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148A - 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 Google Patents

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148A
KR20070054148A KR1020070010175A KR20070010175A KR20070054148A KR 20070054148 A KR20070054148 A KR 20070054148A KR 1020070010175 A KR1020070010175 A KR 1020070010175A KR 20070010175 A KR20070010175 A KR 20070010175A KR 20070054148 A KR20070054148 A KR 2007005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moving
transfer device
self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5553B1 (en
Inventor
마그너슨 핸릭
강정일
Original Assignee
비깅우데만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2760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5414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깅우데만 에이비 filed Critical 비깅우데만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7001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553B1/en
Publication of KR2007005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슨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슨 제작장에서 제작된 케이슨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는,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이송하는 이송시스템에서, 상기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승강용 실린더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고 안착대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부로 승강시키는 승강용 실린더;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케이슨이 안착되는 안착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고 그립 헤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용 실린더; 상기 이동용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 상기 그립 헤드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 헤드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로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움켜쥐는 그립 패드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apparatus and a caisson convey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a moving passage so as to easily convey a caisson manufactured at a caisson manufacturing site. A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a manufactured or manufactured caisson along a moving rail, the caisson conveying apparatus moving along the moving passage while the caisson is seated on the upper side, the lower frame; An upper fram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fixing a lifting cylinder; An elevating cylinder fixed by the upper frame and configured to elevate the caisson mounted on a seating table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 seating tab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cylinder and seated with a caisson; A moving cylinder coupl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frame and moving the grip head forward or backward; A grip head moving forward or backward by the moving cylinder; A grip pad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grip head and which grips the moving rail formed in the moving passage while the grip head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a sliding pad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frame and contacts the moving 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케이슨, 이송, 실린더, 저마찰 패드, 이동 레일 Caisson, conveying, cylinder, low friction pad, moving rail

Description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슨 이송 시스템{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system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of a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배면도이다.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그립 헤드가 멀어진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 head of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way.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그립 헤드가 가까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the grip head of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ear.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aisson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도7에서 케이슨 이송 장치를 그룹화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isson transfer devices are grouped in FIG.

도9는 도7에서 케이슨 이송 장치를 열에 따라 관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aisson transfer device is managed in accordance with heat in FIG. 7.

도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요부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caisson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케이슨 20: 케이슨 이송 장치1: caisson 20: caisson transfer device

30: 하부 프레임 32: 저마찰판30: lower frame 32: low friction plate

34: 바퀴 36: 탄성부재34: wheel 36: elastic member

40: 상부 프레임 42: 승강용 실린더40: upper frame 42: lifting cylinder

44: 안착대 50: 이송대44: seating table 50: transfer table

52: 유압 실린더 54: 지지빔52: hydraulic cylinder 54: support beam

56: 가압대56: pressurizing table

100: 케이슨 이송 장치 112,114: 바퀴측 프레임100: caisson transfer device 112,114: wheel side frame

116: 지지대 118: 탄성 부재116: support 118: elastic member

120: 바퀴 122: 슬라이딩 패드120: wheel 122: sliding pad

130: 이동용 실린더 140: 그립 헤드130: cylinder for movement 140: grip head

142: 그립 패드 144: 그립용 피스톤142: grip pad 144: piston for grip

150: 상부 프레임 152: 승강용 실린더150: upper frame 152: lifting cylinder

154: 안착대 200: 케이슨 이송 시스템154: seat 200: caisson transfer system

210: 이동 통로 215: 이동 레일210: moving passage 215: moving rail

본 발명은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슨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슨 제작장에서 제작된 케이슨을 용이하게 이 송할 수 있는 이송 장치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moving caisson transfer apparatus and a caisson transfer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er apparatus and a transfer system that can easily transfer a caisson manufactured at the caisson workshop.

케이슨은 해안의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되며 수천톤의 중량을 갖는 중량물이다. 이 때문에 케이슨을 제작하기 위해 제작장 내에서 단계적으로 제작중인 케이슨을 이송하는 작업 및 제작된 케이슨을 사용처까지 운송하는 작업은 매우 위험하고 고도의 기술을 요한다.The caisson is used for coastal watershed construction, which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has a weight of several thousand ton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aissons, the job of transporting the caissons being manufactured step by step in the workshop and transporting the manufactured caissons to the place of use is very dangerous and requires a high level of skill.

