth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기재)(materials)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판형상물이며, 필요한 가요성, 강도, 내구성 등을 만족시키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As a base material used in this invention, it is a dimensionally stable plate-shaped thing, and if it satisfies required flexibility, strength, durability, etc., it can use any, and it selects suitably according to a purpose of use.

광투과성을 필요로 하는 투명기재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유리, 플라스틱필름(예를 들면 2초산 셀룰로오스, 3초산 셀룰로오스,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낙산 셀룰로오스, 초산낙산 셀룰로오스, 질산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아세탈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기재로서는, 상기의 것에 추가해서, 종이, 플라스틱이 라미네이트된 종이, 금속판(예를 들면 알루미늄, 아연, 동 등), 상기와 같이 금속이 라미네이트 또는 증착된 종이 또는 플라스틱필름 등을 들 수 있다.In the case of selecting a transparent substrate requiring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glass, plastic film (for exampl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propionate, butyrate cellulose, butyrat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nitr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carbonate, polyvinyl acetal and the like). As the base material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that does not require transparency, in addition to the above, paper, a paper laminated with plastic, a metal plate (for example, aluminum, zinc, copper, etc.), and a metal laminated or deposited as described above Paper or a plastic film.

기재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용도 및 흡착되는 기능성 소재와의 관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되지만, 가공성,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갖는 기재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수지필름, 표면에 수지가 피복되어 있는 유리 등의 투명 무기기재, 표면층이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 중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다.Although the base material is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bed, the base material which has a surface which consists of a polymeric resin from a viewpoint of workability and transparency is preferable, Specifically, a resin film and a surface The transparent inorganic base material, such as glass in which resin is coat | covered, and the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surface layer consists of a resin layer are preferable.

표면에 수지가 피복되어 있는 기재로서는, 표면에 수지필름이 점착된 적층판, 프라이머 처리된 기재, 하드코트 처리된 기재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표 면층이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로서는 이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수지 시일재, 유리와 수지의 적층체인 접합 유리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As a base material by which resin was coat | covered on the surface, the laminated board which a resin film adhered to the surface, the base material which was treated with a primer, the hard coat process base material, etc. are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s a composite material which a surface layer consists of a resin layer, the resin sealing material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ormed in the back surface, laminated glass which is a laminated body of glass and resin, etc. are mentioned as a typical example.

예를 들면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적외선 컷 필터의 기재를 예로 들면, 창유리, 디스플레이 케이스, 렌즈 등에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시인성을 확보하고, 투과광의 색조를 변경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게 되므로, 기재 자체도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가시광영역에 흡수가 없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밝기를 확보해서 적외선에 의한 열만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가시광영역에 흡수를 갖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안료나 섬유와 같은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재료를 병용한 것이어도 좋다.For example, when using the base material of the infrared cut filter to which this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for example, when it is required for a window glass, a display case, a lens, etc., it becomes important to ensure visibility and not to change the hue of transmitted light, It is preferable to select one that is excellent in light transmittance and has no absorption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in the case of ensuring brightness and blocking only heat by infrared rays, the pigment may have absorption in the visible light region to some extent. Or a material having no light transmissivity such as fib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광투과성의 재료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재료가 바람직하다.As the light transmissive material, resin material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polystyrene, and polydiethylene glycol bisallylcarbonate are preferable.

또한 기재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서 조면화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base material may be roughe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예를 들면 상기의 적외선 컷 필터의 경우이면, 시인성을 필요로 하는 창유리나 비디오카메라, 카메라 등의 광학기계의 시감도 보정용 필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형성하는 표면 요철성상을 제어하기 위해서 표면평활성의 투명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외선 흡수제의 단위면적당의 흡착량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보다 많은 이온성 기의 도입을 꾀할 목적으로, 기재표면을 미리 조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frared cut filter described above, when applied to a filter for correcting visibility of optical machines such as window glass, video camera, and camera that require visibility, the surface smoothness is transparent to control the surface irregularities to be formed.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use a substrat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dsorption amount per unit area of the infrared absorber, it is also possible to roughen the substrate surface in adv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and introduce more ionic groups.

기재를 조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의 재질에 적합한 공지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기재가 수지필름인 경우에는, 글로우 방전처 리, 스퍼터링, 샌드블라스트 연마법, 버프 연마법, 입자부착법, 입자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가 유리판 등의 무기재료인 경우에는, 기계적으로 조면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기계적 방법으로서는, 볼 연마법, 브러시 연마법, 블라스트 연마법, 버프 연마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a method of roughening a base material, the well-known method suitable for the material of a base material can be selected.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substrate is a resin film, there may be mentioned glow discharge treatment, sputtering, sandblast polishing, buff polishing, particle adhesion, particle coating, and the like. Moreover, when a base material is inorganic materials, such as a glass plate, the method of roughening mechanically can be applied. As the mechanical method, known methods such as ball polishing, brush polishing, blast polishing, and buff polishing can be used.

-기재표면 또는 중간층-Substrate or intermediate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는,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가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표면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의 표면 자체가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이러한 특성을 갖는 중간층을 기재표면에 형성해도 좋다.The base material in this invention has the surface which the graft polymer in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can be chemically bonded. In this invention, the surface itself of a base material may have such a characteristic, and the intermediate | middle layer which has such a characteristic may be formed in a base material surface.

중간층으로서는, 특히, 광그래프트 중합법, 플라즈마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 방사선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에 의해 그래프트 폴리머를 합성하는 경우에는, 유기표면을 갖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기 폴리머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 폴리머로서는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페놀수지, 스티렌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포르말린 수지 등의 합성수지, 젤라틴, 카제인, 셀룰로오스, 전분 등의 천연수지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광그래프트 중합법, 플라즈마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 방사선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 등에서는 그래프트 중합의 개시가 유기 폴리머의 수소의 인발로부터 진행되므로, 수소가 인발되기 쉬운 폴리머, 특히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스티렌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제조적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Especially as an intermediate | middle layer, when synthesize | combining a graft polymer by the photograft polymerization method, the plasma ir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layer which has an organic surface,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a layer of an organic polymer. As organic polymers, synthetic resins such as epoxy resins, acrylic resins, urethane resins, phenol resins, styrene resins, vinyl resins, polyester resins, polyamide resins, melamine resins, formalin resins, gelatin, casein, cellulose, and starch Any of natural resins, such as these, can be used. In the photograft polymerization method, the plasma ir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the radiat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like, since the initiation of the graft polymerization proceeds from the drawing of hydrogen of the organic polymer, polymers that are easily drawn out of hydrogen, particularly acrylic resins, urethane resins and styrene resins , Vinyl resins, polyester resins, polyamide resins, epoxy resins and the like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terms of production suitability.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Layer expressing polymerization initiator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표면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화합물로서, 중합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중간층 또는 기재표면으로서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활성점을 효율좋게 발생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mpound which expresses the polymerization initiation ability by applying energy to the base surface, a polymerizable compound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are added, and forming a layer expressing the polymerization initiation capacity as an intermediate layer or the base surface is the active point. It is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generating efficiently.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이하, 적당히, 중합성 층이라고 함)은, 필요한 성분을 이들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에 용해하고, 도포 등의 방법으로 기재표면 상에 형성하고, 가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 경막(硬膜)해서 형성할 수 있다.A layer expressing polymerization initiation capability (hereinafter,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a polymerizable layer) is formed by dissolving the necessary components in a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m, and forming a surface on a substrate surface by a method such as coating and heating or light irradiation. It can be formed by dura mating.

(a) 중합성 화합물(a) polymerizable compound

중합성 층에 이용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기재와의 밀착성이 양호하며, 또한, 활성광선 조사 등의 에너지 부여에 의해 상층에 함유되는 모노머를 부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그 중에서도, 분자내에 중합성 기를 갖는 소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ble compound used for the polymerizabl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lymerizable compound has good adhesiveness to the substrate and can add a monomer contained in the upper layer by applying energy such as actinic radiation, but among others, the molecule Preference is given to hydrophobic polymers having polymerizable groups in them.

이러한 소수성 폴리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펜타디엔 등의 디엔계 단독 중합체,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2-알릴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릴기함유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Specific examples of such hydrophobic polymers include homopolymers of all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diene homopolymers such as polybutadiene, polyisoprene, and polypentadiene, allyl (meth) acrylate, and 2-allyloxyethyl methacrylate;

또한, 상기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펜타디엔 등의 디엔계 단량체또는 알릴기함유 모노머를 구성단위로서 함유하는 스티렌,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의 2원 또는 다원 공중합체;In addition, binary or multi-component copolymers with styrene, (meth) acrylic acid ester, (meth) acrylonitrile, and the like containing diene-based monomers or all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polybutadiene, polyisoprene and polypentadiene as structural units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에폭시드, 불포화 폴리아미드, 불포화 폴 리아크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분자중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선상 고분자 또는 3차원 고분자류; 등을 들 수 있다.Linear polymers or three-dimensional polymers having carbon-carbon double bonds in molecules such as unsaturated polyesters, unsaturated polyepoxides, unsaturated polyamides, unsaturated polyacryl,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Etc. can be mentioned.

또, 본 명세서에서는, 「아크릴, 메타크릴」의 쌍방 또는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경우, 「(메타)아크릴」이라고 표기하는 일이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both or any one of "acryl and methacryl" is indicated, it may be described as "(meth) acryl".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중합성 층중, 고형분이 0∼100질량%인 범위가 바람직하고, 10∼80질량%인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As for content of a polymeric compound, the range whose solid content is 0-100 mass% in a polymeric layer is preferable, and the range which is 10-80 mass% is especially preferable.

(b)중합 개시제(b) a polymerization initiator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층에는, 에너지 부여에 의해 중합개시능을 발현시키기 위한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소정의 에너지, 예를 들면 활성광선의 조사, 가열, 전자선의 조사 등에 의해, 중합개시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공지의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을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중합보다 반응속도(중합속도)가 높은 광중합을 이용하는 것이 제조적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며, 이 때문에,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meric layer in this invention contain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pressing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start ability by energy provisio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here is suitable according to the objective with the well-known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photoinitiator, etc. which can express a polymerization initiator by predetermined energy, for example, irradiation of an actinic light, heating, electron beam, etc. Can be us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photopolymerization having a higher reaction rate (polymerization rate) than thermal polymer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suitability.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use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광중합 개시제는, 조사되는 활성광선에 대해서 활성이며, 중합성 층에 함유되는 중합성 화합물과, 상층에 함유되는 중합성 기를 갖는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 개시제, 음이온 중합 개시제, 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f a photoinitiator is active with respect to the actinic light irradiated, and it is possible to superpose | polymerize the polymeric compound contained in a polymeric layer, and the compound which has a polymeric group contained in an upper layer, For example, radical polymerization An initiator, an an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etc. can be used.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ter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과 같은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옥산톤, 2-이소프로필티옥산톤과 같은 케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와 같은 벤조인에테르류; 벤질디메틸케탈,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 같은 벤질케탈류 등을 들 수 있다.As such a photoinitiator, For example, p-tert- butyl trichloro acetophenone, 2,2'- diethoxy 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Same acetophenones; Ketones such as benzophenone, 4,4'-bisdimethylaminobenzophenone, 2-chlorothioxanthone, 2-methyl thioxanthone, 2-ethyl thioxanthone, and 2-isopropyl thioxanthone; Benzoin ethers such as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and benzoin isobutyl ether; And benzyl ketals such as benzyl dimethyl ketal and 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층중, 고형분으로 0.1∼7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40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As for conten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range of 0.1-70 mass% is preferable at solid content in a polymeric layer, and the range of 1-40 mass% is especially preferable.

중합성 화합물 및 중합 개시제를 도포할 때에 사용하는 용매는 이들의 성분이 용해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의 용이성, 작업성의 관점에서는 비점이 지나치게 높지 않은 용매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비점 40℃∼150℃정도의 것을 선택하면 좋다.The solvent used when apply | coating a polymeric compound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will not be restrict | limited especially if these components melt | dissolve.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drying and workability, a solvent in which the boiling point is not too high is preferable, and specifically,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about 40 ° C to 150 ° C may be selected.

구체적으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산, 초산 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 톨루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틸아세톤, 시클로헥사논, 메탄올, 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3-메톡시 프로판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ally, ac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hexane, ethyl acetate, tetrahydrofuran, toluene,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 Acetylacetone, cyclohexanone, methanol, ethanol, 1-methoxy-2-propanol, 3-methoxy propanol, 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3-methoxypropyl acetate and the like.

이들의 용매는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포용액중의 고 형분의 농도는 2∼50질량%가 적당하다.These solv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The concentration of solids in the coating solution is preferably 2 to 50% by mass.

중합성 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경우의 도포량은 충분한 중합개시능의 발현, 및, 막성을 유지해서 막박리를 방지한다는 관점에서는 건조후의 질량이 0.1∼20g/㎡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15g/㎡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application in the case of forming the polymerizable layer on the substrate is preferably from 0.1 to 20 g / m 2, and preferably from 1 to 20 masses,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sufficient expression of polymerization initiation and maintaining film property to prevent film peelin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5 g / m <2>.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표면상에 상기의 중합성 층 형성용의 조성물을 도포 등에 의해 배치하고,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성막시켜서 중합성 층을 형성하지만, 이 때, 가열 및/또는 광조사를 행해서 경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열에 의해 건조시킨 후, 광조사를 행해서 예비 경막해 두면, 중합성 화합물의 어느 정도의 경화가 미리 행해지므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생성된 후에 중합성 층째 탈락한다라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예비경화에 광조사를 이용하는 것은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항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ymerizable layer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y coating or the like, and the film is formed by removing the solvent to form a polymerizable layer. At this time, the film is heated and / or irradiated with light to form a film. It is preferable to make it. Particularly, if the film is dried by heating and then irradiated with light to preliminarily form a certain amount of curing, the curing of the polymerizable compound is performed in advance, so that the situation that the polymerizable layer is dropped after the graft polym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Here, using light irradiation for precure is based on the same reason as described in the term of the said photoinitiator.

가열온도와 시간은 도포용제가 충분히 건조될 수 있는 조건을 선택하면 좋지만, 제조 적성의 점에서는, 온도가 100℃이하, 건조시간은 30분이내가 바람직하고, 건조온도 40∼80℃, 건조시간 10분이내의 범위의 가열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may be selected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coating solvent can be sufficiently dried. However, from the point of manufacture aptitude,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 ° C. or lower, and the drying time is preferably 30 minutes or less, and the drying temperature is 40 to 80 ° C., and the drying time 10.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heating conditions within the range.

가열 건조후에 소망에 의해 행해지는 광조사는,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케미칼 램프, 카본아크등 등이 있다. 방사선으로서는, 전자선, X선, 이온빔, 원적외선 등이 있다. 또한 g선, i선, Deep-UV광, 고밀도 에너지빔(레이저빔)도 사용된다. 계속해서 행해지는 그래프트 패턴의 형성 과, 에너지 부여에 의해 실시되는 중합성 층의 활성점과 그래프트쇄의 결합의 형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중합성 층중에 존재하는 중합성 화합물이 부분적으로 라디칼 중합되어도, 완전하게는 라디칼 중합되지 않을 정도로 광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조사시간에 대해서는 광원의 강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30분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비경화의 목표로서는, 용제세정후의 막잔존율이 10%이상으로 되고, 또한, 예비경화후의 개시제잔존율이 1%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Light irradiation performed after heating and drying as desired is a light source, for example, a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a xenon lamp, a chemical lamp, carbon arc, etc. Examples of the radiation include electron beams, X-rays, ion beams, and far infrared rays. Also g-rays, i-rays, Deep-UV light and high-density energy beams (laser beams) are also used. The polymerizable compound present in the polymerizable layer is partially radically polymerized from the viewpoint that the formation of the graft pattern subsequently carried out and the formation of the bond between the active point and the graft chain of the polymerizable layer carried out by energy application are not inhibited. Even if it is,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light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radically polymerized completely, and although it changes with the intensity | strength of a light source with respect to light irradiation tim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generally 30 minutes or less. As a target of such preliminary curing, the film residual ratio after solvent washing becomes 10% or more, and the initiator residual rate after preliminary curing is 1% or mor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시키는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서, 기재표면에 중합개시능을 갖는 화합물을 결합시키고, 이러한 화합물이 갖는 중합개시부위를 기점으로 해서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Moreover, as one of the preferable forms which produce | generate a graft polymer on the base material in this invention, the compound which combines the compound which has polymerization initiation ability on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and produces | generates the graft polymer based on the polymerization start site which such compound has as a starting point Can be mentioned.

상기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중합개시능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광개열(photofragmentation)에 의해 라디칼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중합개시부위(Y)와 기재결합부위(Q)를 갖는 화합물(이하, 적당하게 「광개열 화합물(Q-Y)」이라고 칭한다.) 등을 들 수 있다.As a compound having a polymerization initiation ability applicable to the above aspect, for example, a compound having a polymerization initiation site (Y) and a substrate bonding site (Q) capable of initiating radical polymerization by photofragmentation (hereinafter, And "photo cleaving compound (QY)" as appropriate.) Etc. are mentioned.

이하, 광개열 화합물(Q-Y)을 기재표면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ethod of bonding a photo cleavage compound (Q-Y) to a base material surface is demonstrated.

광개열 화합물(Q-Y)을 기재표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기재 상에 광개열 화합물(Q-Y)을 부여하여 기재표면과 접촉시키고, 기재표면에 존재하는 관능기(Z)와 기재결합부위(Q)를 결합시켜서, 기재표면에 광개열 화합물(Q-Y)을 도입하면 된다.In order to bind the photo cleaving compound (QY) to the substrate surface, a photo cleaving compound (QY)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bstrate surface, and the functional group (Z) and the substrate bonding site (Q) present on the substrate surface are bonded. The photo cleavage compound (QY)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bstrate surface.

기재표면에 존재하는 관능기(Z)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관능기는 실리콘 기판, 유리 기판에 있어서의 기재의 재질에 기인해서 기재표면에 원래 존재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고, 기재표면에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표면에 존재시킨 것이어도 좋다.As a functional group (Z) which exists in a base material surface,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mino group, etc. are mentioned specifically ,. These functional groups may exist original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due to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in the silicon substrate or the glass substrate, or may be present on the surface by subjecting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광개열에 의해 라디칼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중합개시부위(이하, 간단히 「중합개시부위(Y)」라고 칭한다.)는, 광에 의해 개열할 수 있는 단결합을 포함하는 구조이다.The polymerization start sit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polymerization start site (Y)") capable of initiating radical polymerization by photo cleavage is a structure including a single bond that can be cleaved by light.

이 광에 의해 개열하는 단결합으로서는, 카르보닐의 α개열, β개열반응, 광프리 전위반응, 페나실에스테르의 개열반응, 술폰이미드 개열반응, 술포닐에스테르 개열반응, N-히드록시술포닐에스테르 개열반응, 벤질이미드 개열반응, 활성 할로겐화합물의 개열반응 등을 이용해서 개열이 가능한 단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반응에 의해, 광에 의해 개열할 수 있는 단결합이 절단된다. 이 개열할 수 있는 단결합으로서는, C-C결합, C-N결합, C-O결합, C-Cl결합, N-O결합, 및 S-N결합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ingle bond cleaved by the light include α cleavage of carbonyl, β cleavage reaction, light free potential reaction, cleavage of phenacyl ester, sulfonimide cleavage reaction, sulfonyl ester cleavage reaction and N-hydroxysulfonyl The single bond which can be cleavable using ester cleavage reaction, benzylimide cleavage reaction, cleavage reaction of an active halogen compound, etc. is mentioned. By these reactions, the single bond which can be cleaved by light is cut | disconnected. Examples of the cleavable single bond include C-C bonds, C-N bonds, C-O bonds, C-Cl bonds, N-O bonds, and S-N bonds.