이와 같은 케이슨을 이송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36071호(케이슨의 제작 이동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독과 에어로 고 시스템을 통해 케이슨을 이송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convey such caissons, a method of conveying caissons through a floating dock and an aerolog system has been propos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36071 (a caisson manufacturing mov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그러나 이 방법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원환체 백에 구멍이 발생하여 누수가 되면 시스템이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높이 단차에 의해 케이슨이 이송 시스템과 충돌하게 되어 시스템이나 케이슨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is method causes a problem that a hole is formed in the toric bag constituting the system and the system cannot function properly if a leak occurs. In addition, the height difference causes the caisson to collide with the transfer system, causing a problem of damage to the system or caiss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5820호와 같은 케이슨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aisson transfer apparatus and a transfer method such a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105820 have been propos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0과 도11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nd the transfer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요부 사시도이다.Fig.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caisson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20)는 하부 프레임(30)과 상부 프레임(40)을 기반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caisson transfer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based on the lower frame 30 and the upper frame 40.

하부 프레임(30)의 상부에 상부 프레임(40)이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40)에는 승강용 실린더(42)가 고정된다. 승강용 실린더(42)의 상부에는 케이슨이 안착되는 안착대(44)가 결합되어 승하강 동작한다.The upper frame 4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0, the lifting cylinder 42 is fixed to the upper frame 40.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cylinder 42 is coupled to a seating table 44 on which a caisson is seated to move up and down.

하부 프레임(30)의 전방과 후방에는 탄성부재(36)에 의해 완충되는 바퀴(34)가 결합된다.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frame 30 is coupled to the wheel 34, which is buffered by the elastic member 36.

또한, 하부 프레임(30)의 하부에는 저마찰판(32)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ow friction plate 3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0).

이하에서 케이슨 이송 장치(20)가 거치된 케이슨 이송 시스템에서 케이슨(1)의 이송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caisson 1 in the caisson transfer system equipped with the caisson transfer device 20 will be described.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이송 장치(20)는 이동 레일 위에 거치된다.As shown in Fig. 11, the caisson transfer device 20 is mounted on the moving rail.

케이슨(1)을 이송하기 위하여, 제1단계, 승강용 실린더(42)에 의해 위로 승강한 안착대(44)에 케이슨(1)이 안착한다.In order to convey the caisson 1, the caisson 1 is seated on the seat 44, which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cylinder 42.

제2단계, 이송대(50)를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52), 지지 빔(54) 및 가압대(56)가 케이슨(1)의 양측에 위치된다.In the second step, the hydraulic cylinder 52, the support beam 54, and the pressure bar 56 constituting the transfer table 50 are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caisson 1.

제3단계, 유압 실린더(52)의 작용에 의해 가압대(56)가 케이슨(1)을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 레일과 케이슨 이송 장치(20)의 저마찰판(32)은 저마찰로 인해 용이하게 케이슨 이송 장치(20)가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In the third step, the pressure table 56 moves the caisson 1 by the 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52. In this case, the low friction plate 32 of the moving rail and the caisson transfer device 20 is easily moved by the caisson transfer device 20 along the moving rail due to the low friction.

제4단계, 케이슨(1)의 이동이 완료되면, 안착대(44)가 하강하여 케이슨(1)을 내려놓는다.When the movement of the caisson 1 is completed in the fourth step, the seating table 44 descends to lower the caisson 1.

제5단계, 바퀴(34)를 이용해 케이슨 이송 장치(2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In a fifth step, the caisson transfer device 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using the wheel 34.

이에 의해 제작중이거나 제작이 완료된 케이슨(1)이 필요한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Thereby, the caisson 1 being manufactured or completed is moved to a required posi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은, 케이슨 이송 장치(20)의 이동에 필요한 이동 레일의 건축 외에, 이송대(50)의 설치를 위한 건축 작업이 추가로 필요하여 시스템의 구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 caisson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moving rail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caisson conveying device 20, additional construction work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ying table 50 requires a long time to build the system. The problem arises.

또한, 케이슨(1)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52)의 용량이 대형으로 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케이슨(1)의 중량이 크게 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유압 실린더(52)를 사용할 수 없어 자원 소모가 크고, 고압의 유압을 관리하기 위해 설계가 많은 제약을 받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capacity of the hydraulic cylinder 52 for moving the caisson 1 becomes large,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of the caisson 1 is large, the existing hydraulic cylinder 52 can not be used, the resource consumption is large, a problem arises that the design is much restricted to manage the high pressure hydraulic pressure.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대용량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슨을 이송할 수 있는 장치와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system capable of transferring a caisson without using a large-capacity hydraulic cylind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로가 건축된 지반의 일부가 연약지반인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케이슨을 이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stably transporting a caisson even when a part of the ground on which the movement passage is built is a soft ground.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에 의하면,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이송하는 이송시스템에서, 상기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켜 상기 이동 통 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케이슨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장치와,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용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ying system for transporting the caisson being manufactured or manufactured along the moving rail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vement passage, the caisson is seated on the top I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for moving along the movement passage, the elevating device is moved up and down to move the caisson seated i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up and down, and the caissons seated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It may include a mobile device for moving back and forth to move to.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승강용 실린더이며, 상기 전후방 이동용장치는 이동용 실린더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device is a lifting cylinder,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may be a moving cylinder.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케이슨이 안착되는 안착대 및, 상기 이동용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fixed to the lifting cylinder, the seating tabl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cylinder and the caisson is seated, and the movement A grip head may be included that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cylinder.

또한, 상기 그립 헤드에는 상기 그립 헤드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 헤드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로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움켜쥐는 그립 패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 패드는, 상기 이동 레일과의 접촉면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고마찰 재질의 코팅 또는 고마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rip head may include a grip pad installed inside the grip head to grab a moving rail formed in the moving passage while the grip head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the grip pad include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moving rail may be formed in a saw blade shape, or may be formed of a high friction material or a high friction material.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저마찰 소재로 표면이 코팅되거나, 자체가 저마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may include a sliding pa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the sliding pad, the surface is coated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or a low friction material itself Can be formed.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케이슨이 안착되지 않은 무부하 상태인 경우 케이슨 이송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측 프레임과, 상기 바퀴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에는 상기 케이슨 안착대에 케이슨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바퀴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프레임에 지지대와 탄성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and the wheel side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frame, in order to move the caisson transfer device when the caisson is in a no-load state, and the A wheel coupled to the wheel-side frame may be included, and the caisson transfer device may include a support and an elastic member in the wheel frame to cushi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heel when the caisson is seated on the caisson seat. .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용 실린더와 상기 이동용 실린더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cylinder and the moving cylinder may be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대는, 케이슨에 의한 안착대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뒤집어진 상태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t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formed in a pyramid shape of the upside down in order to disperse the impact force due to the instantaneous load on the seating table by the caiss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장치는,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이송하는 이송시스템에서, 상기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승강용 실린더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고 안착대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부로 승강시키는 승강용 실린더,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케이슨이 안착되는 안착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고 그립 헤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용 실린더, 상기 이동용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 상기 그립 헤드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 헤드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로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움켜쥐는 그립 패드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레일에 접촉하 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the manufactured caisson or manufactured along the moving rail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vement passage, the caisson is moved along the movement passage with the caisson seated on the top In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a lower frame, an upper fram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fixing a lifting cylinder, a lifting cylinder for lifting a caisson fixed by the upper frame and seated on a seat, to the upper portion, the lifting height Mounting sea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for the caisson is seated, a moving cylinder coupled to the lower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and moving the grip head forward or rear, grip head moving forward or rearward by the movable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grip head, the grip head being forward or backward During the movement, it may include a grip pad for grabbing the moving rail formed in the moving passage, and a sliding pa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슨 제작장에서 제작된 케이슨을 물가까지 이송시키는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제작장부터 물가까지 복수개의 이동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로의 상부에 복수개의 이동 레일이 형성되고, 본 발명의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가 상기 이동 레일마다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의 승강용 실린더에 공급될 유압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nsfer system for transferring the caisson produced in the caisson manufacturing site to the waterside, a plurality of moving passages are formed from the caisson manufacturing site to the waterside, a pluralit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Two moving rail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moving rails,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be supplied to the lifting cylinder of th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에서, 상기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 내에 설치된 모든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가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동일 그룹에 속한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에 동일한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device is all the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device installed in the caisson conveying system is composed of two or more groups, the control unit is a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sam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device belonging to the same group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이동 레일에 설치된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에 동일한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il pressure so that the same oil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installed on the same moving rail.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 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definition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Self-moving caisson feed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배면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ar view of a caisson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100: 이하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는 간략히 '케이슨 이송 장치'라 한다)는 기본 몸체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110)을 형성하고, 상부에 승강용 실린더(152)를 결합하고, 전방과 후방에 바퀴(120)를 결합하고, 하부 슬라이딩 패드(122)를 결합하여 구성된다.As shown,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scribed below,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for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is briefly referred to as 'caisson transfer device') Is formed by forming a lower frame 110 constituting the basic body, coupled to the lifting cylinder 152 on the top, to combine the wheel 120 in the front and rear, and to combine the lower sliding pad 122 .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승강용 실린더(152)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150)이 승강용 실린더(152)를 둘러싸도록 결합된다.An upper frame 150 for fixing the lifting cylinder 152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0 to surround the lifting cylinder 152.