또한 이들 광에 의해 개열할 수 있는 단결합을 포함하는 중합개시부위(Y)는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중합의 기점이 되는 점에서, 광에 의해 개열할 수 있는 단결합이 개열되면, 그 개열반응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렇게, 광에 의해 개열할 수 있는 단결합을 갖고, 또한,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합개시부위(Y)의 구조로서는, 이하에 열거하는 기를 함유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lymerization start site (Y) containing the single bond which can be cleaved by these light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the graft polymerization 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when the single bond which can be cleaved by light cleaves, It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radicals by the cleavage reaction. Thus, the structure containing the group enumerated below as a structure of the polymerization start site | part (Y) which has a single bond which can be cleaved by light, and can generate a radical is mentioned.

방향족 케톤기, 페나실에스테르기, 술폰이미드기, 술포닐에스테르기, N-히드록시술포닐에스테르기, 벤질이미드기, 트리클로로메틸기, 벤질클로라이드기 등을 들 수 있다.Aromatic ketone group, phenacyl ester group, sulfonimide group, sulfonyl ester group, N-hydroxysulfonyl ester group, benzyl imide group, trichloromethyl group, benzyl chloride group, etc. are mentioned.

이러한 중합개시부위(Y)는 노광에 의해 개열해서, 라디칼이 발생하면, 그 라디칼 주변에 중합 가능한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라디칼이 그래프트 중합반응의 기점으로서 기능하여, 원하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할 수 있다.Such polymerization initiation site (Y) is cleaved by exposure, and when a radical is generated, when a compound capable of polymerization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radical, the radical functions as a starting point of the graft polymerization reaction to produce a desired graft polymer. Can be.

기재결합부위(Q)로서는, 기재표면에 존재하는 관능기(Z)와 반응해서 결합할 수 있는 반응성 기로 구성되고, 그 반응성 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As the base-bonding site (Q), it is composed of a reactive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and reacting with the functional group (Z) present on the substrate surface,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reactive group include the groups shown below.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1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1

중합개시부위(Y)와, 기재결합부위(Q)는 직접 결합되어 있어도 좋고, 연결기를 통해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 연결기로서는, 탄소, 질소, 산소, 및 유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자를 함유하는 연결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포화 탄소화 수소기, 방향족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우레이도기, 에테르기, 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연결기는 치환기를 더 갖고 있어도 좋고, 그 도입 가능한 치환기로서는,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start site (Y) and the base bond site (Q) may be bonded directly or may be bonded via a linking group. Examples of the linking group include a linking group containing an ato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itrogen, oxygen, and sulfur. Specifically, for example, a saturated hydrocarbon group, aromatic group, ester group, amide group, A ureido group, an ether group, an amino group, a sulfonamide group, etc. are mentioned. Moreover, this coupling group may have a substituent further, and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 halogen atom, etc. are mentioned as a substituent which can be introduce | transduced.

기재결합부위(Q)와, 중합개시부위(Y)를 갖는 화합물(Q-Y)의 구체예〔예시 화 합물1∼예시 화합물16〕를 개열부와 함께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QY) having the base-bonding site (Q)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ing site (Y) [Example compounds 1 to 16] are shown below together with the cleavage si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2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2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3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3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4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4

광개열 화합물(Q-Y)을 기재표면에 존재하는 관능기(Z)에 결합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광개열 화합물(Q-Y)을 톨루엔, 헥산, 아세톤 등의 적절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그 용액 또는 분산액을 기재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또는, 용액 또는 분산액중에 기재를 침지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면 좋다. 이 때, 용액중 또는 분산액의 광개열 화합물(Q-Y)의 농도로서는 0.01질량%∼30질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0.1질량%∼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시키는 경우의 액온으로서는 0℃∼100℃가 바람직하다. 접촉시간으로서는, 1초∼50시간이 바람직하고, 10초∼10 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As a specific method of bonding the photo cleavable compound (QY) to the functional group (Z) present on the substrate surface, the photo cleaved compound (QY)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an appropriate solvent such as toluene, hexane, acetone, and the solution or dispersion i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pply the method of apply | coating to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or the method of immersing a base material in a solution or a dispersion liquid. At this time, as a density | concentration of the photo cleavage compound (Q-Y) of a solution or a dispersion liquid, 0.01-30 mass% is preferable,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0.1 mass%-15 mass%. As liquid temperature in the case of making it contact, 0 degreeC-100 degreeC is preferable. As contact time, 1 second-50 hours are preferable, and 10 second-10 hours are more preferable.

이상과 같이 해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되고, 그런 후에, 기능성 소재 흡착층 형성공정이 행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graft polymer is bonded onto the substrate, and then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forming step is performed.

<기능성 소재 흡착층 형성공정><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formation process>

기능성 소재 흡착층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의해, 기재 상에 결합된 그래프트 폴리머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한다.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forming step,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is formed by adsorb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the graft polymer bonded on the substrate by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능성 소재는 기능성 표면의 목적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하면 좋다. 기능성 소재의 형태에 대해서도, 미립자, 저분자 등의 형태가 적당하게 선택된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the functional material in this invention suitably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a functional surface. Also with respect to the form of the functional material, forms such as fine particles and low molecules are appropriately selected.

기능성 소재가 미립자인 경우에는, 미립자의 입경도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미립자는 이온적으로 흡착되므로, 미립자의 표면전하, 이온성 기의 수에 따라 입경이나 흡착량이 제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입경은, 일반적으로는 0.1㎚∼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100㎚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functional material is fine particles, th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can als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Since the fine particles are ionically adsorb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article size and the adsorption amount are limited depending on the surface charge of the fine particles and the number of ionic groups. In general, the particle diamet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nm to 1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nm to 3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nm to 100 nm.

그래프트 폴리머에 결합되는 입자는, 극성기로서 이온성 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온성 기의 존재상태에 따라, 규칙 바르게 거의 단층상태로 배치되거나, 긴 그래프트쇄의 각각의 이온성 기에 나노 스케일의 미립자가 1개씩 흡착되어 결과적으로 다층 상태로 배열되거나 한다.Particles bound to the graft polymer are described as ionic groups as polar groups.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ionic groups, the particles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monolayer state, or nanoscale fine particles are formed in each ionic group of the long graft chain. It is adsorbed one by one and consequently arranged in a multilayer state.

다음에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예에 대해서, 표면기능성 부재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example of the functional material which can be used fo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1.기능성 소재1. Functional material

1-1. 반사방지부재용 미립자1-1. Fine particles for antireflection member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를 반사방지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소재로서, 수지 미립자,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화상표시체 표면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균일하며 우수한 반사방지능을 갖고, 화상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지 않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고, 우수한 내구성을 달성할 수 있는 반사방지 재료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면화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When us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is invention as an antireflection member,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1 type of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selected from resin fine particles and metal oxide fine particles as a functional material. By using such fin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ntireflective material which has a uniform and excellent antireflection ability which is preferably used on the surface of an image display body, can obtain a clear image without lowering image contrast, and can achieve excellent durability. The roughening member which can be provided can be provided.

수지 미립자에서는 코어라고 불리는 미립자의 중심부분은 유기 폴리머이며, 금속산화물 미립자로서는, 실리카(SiO2),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클레이, 탤크 등의 소위 투명안료, 백색안료라고 불리는 안료 미립자 등도 이하에 서술하는 바람직한 형상을 갖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In the resin fine particles, the central part of the fine particles called the core is an organic polymer, and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include silica (SiO 2 ), titanium oxide (TiO 2 ), zinc oxide (ZnO), tin oxide (SnO 2 ), and the like. Can be. In addition, so-called transparent pigments such as calcium carbonat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lay, talc, pigment fine particles called white pigments,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as long as they have the preferable shapes described below.

수지 미립자로서는 내구성의 관점에서 경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에틸렌수지,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구상 미립자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가교수지 미립자가 바람직하다.As resin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 thing with high hardness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durability, Specifically, the spherical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ich consist of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polystyrene resin, a polyethylene resin, an epoxy resin, a silicone resin, are mentioned, Especially, a crosslinking is carried out. Resin fine particles are preferable.

이 용도에 있어서는, 미립자의 입경은 100㎚∼3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20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그래프트 계면과 이온적으로 결합하는 입자는 규칙 바르게 거의 단층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조면화 부재를 특히 반사방지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사를 방지해야 할 파장(λ)에 대해서, λ/4가 되도록 막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고, 미립자의 입경은 조면화층의 막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면, 입경이 100㎚보다 작게 되면, 조면화층이 지나치게 얇아져서 반사 방지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300㎚보다 커지면, 확산반사가 크고, 백탁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투명감을 얻기 어렵고, 또한, 그래프트 계면과 이온적으로 결합하는 접촉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져서, 조면화층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생긴다.In this us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nm to 300 n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nm to 200 nm. In this embodiment, the particles which ionically bond with the graft interface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monolayer state with regularity. In particular, when the roughe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antireflection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film thickness so as to be λ / 4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λ to prevent refle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Considering that the silver roughening layer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film thickness of the silver roughening layer, when the particle diameter is smaller than 100 nm, the roughening layer tends to be too thin and the antireflection property is lowered. Since it becomes large and turbidity becomes remarkable, transparency is hard to be obtained, and the contact area which ionically couples with a graft interface becomes too small, and there exists a tendency for the intensity | strength of a roughening layer to fall.

1-2. 도전성 미립자1-2. Conductive fine particles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를 도전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소재로서, 도전성 수지 미립자, 도전성 또는 반도체의 금속 미립자, 금속산화물 미립자, 및, 금속화합물 미립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is invention as a conductive film, as a functional material, at least 1 sort (s) of microparticles selected from electroconductive resin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electroconductive or semiconductor metal microparticles, metal oxide microparticles, and metal compound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도전성 금속 미립자 또는 금속산화물 미립자로서는 비저항값이 1×103Ω·cm이하의 도전성 금속화합물 분말이면 폭넓게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은(Ag), 금(Au), 니켈(Ni), 동(Cu), 알루미늄(Al), 주석(Sn), 납(Pb), 아연(Zn), 철(Fe), 백금(Pt), 이리듐(Ir), 오스뮴(Os), 팔라듐(Pd), 로듐(Rh), 루테 늄(Ru), 텅스텐(W), 몰리브덴(Mo) 등의 단체와 그 합금 외에, 산화주석(SnO2), 산화인듐(In2O3), ITO(Indium Tin Oxide), 산화루테늄(Ru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etal fine particles or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can be widely used as long as they have a resistivity value of 1 × 10 3 Ω · cm or less of conductive metal compound powder. Specifically, for example, silver (Ag), gold (Au), nickel (Ni ), Copper (Cu), aluminum (Al), tin (Sn), lead (Pb), zinc (Zn), iron (Fe), platinum (Pt), iridium (Ir), osmium (Os), palladium (Pd) ), Rhodium (Rh), ruthenium (Ru), tungsten (W), molybdenum (Mo), and other alloys thereof, as well as tin oxide (SnO 2 ), indium oxide (In 2 O 3 ), and ITO (Indium Tin) Oxide), ruthenium oxide (RuO 2 ) and the like can be used.

또한 반도체로서의 특성을 갖는 금속산화물, 금속화합물 미립자를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In2O3, SnO2, ZnO, Cdo, TiO2, CdIn2O4, Cd2SnO2, Zn2SnO4, In2O3-ZnO 등의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 및 이들에 적합한 불순물을 도펀트시킨 재료를 사용한 미립자, 또한, MgInO, CaGaO 등의 스피넬형 화합물 미립자, TiN, ZrN, HfN 등의 도전성 질화물 미립자, LaB 등의 도전성 붕소화물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Further, metal oxides and metal compound fine particles having characteristics as semiconductors may be used, for example, In 2 O 3 , SnO 2 , ZnO, Cdo, TiO 2 , CdIn 2 O 4 , Cd 2 SnO 2 , Zn 2 SnO 4 , Fine particles using oxide semiconductor fine particles such as In 2 O 3 -ZnO, and a material doped with impurities suitable for these, fine particles of spinel compounds such as MgInO, CaGaO, conductive nitride fine particles such as TiN, ZrN, HfN, LaB, etc. Electroconductive borid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1-3.표면항균성 재료용 미립자1-3.Microparticles for Surface Antimicrobial Materials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를 항균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소재로서 항균작용, 살균작용을 갖는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is invention as an antimicrobial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metal or metal oxid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ich have an antibacterial action and a bactericidal action as a functional material.

이러한 금속(화합물) 미립자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은(Ag), 동(Cu) 등의 살균성을 갖는 금속단체와, 이들을 1종이상 함유하는 그 합금, 또는 이들의 금속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화합물 반도체로서, 형광등이나 태양광 등 자외영역의 파장을 포함하는 광의 조사에 의해 살균작용을 발현하는 산화티탄, 산화철, 산화텅스텐, 산화아연, 티탄산 스트론튬 등, 및, 이들을 백금, 금, 팔라듐, 은, 동, 니켈, 코발트, 로듐, 니오브, 주석 등으로 수식한 금속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s a material which can form such metal (compound)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Specifically, the metal body which has bactericidal properties, such as silver (Ag) and copper (Cu), the alloy containing 1 or more types of these, or these, for example And metal oxides thereof. Further, as a metal compound semiconductor, titanium oxide, iron oxide, tungsten oxide, zinc oxide, strontium titanate, and the like, which exhibit sterilization by irradiation with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such as fluorescent light or sunlight, and these are platinum, gold and palladium. And metal compounds modified with silver, copper, nickel, cobalt, rhodium, niobium, tin and the like.

1-4. 자외선 흡수부재용 미립자1-4. Particles for UV Absorption Member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를 자외선 흡수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소재로서, 예를 들면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코발트, 산화크롬,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등의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자외선 A, B영역(광파장 280∼400㎚)에 있어서의 높은 차폐기능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로서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고, 이것과 복합화시킴으로써 자외선 차폐필름·시트로서의 높은 기능과 가공성이 발현되어, 여러가지 응용이 기대된다. 또한 금속산화물의 자외선 차폐 효과를 이용해서 고분자소재의 내광성을 개량하는 것도 기대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an ultraviolet absorbing member, as the functional material, for example, metal oxide fine particles such as iron oxide, titanium oxide, zinc oxide, cobalt oxide, chromium oxide, tin oxide, and antimony oxide ar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since it has a high shielding function in the ultraviolet-ray A, B area | region (light wavelength of 280-400 nm).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olymer compound as the base material and complexing it with this, a high function and workability as an ultraviolet shielding film sheet are expressed,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expected. It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light resistance of the polymer material by using the ultraviolet shielding effect of the metal oxide.

1-5. 광학재료용 미립자1-5. Fine Particles for Optical Materials

광학기기에 이용되는 컬러필터, 샤프 컷 필터, 비선형 광학재료 등에 사용하는 기능성 소재로서는, CdS, CdSe 등의 반도체 또는 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로서, 실리카 유리 또는 알루미나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컬러필터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뿐만 아니라, 3차의 광비선형 감수율이 큰 것이 확인된 후, 광스위치, 광메모리용 재료 등의 비선형 광학재료로서 기대된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미립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금, 백금, 은, 팔라듐 등의 귀금속 또는 그 합금 등을 들 수 있고, 안정성의 관점에서, 금, 백금 등의 알칼리에 의해 급격하게 용해되지 않는 물질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As a functional material used for a color filter, a sharp cut filter, a nonlinear optical material, etc. which are used for an optical devic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ich consist of semiconductors, such as CdS and CdSe, or metals, such as gold, are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using silica glass or alumina glass as the base material, it is not only preferably used for color filters and the like, but also after confirming that the third optical nonlinear susceptibility is large, nonlinear optics such as optical switches and optical memory materials. It is expected as a material. Specific examples of the fine particles used herein include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platinum, silver and palladium, alloys thereof, and the like. Substances which are not rapidly dissolved by alkali such as gold and platinum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etc. These are mentioned preferably.

또한 비선형 광학재료로서 바람직한 금속(화합물)의 초미립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금(Au), 은(Ag), 동(Cu), 백금(Pt), 팔라듐(Pd), 로듐(Rh), 오 스뮴(Os), 철(Fe), 니켈(Ni), 루테늄(Ru) 등의 단체와, 이들을 1종이상 함유하는 그 합금으로서, 10∼1000Å의 평균 입자지름을 갖는 초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 이 입자지름은 1차입자, 2차입자 중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가시광선을 산란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톨루엔 등의 용제중에 독립 분산시킨 입경 10㎚이하의, Au, Pt, Pd, Rh, Ag에서 선택된 귀금속 미립자, 또는 Ti, V, Cr, Mn, Fe, Ni, Cu, Zn, Cd, Y, W, Sn, Ge, In, Ga에서 선택된 금속미립자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As the ultrafine particles of a metal (compound), which is preferable as a nonlinear optical material, specifically, for example, gold (Au), silver (Ag), copper (Cu), platinum (Pt), palladium (Pd), and rhodium (Rh) And ultra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000 GPa can be cited as the single-element such as osmium (Os), iron (Fe), nickel (Ni), ruthenium (Ru), and the alloy containing one or more thereof. . The particle diameter may be either primary particles or secondary particles, but it is preferable not to scatter visible light. Among them, precious metal fine particles selected from Au, Pt, Pd, Rh, Ag or less,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nm or less dispersed in a solvent such as toluene, or Ti, V, Cr, Mn, Fe, Ni, Cu, Zn, Cd, Metal fine particles selected from Y, W, Sn, Ge, In, and Ga are mentioned preferably.

이들 초미립자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 즉 졸겔법, 함침법, 스퍼터법, 이온 주입법, 또는 용융 석출법 등에 의해 비선형 광학재료를 제작하는 경우, 미립자가 매우 응집되기 쉽기 때문에, 복합물중의 미립자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미립자의 농도가 낮고, 물리특성에 미립자가 기여하는 비율이 작은 것은 용도가 한정되어 3차의 비선형 광학효과를 이용한 화상 메모리, 광집적회로 등에는 맞지 않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미립자는 기재표면의 이온성 기에 직접 이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이온성 기는 그래프트에 의해 고밀도로 존재하므로, 미립자농도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광학재료중에 있어서, 이러한 비선형 광학재료 용도에 특히 바람직하다라고 할 수 있다.Using these ultra-fine particles, when producing nonlinear optical materials by conventional methods, i.e., sol-gel method, impregnation method, sputtering method, ion implantation method, melt precipitation method, or the like, the fine particles tend to aggregate very much, so that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 in the composite It has become difficult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r a problem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ivity has occurred. In particular, the low concentration of the fine particles and the small contribution of the fine particles to physical properties are limited in their use, and are not suitable for image memories,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nd the like using third-order nonlinear optic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particles are ionically bonded to the ionic group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since the ionic groups are present at high density by the graft,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 can be easily increased. It is said that it is especially preferable for a nonlinear optical material use.