승강용 실린더(152)는 안착대(154)에 안착되는 케이슨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된다. 승강용 실린더(152)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된다. 유압의 제공은 후술되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lifting cylinder 152 is used to lift the caisson seated on the seating table 154. The lifting cylinder 152 is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The hydraulic pressure is provid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f the caisson transfer system described later.

안착대(154)는 케이슨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케이슨에 의한 안착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뒤집어진 상태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케이슨이 안착대(154)에 안착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이 뒤집어진 상태의 피라미드 형상 구조물에 의해 분산되어 케이슨 이송 장치(100)의 파손을 방지한다.The seating table 154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aisson is seated, and is formed in a pyramidal shape in an inverted state to prevent damage to the seating board by the caisson. As a result, the shock generated at the moment when the caisson is seated on the seating table 154 is dispersed by the pyramidal structure in an inverte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from being damaged.

하부 프레임(110)의 전방과 후방에는 바퀴측 프레임(112)이 결합된다.Wheel side frame 112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frame 110.

바퀴측 프레임(112)에는 지지대(116)와 탄성 부재(118)에 의해 완충기능이 수행되는 바퀴(120)가 결합된다. 바퀴(120)는 케이슨 이송 장치(100)에 케이슨이 거치되지 않을 때(즉, 무부하 상태일 때)에,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이동되는 이동 수단으로 기능한다.The wheel side frame 112 is coupled to the wheel 120, the buffer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support 116 and the elastic member 118. The wheel 120 functions as a moving means by which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is moved whe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is not mounted (that is, no load state).

하부 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는 이동용 실린더(130)가 결합된다. 이동용 실린더(130)는 그립용 피스톤을 통해 그립 헤드(140)를 밀거나 당겨서, 케이슨이 케이슨 이송 장치(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케이슨 이송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으로 기능한다. 이동용 실린더(130)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된다. 유압의 제공은 후술되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110, the moving cylinder 130 is coupled. The moving cylinder 130 pushes or pulls the grip head 140 through the grip piston, and serves as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while the caisson is mounted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The moving cylinder 130 is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The hydraulic pressure is provid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f the caisson transfer system described later.

하부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그립용 피스톤을 통해 그립 헤드(140)가 연결된다. 그립 헤드(140)의 내측에는, 그립 헤드의 이동중에 이동 통로의 이동 레일을 움켜쥐는 그립 패드(142)가 결합된다.The grip head 14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0 through a grip piston. Inside the grip head 140, a grip pad 142 that grips the moving rail of the moving passage during the movement of the grip head is engaged.

그립 패드(142)는 이동 레일과의 접촉면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높이게 구성된다. 또한 그립 패드(142)는 고마찰 재질의 코팅 또는 고마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 pad 142 is configured to have a contact surface with a moving rail in a saw blade shape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the grip pad 142 is preferably formed of a high friction material coating or high friction material.

하부 프레임(110)의 하부 바닥에는 슬라이딩 패드(122)가 결합된다. 슬라이딩 패드(122)는 저마찰 소재로 표면이 코팅되거나, 자체가 저마찰 소재료 형성되 어, 이동 레일과 접촉하여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미끄러지듯 이동되도록 돕는다.The sliding pad 122 is coupled to the lower bottom of the lower frame 110. The sliding pad 122 is coated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or is itself formed of a low friction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to help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to slide.

(케이슨 이송 장치의 이동)(Movement of caisson feed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와 도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이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ovement of a caiss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그립 헤드가 멀어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장치의 그립 헤드가 가까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 head of the caiss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way,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 head of the caiss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oser.

케이슨 이송 장치(100)의 안착대(154)에 케이슨이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퀴(120)의 회전에 의해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이동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caisson is not positioned on the seating table 154 of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100,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100 moves by the rotation of the wheel 120.

한편, 케이슨 이송 장치(100)에 케이슨이 거치될 경우, 제1단계, 승강용 실린더(152)에 유압이 공급되어, 안착대(154)가 위로 승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isson is mounted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the first step,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lifting cylinder 152, the seating table 154 is lifted up.

제2단계, 케이슨이 안착대(154)에 거치된다.In the second step, the caisson is mounted on the seating table 154.

제3단계, 케이슨이 안착대(154)에 거치됨에 따라 케이슨 이송 장치(100)의 탄성 부재(118)가 가압되어, 슬라이딩 패드(122)가 이동 레일(215)과 접촉한다.In the third step, as the caisson is mounted on the seating table 154, the elastic member 118 of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is pressed to contact the sliding pad 122 with the moving rail 215.

제4단계, 이동용 실린더(130)에 유압이 공급되어, 그립 헤드(140)가 그립용 피스톤(144)에 의해 케이슨 이송 장치(10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4에 도시된다.In the fourth step,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moving cylinder 130 so that the grip head 140 is separated from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by the grip piston 144. The state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제5단계, 그립 패드(142)가 이동 레일(215)을 움켜쥔다.In a fifth step, the grip pad 142 grips the moving rail 215.

제6단계, 이동용 실린더(130)가 유압에 의해 그립 헤드(140)가 케이슨 이송 장치(100) 쪽으로 당겨지게 한다. 이때, 그립 헤드(140)의 그립 패드(142)가 이동 레일(215)의 양 측벽을 잡고 있고, 케이슨 이송 장치(100)는 저마찰의 슬라이딩 패드(122)가 이동 레일(215)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그립 헤드(140)의 위치는 유지된 채,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그립 헤드(14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5에 도시된다.In a sixth step, the moving cylinder 130 causes the grip head 140 to be pulled toward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by hydraulic pressure. At this time, the grip pad 142 of the grip head 140 is holding both side walls of the moving rail 215,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is a low friction sliding pad 1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rail 215 I'm in contact. Accordingly,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moves toward the grip head 140 while the position of the grip head 140 is maintained. The state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이하에서 제4단계 내지 제6단계의 과정을 반복하여 케이슨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Hereinafter, the caisson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repeating the process of the fourth to sixth steps.

(케이슨 이송 시스템)(Caissons transfer system)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6과 도7을 참조로 케이슨 이송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aisson transfer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aisson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케이슨 제작장부터 케이슨이 사용될 물가까지 복수개의 이동 통로(210)가 형성된다. 이동 통로(210)에는 복수개의 이동 레일(215)이 형성된다. 이동 레일(215)은 표면이 저마찰 재질의 재료로 코팅 또는 도포되거나 자체가 저마찰 재질로 이루어져, 케이슨 이송 장치(100)의 슬라이딩 패드(122)가 쉽게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oving passages 210 are formed from the caisson workshop to the waterside where the caisson is to be used. The movement passage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ement rails 215. The moving rail 215 is coated or coated with a material of low friction material or itself is made of a low friction material, so that the sliding pad 122 of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can easily slide and move.

이동 레일(215)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위치된다. 케이슨 이송 장치(10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승강용 실린더(152) 와 이동용 실린더(130)의 동작에 필요한 유압을 제공받는다.A plurality of caisson transfer devices 10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215.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is provided with hydraulic pressur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152 and the moving cylinder 130 by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케이슨 이송 장치들의 그룹화)(Grouping caisson transfer uni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에 설치된 모든 케이슨 이송 장치들(100)을 몇 개의 그룹(바람직하게는 3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관리한다.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ll caisson transfer devices 100 installed in 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by grouping them into several groups (preferably three group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8을 참조로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그룹화되어 관리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will be grouped and manag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8은 도7에서 케이슨 이송 장치를 그룹화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isson transfer devices are grouped in FIG.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3개의 이동 통로(210)를 갖고, 각각의 이동 통로(210)는 2개의 이동 레일(215)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has three moving passages 210, and each moving passage 210 is formed with two moving rails 215.