1-6. 가스배리어 필름용 미립자1-6. Fine particles for gas barrier film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를 가스배리어 필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소재로서,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알루미나, 산화마 그네슘, 산화주석과 같은 무기화합물, 또는 알루미늄, 주석, 아연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초미분말, 즉 평균 입자지름이 100㎚이하, 바람직하게는 50㎚이하인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미분말은, 상기의 무기화합물이나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초미분말로서 산화규소와 같은 절연성 무기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부재 전체에 절연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초미분말은 특히 초미분말화가 용이한 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us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a gas barrier film, the functional material may be an inorganic compound such as silicon oxide, zirconium oxide, titanium oxide, alumina, magnesium oxide, tin oxide, or aluminum, tin, It is preferable to use ultrafine powder made of a metal such as zinc, that is,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or less, preferably 50 nm or less. The ultra fine powder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mixture of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above inorganic compounds and metals. By using an insulating inorganic compound such as silicon oxide as the ultra fine powder, it is possible to make the whole functional member insulating. The ultrafine powder is particularly preferably silicon oxide which is easy to ultrafine powder.

또한 기재로서는, 가스배리어성이 높은 유기 수지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base material, an organic resin film having high gas barrier properties,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amide, polypropylene,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polyvinyl alcohol, or the like is preferably used.

1-7. 유기 발광소자용 미립자1-7. Fine particles for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는, 기능성 소재로서, 핫캐리어에 의한 여기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색소분자가 응집된 미립자를 사용하여, 전극을 갖는 기재표면에 이들에 의한 층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발광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유기색소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지만, 물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체 광기능소자의 사용목적 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선택된다.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forming a layer thereof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having electrodes using a fine particle in which organic dye molecules which emit light by excitation by a hot carrier are aggregated as a functional material. Can be formed. Examples of the organic dyes used herein include the following, but of course, the organic dyes are not limited to these and ar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use of the solid optical functional element.

p-비스[2-(5-페닐옥사졸)]벤젠(POPOP) 등의 청색 발광의 옥사졸계 색소; 쿠마린2, 쿠마린6, 쿠마린7, 쿠마린24, 쿠마린30, 쿠마린102, 쿠마린540 등의 녹색 발광의 쿠마린계 색소; 로다민6G, 로다민B, 로다민101, 로다민110, 로다민590, 로 다민640 등의 적색 발광의 로다민계 (적색)색소; 및 옥사진1, 옥사진4, 옥사진9, 옥사진118 등의 근적외영역의 발광이 얻어지고, 특히 광통신에 적합한 광기능소자에 바람직한 옥사진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blue luminescent dyes such as p-bis [2- (5-phenyloxazole)] benzene (POPOP); Green light-emitting coumarin pigments such as coumarin 2, coumarin 6, coumarin 7, coumarin 24, coumarin 30, coumarin 102, coumarin 540; Rhodamine-based (red) pigments of red luminescence such as rhodamine 6G, rhodamine B, rhodamine 101, rhodamine 110, rhodamine 590 and rhodamine 640; And light emission of near-infrared regions such as oxazine 1, oxazine 4, oxazine 9, and oxazine 118 can be obtained, and particularly preferred are oxazine dyes suitable for optical functional elements suitable for optical communication.

또한 프탈로시아닌, 요오드화 시아닌 화합물 등의 시아닌계 색소 등도 들 수 있다. 또, 이들 색소를 선택할 때, 아크릴수지 등의 고분자에 용해되기 쉬운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박막형성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이러한 색소로서는, POPOP, 쿠마린2, 쿠마린6, 쿠마린30, 로다민6G, 로다민B, 로다민101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cyanine pigment | dyes, such as a phthalocyanine and an iodide cyanine compound, are mentioned. Moreover, when selecting these pigment | dye, it is preferable for the purpose of thin film formation to select the thing which is easy to melt | dissolve in polymers, such as an acrylic resin. As such a pigment | dye, POPOP, coumarin 2, coumarin 6, coumarin 30, rhodamine 6G, rhodamine B, rhodamine 101, etc. are mentioned.

또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막에 사용되는 유기분자, 예를 들면 8-히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AlQ3), 1,4비스(2,2디페닐비닐)비페닐,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PV) 유도체, 디스티릴아릴렌 유도체, 스티릴비페닐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등, 또는 상기 유기분자에 첨가물을 첨가한 매체 등에 의해 형성된 미립자이어도 좋다.In addition, organic molecules used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 membranes, for example, 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 3 ), 1,4bis (2,2diphenylvinyl) biphenyl, polyparaphenylenevinyl The fine particles formed by a ethylene (PPV) derivative, a distyryl arylene derivative, a styryl biphenyl derivative, a phenanthroline derivative or the like, or a medium in which an additive is added to the organic molecule may be used.

1-8. 적외선 흡수부재(적외선 컷 필터)용 소재1-8. Infrared absorbing material (infrared cut filter)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를 적외선 컷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소재로서 적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When us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is invention as an infrared cut filter, an infrared absorber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적외선 흡수제로서는, 파장 760㎚∼1200㎚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외선 흡수성 염료(적외선 흡수 색소)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색소로서는 내광 견뢰도가 높은 것이 안정성,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투명성, 즉 가시광선의 투과성이 우수한 적외선 컷 필터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극대흡수가 장파장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infrared absorber, the infrared absorbing dye (infrared absorbing dye)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wavelength 760nm-1200nm is mentioned preferably. As the infrared absorbing dye, a high light fastne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and durability, and in order to obtain an infrared cut filter excellent in transparency, i.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absorption is at the long wavelength side.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시아닌 색소를 포함하는 폴리메틴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나프토퀴논·안트라퀴논계 색소, 디티올 금속착체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아미늄·디임모늄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피릴륨·티오피릴륨계, 스쿠와릴륨계 등의 폴리메틴 색소가 바람직하고, 또한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극대 흡수 파장을 900㎚를 초과하는 장파장역에 갖는 아미늄·디임모늄계 색소가 바람직하다.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polymethine dyes containing cyanine dyes, phthalocyanine dyes, naphthoquinone and anthraquinone dyes, dithiol metal complex dyes, triphenylmethane dyes, and aluminum-diimmonium dyes. Can be.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polymethine pigments such as pyryllium thiopyryllium series and squarylium series are preferable, and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aluminum di having a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in a long wavelength region exceeding 900 nm. Immonium pigment | dye is preferable.

이들 적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케다 츄산로 등 편 「특수기능 색소-기술과 시장-」(CMC사, 1986년)에 기록표시용의 색소로서 기재되어 있는 각종 적외선 흡수 색소나 안경 렌즈에 사용하는 적외선 흡수 색소 등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출한 일본 특허출원 2001-4748호 명세서 단락번호 〔0039〕∼〔0065〕에 광열 변환제로서 예시되는 염료 등도 적용 가능하다.As these infrared absorbers, it is used for various infrared absorbing dyes and spectacle lenses which are described as pigments for recording display in, for example, "Special Function Dye-Technology and Market-" (CMC, 1986) et al. An infrared absorbing dye etc. can also be used suitably. Moreover, the dye etc. which are illustrated as a photothermal conversion agent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1-4748 specification Paragraph No. 0039-0065 which the applicant of this application submitted first are also applicable.

이상, 1-1∼1-8에 있어서,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의 응용예와 그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기능성 소재를 구체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한쪽 면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와 결합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기능성 소재의 종류를 선택해서 이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기능성 소재가 갖는 물성을 살린 기능성의 표면을 갖는 부재를 여러가지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application example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is invention and the functional material used preferably in the said field were given the specific example in 1-1 to 1-8,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t least By selecting a type of a functional material having a physical property that can be bonded to the graft polymer and a combination of these, a substrate having a graft polymer bonded to one side thereof and appropriately combining the members having various functional surfaces util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unctional material Needless to say.

2. 기능성 소재의 물성(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관능기와 이온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의 하전)에 대해서 2. Phys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materials (charges when ionic bonds with functional groups of graft polymers)

기능성 소재의 물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미립자와 같이 그 자체 하전을 갖는 것인 경우나, 적외선 흡수제와 같이 통상은 도포액중에서 이온으로 해리되어 있는 상태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면, 상기 기능성 소재가 갖는 하전과는 반대의 이온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선택해서 이것을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층에 상기 기능성 소재를 그대로 흡착시킬 수 있다.As f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unctional material, the functional material is a case in which it has its own charge such as silica fine particles, or in the case of using a state that is normally dissociated with ions in the coating liquid, such as an infrared absorber. The graft polymer having an ionic group opposite to the charged charge can be selected and the functional material can be adsorbed as it is to the graft polymer layer bonded thereto.

또한 기능성 부재가 미립자인 경우에는, 이온성 기와 흡착시킬 목적으로, 공지의 방법에 의해 표면에 고밀도로 하전을 갖는 미립자를 제작하고, 그것을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이온성 기에 흡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미립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when a functional member is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order to make it adsorb | suck with an ionic group, the particle | grains which have a high density of charge on the surface can be produced by a well-known method, and it can adsorb | suck to the ionic group which a graft polymer has. In such a case, it becomes possible to widen the selection of the fine particles.

기능성 소재는, 기재 상에 존재하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이온성 기에 흡착할 수 있는 최대량으로 결합되는 것이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The functional material is preferably bonded in terms of durability in the maximum amount that can be adsorbed to the ionic groups of the graft polymer present on the substrate.

예를 들면 기능성 소재로서 미립자가 이용되는 경우이면, 기능성 표면에 있어서의 기능성 발현의 효율에서는, 미립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의 분산농도는 0.01∼10질량%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흡수제 등의 이온으로 해리되어 있는 소재를 함유하는 도포액이 이용되는 경우이면, 도포액중의 기능성 소재의 농도는 0.01∼10질량%정도가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about 0.01-10 mass% of the dispersion concentration of the dispersion liquid contain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s preferable at the efficiency of functional expression on a functional surface. Moreover, when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material dissociated with the ions, such as an infrared absorber, is used, about 0.01-10 mass% is preferable for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in a coating liquid.

3. 기능성 소재 흡착의 형태 3. Form of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그래프트 폴리머층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기능성 소재를 용해 또는 분산시킨 액을 그래프트 폴리머가 직접 결합된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 및, 표면상에 하전을 갖는 미립자의 분산액중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직접 결합된 기재를 침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 침지 중 어느 경우에나, 과잉량의 기능성 소재가 공급되어, 그래프트 폴리머층과의 사이에 충분한 흡착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용해, 분산액과,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된 표면을 갖는 기재와의 접촉시간은 10초∼180분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분∼100분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s a method of adsorbing a functional material to the graft polymer layer to form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 method of dissolving or dispersing a functional material on a substrate directly bonded to the graft polymer, and fine particles having a charge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method of immersing the base material to which the graft polymer is directly bonded in the dispersion solution. In either case of application or dipping, in order to supply an excess amount of functional material and to perform sufficient adsorption with the graft polymer layer,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dissolution, the dispersion and the substrate having the surface to which the graft polymer is bonded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10 second-180 minute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1 minute-about 100 minutes.

기능성 소재 흡착의 구체적인 형태의 예로서, 하기 (1) 및 (2)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following (1) and (2) are mentioned as an example of the specific form of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1) 상호작용성 기로서, 양의 전하를 갖는 암모늄과 같은 이온성 모노머를 이용하여 기재표면에 이온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쇄를 도입하고, 그 후에 실리카 미립자 분산액에 이 기재를 소정시간 침지하고, 그 후에 여분의 분산액을 물에 의해 세정, 제거함으로써 투명기재의 표면에는 실리카 미립자가, 이온성 기의 존재밀도에 따라 거의 1층의 상태에서 다층의 상태까지 모두 치밀하게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미립자 흡착층(기능성 소재 흡착층)이 형성된다.(1) A graft polymer chain having an ionic group is introduced in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using an ionic monomer such as ammonium having a positive charge as the interactive group, and then the substrate is immersed in the silica fine particle dispers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at, the extra dispersion liquid is washed and removed with water, whereby fine particles ar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which the fine particles of silica are adsorbed densely from almost one layer to a multilayered state depending on the density of ionic groups.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is formed.

(2)양의 전하를 갖는 암모늄과 같은 이온성 모노머를 이용하여 투명기재의 표면에 이온성 기를 도입하고, 그 후에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메르캅토나프톨 금속 착염(극대 흡수 파장:1110㎚)의 분산액에 이 기재를 소정시간 침지하고, 그 후에 여분의 분산액을 물에 의해 세정, 제거함으로써 투명기재의 표면에는 적외선 흡수제가 치밀하게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적외선 흡수층(기능성 소재 흡착층)이 형성된다.(2) Dispersion liquid of mercaptonnaphthol metal complex salt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1110 nm)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by introducing an ionic group to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using an ionic monomer such as ammonium having a positive charge. The substrate is immer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which the excess dispersion is washed and removed with water to form an infrared absorption layer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in which an infrared absorber is tightly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5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5

이렇게 해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능성 소재 흡착층의 막두께는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내상처성이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는 0.001㎛∼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1㎛∼5㎛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0.03㎛∼2㎛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can be formed. Although the film thickness of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from a viewpoint of scratch resistance, transparency, etc., the range of 0.001 micrometer-10 micrometers is generally preferable, The range of 0.01 micrometer-5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The range of 0.03 micrometer-2 micrometers is the most preferable.

<가교구조 형성공정><Crosslink Structure Forming Process>

가교구조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능성 소재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한다.In the crosslinking structure forming step, a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formed by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step.

가교구조 형성에 있어서는, (1)기능성 소재가 흡착되어 있지 않은 상호작용성 기가 가교구조 형성에 이용되는 형태이어도 좋고, (2)상호작용성 기는 기능성 소재를 흡착할 뿐이며 가교구조 형성에 이용되지 않는 형태이어도 좋다.In the formation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1) an interactive group in which the functional material is not adsorbed may be used to form the crosslinked structure, and (2) the interactive group only adsorbs the functional material and is not used to form the crosslinked structure. It may be in the form.

상기 (1) 및 (2)의 가교구조 형성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의 예는 이하와 같다.Examples of the graft polymer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of the above (1) and (2) are as follows.

상기 (1)의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그래프트 폴리머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글리시딜기를 갖는 모노머의 2원 중합체인 경우를 들 수 있다.As said (1), the case where the graft polymer is a binary polymer of the monomer which has a carboxyl group, and the monomer which has glycidyl group is mentioned, for example.

상기 (2)의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그래프트 폴리머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 노머와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의 3원 중합체인 경우나, 그래프트 폴리머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등의 그 자신이 반응해서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모노머의 2원 중합체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As the case of (2) above, for example, when the graft polymer is a ternary polymer of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 monomer having an isocyanate group, the graft polymer has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N-metholol The case where it is a binary polymer of the monomer which can react by itself, such as acrylamide, and can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etc. are mentioned.

가교반응은 기능성 소재 흡착층에 대해서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과는 다른 조건의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발생된다. 에너지 부여의 형태로서는, 가열, 광조사, 초음파, 전자선 조사 등을 들 수 있다.The crosslinking reaction is generated by imparting energy to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under conditions different from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As an aspect of energy provision, heating, light irradiation, an ultrasonic wave, electron beam irradiation, etc. are mention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열에 의해 가교구조를 형성시키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인 카르복실기와 가교성 기인 글리시딜기의 반응을 들 수 있다.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form which forms a crosslinked structure by heating. As a specific example, reaction of the carboxyl group which is an interaction which a graft polymer has, and the glycidyl group which is a crosslinkable group is mentioned.

에너지 부여가 가열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이면, 가열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히터를 사용한 오븐, 핫플레이트,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을 사용한 광열변환에 의한 가열 등을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energy supply is performed by heating, for example, an oven using a heater, a hot plate, heating by photothermal conversion using infrared rays or visible light,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heating means.

또한 가열처리는, 형성되는 그래프트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50℃∼300℃에서 0.1초∼60분정도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In addition, although heat processing changes also with the kind of graft polymer formed, it heats at 50 degreeC-300 degreeC for about 0.1 second-60 minutes.

에너지 부여가 광조사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이면, 광조사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저압∼초고압까지의 각 수은등, 메탈할라이드램프, Xe램프 등의 자외로부터 가시역까지의 광원 등을 이용할 수 있다.If the energy application is performed by light irradiation, as the light irradiation means, for example, light sources from ultraviolet to visible range such as mercury lamps from low pressure to ultra high pressure, metal halide lamps, Xe lamps, and the like can be used.

또,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구조에 있어서의 가교율은 용매에 일정시간 침지한 후의 가교막(기능성 소재 흡착층)의 중량 증가율로 어림잡을 수 있다. 용매는 형성된 막과 가장 친화성이 높은 용매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그래프트 폴리머가 극성 모노머 또는 이온성 모노머를 함유해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물,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가교된 막의 바람직한 중량 증가율은 3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이하이다.In addition, the crosslinking rate in the crosslinking structure formed by this invention can be estimated by the weight increase rate of the crosslinked film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fter immersion in a solvent for a fixed time. The solvent is selected from a solvent having the highest affinity with the formed film. When the graft polymer is composed of a polar monomer or an ionic monomer, water or N, N-dimethylacetamide or the like can be selected. The preferred weight increase rate of the crosslinked membrane is 30% or less, more preferably 10%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 or les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각 공정에 의해, 표면기능성 부재(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is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each process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demonstrated above.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기판 상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적외선 흡수제나 실리카로 대표되는 금속산화물 미립자 등의 특정의 기능을 갖는 소재(기능성 소재)가 정전기적으로 고밀도로 균일하게 흡착된 내구성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기능성 소재가 단층상태 또는 다층상태로 흡착된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표면은 기능성 소재의 물성을 그대로 반영한 기능성 표면이 된다. 또한,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기능성 소재가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안정되게 고정화되는 점에서, 표면기능성 부재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기인해서 기능성 소재의 탈리가 생기는 일도 없어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을 지속시킬 수 있다.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n infrared absorber or metal oxide fine particles represented by silica to an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by directly bonding the graft polymer onto a substrate (functional material). Has a durabl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which is electrostatically and uniformly adsorbed with high densit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rface layer in which the functional material is adsorbed in a monolayer or multilayered state is formed on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without using a binder, the surface reflec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unctional material as it is. Becomes a functional surface. In addition, since the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the functional material is stably fixed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nd thus the desorp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does not occur due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is used, and thus the reten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is maintained. Can continue.

예를 들면 기능성 소재로서 조면화 부재용의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이면, 미립자의 형상이 균일한 요철성을 갖고, 균일하며 치밀한 요철을 갖는 조면화층이 형성된다. 이 조면화 부재를 반사방지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이면, 높은 반사방지능이 달성되면서 그 층자체는 박층이며, 기재로서 투명기재를 사용함으로써 광투과성을 방해할 우려가 없어지는 점에서, 반사형 뿐만 아니라, 투과형의 화상표시체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for a roughening member ar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the roughening layer which has a uniform unevenness | corrugation property, and a uniform and dense unevenness | corrugation is formed. When the roughening member is used as an antireflection material, the layer itself is a thin layer while high antireflection performance is achieved, and in addition to the reflection type in that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used as the base material, there is no fear of disturbing light transmittance. It can be used suitably also for a transmissive image display body.