한편, 각각의 이동 레일(215)에는 7개의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총 42개의 케이슨 이송 장치(100)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each caisson transfer apparatus 100 is provided in each moving rail 215. As a result, the present caisson conveying system 200 has a total of 42 caisson conveying devices 100.

도8에서, 좌측 최상단의 케이슨 이송 장치(100)를 'A0'이라 하고, 'A0'이 설치된 이동 레일(215)에 설치된 케이슨 이송 장치(100)를 순서대로 'A1'~'A6'이라 가정한다. 또한 옆 이동 레일(215)의 케이슨 이송 장치를 'B0'~'B6'이라 한다. 같은 방법으로 'C0'~'F6'까지 케이슨 이송 장치를 각각의 식별 구호로 분류한다.In FIG. 8, it is assumed that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at the upper left is 'A0', and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installed on the moving rail 215 provided with 'A0' is 'A1' to 'A6' in order. do. In additi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of the side moving rail 215 is referred to as 'B0' ~ 'B6'. In the same way, the caisson transfer units from 'C0' to 'F6' are classified by their respective identification slogans.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예를 들면, 'A0'~'A2', 'B0'~'B2', ... 'F0'~'F2'의 케이슨 이송 장치를 후방 그룹으로 배정하고, 'A3'~'A6', 'B3'~'B6', 'C3'~'C6'의 케이슨 이송 장치를 좌측 그룹으로 배정하고, 'D3'~'D6', 'E3'~'E6', 'F3'~'F6'의 케이슨 이송 장치를 우측 그룹으로 배정한다.The caisson conveying system 200 assigns, for example, caisson conveying devices of 'A0' to 'A2', 'B0' to 'B2', ... 'F0' to 'F2' as rear groups, and 'A3'. Assign caisson feeder of '~' A6 ',' B3 '~' B6 ',' C3 '~' C6 'to the left group,' D3 '~' D6 ',' E3 '~' E6 ',' F3 Assign the caisson feeder of '~' F6 'to the right group.

동일한 그룹에 속한 케이슨 이송 장치(100)는 유압 공급 라인을 공유한다. 따라서 동일한 그룹에 속한 케이슨 이송 장치(100)는 동일한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shares the hydraulic supply line. Therefore, the same hydraulic pressure acts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이후, 케이슨이 케이슨 이송 장치(100) 위에 거치될 때, 예를 들어 케이슨의 구조물 설계상 후방 그룹에 거치되는 부분이 좌측 그룹 또는 우측 그룹보다 하중이 편중되면, 제어부에서는 후방 그룹에 속한 케이슨 이송 장치(100)들의 승강용 실린더(152)가 좌측 그룹 또는 우측 그룹의 것보다 높은 유압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케이슨 이송 장치(100)에 거치된 케이슨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게 제어될 수 있다.Then, when the caisson is mounted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for example, if the portion mounted on the rear group in the caisson structure design is more than the left group or the right group, the control unit i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belonging to the rear group The lifting cylinder 152 of the 100 controls to operate a higher hydraulic pressure than that of the left group or the right group. Thereby, the caisson mounted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tilt to either side.

또한 비록 설명은 생략되더라도, 케이슨의 하중이 편중되는 방향에 속한 그룹에 높은 유압을 인가하여 케이슨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aisson can be balanced by applying high hydraulic pressure to the group belong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isson load is biased.

(케이슨 이송 장치들의 열(row) 관리)(Row management of caisson transfer uni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에 설치된 모든 케이슨 이송 장치들(100)을 열(row)에 따라 그룹화하여 관리한다.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ll caisson transfer devices 100 installed in 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by grouping them according to row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9를 참조로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열에 따라 그 룹화되어 관리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will be grouped and managed according to heat with reference to FIG. 9.

도9는 도7에서 케이슨 이송 장치를 열에 따라 관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aisson transfer device is managed in accordance with heat in FIG. 7.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3개의 이동 통로(210)를 갖고, 각각의 이동 통로(210)는 2개의 이동 레일(215)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caisson conveying system 200 has three moving passages 210, and each moving passage 210 is formed with two moving rails 215.

한편, 각각의 이동 레일(215)에는 7개의 케이슨 이송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총 42개의 케이슨 이송 장치(100)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each caisson transfer apparatus 100 is provided in each moving rail 215. As a result, the present caisson conveying system 200 has a total of 42 caisson conveying devices 100.

도7에서, 좌측 최상단의 케이슨 이송 장치(100)를 'A0'이라 하고, 'A0'이 설치된 이동 레일(215)에 설치된 케이슨 이송 장치(100)를 순서대로 'A1'~'A6'이라 가정한다. 또한 옆 이동 레일(215)의 케이슨 이송 장치를 'B0'~'B6'이라 한다. 같은 방법으로 'C0'~'F6'까지 케이슨 이송 장치를 각각의 식별 구호로 분류한다.In FIG. 7, it is assumed that the caisson conveying apparatus 100 at the upper left is 'A0', and the caisson conveying apparatus 100 installed on the moving rail 215 provided with 'A0' is 'A1' to 'A6' in order. do. In additi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of the side moving rail 215 is referred to as 'B0' ~ 'B6'. In the same way, the caisson transfer units from 'C0' to 'F6' are classified by their respective identification slogans.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예를 들면, 'A0'~'A6'의 케이슨 이송 장치를 제1열로 그룹화하고, 'B0'~'B6', ... 'F0'~'F6'의 케이슨 이송 장치를 제2열~제6열로 그룹화한다.The caisson conveying system 200 groups, for example, caisson conveying devices of 'A0' to 'A6' into the first row, and conveys caissons of 'B0' to 'B6', ... 'F0' to 'F6'. Group the devices into rows 2-6.

동일한 열 그룹에 속한 케이슨 이송 장치(100)는 유압 공급 라인을 공유한다. 따라서 동일한 그룹에 속한 케이슨 이송 장치(100)는 동일한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belonging to the same row group shares the hydraulic supply line. Therefore, the same hydraulic pressure acts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10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물가와 가까이 위치되어 건축되므로, 연약 지반이 존재할 수 있다.Since 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is built close to the waterside, soft ground may be present.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열과 제3열의 케이슨 이송 장치가 설치된 이동 레일(215)이 연약 지반 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2열과 제3열의 이동 레일이 다른 열의 이동 레일에 비해 50%의 지지 하중만을 견딜 수 있다고 하면, 케이슨 이송 시스템(200)는 제1열:제2열:제3열:제4열:제5열:제6열의 하중 비율을 1:0.5:0.5:1:1:1로 분배한다.In this case, for example, a moving rail 215 provided with caisson transfer devices in the second and third rows may be present on the soft ground. If the moving rails of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can withstand only 50% of the supporting loads compared to the moving rails of the other rows, the caisson transfer system 200 will have the first row: second row: third row: fourth row: Distribute the load ratios in column 5: 6 to 1: 0.5: 0.5: 1: 1: 1.

이에 의해 지반이 연약지반인 경우에도 열에 따라 그룹화된 케이슨 이송 장치들의 유압을 제어하여 안정적으로 케이슨을 이송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ground is a soft ground,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port the caissons by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aisson transfer devices grouped according to the heat.

또한 비록 설명은 생략되더라도, 케이슨의 하중이 편중되는 열에 속한 그룹에 낮은 유압을 인가하여 케이슨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aisson can be balanced by applying a low hydraulic pressure to the group belonging to the column in which the caisson load is bias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as necessary.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 이송 시스템은 케이슨 이송 장치들을 그룹화하거나, 열에 따라 그룹화하는 외에, 이들의 조합으로 그룹화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aisson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grouping caisson conveying devices or grouping them in combinations, in addition to grouping by rows.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슨 이송 장치에 이동실린더, 승강 실린더, 그립 헤드, 그립 패드 등의 구성에 의해 자체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케이슨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isson transfer apparatus which can move itself by a configuration of a moving cylinder, a lifting cylinder, a grip head, a grip pad, or the like, in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즉, 종래의 이송 시스템에서는 케이슨 이송 장치의 이동을 위하여 대형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해야 하는 바,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이송대 설치를 위한 별도의 건축 작업이 요구되어 시스템 구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과대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자체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케이슨 이송 장치를 이송 레일에 설치하는 간단한 설치 작업에 의하여 케이슨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설치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transfer system, a large hydraulic cylinder must be used for the movement of the caisson transfer device,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requires additional construction work for the installation of the transfer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caisson can be transported by a simple installation operation of installing the caisson transporting device which is self-movable on the transport rail,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installation time and cost.