기능성 소재로서 적외선 흡수제를 사용한 경우이면,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극성기(이온성 기)에, 시아닌 색소로 대표되는 적외선 흡수제가 정전기적으로 고밀도로 균일하게 흡착된 층이 형성된 적외선 흡수부재(적외선 컷 필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컷 필터에 있어서는, 적외선 흡수제가 적외선 컷 필터 표면에 국재하는 점에서, 균일하며, 또한, 흡착된 적외선 흡수제의 양에 비해 높은 적외선 컷성을 갖는 적외선 흡수층(기능성 소재 흡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적외선 컷 필터를 열차단용의 필터 등에 사용한 경우, 높은 적외선 흡수능이 달성되면서 그 층자체는 박층이며, 기재로서 투명기재를 사용함으로써 가시광선의 투과성을 방해할 우려가 없어지는 점에서,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고, 투과광의 색조를 바꾸는 일도 없다.In the case of using an infrared absorber as a functional material, an infrared absorbing member (infrared cut filter) having a layer in which the infrared absorber represented by the cyanine dye is uniformly and statically adsorbed on the polar group (ionic group) of the graft polymer. You can do In such an infrared cut filter, since an infrared absorber is localized on the surface of an infrared cut filter, the infrared absorbing layer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which is uniform and has infrared cut property high compared with the quantity of the absorbed infrared absorber is formed. . In addition, when this infrared cut filter is used for a filter for heat shielding, the layer itself is a thin layer while high infrared absorption ability is achieved, and the visibility is prevented from using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s a base material so that there is no fear of impeding the transmission of visible light. It does not disturb and does not change the hue of transmitted ligh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능성 소재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기능성 소재의 특성을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소재가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기능성 소재 흡착층은 임의의 기재표면에 비교적 간이한 처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우수한 기능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 흡착층의 내구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다용한 목적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s mentioned above, in this invention, the characteristic of a functional material can be reflected by selecting a functional material suitably. In additio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in which the functional material is adsorbed can be formed by a relatively simple treatment on any substrate surface. Moreover, since the durability of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which can express the outstanding functionality is favorabl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uitably for a versatile purpose.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용도에 관해서 또한 예시하면, 기능성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도전성의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기 능성 표면에 전자·전기적 기능을 페라이트입자 등의 자성체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자기적 기능을, 특정의 파장의 광을 흡수, 반사, 산란하는 미립자를 이용하여 광학적 기능을, 이라고 하는 여러가지의 기능을 기능성 표면에 발현시킬 수 있으며, 여러가지의 공업제품, 의약품, 촉매, 배리스터(가변저항기), 도료, 화장품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의 미립자 구성재료가 갖는 이들의 다종다양한 기능에 추가해서, 기재로서 고분자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고분자재료가 갖는 성형가공의 용이성도 이용할 수 있어 새로운 재료의 개발도 기대된다.Further illustrating the use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a functional material, by using conductive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by using magnetic fine particles such as ferrite particles for electronic and electrical functions on the functional surface By using microparticles that absorb, reflect and scatter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magnetic functions can be expressed on the functional surface,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optical products and various industrial products, medicines, catalysts and varistors ( Variable resistor), paint, cosmetics, etc.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In addition to these various functions possessed by various fine particle constituent materials, the use of a polymer material as a base material also makes it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the ease of forming and processing of the polymer material, and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is also expected.

적용범위의 구체예를 서술하면, 예를 들면 광학부품, 선글라스, 자외선·가시광·적외선 등의 광에 대한, 차폐필름, 차폐유리, 차광창, 차광용기, 차광플라스틱병 등에의 적용, 항균성 필름, 미생물 제균필터, 항균성 플라스틱 성형체, 어망, 텔레비젼용 부품, 전화기용 부품, OA기기용 부품, 전기청소기용 부품, 선풍기용 부품, 에어컨디셔너용 부품, 냉장고용 부품, 세탁기용 부품, 가습기용 부품, 식기건조기용 부품 등의 각종의 OA기기나 가전제품, 또는 변좌, 세면대용 부품 등의 위생용품, 그 밖의 건재, 차량부품, 일용품, 완구, 잡화 등의 폭넓은 용도를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pplication range include, for example, application to shielding films, shielding glasses, shading windows, shading containers, shading plastic bottles, and the like against optical parts, sunglasse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and infrared rays, antimicrobial films, Microbial filter, antibacterial plastic molded product, fishing net, parts for TV, parts for telephone, parts for OA equipment, parts for electric vacuum cleaner, parts for electric fan, parts for air conditioner, parts for refrigerator, parts for washing machine, parts for humidifier, dish dryer Various uses such as various OA devices such as parts for home appliances, home appliances, sanitary articles such as toilet seats and vanity parts, and other building materials, vehicle parts, daily necessities, toys, and sundries.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폭넓은 용도에 적용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to a wide range of uses as mentioned above.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이다. 이 도전막의 제조방법은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형성 시킨 후,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다.One of the preferable aspect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is inven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ductive film.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is a method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after adsorbing the conductive particles to form a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n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graft polymer.

또한,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을 응용한 도전막의 제조방법으로서,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부여해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하고,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한 후에, 무전해 도금을 행해서 금속을 석출시키는 방법도 있다.Moreover,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which appli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is invention,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its precursor is provided to a graft polymer,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is formed, and an energy is provided to the said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After provid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said electroless-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there is also a method of depositing a metal by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이하에서는, 상기 도전막의 제조방법 중, 전자를 도전막의 제조방법(1)으로 하고, 후자를 도전막의 제조방법(2)으로 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Below,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conductive film, the former is made into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and the latter is demonstrated in detail as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2. 도전막의 제조방법2.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film

2-1.도전막의 제조방법(1)2-1.Method of manufacturing conductive film (1)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1)은 기재 상에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상호작용성 기) 및 가교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이라고 칭한다.)과,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도전성 입자 흡착층 형성공정」이라고 칭한다.)과,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가교구조 형성공정」이라고 칭한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nteracting group) and a crosslinkable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on the substrate (hereinafter,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graft polymer generation”). Step)) and a step of adsorbing the conductive particles to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graft polymer to form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hereinafter,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formation step" as appropriate). And a step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rosslinking structure formation process" as appropriate) by applying energy to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do.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1)은,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형성 한 후에, 그래프트 폴리머중에 존재하는 가교성 기를 반응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1) adsorbs conductive particles to an interactive group of a graft polymer bonded directly on a substrate to form a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and then reacts a crosslinkable group present in the graft polymer.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an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본 발명의 작용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lear, it is assumed as follow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에 흡착된 도전성 입자는, 다시, 가교구조중에 내포되어 물리적으로 고정화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 흡착층은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의 존재에 기인하는 도전성 입자의 유지성에 추가해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의 가교구조의 존재에 기인하는 고정화에 의해 도전성 입자의 유지 지속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the conductive particles adsorbed to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are again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to be physically immobilized. Thereby,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electroconductive particle by immobilization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in an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n addition to the retention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the interactive group of a graft polymer. It is thought that the sustainability of the remarkably improves.

이하,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각 공정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sequentially.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the graft polymer is directly bonded onto the substrat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the graft polymer is directly bonded onto the substrate.

이렇게, 기판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하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고무 협회지, 제65권, 604, 1992년, 스기이 신지 저, 「매크로 모노머에 의한 표면개질과 접착」의 기재를 참고로 할 수 있다. 그 외에, 이하에 서술하는 표면 그래프트 중합 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Thus, as a method of forming a state in which the graft polymer is bonded on the substrate, a known method may be applied, and specifically, for example, Japanese Rubber Association, Vol. 65, No. 604, 1992, by Sugi Seiji,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Surface Modification and Adhesion by Macromonomer". In addition, the method called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described below can also be applied.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는,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에 의해 생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raft polym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was produced | generated by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은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과 같다.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is the same as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Monomers with Interacting Groups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는 그래프트 폴리머에 흡착시키는 도전성 입자에 따른 상호작용성을 갖는 관능기이다.The interactive group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is a functional group having interactivity according to the conductive particles adsorbed onto the graft polym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호작용성 기는 도전성 입자를 흡착할 수 있는 관능기이지만, 도전성 입자가 흡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교반응에 이용되는 구조를 갖는 관능기로서 기능해도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group i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adsorbing the conductive particles, but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adsorbed, they may function as a functional group having a structure used for crosslinking reaction.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로서는, 극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온성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이온성 기를 갖는 모노머(이온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s an interactive group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ar group,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 ionic group. Therefore, as a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in this invention, the monomer (ionic monomer) which has an ionic group is used preferably.

상기 이온성 모노머로서는, 암모늄, 포스포늄 등의 양의 하전을 갖는 모노머, 또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등의 음의 하전을 갖거나 음의 하전으로 해리될 수 있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ionic monomer, a monomer having a positive charge such as ammonium or phosphonium, or an acid group capable of dissociating with a negative charge or having a negative charge such as a sulfonic acid group, a carboxyl group, a phosphoric acid group or a phosphonic acid group A monomer etc. are mentioned.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온성 기를 형 성할 수 있는 이온성 모노머란, 상기한 바와 같이, 암모늄, 포스포늄 등의 양의 하전을 갖는 모노머 또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등의 음의 하전을 갖거나 음의 하전으로 해리될 수 있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An ionic monomer capable of forming an ionic group which can be preferably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is, as described above, a monomer having a positive charge such as ammonium or phosphonium, or a sulfonic acid group, a carboxyl group, or a phosphoric acid group. And monomers having an acidic group capable of dissociating with a negative charge such as a phosphonic acid group or the like.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 이온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다음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이타콘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산염, 알릴아민 또는 그 할로겐화 수소산염, 3-비닐프로피온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비닐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스티렌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2-술포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3-술포프로필렌(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애시드포스포옥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염,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할로겐화 수소산염, 3-트리메틸암모늄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틸암모늄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N-트리메틸-N-(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following monomers are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ionic monomer especially usefu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For example, (meth) acryl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itac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allylamine or its halogenated hydrochlorides, 3-vinylpropi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vinylsulfonic acid or its alkalis Metal salts and amine salts, styrenesulf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2-sulfoethylene (meth) acrylate, 3-sulfopropylene (meth) acrylate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2-acrylamide-2-methyl Propanesulf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acid phosphooxypolyoxyeth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s or salts thereof, 2-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or their halogenated hydrochlorides, 3-trimethylammoniumpropyl (Meth) acrylate, 3-trimethylammoniumpropyl (meth) acrylamide, N, N, N-trimethyl-N- (2-hydroxy-3-methacryloyloxy Ropil) and the like ammonium chloride.

또한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모노메티롤(메타)아크릴아미드, N-디메티롤(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극성 모노머도 유용하다.Moreov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2-hydr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N-monometholol (meth) acrylamide, N-dimetholol (meth) acrylamide, N Polar monomers such as vinylpyrrolidone, N-vinylacetamide, and polyoxyeth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 are also useful.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특 히, 아크릴산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음이온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Especially as a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the monomer (anionic monomer) which has anionic functional groups, such as acrylic acid, is preferable.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group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가교성 기는, 상호작용성 기 또는, 그래프트 폴리머중에 함유되는 다른 관능기와 반응해서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성 기이며, 예를 들면 수산기, 메티롤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group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is a reactive group which reacts with an interactive group or other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graft polymer to form a covalent bond. For example, a hydroxyl group, a metyrol group, a glycid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 amino group Functional groups, such as these, are mentioned.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 있는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즉 반응성 모노머)로서는,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it can select suitably from a well-known thing as a monomer (namely, a reactiv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which can be used.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것;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N-메티롤메타크릴아미드, 메티롤스테아로아미드 등의 메티롤기를 갖는 것;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것;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상품명:카렌즈 M0I, 쇼와덴코)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 2-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2-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2-hydroxyethyl acrylate, 3-hydroxybut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3-hydroxyprop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 for example Those having a hydroxyl group such as acrylate, 3-hydroxybut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ose having a metirol group such as N-metholacrylamide, N-metholol methacrylamide, methirol stearoamide, etc .; Those having glycidyl groups such as glycidyl acrylate and glycidyl methacrylate; Those having isocyanate groups such as 2-isocyanate ethyl methacrylate (for example, trade name: Karenz M0I, Showa Denko); The thing which has amino groups, such as 2-aminoethyl acrylate and 2-aminoeth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기재)(materials)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이용되는 기재로서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판형상물 이며, 필요한 가요성, 강도, 내구성 등을 만족시키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된다.As a base material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it is a dimensionally stable plate-shaped thing, and if it satisfies required flexibility, strength, durability, etc., it can use any, and it is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a purpose of use.

광투과성을 필요로 하는 투명기재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유리, 플라스틱필름(예를 들면 2초산 셀룰로오스, 3초산 셀룰로오스,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낙산 셀룰로오스, 초산낙산 셀룰로오스, 질산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아세탈 등) 등을 들 수 있다.In the case of selecting a transparent substrate requiring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glass, plastic film (for exampl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propionate, butyrate cellulose, butyrat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nitr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carbonate, polyvinyl acetal and the like).

또한 투명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도전막의 기재로서는, 상기의 것에 추가해서, 종이, 플라스틱이 라미네이트된 종이, 금속판(예를 들면 알루미늄, 아연, 동 등), 상기와 같이 금속이 라미네이트 또는 증착된 종이 또는 플라스틱필름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a base material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which does not require transparency,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thing, paper, a paper in which plastic was laminated, a metal plate (for example, aluminum, zinc, copper, etc.), the paper in which metal was laminated or deposited as mentioned above, or Plastic films; and the like.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 기재는, 도전막의 용도 및 흡착되는 도전성 입자와의 관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되지만, 가공성,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갖는 기재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수지필름, 표면에 수지가 피복되어 있는 유리 등의 투명 무기기재, 표면층이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가 모두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although a base material is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of a conductive film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bed, the base material which has a surface which consists of a polymeric resin from a viewpoint of workability and transparency is preferable, As a resin, transparent inorganic base materials, such as glass in which resin is coat | covered on the surface, and the composite material which a surface layer consists of a resin layer are all preferable.

표면에 수지가 피복되어 있는 기재로서는, 표면에 수지필름이 점착된 적층판, 프라이머 처리된 기재, 하드코트 처리된 기재 등을 대표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이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가 이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수지 시일재, 유리와 수지의 적층체인 접합 유리 등을 대표예로 들 수 있다.As a base material by which resin was coat | covered on the surface, the laminated board which a resin film adhered to the surface, the base material which was treated by primer, the hard coat process base material, etc. are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Moreover,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composite material whose surface layer consists of a resin layer is a resin sealing material in which the adhesive bond layer was formed in the back surface, laminated glass which is a laminated body of glass and resin, etc. are mentioned.

또한 기재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서 조면화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base material may be roughe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예를 들면 도전성 입자의 단위면적당의 흡착량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보다 많은 이온성 기의 도입을 꾀할 목적으로, 기재표면을 미리 조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adsorption amount per unit area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it is possible to roughen a base material surface previousl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and introducing more ionic groups.

기재를 조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의 재질에 적합한 공지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기재가 수지필름인 경우에는, 글로우 방전처리, 스퍼터링, 샌드블라스트 연마법, 버프 연마법, 입자부착법, 입자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가 유리판 등의 무기재료인 경우에는, 기계적으로 조면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기계적방법으로서는, 볼 연마법, 브러시 연마법, 블라스트 연마법, 버프 연마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a method of roughening a base material, the well-known method suitable for the material of a base material can be selected.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substrate is a resin film, a glow discharge treatment, sputtering, sandblast polishing, buff polishing, particle adhesion, particle coating, or the like can be given. Moreover, when a base material is inorganic materials, such as a glass plate, the method of roughening mechanically can be applied. As the mechanical method, a known method such as a ball polishing method, a brush polishing method, a blast polishing method or a buff polishing method can be used.

-기재표면 또는 중간층-Substrate or intermediate layer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기재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화학적으로 직접 결합시킬 수 있는 표면을 갖는 것이다.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는, 기재의 표면자체가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이러한 특성을 갖는 중간층을 기재표면에 형성해도 좋다.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중간층은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중간층과 같다.The base materia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has a surface which can chemically bond a graft polymer directly.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the surface itself of a base material may have such a characteristic, and the intermediate | middle layer which has such a characteristic may be formed in a base material surface. The intermediate | middle lay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is the same as the intermediate | middle lay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Layer expressing polymerization initiator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는, 기재표면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화합물로서, 중합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해서 중간층 또는 기재표면으로서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그래프트 중합시 에 활성점을 효율좋게 발생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있어서의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은,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과 같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a compound which expresses a polymerization initiator function by applying energy to a base material surface is added, The polymeric compound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are added, and the layer which expresse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ctivity as an intermediate | middle layer or a base material surface is forme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generating the active point efficiently during the graft polymerization. The layer expressing the polymerization initiation ability in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is the same as the layer which expresses the polymerization initiation ability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이상과 같이 해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되고, 그런 후에, 도전성 입자 흡착층 형성공정이 행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graft polymer is bonded onto the substrate, and the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forming step is performed.

<도전성 입자 흡착층 형성공정><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forming process>

도전성 입자 흡착층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의해, 기재 상에 결합된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에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형성한다.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forming step,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s formed by adsorbing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bonded on the substrate by the graft polymer generating step.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에 흡착하는 도전성 입자는, 상호작용성 기로서 이온성 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온성 기의 존재상태에 따라, 규칙 바르게 거의 단층상태로 배치되거나, 긴 그래프트 폴리머쇄의 각각의 이온성 기에 나노 스케일의 미립자가 1개씩 흡착되어, 결과적으로, 다층상태로 배열되거나 한다.The conductive particles adsorbed to the interacting groups of the graft polymer are described as examples of the ionic group as the interacting group, and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monolayer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ionic group, or each of the long graft polymer chains. The nanoscale fine particles are adsorbed one by one to the ionic group of, and consequently, are arranged in a multilayer state.

다음에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도전성 입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which can be used fo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도전성 입자로서는, 도전성의 금속입자 및 금속산화물 입자, 반도체특성을 갖는 금속산화물 입자 및 금속화합물 미립자, 및, 도전성 수지 미립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onductiv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kind of fine particles selected from conductive metal particles and metal oxide particles, metal oxide particles and metal compound fine particles having semiconductor characteristics, and conductive resin fine particles.

상기 도전성의 금속입자 및 금속산화물 입자로서는, 비저항값이 1×103Ω· cm 이하인 도전성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분말이면 폭넓게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은(Ag), 금(Au), 니켈(Ni), 동(Cu), 알루미늄(Al), 주석(Sn), 납(Pb), 아연(Zn), 철(Fe), 백금(Pt), 이리듐(Ir), 오스뮴(Os), 팔라듐(Pd), 로듐(Rh), 루테늄(Ru), 텅스텐(W), 몰리브덴(Mo) 등의 단체와 그 합금 외에 산화주석(SnO2), 산화인듐(In2O3), ITO(Indium Tin Oxide), 산화루테늄(Ru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said electroconductive metal particle and metal oxide particle, if the resistivity value is a powder of the conductive metal or metal oxide of 1x10 <3> ohm * cm or less, it can be used widely, For example, silver (Ag), Gold (Au) ), Nickel (Ni), copper (Cu), aluminum (Al), tin (Sn), lead (Pb), zinc (Zn), iron (Fe), platinum (Pt), iridium (Ir), osmium (Os) ), Palladium (Pd), rhodium (Rh), ruthenium (Ru), tungsten (W), molybdenum (Mo) and other alloys and tin alloys (SnO 2 ), indium oxide (In 2 O 3 ), ITO (Indium Tin Oxide), ruthenium oxide (RuO 2 ), and the like can be used.

또한 상기 반도체로서의 특성을 갖는 금속산화물 입자 및 금속화합물 입자를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In2O3, SnO2, ZnO, Cdo, TiO2, CdIn2O4, Cd2SnO2, Zn2SnO4, In2O3-ZnO 등의 산화물 반도체입자, 및 이들에 적합한 불순물을 도펀트시킨 재료를 사용한 입자, 또한, MgInO, CaGaO 등의 스페닐형 화합물입자, TiN, ZrN, HfN 등의 도전성 질화물입자, LaB 등의 도전성 붕소화물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Further, metal oxide particles and metal compound particl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as the semiconductor may be used, for example, In 2 O 3 , SnO 2 , ZnO, Cdo, TiO 2 , CdIn 2 O 4 , Cd 2 SnO 2 , Zn 2 SnO 4 , oxide semiconductor particles such as In 2 O 3 -ZnO, particles using a material doped with impurities suitable for these, and phenyl type compound particles such as MgInO and CaGaO, and conductive nitride particles such as TiN, ZrN, and HfN. And conductive boride particles such as LaB.

이들 도전성 입자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원하는 도전성을 얻기 위해서, 미리 복수의 재료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These electroconductive particles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Moreover, in order to acquire desired electroconductivity, you may mix and use a some material previously.

또, 도전성 입자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호작용성 기에 대해서 이온적으로 흡착하기 위해서, 도전성 입자의 표면전하, 이온성 기의 수에 따라 입경이나 흡착량이 제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Moreo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particle size and an adsorption amount are restrict | limited according to the surface charge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and the number of ionic groups, in order for an electroconductive particle to adsorb ionically with respect to an interactive group as a preferable aspect.

도전성 입자의 입경은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도전성 발현의 점, 흡착성의 점에서 일반적으로는, 0.1㎚∼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100㎚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 다.Although the particle diameter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and a us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generally the range of 0.1 nm-1 micrometer, and,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1 nm-300 nm from the point of electroconductive expression and the adsorptivity.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nm to 100 nm.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이온성 기)와 도전성 입자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Group (ionic Group) of the Graft Polymer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또는 포스폰산기 등과 같은 음이온성을 갖는 상호작용성 기(이온성 기)를 갖는 경우에는, 상호작용성 기가 음의 전하를 갖게 되므로, 여기에 양의 전하를 갖는 양이온성의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킴으로써 도전성 입자 흡착층이 형성된다.When the graft polymer obtained 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has an anionic group (anionic group) having an anionic such as a carboxyl group, a sulfonic acid group, or a phosphonic acid group, the interactive group has a negative charge.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s formed by making the cationic electroconductive particle which has a positive charge here adsorb | suck here.

이러한 양이온성의 도전성 입자로서는, 양의 전하를 갖는 금속(산화물)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에 고밀도로 양의 하전을 갖는 미립자는, 예를 들면 요네자와 토오루 등의 방법, 즉, T. Yonezawa, Chemistry Letters., 1999 page 1061, T. Yonezawa, Langumuir 2000, vol. 16, 5218 및 요네자와 토오루, Polymer preprints, Japan vol. 49. 2911(2000)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요네자와 등은 금속-유황결합을 이용하여, 양의 하전을 갖는 관능기로 고밀도로 화학수식된 금속입자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Examples of such cationic conductive particles include metal (oxide) fine particles having a positive charge. Fine particles having a high density and positive charge on the surface are, for example, by methods such as Yonezawa Toru, ie, T. Yonezawa, Chemistry Letters., 1999 page 1061, T. Yonezawa, Langumuir 2000, vol. 16, 5218 and Yonezawa Toru, Polymer preprints, Japan vol. 49. It may be produc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2911 (2000). Yonezawa et al. Show that by using a metal-sulfur bond, the surface of a metal particle densely chemically modified by a functional group having a positive charge can be formed.

한편, 얻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일본 특허공개 평10-296895호 공보에 기재된 암모늄기 등과 같은 양이온성 기의 상호작용성 기(이온성 기)를 갖는 경우에는, 상호작용성 기가 양의 전하를 갖게 되므로, 여기에 음의 전하를 갖는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킴으로써 도전성 입자 흡착층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raft polymer obtained has an interactive group (ionic group) of a cationic group such as an ammonium group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96895, since the interactive group has a positive charge,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s formed by adsorb | sucking electroconductive particle which has a negative electric charge to it.

마이너스로 대전된 도전성 입자로서는, 구연산 환원으로 얻어진 금 또는 은입자를 들 수 있다.As electroconductive particle negatively charged, the gold or silver particle obtained by citric acid reduction is mentioned.

도전성 입자를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이온성 기)에 흡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도전성 입자를 용해 또는 분산시킨 액체를, 그래프트 폴리머가 직접 결합된 기재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및, 도전성 입자를 용해 또는 분산시킨 액체중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직접 결합된 기재를 침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adsorbing electroconductive particle to the interactive group (ionic group) of a graft polymer, the method of apply | coating the liquid which melt | dissolved or disperse | distributed electroconductive particle to the base surface to which the graft polymer was directly bonded, and melt | dissolved electroconductive particle Or a method of immersing a substrate to which the graft polymer is directly bonded in the dispersed liquid.

도포, 침지 중 어느 경우에나, 과잉량의 도전성 입자를 공급해서,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이온성 기)와의 사이에 충분한 이온결합에 의한 도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용액 또는 분산액과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면의 접촉시간은 10초∼24시간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분∼180분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either case of coating or dipping, an excessive amount of conductive particles are supplied to form a solution or dispersion and a graft polymer so as to be introduced by sufficient ionic bonding between the graft polymer and the interactive group (ionic group). The contact time of the surface is preferably about 10 seconds to 24 hours, more preferably about 1 minute to 180 minutes.

또한 도전성 입자는, 그래프트 폴리머의 친수성 기에 흡착할 수 있는 최대량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도전성 확보의 관점에서는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의 분산 농도는 0.001∼20질량%정도가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amount which an electroconductive particle can adsorb | suck to the hydrophilic group of a graft polymer is couple | bonded, and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electroconductivity, the dispersion concentration of the dispersion liquid containing electroconductive particle is about 0.001-20 mass% is preferable.

이렇게 해서, 기재에 직접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에 도전성 입자가 흡착되어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electroconductive particle is adsorbed by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directly bonded to the base material, and an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can be obtained.

도전성 입자 흡착층의 막두께는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내상처성(막강도)이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는, 0.001㎛∼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1㎛∼5㎛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0.1㎛∼2㎛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Although the film thickness of an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from a viewpoint of scratch resistance (film strength), transparency, etc., generally, the range of 0.001 micrometer-10 micrometers is preferable, and the range of 0.01 micrometer-5 micrometers More preferably, the range of 0.1 micrometer-2 micrometers is the most preferable.

<가교구조 형성공정><Crosslink Structure Forming Process>

가교구조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공정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입자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step, a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formed by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step.

가교구조 형성에 있어서는, (1)도전성 입자가 흡착되어 있지 않은 상호작용성 기가 가교구조 형성에 이용되는 형태이어도 좋고, (2)상호작용성 기는 도전성 입자를 흡착하는 것에만 이용되며, 가교구조 형성에 이용되지 않는 형태이어도 좋다.In the formation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1) the form in which the interactive group to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adsorbed may be used for form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and (2) the interactive group is used only for adsorbing the conductive particles. It may be a form that is not used for.

상기 (1) 및 (2)의 가교구조 형성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의 예, 가교반응을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가교구조 형성공정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Examples of the graft polymer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of (1) and (2), a method for generating a crosslinking reaction, and a preferable embodiment thereof are as described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step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same.

이렇게 해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가 형성된다. 이 가교구조에 있어서의 가교율은 가교구조가 형성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용매에 일정시간 침지한 후의 질량증가율로 어림잡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가교구조가 형성된 도전성 입자 흡착층에 대해서 가장 친화성이 높은 용매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구성하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이온성 모노머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로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way, a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The crosslinking rate in this crosslinked structure can be estimated by the mass increase rate after immersing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n which the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in the solvent for a fixed time. The solvent used here is selected from a solvent having the highest affinity for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and the graft polymer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s formed of an ionic monomer or a monomer having a polar group. In this case, water or N, N-dimethylacetamide can be selected.

가교구조가 형성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의 질량증가율은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s increase rate of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n which the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is 30%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 or less,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5% or less.

또, 이러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이 형성된 기재가, 가교율을 어림잡을 때에 이용되는 용제에 대해서 친화성이 없는 경우에는, 기재째 용제에 침지시켜도, 가교구조가 형성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의 질량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base material in which such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was formed does not have affinity with respect to the solvent used at the time of approximating a crosslinking rate, even if it is immersed in the base material solvent, the mass increase rate of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in which the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is computed. can do.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따른 각 공정에 의해, 도전막을 제조할 수 있다.A conductive film can be manufactured by each proces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the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demonstrated above.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의해 얻어지는 도전막은 그래프트 폴리머를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도전성 입자가 정전기적으로 고밀도로 균일하게 흡착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도전성 입자가 단층상태 또는 다층상태로 흡착된 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도전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가 형성됨으로써 도전성 입자가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강고하게 고정화되는 점에서, 도전막이 사용되는 환경 등에 기인해서 도전성 입자의 탈리가 생기는 일도 없어 도전성의 내구성이 우수하게 된다.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has an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by which electroconductive particle was electrostatically and uniformly adsorbed to the interactive group which the said graft polymer has by making the graft polymer directly bond | attach on a base material. Moreover, in this invention, since the layer which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b | sucked in the monolayer state or the multilayer state is formed in the interactive group which a graft polymer has, without using a binder, high electroconductivity can be ex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firmly immobilized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so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detached due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onductive film is u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conductivity is excellent. .

또한 도전성 입자가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도전성 입자 흡착층은, 임의의 기재표면에 비교적 간이한 처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우수한 도전성을 발현할 수 있는 도전성 입자 흡착층의 도전성 입자의 유지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앞서 서술한, 표시소자나 태양전지 외에, 다용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적외선 컷 재료, 전자파 방지재료, 전기배선을 제조할 때에 이용된다.Moreover,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which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b | sucks can be formed by the comparatively simple process on the arbitrary substrate surface, and the retention of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of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which can express the outstanding electroconductivity is favorab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uses other than the display element and the solar cell described above, and is used for producing an infrared cut material, an electromagnetic wave preventing material, and an electrical wiring, for example.

3. 도전막의 제조방법(2)3.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film (2)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2)은, 기재 상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상호작용성 기) 및 가교성 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이라 고 함)과,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부여해서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흡착시켜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하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 형성공정」이라고 칭한다.)과,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가교구조 형성공정」이라고 칭한다.)과, 무전해 도금을 행하는 공정(이하, 적당하게 「무전해 도금공정」이라고 칭한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2)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nteracting group) and a crosslinkable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on a substrate (hereinafter, appropriate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and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which is provided with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to the graft polymer to interact with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precursor thereof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Or a step of adsorbing the precursor to form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forming step" as appropriate) and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A step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step" as appropriate) ) And electroless pla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s appropriat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무전해 도금을 행하는 공정이 종료된 후에, 다시 전기 도금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In this invention, it is a preferable aspect to have the process of electroplating again after the said 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is complete | finished.

또한 본 발명의 도전막은,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부착된 층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부착된 층이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이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aterial and a layer having a metal deposited by electroless plating on the graft polymer bonded directly on the base material, and the metal precipitated on the graft polymer by electroless plating. The attached layer is crosslinked, which is a conductive fil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흡착시켜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한 후에, 그래프트 폴리머중에 존재하는 가교성 기를 반응시켜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dsorb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to an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bonded directly on the substrate to form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the crosslinkability present in the graft polymer The group is reacted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본 발명의 작용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lear, it is assumed as follow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에 흡착 또는 함침된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는, 다시 가교구조중에 내포되어 물리적으로 고정화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도전막(본 발명의 도전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에 대해서, 무전해 도금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며, 높은 도전성과 밀착성을 발휘함과 아울러, 석출된 금속(도전성 소재)은 가교구조중에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는 점에서, 고습도 등의 조건하에 놓여진 경우이어도, 그래프트 폴리머로부터 탈리되는 일이 없어 그 유지성은 손상되지 않는 것이라고 추측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precursor thereof adsorbed or impregnated with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is again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to be physically immobilized. The conductive film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on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as described above, exhibits high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precipitates metal Since the conductive material is firmly held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even when placed under conditions such as high humidity,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detached from the graft polymer, and it is assumed that the retainability is not impaired.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공정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rocess i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sequentially.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킨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the graft polymer is directly bonded onto the substrate.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는,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에 의해 생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raft polym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was produced | generated by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의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은,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표면 그래프트 중합법과 같다.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is the same as the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Monomers with Interacting Groups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는, 그래프트 폴리머에 흡착시키는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에 따른 상호작용성을 갖는 관능기이다.The interactive group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is a functional group hav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adsorbed to the graft polym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호작용성 기는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흡 착할 수 있는 관능기이지만,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가 흡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교반응에 이용되는 구조를 갖는 관능기로서 기능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group i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adsorb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but whe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is not adsorbed, it functions as a functional group having a structure used for crosslinking reaction. You may also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로서는, 극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온성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이온성 기를 갖는 모노머(이온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s an interactive group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ar group,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 ionic group. Therefore, as a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in this invention, the monomer (ionic monomer) which has an ionic group is used preferably.

상기 이온성 모노머로서는, 암모늄, 포스포늄 등의 양의 하전을 갖는 모노머, 또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등의 음의 하전을 갖거나 음의 하전으로 해리될 수 있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As the ionic monomer, a monomer having a positive charge such as ammonium or phosphonium, or an acid group capable of dissociating with a negative charge or having a negative charge such as a sulfonic acid group, a carboxyl group, a phosphoric acid group or a phosphonic acid group A monomer etc. are mentioned.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온성 기를 형성할 수 있는 이온성 모노머란, 상기한 바와 같이, 암모늄, 포스포늄 등의 양의 하전을 갖는 모노머 또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등의 음의 하전을 갖거나 음의 하전으로 해리될 수 있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The ionic monomer which can form the ionic group which can be used preferably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is a monomer or sulfonic acid group which has a positive charge, such as ammonium and a phosphonium group, a carboxyl group, a phosphoric acid group, as mentioned above. And monomers having an acidic group capable of dissociating with a negative charge such as a phosphonic acid group or the like.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 이온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다음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이타콘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산염, 알릴아민 또는 그 할로겐화 수소산염, 3-비닐프로피온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비닐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스티렌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2-술포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3-술포프로필렌(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알칼리금속염 및 아민염, 애시드포스포옥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염,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할로겐화 수소산염, 3-트리메틸암모늄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틸암모늄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N-트리메틸-N-(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following monomers are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ionic monomer especially usefu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For example, (meth) acryl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itac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allylamine or its halogenated hydrochlorides, 3-vinylpropi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vinylsulfonic acid or its alkalis Metal salts and amine salts, styrenesulf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2-sulfoethylene (meth) acrylate, 3-sulfopropylene (meth) acrylate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2-acrylamide-2-methyl Propanesulfonic acid or its alkali metal salts and amine salts, acid phosphooxypolyoxyeth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s or salts thereof, 2-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or their halogenated hydrochlorides, 3-trimethylammoniumpropyl (Meth) acrylate, 3-trimethylammoniumpropyl (meth) acrylamide, N, N, N-trimethyl-N- (2-hydroxy-3-methacryloyloxy Propyl) ammonium chloride and the like.

또한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모노메티롤(메타)아크릴아미드, N-디메티롤(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극성 모노머도 유용하다.Moreov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2-hydr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N-monometholol (meth) acrylamide, N-dimetholol (meth) acrylamide, N Polar monomers such as vinylpyrrolidone, N-vinylacetamide, and polyoxyeth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 are also useful.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성 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특히, 아크릴산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음이온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Especially as a monomer which has an interactive group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the monomer (anionic monomer) which has anionic functional groups, such as acrylic acid, is preferable.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group

그래프트폴리머가 갖는 가교성 기는, 상호작용성 기 또는 그래프트 폴리머중에 함유되는 다른 관능기와 반응해서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성 기이며, 예를 들면 수산기, 메티롤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group possessed by the graft polymer is a reactive group that reacts with the functional group or other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graft polymer to form a covalent bond. For example, a hydroxyl group, a metyrol group, a glycid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 amino group, etc. The functional group is mentioned.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 있는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즉 반응성 모노머)로서는,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it can select suitably from a well-known thing as a monomer (namely, a reactiv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which can be used.

가교성 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 레이트, 3-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것;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N-메티롤메타크릴아미드, 메티롤스테아로아미드 등의 메티롤기를 갖는 것;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것;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상품명:카렌즈 M0I, 쇼와덴코)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 2-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2-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group, 2-hydroxyethyl acrylate, 3-hydroxybut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3-hydroxyprop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 for example. Those having a hydroxyl group such as acrylate, 3-hydroxybut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ose having a metirol group such as N-metholacrylamide, N-metholol methacrylamide, methirol stearoamide, etc .; Those having glycidyl groups such as glycidyl acrylate and glycidyl methacrylate; Those having isocyanate groups such as 2-isocyanate ethyl methacrylate (for example, trade name: Karenz M0I, Showa Denko); The thing which has amino groups, such as 2-aminoethyl acrylate and 2-aminoeth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기재)(materials)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이용되는 기재로서는,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서 설명한 내용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As a base material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the content demonstrat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a conductive film is similarly applied.

-기재표면 또는 중간층-Substrate or intermediate layer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의 기재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화학적으로 직접 결합될 수 있는 표면을 갖는 것이다.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는, 기재의 표면 자체가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이러한 특성을 갖는 중간층을 기재표면에 형성해도 좋다. 중간층으로서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한 내용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base material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has a surface to which a graft polymer can be chemically bonded directly.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the surface itself of a base material may have such a characteristic, and the intermediate | middle layer which has such a characteristic may be formed in a base material surface. As an intermediate | middle layer, the content demonstrat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urface functional member is similarly applied.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Layer expressing polymerization initiator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는, 기재표면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화합물로서, 중합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해서 중간층 또는 기재표면으로서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그래프트 중합시에 활성점을 효율좋게 발생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중합개시능을 발현하는 층으로서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한 내용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 conductive film, as a compound which expresses a polymerization initiation ability by applying energy to a base surface, a polymeric compound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are added, and the layer which expresses a polymerization initiation ability as an intermediate | middle layer or a base surface is forme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generating the active point efficiently during the graft polymerization. As the layer expressing the polymerization initiation capacity,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is similarly applied.

이상과 같이 해서, 기재 상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되고, 그런 후에,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 형성공정이 행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graft polymer is bonded onto the substrate, and then,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forming step is performed.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 형성공정><Electroless 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Forming Process>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의해, 기재 상에 결합된 그래프트 폴리머의 상호작용성 기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부여해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한다.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forming step,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is provided to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bonded on the substrate to form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by the graft polymer producing step.

-무전해 도금 촉매-Electroless Plating Catalyst

본 공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무전해 도금 촉매란 주로 0가 금속이며, Pd, Ag, Cu, Ni, Al, Fe, Co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Pd, Ag가 그 취급성의 장점, 촉매능의 높이에서 바람직하다. 0가 금속을 그래프트 폴리머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래프트 폴리머중의 상호작용성 기와 상호작용하도록 하전을 조절한 금속 콜로이드를 그래프트 폴리머에 부여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금속 콜로이드는, 하전을 가진 계면활성제 또는 하전을 가진 보호제가 존재하는 용액중에 있어서, 금속이온을 환원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금속 콜로이드의 하전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또는 보호제에 의해 조절할 수 있고, 이렇게 하전을 조절한 금속 콜로이드를,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와 상호작용시킴으로써, 그래프트 폴리머에 금속 콜로이드(무전해 도금 촉매)를 흡착시킬 수 있다.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used in this process is mainly a 0-valent meta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d, Ag, Cu, Ni, Al, Fe, Co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Pd and Ag are preferred from the advantages of the handleability and the height of the catalytic ability. As a method of fixing a zero-valent metal to a graft polymer, the method of giving the graft polymer the metal colloid which adjusted the charge so that it interacts with the interactive group in a graft polymer, for example is used. Generally, metal colloids can be produced by reducing metal ions in a solution in which a charged surfactant or a protective agent with a charge is present. The charge of the metal colloid can be controlled by the surfactant or protecting agent used herein, and the metal colloid (electroless plating) is applied to the graft polymer by interacting the charged metal colloid with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Catalyst) can be adsorbed.

-무전해 도금 촉매 전구체-Electroless Plating Catalyst Precursor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무전해 도금 촉매 전구체란, 화학반응에 의해 무전해 도금 촉매가 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주로는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에서 사용한 0가 금속의 금속이온이 이용된다. 무전해 도금 촉매 전구체인 금속이온은, 환원반응에 의해 무전해 도금 촉매인 0가 금속으로 된다. 무전해 도금 촉매 전구체인 금속이온은, 기재에 부여한 후, 무전해 도금욕에의 침지전에, 별도 환원반응에 의해 0가 금속으로 변화시켜서 무전해 도금 촉매로 해도 되고, 무전해 도금 촉매 전구체인 채로 무전해 도금욕에 침지해서 무전해 도금욕중의 환원제에 의해 금속(무전해 도금 촉매)으로 변화시켜도 된다.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precursor used in this step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by chemical reaction. The metal ion of the 0-valent metal used for the said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is mainly used. The metal ion which i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precursor becomes a zero-valent metal which i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by a reduction reaction. The metal ion, which i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precursor, may be converted into a zero-valent metal by a separate reduction reaction after being applied to a substrate and then immersed in the electroless plating bath, to be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precursor. It may be immersed in an electroless plating bath and changed into a metal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by the reducing agent in an electroless plating bath.

실제로는, 무전해 도금 전구체인 금속이온은, 금속염의 상태로 그래프트 폴리머에 부여한다. 사용되는 금속염으로서는, 적절한 용매에 용해해서 금속이온과 염기(음이온)로 해리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M(NO3)n , MCln, M2/n(S04), M3/n(P04)(M은, n가의 금속원자를 나타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으로서는, 상기의 금속염이 해리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Ag이온, Cu이온, Al이온, Ni이온, Co이온, Fe이온, Pd이온을 들 수 있고, Ag이온, Pd이온이 촉매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In fact, the metal ion which is an electroless plating precursor is given to the graft polymer in the state of a metal salt. The metal salt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dissolved in a suitable solvent and dissociated into a metal ion and a base (anion). M (NO 3 ) n, MCln, M 2 / n (S0 4 ), M 3 / n (P0 4 ) (M represents an n-valent metal atom). As the metal ion, one in which the metal salt is dissociated can be preferably used. Specific examples include Ag ions, Cu ions, Al ions, Ni ions, Co ions, Fe ions, and Pd ions, and Ag ions and Pd ions are preferred in terms of catalytic ability.

무전해 도금 촉매인 금속 콜로이드, 또는, 무전해 도금 전구체인 금속염을 그래프트 패턴 상에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금속 콜로이드를 적당한 분산매에 분산, 또는, 금속염을 적절한 용매로 용해하고, 분해한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을 조제하고, 그 용액을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된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또는, 그 용액중에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된 기재를 침지하면 좋다.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이온-이온 상호작용, 또는, 쌍극자-이온 상호작용을 이용해서 금속이온을 흡착시키는 것, 또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함유하는 층중에 금속이온을 함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착 또는 함침을 충분히 행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접촉시키는 용액중의 금속이온 농도, 또는 금속염농도는 0.01∼5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0질량%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시간으로서는, 1분∼24시간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분∼1시간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a method of imparting a metal colloid a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metal salt as an electroless plating precursor on a graft pattern, the metal colloid is dispersed in a suitable dispersion medium, or a metal salt is dissolved in a suitable solvent to decompose a metal ion. A solution to be prepared may be prepared, and the solution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graft polymer-bonded substrate, or the base material to which the graft polymer is bonded may be immersed in the solution. Adsorbing metal ions to an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by contact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metal ion, or by using a dipole-ion interaction, or adsorbing the metal ion to the layer containing the graft polymer Ions can be impregnated. 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performing such adsorption or impregnation,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r the metal salt concentration in the solution to be contact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50 mas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30 mass%. Moreover, as contact tim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1 minute-about 24 hour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5 minutes-about 1 hour.

이렇게 해서, 기재에 직접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상호작용성 기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흡착 또는 함침시켜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its precursor can be adsorbed or impregnated on the interactive group of the graft polymer directly bonded to the substrate, thereby obtain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의 막두께는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내상처성(막강도)이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는, 0.001㎛∼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1㎛∼5㎛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0.1㎛∼2㎛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Although the film thickness of an electroless-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from a viewpoint of scratch resistance (film strength), transparency, etc., the range of 0.001 micrometer-10 micrometers is generally preferable, and 0.01 micrometer-5 micrometers are preferable. The range of is more preferable, and the range of 0.1 micrometer-2 micrometers is the most preferable.

<가교구조 형성공정><Crosslink Structure Forming Process>

가교구조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 형성공정에 의해 형성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한다.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step, a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form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forming step.

또, 가교구조 형성공정은, 효과의 관점에서는, 통상,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 형성공정의 종료후, 후술하는 무전해 도금공정 전에 행해지지만, 무전해 도금공정 후에 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rom a viewpoint of an effect, although a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process is normally performed after completion | finish of an electroless-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formation process before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mentioned later, it can also be performed after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가교구조 형성에 있어서는, (1)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가 흡착되어 있지 않은 상호작용성 기가 가교구조 형성에 이용되는 형태이어도 좋고, (2)상호작용성 기는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흡착할 뿐이며 가교구조 형성에 이용되지 않는 형태이어도 좋다.In the formation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1)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n interactive group to which the precursor is not adsorbed may be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and (2) the interactive group may be used to form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the precursor thereof. It may be in the form of adsorption only and not used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상기 (1) 및 (2)의 가교구조 형성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폴리머의 예, 가교반응을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가교구조 형성공정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Examples of the graft polymer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of (1) and (2), a method for generating a crosslinking reaction, and a preferable embodiment thereof are as described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step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same.

본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구조는, 그래프트 폴리머 사이에서의 가교율(그래프트 폴리머/그래프트 폴리머 사이에서 몇개의 가교가 발생했는지), 및 가교점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그 가교의 정도에 따라 무전해 도금의 용이함, 밀착력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다.The crosslinking structure formed by this process is determined by the crosslinking rate between graft polymers (how many crosslinks have occurred between graft polymers / graft polymers) and the distance between crosslinking points. The degree of crosslinking also affects the ease of electroless plating and the size of adhesion.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있어서, 가교의 정도는, 무전해 도금 촉매 등을 부여하지 않은 상태로 가열 등에 의해 가교를 행하게 하고, 그 가교막의 용매에 대한 팽윤의 정도로 어림잡을 수 있다. 그 때, 용매로서는, 가교막에 대해서 가장 친화성이 있는 용매가 선택된다. 예를 들면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등, 물에 대해서 친화성이 높은 모노머로부터 생성된 그래프트 폴리머의 경우이면, 물,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등이 용매로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데에 바람직한 팽윤도로서는, 질량분율로서 0.1∼100%, 바람직하게는 1.0∼10%의 범위이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the grade of bridge | crosslinking can make it bridge | crosslink by heating etc. without provid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etc., and can estimate the grade of swelling with respect to the solvent of this crosslinked film. In that case, the solvent which has the most affinity with respect to a crosslinked film is selected as a solv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raft polymer produced from monomers having high affinity for water such as acrylic acid and acrylamide, water, methanol, acetonitrile and the like are selected as the solvent. As a swelling degree which is preferable for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to be exhibited, it is 0.1-100% as a mass fraction,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1.0-10%.

<무전해 도금공정><Electroless Plating Process>

본 공정에서는,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함유하는 층)에, 무전해 도금을 행함으로써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고밀도로 금속을 석출시킬 수 있고, 석출된 금속은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가교구조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된 것으로 된다.In this step, by electroless plating to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layer containing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the metal can be precipitated with high density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and the deposited metal is grafted. It is maintained firmly by the crosslinked structure of the polymer.

-무전해 도금- Electroless Plating

무전해 도금이란, 도금으로서 석출시키고 싶은 금속이온을 녹인 용액을 이용해서 화학반응에 의해 금속을 석출시키는 조작을 말한다.Electroless plating refers to an operation of depositing a metal by chemical reaction using a solution in which metal ions desired to be deposited as plating are dissolved.

본 공정에 있어서의 무전해 도금은, 예를 들면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이 무전해 도금 촉매를 함유하는 경우이면, 상기 층이 형성된 기재를 수세해서 여분의 무전해 도금 촉매(금속)를 제거한 후, 무전해 도금욕에 침지해서 행한다. 사용되는 무전해 도금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무전해 도금욕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electroless plating in this step,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contain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after wash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layer is formed, the excess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metal) is removed, It is performed by immersing in an electroless plating bath. As the electroless plating bath to be used, generally known electroless plating baths can be used.

또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이 무전해 도금 촉매 전구체를 함유하고, 무전해 도금 촉매 전구체가 그래프트 폴리머에 흡착 또는 함침된 상태로 무전해 도금욕에 침지되는 경우에는, 기재를 수세해서 여분의 전구체(금속염 등)를 제거한 후, 무전해 도금욕중에 침지된다. 이 경우에는, 무전해 도금욕중에서, 전구체의 환원과 이것에 계속해서 무전해 도금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무전해 도금욕으로서 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무전해 도금욕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contains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precursor and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precursor is immersed in the electroless plating bath in the state of being adsorbed or impregnated with the graft polymer, the substrate is washed with water and an extra precursor (metal salt) And the like) are then immersed in the electroless plating bath. In this case,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following reduction of a precursor and this in an electroless plating bath. As the electroless plating bath used here, generally known electroless plating bath can be used similarly to the above.

일반적인 무전해 도금욕의 조성으로서는, 1.도금용의 금속이온, 2.환원제, 3.금속이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안정제)가 주로 함유되어 있다. 이 도금욕에는, 이들에 추가해서, 도금욕의 안정제 등 공지의 첨가물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As a composition of a general electroless plating bath, the additive (stabilizer) which improves the stability of 1. metal plating for metal plating, 2. reducing agent, and 3. metal ion is mainly contained. In addition to these, this plating bath may contain well-known additives, such as a stabilizer of a plating bath.

무전해 도금욕에 이용되는 금속의 종류로서는, 동, 주석, 납, 니켈, 금, 팔라듐, 로듐이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도, 도전성의 관점에서는, 동, 금이 특히 바람직하다.As a kind of metal used for an electroless plating bath, copper, tin, lead, nickel, gold, palladium, rhodium is known, and copper and gold are especially preferable from a conductive viewpoint.

또한 상기 금속에 맞춰서 최적인 환원제, 첨가물이 있다. 예를 들면 동의 무전해 도금의 욕은, 동염으로서 Cu(SO4)2, 환원제로서 HCOH, 첨가제로서 동이온의 안정제인 EDTA나 로셸염 등의 킬레이트제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CoNiP의 무전해 도금에 사용되는 도금욕에는, 그 금속염으로서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환원제로서 차아인산나트륨, 착화제로서 말론산나트륨, 말산나트륨, 숙신산나트륨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팔라듐의 무전해 도금욕은, 금속이온으로서 (Pd(NH3)4)Cl2, 환원제로서 NH3, H2NNH2, 안정화제로서 EDTA가 함유되어 있다. 이들 도금욕에는, 상기 성분이외의 성분이 들어 있어도 좋다.There are also reducing agents and additives that are optimal for the metal. For example, copper electroless plating baths contain chelating agents such as Cu (SO 4 ) 2 as copper salt, HCOH as reducing agent, and stabilizer of copper ions as additive. The plating bath used for the electroless plating of CoNiP contains cobalt sulfate, nickel sulfate, sodium hypophosphite as a reducing agent, sodium malonate, sodium malate, and sodium succinate as a complexing agent. In addition, the electroless plating bath of palladium, the EDTA is included as NH 3, H 2 NNH 2, the stabilizing agent as metal ions (Pd (NH 3) 4) Cl 2, as a reducing agent. These plating baths may contain components other than the said component.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도전막의 막두께는, 도금욕의 금속염 또는 금속이온 농도, 도금욕에의 침지시간, 또는, 도금욕의 온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지만, 도전성의 관점에서는, 0.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 다. 또한 도금욕에의 침지시간으로서는, 1분∼3시간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분∼1시간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film thickness of the conductive film thus formed can be controlled by the metal salt or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plating bath, the immersion time in the plating bath, the temperature of the plating bath, or the like, but from the viewpoint of conductivity,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0.5 µm or m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micrometers or more. Moreover, as immersion time in a plating bath,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1 minute-about 3 hour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1 minute-about 1 hour.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지는 도전막은, SEM에 의한 단면관찰에 의해, 표면 그래프트막중에 무전해 도금 촉매나 도금 금속의 미립자가 치밀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또한 그 위에 비교적 큰 입자가 석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계면은 그래프트 폴리머와 미립자의 하이브리드 상태이기 때문에, 기재(유기성분)와 무기물(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도금 금속)의 계면의 요철차가 100㎚이하이어도 밀착성이 양호했다.As f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btained as mentioned above, it was confirmed by the cross-sectional observation by SEM that the electroless-plating catalyst and th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of plated metal were densely dispersed in the surface graft film, and the comparatively large particle precipitated on it. Since the interface is a hybrid state of the graft polymer and the fine particles, the adhesion was good even when the uneven difference between the base material (organic component) and the inorganic material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plating metal) was 100 nm or less.

<전기 도금공정>Electroplating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무전해 도금공정을 행한 후, 전기 도금을 행하는 공정(전기 도금공정)을 가져도 좋다.In this invention, after performing the said electroless plating process, you may have the process of electroplating (electroplating process).

본 공정에서는, 상기 무전해 도금 후, 이 공정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을 전극으로 하고, 다시 전기 도금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도전막을 베이스로 해서, 그것에 새롭게 임의의 두께를 갖는 도전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공정을 부가함으로써, 금속막을 목적에 따른 두께로 형성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도전막을 높은 도전성이 요구되는 여러가지 용도에 적용하는데에 바람직하다.In this process, after the said electroless plating, electroplating can be performed again us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formed by this process as an electrode. Thereby, based o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excellent in adhesiveness with a base material,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which has arbitrary thickness can be easily formed in it. By adding this process, a metal film can be formed in the thickness according to the objective, and it is suitable for apply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to various uses for which high electroconductivity is calculated | required.

전기 도금의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공정의 전기 도금에 이용되는 금속으로서는, 동, 크롬, 납, 니켈, 금, 은, 주석, 아연 등을 들 수 있고, 도전성의 관점에서, 동, 금, 은이 바람직하고, 동이 보다 바 람직하다.As a method of electroplating, a conventionally well-known method can be used. Moreover, as a metal used for the electroplating of this process, copper, chromium, lead, nickel, gold, silver, tin, zinc, etc. are mentioned, From a viewpoint of electroconductivity, copper, gold, silver is preferable, and copper is more bar. It is good.

전기 도금에 의해 얻어지는 도전막의 막두께에 대해서는, 용도에 따라 다른 것이며, 도금욕중에 함유되는 금속농도, 침지시간, 또는, 전류밀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또, 일반적인 전기배선 등에 사용하는 경우의 막두께는, 도전성의 관점에서, 0.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film thickness of the conductive film obtained by electroplating varies depending on the use, and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etal concentration, immersion time, current density,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plating bath.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3 micrometer or more from a viewpoint of electroconductivity, and, as for the film thickness when using for general electrical wiring etc.,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micrometers or mo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각 공정에 의해 도전막을 제조할 수 있다.A conductive film can be manufactured by each proces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demonstrated above.

본 발명의 도전막은, 상기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며,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킨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부착된 층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부착된 층이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이다.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is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Comprising: The base material and the layer which the metal deposited by electroless-plating to the graft polymer bonded directly on the said base material adhered are provided, And a layer having a metal deposited on the graft polymer deposited by electroless plating is crosslinked.

본 발명의 도전막에 있어서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기재 상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정전기적으로 고밀도로 균일하게 흡착되어 있다. 또한 도전막은,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단층상태 또는 다층상태로 석출된 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도전막은 높은 도전성 및 밀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In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onding the graft polymer directly on the substrate, the metal precipitat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on the graft polymer is electrostatically and uniformly adsorbed. In the conductive film, no binder is used, and a layer in which the metal deposit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on the graft polymer is deposited in a single layer state or in a multi-layer state is formed. For this reaso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btained by this invention can express high electroconductivity and adhesiveness.

또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층중에 함유되는 무전해 도금 촉매 등은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강고하게 고정화되는 점에서, 그 후에 행해지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은 가교구조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된 것으로 되고, 고습도 등의 환경하에 놓여진 경우라도, 금속부분의 유지의 지속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layer is firmly immobilized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by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the metal precipitat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performed thereafter is The crosslinked structure is firmly maintained, and even if the substrate is placed under high humidity or the like, the sustainability of the metal part is not impaired.

본 발명의 도전막은, 임의의 기재표면에 비교적 간이한 처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전막에 함유되는 도전성 소재(금속)의 유지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FPC기판, TAB테이프, 반도체 패키지, 리지드 기판회로, 전자파 실드, 도전성 플라스틱, 도전성 매트 등의 다용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n an arbitrary substrate surface by a relatively simple treatment, and because the holding property of the conductive material (metal) contained in the conductive film is good, the FPC substrate, TAB tape, semiconductor package, rigi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pplicable to various uses, such as a board | substrate circuit, an electromagnetic shield, a conductive plastic, and a conductive mat.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an Example is given to the following and this invention is concretely demonstrated to i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실시예1Example 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표면기능성 부재인 적외선 컷 필터를 이하와 같이 해서 제작했다.In the present Example, the infrared cut filter which is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is invention was produced as follows.

1.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1.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기재로서, 막두께 188㎛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A4100, 도우요우보우(주)사제)을 사용해서, 글로우 처리로서 평판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장치(시바우라 일렉트로닉테크제 CFS-10-EP70)를 사용해서, 하기의 조건으로 산소 글로우 처리를 행했다.As a base material, a flat plate magnetron sputtering apparatus (CFS-10-EP70 made by Shibaura Electronics) was used as a glow treatment using a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4100, manufactured by Toyou Bow Co., Ltd.) having a film thickness of 188 µm. It used and the oxygen glow process was performed on condition of the following.

-산소 글로우 처리조건-Oxygen glow treatment conditions

초기 진공:1.2×10-3PaInitial vacuum: 1.2 × 10 -3 Pa

산소압력:0.9Pa Oxygen pressure: 0.9 Pa

RF글로우:1.5kW, 처리시간:60secRF Glow: 1.5kW, Processing Time: 60sec

-그래프트 폴리머의 생성-Production of Graft Polymers

다음에 글로우 처리한 필름을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80/20몰비)의 5wt% 수용액에 침지해서 질소분위기 하에서 70℃에서 7시간 가열했다. 가열후, 기재를 꺼내어 증류수에서 하룻밤 침지했다. 그 후에 다시 흐르는 물로 여분의 폴리머를 씻어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기재표면에 그래프트 폴리머화된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기재를 기재A로 한다.Next, the glow-treated film was immersed in a 5 wt% aqueous solution of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80/20 molar ratio) and heated at 70 ° C. for 7 hour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fter heating, the substrate was taken out and immersed in distilled water overnight. The excess polymer was then washed off with running water again. As described above, a copolymer in which a copolymer of acrylic acid and glycidyl methacrylate was graft polymerized on the substrate surface was obtained. The obtained base material is used as the base material A.

2. 기능성 소재 흡착층 형성공정2.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formation process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소재로서 적외선 흡수제를 사용했다. 적외선 흡수제로서는, 용액중에서 양의 전하를 갖는 하기 구조의 시아닌 색소(메탄올중에서의 극대 흡수파장 813㎚)을 사용했다.In this embodiment, an infrared absorber was used as the functional material. As an infrared absorber, the cyanine dy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in methanol 813 nm) of the following structure which has a positive charge in the solution was used.

-기재A에의 적외선 흡수제 용액의 도포-Application of Infrared Absorber Solution to Substrate A

하기 시아닌 색소 0.05g과 메탄올 5g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중에, 상기에 의해 얻어진 기재A를 20분간 침지했다. 그 후에 흐르는 물로 표면을 충분히 세정해서 여분의 적외선 흡수제 용액을 제거해서 기재A의 표면에 적외선 흡수층(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했다.The base material A obtained above was immersed for 20 minutes in the solution which consists of 0.05 g of cyanine dyes and 5 g of methanol. Thereafter, the surface was sufficiently washed with running water to remove the excess infrared absorber solution to form an infrared absorbing layer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6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6

3.가교구조 형성공정3. Bridge structure formation process

적외선 흡수층이 형성된 기재A를, 핫플레이트(형식:T2B, Banstead사제)를 이용하여, 140℃에서 5분 가열을 행하고,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카르복실기와 글리시딜기를 가교시켰다. Substrate A having an infrared absorbing layer was heated at 140 ° C. for 5 minutes using a hot plate (model: T2B, manufactured by Banstead) to crosslink the carboxyl group and the glycidyl group of the graft polymer.

이상과 같이, 실시예1의 표면기능성 부재인 적외선 컷 필터를 얻었다. 이것을 적외선 컷 필터(1-1)로 했다.As mentioned above, the infrared cut filter which is a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Example 1 was obtained. This was made into the infrared cut filter 1-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1의 크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의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에 있어서, 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80/20몰비)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기재표면에 결합시키는 대신에, 하기의 방법이 의해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기재표면에 결합시키고, 다시, 가교구조 형성공정을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비교예1의 표면기능성 부재인 적외선 컷 필터를 얻었다. 이것을 적외선 컷 필터(1-2)로 했다.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of the kraft polymer production step of Example 1, instead of bonding the graft polymer composed of acrylic acid and glycidyl methacrylate (80/20 molar ratio) to the substrate surface, the following method consists of acrylic acid. The infrared cut filter which is a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was obtained like Example 1 except having bonded the graft polymer to the base surface, and carrying out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ation process again. This was made into the infrared cut filter 1-2.

-그래프트 폴리머의 생성-Production of Graft Polymers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얻어진 글로우 처리한 필름을, 질소 버블된 아크릴 산 수용액(10wt%)에 70℃에서 7시간 침지했다. 침지한 필름을 물로 8시간 세정함으로써, 아크릴산이 기재표면에 그래프트 폴리머화된 기재를 얻었다.The glow treated film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immersed in a nitrogen bubbled acrylic acid aqueous solution (10 wt%) at 70 ° C. for 7 hours. The immersed film was washed with water for 8 hours to obtain a substrate on which acrylic acid was graft polymerized on the substrate surface.

<평가1-1><Evaluation 1-1>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의 평가를 이하와 같이 행했다.Evaluation of the retention of a functional material was performed as follows.

얻어진 적외선 컷 필터(1-1) 및 (1-2)를 포화 식염수에 10분간 침지하고, 침지 전후의 적외선 투과율(%)을 비교함으로써,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낸다.The obtained infrared cut filter (1-1) and (1-2) were immersed in saturated saline for 10 minutes, and the retention of a functional materia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infrared rays transmittance (%) before and after immers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평가1-2><Evaluation 1-2>

내구성의 평가로서 마찰 시험을 행했다.The friction test was done as an evaluation of durability.

얻어진 적외선 컷 필터(1-1) 및 (1-2)의 표면을, 물로 적신 솜(BEMCOT, 아사히 카세이고교사제)을 이용하여 손으로 왕복 100회 문질렀다. 평가는, 마찰 전후에 있어서의 적외선 투과율(%)을 비교함으로써 행했다.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낸다.The surface of the obtained infrared cut filter (1-1) and (1-2) was rubbed 100 times by hand using the cotton | cloth wetted with water (BEMCOT, Asahi Kasei Co., Ltd. mak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ance (%) before and after fric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평가1-3><Evaluation 1-3>

가교구조의 형성성의 중량 증가율(%)로 어림잡음으로써 평가했다.It evaluated by approximating by the weight increase rate (%) of the formation property of a crosslinked structure.

평가는, 얻어진 적외선 컷 필터(1-1) 및 (1-2)를, 물에 1시간 침지하고, 침지 전후의 중량 증가율(%)을 비교함으로써 행했다.Evaluation was performed by immersing the obtained infrared cut filter (1-1) and (1-2) in water for 1 hour, and comparing the weight increase rate (%) before and behind immersion.

(표1)Table 1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7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7

표1에 나타내듯이, 적외선 흡수제층(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한 실시예의 적외선 컷 필터(1-1)는 포화 식염수 침지 전후에 있어서의 적외선 투과율의 변화가 없고, 적외선 흡수제의 유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적외선 흡수제층에 가교구조를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의 적외선 컷 필터(1-2)는 포화 식염수 침지전에는 실시예와 같은 적외선 투과율이었지만, 포화 식염수 침지후에서는 적외선 투과율이 현저하게 증가했으며, 적외선 흡수제층에 있어서의 적외선 흡수제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infrared cut filter 1-1 of the Example which formed the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infrared absorber layer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does not change the infrared transmittance before and after saturated saline immersion, and maintains the infrared absorber retention property. You can see that this is high. On the other hand, the infrared cut filter (1-2) of the comparative example which did not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infrared absorber layer had the same infrared ray transmittance as in Example before immersion in saturated saline, but the infrared ray transmittan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mmersion in saturated saline. It can be seen that the retention of the infrared absorber in the layer and its persistence are low.

또한 실시예의 적외선 컷 필터(1-1)는 중량 증가율이 낮고, 적외선 흡수제층에 충분한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rared cut filter 1-1 of the Example has a low weight increase rate, and it can confirm that sufficient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an infrared absorber layer.

실시예2-1∼2-3Examples 2-1 to 2-3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기재 상에 색소를 흡착시킨 표면기능성 부재를 제작했다.In this example,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which adsorb | sucked the pigment | dye on the glass base material was produced.

1.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 1.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중합개시능을 갖는 화합물이 결합된 기재의 제작-Preparation of Substrate with Compound Having Polymerization Initiation

유리 기판(니혼 이타가라스(주))을, 밤새, 피란하액(황산/30% 과산화수소=1/1 용적비 혼합액)에 침지한 후, 순수로 세정했다. 그 기재를, 질소치환한 세퍼러블 플라스크내에 넣어 0.5wt%의 하기 화합물A의 탈수 톨루엔 용액에 침지해서 1시간 가열 환류했다. 취출후, 톨루엔, 아세톤, 순수로 순차적으로 세정했다. 얻어진 기재를 기재A1로 한다.The glass substrate (Nihon Itagara Co., Ltd.) was immersed in the piranha solution (sulfuric acid / 30% hydrogen peroxide = 1/1 volume ratio mixed liquid) overnight, and then it wash | cleaned with pure water. The substrate was placed in a nitrogen-substituted separable flask and immersed in 0.5 wt% of a dehydrated toluene solution of the compound A described below and heated to reflux for 1 hour. After taking out, it wash | cleaned sequentially with toluene, acetone, and pure water. The obtained base material is referred to as base material A1.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8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8

-그래프트 폴리머의 생성-Production of Graft Polymers

상기에서 얻어진 기판A1 위에,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몰비는 90/10)의 5wt% 모노머 수용액을 5㎖ 떨어뜨리고, 석영판을 씌워 5wt% 모노머 수용액을 균일하게 기재A1과 석영판 사이에 끼워넣었다. 다음에 노광기(UVX-02516S1LPO1, 우시오덴키(주)제)를 이용하여 5분간 노광했다. 그 후에 석영판을 떼어내어 물로 세정해서 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공중합된 기재를 얻었다. 이것을 기재B로 한다.On the substrate A1 obtained above, 5 ml of a 5 wt% monomer aqueous solution of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molar ratio is 90/10) was dropped, and a 5 wt% monomer aqueous solution was uniformly covered between the substrate A1 and the quartz plate. Put on. Next, it exposed for 5 minutes using the exposure machine (UVX-02516S1LPO1, the product made by Ushio Denki Co., Ltd.). Thereafter, the quartz plate was removed and washed with water to obtain a substrate copolymerized with acrylic acid and glycidyl methacrylate. This is referred to as description B.

2. 기능성 소재 흡착공정2.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process

얻어진 기재B를 5wt%의 중조수중에 5분간 침지했다. 꺼낸 후, 메틸렌블루의 0.5wt%의 수용액에 1분간 침지한 후, 수세해서 메틸렌블루를 흡착시킨 유리판(기재C)을 얻었다.The obtained base material B was immersed for 5 minutes in 5 wt% of sodium bicarbonate water. After taking out, it was immersed in 0.5 wt% aqueous solution of methylene blue for 1 minute, and it washed with water and obtained the glass plate (base material C) which adsorb | sucked methylene blue.

3. 가교구조 형성공정3.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Process

얻어진 기재C를, 핫플레이트(형식:T2B, Banstead사제)를 이용하여, 실시예2-1에서는 120℃(실시예2-2에서는 140℃, 실시예2-3에서는 160℃)에서 5분간 가열을 행하고,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카르복실기와 글리시딜기를 가교시켰다.The obtained base material C was heated at 120 ° C in Example 2-1 (140 ° C in Example 2-2 and 160 ° C in Example 2-3) using a hot plate (model: T2B, manufactured by Banstead) for 5 minutes. The carboxyl group and the glycidyl group which the graft polymer has were crosslinked.

이상과 같이 해서, 실시예2-1∼2-3의 각 표면기능성 부재를 얻었다. 이들을 표면기능성 부재(2-1)∼(2-3)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each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Examples 2-1 to 2-3 was obtained. Let these be surface functional members 2-1-(2-3).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2-1의 제작에 있어서, 가교구조 형성공정(가열)을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해서 비교예1의 표면기능성 부재를 얻었다. 이것을 표면기능성 부재(2-4)로 한다.In the preparation of Example 2-1,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step (heating) was not performed. Let this be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2-4.

실시예3-1∼3-3Examples 3-1 to 3-3

실시예2-1∼2-3의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몰비를 90/10에서 80/20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2-1∼2-3과 동일하게 해서 실시예3-1∼3-3의 각 표면기능성 부재를 얻었다. 이들을 표면기능성 부재(3-1)∼(3-3)으로 한다.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of Examples 2-1 to 2-3,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was changed from 90/10 to 80/20, Examples 2-1 to 2-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ach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Examples 3-1 to 3-3 was obtained. Let these be surface functional members 3-1-(3-3).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3-1의 제작에 있어서, 가교구조 형성공정(가열)을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3-1과 동일하게 해서 비교예3의 표면기능성 부재를 얻었다. 이것을 표면기능성 부재(3-5)로 한다.In the preparation of Example 3-1,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1 except that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step (heating) was not performed. Let this be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3-5.

실시예4-1∼4-3Examples 4-1 to 4-3

실시예2-1∼2-3의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몰비를 90/10에서 70/30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2-1∼2-3과 동일하게 해서 실시예4-1∼4-3의 각 표면기능성 부재를 얻었다. 이들을 표면기능성 부재(4-1)∼(4-3)으로 한다.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of Examples 2-1 to 2-3,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was changed from 90/10 to 70/30, Examples 2-1 to 2-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ach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Examples 4-1 to 4-3 was obtained. Let these be surface functional members 4-1-(4-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4-1의 제작에 있어서, 가교구조 형성공정(가열)을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4-1과 동일하게 해서 비교예4의 표면기능성 부재를 얻었다. 이것을 표면기능성 부재(4-4)로 한다.In the preparation of Example 4-1,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Comparative Example 4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1 except that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step (heating) was not performed. Let this be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4-4.

<평가2-1><Evaluation 2-1>

가교구조 형성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조건에 의한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의 변화(탈색)에 대해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The change (discoloration) of the reten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by the heating conditions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step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평가는, 표면기능성 부재(2-1)∼(2-4), (3-1)∼(3-4), 및 (4-1)∼(4-4)를 각각 포화 식염수에 5분간 침지한 후, 색소(메틸렌블루)의 흡수파장인 570㎚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UV-Vis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 측정하고, 포화 식염수 침지 전후에 있어서의 색소잔존율(%)을 이하의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행했다.Evaluation was performed by immersing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s (2-1) to (2-4), (3-1) to (3-4), and (4-1) to (4-4) in saturated saline for 5 minutes, respectively. Thereafter, the absorbance at 570 nm, which is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the dye (methylene blue), was measured by UV-Vis absorption spectrum, and the pigment residual ratio (%) before and after saturated saline immersion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

색소잔존율(%)=포화 식염수 침지후의 흡광도/포화 식염수 침지전의 흡광도×100Dye retention rate (%) = absorbance after saturated saline immersion / absorbance before saturated saline immersion x 100

<평가2-2><Evaluation 2-2>

가교구조의 형성성에 대해서, 중량 증가율(%)로 어림잠으로써 평가했다. 평가는, 얻어진 기능성 부재를 물에 1시간 침지하고, 침지 전후의 중량 증가율(%)을 비교함으로써 행했다. 또, 본 평가는, 표면기능성 부재(2-1)∼(2-4)에 대해서만 행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The formation property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was evaluated by approximating the weight increase rate (%). Evaluation was performed by immersing the obtained functional member in water for 1 hour, and comparing the weight increase rate (%) before and behind immersion. Moreover, this evaluation was performed only about surface functional members 2-1-(2-4).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표2)Table 2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9
Figure 112007016128852-PCT00009

표2에 나타내듯이, 실시예의 각 표면기능성 부재는, 어느 것에 대해서나, 비교예의 각 표면기능성 부재와 비교한 경우에 색소잔존율이 높고, 가교구조 형성공정을 행함으로써, 기능성 소재(색소)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each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s of the Example has a high pigment residual ratio when compared with each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s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performs a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step to obtain a functional material (pigment). It can be seen that the retention and its durability are improved.

또한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90/10)에서는 160℃에서 5분,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80/20) 또는 (70/30)에서는 140℃에서 5분이상의 가열조작을 행한 경우에 80%이상의 색소잔존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충분한 가교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기능성 소재(색소)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heating operation for 5 minutes at 160 ° C. for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90/10) and at 140 ° C. for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80/20) or (70/30) is performed. When it was carried out, the pigment | dye persistence of 80% or more was confirmed. In this regard, it is understood that the sufficient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whereby the reten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pigment) and its sustainability are further improved.

또한 실시예의 각 표면기능성 부재는, 어느 것이나 중량 증가율이 낮고,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충분한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Moreover, as for each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an Example, all have low weight increase rate, and it can confirm that sufficient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in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실시예5Example 5

실시예2-1의 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에 있어서,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몰비 90/10)를, 아크릴산/N-메티롤아크릴아미드(몰비 80/20)로 변경하고, 아크릴산과 N-메티롤아크릴아미드의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시키고, 또한 가교구조 형성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조건을 130℃에서 10분간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해서 실시예5의 표면기능성 부재를 얻었다. 이것을 표면기능성 부재5로 한다.In the graft polymer production step of Example 2-1,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molar ratio 90/10) is changed to acrylic acid / N-metholacrylamide (molar ratio 80/20), and acrylic acid and N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of Example 5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the graft polymer of methirolacrylamide was produced and the heating conditions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step were changed from 130 ° C. to 10 minutes. Got. This is referred to as surface functional member 5.

얻어진 표면기능성 부재5의 평가를 상기 <평가2-1>과 동일하게 해서 행한 결과, 색소잔존율은 80%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obtained surface functional member 5 in the same manner as in <Evaluation 2-1>, it was confirmed that the pigment | dye persistence was 80% or more.

이상의 실시예1, 2-1∼2-3, 3-1∼3-3, 4-1∼4-3, 및 5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표면에 기능성 소재가 강고하게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갖고, 또한 기능성 소재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이 우수한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Examples 1, 2-1 to 2-3, 3-1 to 3-3, 4-1 to 4-3, and 5, the functional material is firmly adsorbed on the substrate surfac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rface functional member which has the durabl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made excellent, and is excellent in the retention of a functional material, and its durability can be provided.

실시예6Example 6

1.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 1.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PET(188㎛, 토레이사제)를 기재로서 사용하고, 그 표면에 하기의 광중합성 조성물을 로드바 18번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6㎛의 중간층을 형성했다.PET (188 µm, manufactured by Toray Industries, Inc.) was used as the substrate, and the following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thereof using a rod bar 18, dried at 80 ° C for 2 minutes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6 µm.

<광중합성 조성물><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알릴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2gAllyl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copolymer 2 g

(공중합 몰비율 80/20, 평균 분자량 10만)  (Copolymerization molar ratio 80/20, average molecular weight 100,000)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4g· Ethylene oxide modified bisphenol A diacrylate... 4 g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1.6g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1.6 g

·1-메톡시-2-프로판올…16g1-methoxy-2-propanol... 16 g

-그래프트 폴리머의 생성-Production of Graft Polymers

다음에 중간층 상에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몰비:80/20)의 5질량%의 모노머 수용액을 5㎖ 적하하고, 그 위에 석영판을 씌우고, 그 모노머 수용액을 균일하게 중간층과 석영판에 끼워넣었다. 다음에 노광기(UVX-02516S1LP01, 우시오 덴키사제)를 이용해서 5분간 노광했다. 이상과 같이 해서, 기재표면에 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된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기재를 기재A로 한다.Next, 5 ml of 5 mass% monomer aqueous solution of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molar ratio: 80/20) is dripped on the intermediate | middle layer, the quartz plate is covered on it, and this monomer aqueous solution is uniformly mixed with an intermediate | middle layer and a quartz plate. Put on. Next, it exposed for 5 minutes using the exposure machine (UVX-02516S1LP01, the Ushio Denki company make). As described above, a substrate having a graft polymer composed of a copolymer of acrylic acid and glycidyl methacrylate bonded to the substrate surface was obtained. The obtained base material is used as the base material A.

2. 도전성 입자 흡착층 형성공정2.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formation process

이 기재A를, 이하와 같이 해서 얻어진 양의 전하를 갖는 Ag입자 분산액중에 침지하고, 그 후에 흐르는 물로 표면을 충분히 세정해서 여분의 입자분산액을 제거하여, 도전성 입자가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얻었다.The base material A is immersed in the Ag particle dispersion which has the positive charge obtained as follows, the surface is wash | cleaned sufficiently with the flowing water after that, the excess particle dispersion is removed, and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which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b | sucks is formed. Got it.

(Ag입자 분산액의 조제)(Preparation of Ag particle dispersion)

과염소산은의 에탄올 용액(5mmol/ℓ) 50㎖에 비스(1,1-트리메틸암모늄데카노일아미노에틸)디술피드 3g을 첨가해서, 세차게 교반하면서 수소화붕소나트륨 용액(0.4mol/ℓ) 30㎖를 천천히 적하해서 이온을 환원하고, 4급 암모늄으로 피복된 은입자의 분산액을 얻었다. 이 은입자의 사이즈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평균 입경은 5㎚였다.To 50 ml of silver perchlorate ethanol solution (5 mmol / L), 3 g of bis (1,1-trimethylammoniumdecanoylaminoethyl) disulfide was added, and 30 ml of sodium borohydride solution (0.4 mol / L) was slowly added with vigorous stirring. It dripped and the ion was reduced, and the dispersion liquid of the silver particle coat | covered with quaternary ammonium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ize of this silver particle with the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was 5 nm.

3. 가교구조 형성공정3.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Process

도전성 입자 흡착층이 형성된 기재A를 핫플레이트(형식:T2Z. Bamstead사제)를 이용하여, 140℃에서 5분 가열을 행하고,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카르복실기와 글리시딜기를 가교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했다. The substrate A o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was formed was heated at 140 ° C. for 5 minutes using a hot plate (model: T2Z. Bamstead Co., Ltd.) to crosslink the carboxyl group and the glycidyl group of the graft polymer to form a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A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이상과 같이 해서 실시예6의 도전막을 얻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film of Example 6 was obtained.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6의 크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의 그래프트 폴리머 형성에 있어서, 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80/20몰비)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시키는 대신에, 아크릴산만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시키고, 또한, 가교구조 형성공정을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6과 동일하게 해서 비교예5의 도전막을 얻었다. In the graft polymer formation of the k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of Example 6, instead of producing a graft polymer composed of acrylic acid and glycidyl methacrylate (80/20 molar ratio), a graft polymer composed only of acrylic acid was produced, A conductiv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5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step was not performed.

<평가><Evaluation>

(도전성의 평가)(Evaluation of conductivity)

실시예6의 도전막에 있어서의 가교구조가 형성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의 표면도전성을 LORESTA-FP(미츠비시 카가쿠(주)제)를 이용하여 4탐침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1.1Ω/□를 나타냈다.The surface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conductive film of Example 6 was measured by four probe method using LORESTA-FP (manufactured by Mitsubishi Kagaku Co., Ltd.). Indicated.

또한 비교예5의 도전성 막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 흡착면의 표면도전성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1.5Ω/□를 나타냈다.Moreover, 1.5 ohms / square which measured the surface conductivity of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surface in the electroconductive film of the comparative example 5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was shown.

이러한 점에서, 실시예6 및 비교예5에 있어서도, 도전성이 우수한 도전성 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this respect, it was found that also in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5, a conductive film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was formed.

(내구성의 평가)(Evaluation of the durability)

실시예6 및 비교예5의 도전막을 각각 포화 식염수에 10분간 침지하고, 침지 전후의 표면도전성을 비교함으로써, 도전성 입자의 유지 내구성을 평가했다. 여기에서, 표면도전성의 측정방법은 상기 도전성의 평가에 있어서의 표면도전성의 측정방법과 같다. 또, 침지전의 표면도전성은 상기 도전성의 평가의 결과로 한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낸다.The holding | maintenance durability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was evaluated by immers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s of Example 6 and the comparative example 5 for 10 minutes, respectively, and comparing the surface conductivity before and behind immersion. Here, the measuring method of surface conductivity is the same as the measuring method of surface conductivity in the said evaluation of electroconductivity. In addition, the surface conductivity before immersion is a result of evaluation of the said electroconductivity.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표3)Table 3

Figure 112007016128852-PCT00010
Figure 112007016128852-PCT00010

상기의 평가결과로부터,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한 실시예6의 도전막은 포화 식염수 침지 전후에 있어서의 표면도전성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고, 그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above evaluation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nductive film of Example 6 in which the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was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conductivity before and after saturated saline immersion was high and its durability was excellent.

한편, 아크릴산만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해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형성하고, 그 도전성 입자 흡착층에 가교구조를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5의 도전막은 포화 식염수 침지전에는 실시예6과 같은 정도의 표면도전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포화 식염수 침지후에서는 표면도전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도전성 입자의 탈리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a graft polymer composed only of acrylic acid was formed to form a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and a crosslinked structure was not formed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had the same surface conductivity as that of Example 6 before saturated saline immersion. Although it is shown, after saturated saline immersion, surface electroconductivity fell remarkably and it is guessed that the detachment | disassembly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might have arisen.

이상의 실시예6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1)에 의하면, 높은 도전성을 갖고, 또한, 그 내구성이 우수한 도전성 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Example 6 abov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1) of the conductive film of this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ctive film which has high electroconductivity and is excellent in the durability can be provided.

실시예7Example 7

1.그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1. Graft polymer production process

폴리이미드 필름(제품명:카프톤, 도레이 듀퐁사제)을 기재로서 사용하고, 그 표면에 하기의 광중합성 조성을 로드 18번의 도포바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6㎛의 중간층을 형성했다.Using a polyimide film (product name: Kapton, manufactured by Toray DuPont) as a substrate, the following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thereof using a rod No. 18 coating bar, dried at 80 ° C. for 2 minutes, and an intermediate layer having a film thickness of 6 μm. Formed.

<광중합성 조성물><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알릴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2gAllyl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copolymer 2 g

(공중합 몰비율 80/20, 평균 분자량 10만)  (Copolymerization molar ratio 80/20, average molecular weight 100,000)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4g· Ethylene oxide modified bisphenol A diacrylate... 4 g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1.6g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1.6 g

·1-메톡시-2-프로판올…16g1-methoxy-2-propanol... 16 g

-그래프트 폴리머의 생성-Production of Graft Polymers

다음에 중간층 위에 아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몰비는 80/20)의 5질량% 모노머 수용액을 5㎖ 떨어뜨리고, 석영판을 씌워서, 5질량% 모노머 수용액을 균일하게 중간층과 석영판에 끼워넣었다. 다음에 노광기(UVX-02516S1LP01, 우시오 덴키사제)를 이용하여 5분간 노광했다. 그 후에 석영판을 떼어내어 물로 세정했다. 이상과 같이 해서, 기재표면에 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가 결합된 기재를 얻었다.Next, 5 ml of 5 mass% monomer aqueous solution of acrylic acid / glycidyl methacrylate (molar ratio is 80/20) was dropped on a middle layer, and a quartz plate was covered, and a 5 mass% monomer aqueous solution was uniformly sandwiched between the middle layer and the quartz plate. Put in. Next, it exposed for 5 minutes using the exposure machine (UVX-02516S1LP01, the Ushio Denki company make). After that, the quartz plate was removed and washed with water. As described above, a substrate having a graft polymer composed of a copolymer of acrylic acid and glycidyl methacrylate bonded to the substrate surface was obtained.

2.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 형성공정2.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Forming Process

이 기재A를, 질산은(와코 쥰야쿠제) 1질량%의 수용액에 1시간 침지한 후, 증류수로 세정했다. 그 후에 수소화붕소나트륨의 1질량%의 수용액에 1시간 침지하고, 그래프트막중에 은의 미립자를 형성시켜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했다. After immersing this base material A in the aqueous solution of 1 mass% of silver nitrates (made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for 1 hour, it wash | cleaned with distilled water. Then, it immersed in 1 mass% aqueous solution of sodium borohydride for 1 hour, the fine particle of silver was formed in the graft film, and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containing layer was formed.

3. 가교구조 형성공정3. Crosslinked Structure Forming Process

무전해 도금 촉매 등 함유층이 형성된 기재를 핫플레이트(형식 T2B, Banstead사제)를 이용하여, 140℃에서 5분 가열을 행하고,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카르복실기와 글리시딜기를 가교시켜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했다.A substrate on which a layer contain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is formed is heated at 140 ° C. for 5 minutes using a hot plate (model T2B, manufactured by Banstead) to crosslink the carboxyl group and the glycidyl group of the graft polymer to form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A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in the middle.

4.무전해 도금공정4. Electroless Plating Process

가교구조 형성공정을 종료한 기재를 하기 조성의 무전해 도금욕에 20분간 침지해서 금속(동)을 석출시켜 실시예7의 도전막A를 제작했다.The base material which completed the bridge | crosslinking structure formation process was immersed for 20 minutes in the electroless plating bath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and the metal (copper) was deposited,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A of Example 7 was produced.

<무전해 도금욕 성분><Electroless Plating Bath Components>

·OPC 커퍼-H T1(오쿠노 세이야쿠(주)제)…6mL · OPC Cupper-H T1 (manufactured by Okuno Seiyaku Co., Ltd.) 6 mL

·OPC 커퍼-H T2(오쿠노 세이야쿠(주)제)…1.2mL · OPC Cupper-H T2 (manufactured by Okuno Seiyaku Co., Ltd.) 1.2 mL

·OPC 커퍼-H T3(오쿠노 세이야쿠(주)제)…10mL · OPC Cupper-H T3 (manufactured by Okuno Seiyaku Co., Ltd.) 10 mL

·물…83mL·water… 83 mL

실시예8Example 8

실시예7에서 제작된 도전막A를 다시 15분간 전기 도금해서 실시예8의 도전막B를 제작했다.The electroconductive film A produced in Example 7 was electroplated again for 15 minutes to prepare the conductive film B of Example 8.

<전기 도금욕의 조성><Composition of Electroplating Bath>

·황산동…38g· Sulfuric acid copper… 38 g

·황산…95gSulfuric acid 95 g

·염산…1mL·Hydrochloric acid… 1 mL

·카퍼그림 PCM(마루텍스(주)제)…3mL · Caper Grimm PCM (made by Marutex Co., Ltd.) 3 mL

·물…500mL·water… 500 mL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실시예7의 크래프트 폴리머 생성공정의 그래프트 폴리머의 생성에 있어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아크릴산만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시킨 이외는 실시예7과 동일하게 해서 비교예6의 도전막C를 얻었다.In the production of the graft polymer of the kraft polymer production step of Example 7, except that glycidyl methacrylate was not used and a graft polymer composed only of acrylic acid was produced, the conductiv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6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C was obtained.

비교예7Comparative Example 7

비교예6에서 제작된 도전막C에, 다시 실시예8과 동일하게 해서 전기 도금을 행하여 비교예7의 도전막D를 얻었다.The conductive film C produced in Comparative Example 6 was subjected to electroplat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 to obtain a conductive film D of Comparative Example 7.

<평가><Evaluation>

1.도전성의 평가 1. Evaluation of conductivity

상기에 의해 얻어진 도전막A∼D의 표면도전성을 LORESTA-FP(미츠비시 카가쿠(주)제)를 이용하여 4탐침법에 의해 측정했다.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낸다.The surface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films A to D obtained above was measured by a four probe method using LORESTA-FP (manufactured by Mitsubishi Kagaku Co., Lt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2.밀착성의 평가 2. Evaluation of adhesion

얻어진 도전막A∼D의 표면에, 알루미늄판(두께 0.1mm)을 에폭시계 접착제(알다이트, 치바가이기사제)로 접착해서 140℃에서 4시간 건조시킨 후, JISC6481에 기 초해서 90° 박리실험을 행했다.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낸다.An aluminum plate (thickness of 0.1 mm) was bonded to the surfaces of the obtained conductive films A to D with an epoxy adhesive (Aldite, manufactured by Chiba Co., Ltd.), dried at 140 ° C. for 4 hours, and then peeled at 90 ° based on JISC6481.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3.내습도 시험 3. Humidity test

얻어진 도전막A∼D를 100℃, 85RH%의 조건하에 7일간 방치한 후, 마일러 테이프를 이용하여 박리시험을 행함으로써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낸다.After leaving obtained electrically conductive films A-D for 7 days on 100 degreeC and 85 RH% conditions, it evaluated by performing peeling test using a mylar tap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평가기준--Evaluation standard-

○:금속부분의 벗겨짐이 없다 ○: there is no peeling of the metal part

×:금속부분의 벗겨짐이 있다X: There is peeling of the metal part

(표4)Table 4

Figure 112007016128852-PCT00011
Figure 112007016128852-PCT00011

표4에 나타내듯이,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한 실시예의 도전막A 및 B는, 도전성이 높고, 밀착성이 우수한 도전막이며, 고습도하에 장기간 놓여진 경우라도, 금속부분은 벗겨지지 않고 유지 지속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은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가교구조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이 추측된다.As shown in Table 4, the conductive films A and B of the examples in which the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were conductive films having high conductivity and excellent adhesion, and the metal parts were not peeled off even when placed for a long time under high humidity. The sustainability was excellent. In this respect, it is assumed that the metal precipitated by electroless plating is firmly held by the crosslinked structure of the graft polymer.

한편, 아크릴산만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생성해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하고, 그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에 가교구조를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6의 도전막C 및 D는, 실시예의 도전막과 비교해서, 도전성, 밀착성 어느 것이나 떨어졌으며, 특히, 금속부분의 유지 지속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은 고습도에 의해, 그래프트 폴리머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이 추측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films C and D of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a graft polymer composed only of acrylic acid were formed to form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and no crosslinked structure was formed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were compared with the conductive films of the examples.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conductivity, the adhesion, and the adhesion were inferior, and in particular, the sustainability of the metal part was remarkably decreased. In this respect, it is estimated that the metal precipitated by electroless plating peels off the graft polymer by high humidity.

이상의 실시예7 및 8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도전막의 제조방법(2)에 의하면, 높은 도전성 및 밀착성을 갖고, 또한 도전성 소재의 유지성 및 그 지속성이 우수한 도전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도전막의 제조법에 의해 얻어진 도전막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Examples 7 and 8,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2) of the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m has a high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is excellent in the reten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and its durability, and the conduct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 conductive film obtained by can be provided.

Claims (20)

기재 상에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on the substrate;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기능성 소재를 흡착시켜서 기능성 소재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Adsorb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of the graft polymer to form a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And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소재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functional material adsorption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가 극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is a polar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소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가 이온성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is an ionic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가 수산기, 메티롤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 metyrol group, a glycid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d an amino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소재가 반사방지부재용 미립자, 도전성 미립자, 표면항균성 재료용 미립자, 자외선 흡수부재용 미립자, 광학재료용 미립자, 가스배리어 필름용 미립자, 유기 발광소자용 미립자, 및 적외선 흡수부재용 소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The fine functional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nctional material is an antireflection member fine particle, conductive fine particle, surface antibacterial material fine particle, ultraviolet absorbing fine particle, optical material fine particle, gas barrier film fine particl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fine particle, and infrared ray.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bsorbent materi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소재가 적외선 흡수부재용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기능성 부재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 functional memb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unctional material is a material for an infrared absorbing member. 기재 상에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on the substrate;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가 갖는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에 도전성 입자를 흡착시켜서 도전성 입자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Adsorbing the conductive particles to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graft polymer to form a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And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입자 흡착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conductive particle adsorption lay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가 극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is a polar gro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가 이온성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that can interact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is an ionic gro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가 수산기, 메티롤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 methirol group, a glycid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d an amino gro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미립자가 도전성의 금속입자 및 금속산화물 입자, 반도체특성을 갖는 금속산화물 입자 및 금속화합물 미립자, 및, 도전성 수지 미립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nductive fine particles are one or more fine particles selected from conductive metal particles and metal oxide particles, metal oxide particles and metal compound particles having semiconductor characteristics, and conductive resin particles. Manufactur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입경이 0.1㎚∼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12.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fine particles is in a range of 0.1 nm to 1 m. 기재 상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그래프트 폴리머를 직접 결합시키는 공정;Directly bonding a graft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on the substrate;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를 부여해서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을 형성하는 공정; Providing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a precursor thereof to the graft polymer to form an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함유층중에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공정; 및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by applying energy to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containing layer; And 무전해 도금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It has a 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가 극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its precursor is a polar grou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해 도금 촉매 또는 그 전구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능기가 이온성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electroless plating catalyst or its precursor is an ionic grou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가 수산기, 메티롤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 methrol group, a glycid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d an amino grou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되는 금속이 동, 주석, 납, 니켈, 금, 및 팔라듐, 로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metal precipitated by electroless plating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tin, lead, nickel, gold, and palladium and rhodiu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해 도금을 행하는 공정이 종료된 후에, 다시 전기 도금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ctive film of Claim 13 which has the process of electroplating again after the 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is complete | finish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금에 이용되는 금속이, 동, 크롬, 납, 니켈, 금, 은, 주석,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 막의 제조방법.19.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metal used for the electroplating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chromium, lead, nickel, gold, silver, tin, and zinc. 제13항에 기재된 도전막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도전막으로서,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직접 결합된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부착된 층을 구비하고,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석출된 금속이 부착된 층이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A conductive film obtain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3, comprising: a base material and a layer having a metal deposited by electroless plating on a graft polymer bonded directly on the base material; A conductive film characterized by crosslinking a layer with a metal deposited by sea plating.
KR1020077004403A 2004-08-18 2005-08-09 Process for production of surface-functional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nductive membranes KR1008454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38704 2004-08-18
JP2004238704A JP2006056948A (en) 2004-08-18 2004-08-18 Method for producing surface-functional member
JPJP-P-2004-00239244 2004-08-19
JP2004239244A JP2006056968A (en) 2004-08-19 2004-08-19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film
JP2004246459A JP2006066180A (en) 2004-08-26 2004-08-26 Manufacturing method for conductive film and conductive film
JPJP-P-2004-00246459 2004-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511A true KR20070055511A (en) 2007-05-30
KR100845490B1 KR100845490B1 (en) 2008-07-10

Family

ID=3590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403A KR100845490B1 (en) 2004-08-18 2005-08-09 Process for production of surface-functional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nductive membran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5490B1 (en)
WO (1) WO200601900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266A1 (en) * 2007-07-31 2009-02-05 Hanwha Chemical Corporatio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of crosslinked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micron and the plated particles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655A (en) * 2000-12-13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Original plate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
JP2003068146A (en) * 2001-08-30 2003-03-07 Fuji Photo Film Co Lt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266A1 (en) * 2007-07-31 2009-02-05 Hanwha Chemical Corporatio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of crosslinked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micron and the plated particles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9009A1 (en) 2006-02-23
KR100845490B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2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ttern material
US6811878B2 (en) Conductive film
US7393567B2 (en) Pattern forming method, arranged fine particle pattern forming method, conductive pattern forming method, and conductive pattern material
EP1581031B1 (en) Methods of forming a pattern and a conductive pattern
EP1447145B1 (en) Member provided with a surface layer of adsorbed functional particles
JP4606924B2 (en) Graft pattern material, conductive pattern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1151307A (en) Surface graft material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conductive material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conductive pattern material
US20080003424A1 (en) Particle Laminated Subst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348256B2 (en)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pattern material
JP4920318B2 (en) Conductive pattern forming method and wire grid polarizer
KR100845490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surface-functional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nductive membranes
JP2006056948A (en) Method for producing surface-functional member
US20040185238A1 (en) Thin film laminated with single particle layer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JP2003112379A (en) Surface-functional member
JP2006066180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nductive film and conductive film
JP479432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transmissiv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light transmissiv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nd display filter
JP2003234561A (en) Conductive pattern material
JP2004300251A (en) Method for produ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material and fine particle adsorption material
JP2003131008A (en) Conductive film
JP4216751B2 (en) Conductive pattern forming method and conductive pattern material
JP2003345038A (en) Conductive pattern
JP2006056968A (en)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film
JP2006104045A (en) Conductive glass substrate, method of forming conductive glass substrate, and method of forming conductive pattern
JP2006056949A (en) Method for producing surface-functional member and surface-functional member
JP2003008040A (en) Conductiv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