또한, 종래의 이송 시스템에서는 케이슨의 중량이 크게 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없어 자원 소모가 크고, 고압의 유압을 관리하기 위해 설계가 많은 제약을 받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nveying system, when the weight of the caisson is large, the conventional hydraulic cylinder can not be used, the resource consumption is high, and a problem arises that the design is restricted to manage the high pressure hydraulic pressure.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슨 중량의 중량뿐만 아니라 일부가 연약 지반인 경우 등과 같이, 발생 가능한 여러 상황에도 부품 등의 교체 없이 자체 이송 케이슨 이송 장치 구조 및 제어부가 포함된 시스템에 의해 제약 없이 적용이 가능한 케이슨 이송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restriction by a system including a self-transporting caisson conveying device structure and a control unit without replacing parts, even in various possible situations, such as a case of soft ground as well as a weight of caisson weight. The caisson transfer device and system will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립 패드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고마찰 재질의 코팅 또는 고마찰 재질로 형성되어 이동 레일과의 접촉시 강력한 유압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미끌어지지 않고 레일을 강하게 그립(쥠)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a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aw blade, coated with a high friction material or a high friction material, even when a strong hydraulic force is applied to the rail when contacting the moving rail, the rail strongly You can grip it.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가 포함되어, 무거운 케이슨이 안착된 상태에서도 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케이슨 이송 장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슬라이딩 패드가 저마찰 소재로 표면이 코팅되거나, 자체가 저마찰 소재로 형성되어, 더욱 용이하게 케이슨 이송 장치가 레일을 따라 이송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ing pad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frame, so that the caisson transfer device can be easily moved along the rail even when the heavy caisson is seated, in particular, the sliding pad is low friction The surface is coated with the material, or is itself formed of a low friction material, which makes it easier for the caisson transfer device to move along the rail.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측 프레임과, 상기 바퀴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퀴가 포함되어, 케이슨이 안착되지 않은 무부하 상태인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하지 않고 케이슨 이송장치를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side fram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frame, and the wheel coupled to the wheel-side frame is included, the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is not used when the caisson is in a no-load state is not seated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caisson feeder without a simpl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퀴프레임에 지지대와 탄성 부재가 포함되어, 케이슨 안착대에 케이슨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바퀴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and the elastic member is included in the wheel frame, and when the caisson is seated on the caisson sea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heel can be buffered.

또한, 본 발명에서 안착대는 뒤집어진 상태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슨에 의해 안착대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무거운 하중에 의한 안착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stand is formed in a pyramid shape in an inverted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impact force due to the instantaneous load applied to the seating table by the caisso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eating board due to heavy loads.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슨 이송 시스템에 속한 케이슨 이송 장치를 그룹화하여 관리하고, 동일 그룹에 속한 케이슨 이송 장치들이 동일한 유압 공급 라인을 공유하게 하여 케이슨의 하중 편중이나 연약 지반에 구애받지 않고 케이슨을 이송할 수 있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s belonging to the caisson transfer system are grouped and managed, and the caisson transfer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share the same hydraulic supply line to transfer the caissons regardless of the load bias or the soft ground of the caissons. Can provide a caisson transfer system.

즉, 일부가 연약 지반인 경우 등과 같이 지반의 상태가 다른 경우 제어부에 서 열에 따른 그룹화가 된 경우 그룹화된 케이슨 이송 장치들의 유압을 각각의 그룹에 따라 제어하여 안정적으로 케이슨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state of the ground is different, such as when the part is a soft ground, when the grouping according to the heat i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caisson by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grouped caisson transfer devices according to each group to be stable.

Claims (15)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이송하는 이송시스템에서, 상기 케이슨을 안착시켜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케이슨 이송 장치에 있어서,In a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a caisson being manufactured or manufactured along a moving rail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oving passage, the caisson transfer apparatus for seating the caisson and moving along the moving passage,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장치와, And a lifting device which is moved up and down to move the caisson seated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up and down, 상기 케이슨 이송 장치에 안착된 케이슨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용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devic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so as to move the caisson seated o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forward and back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승강용 실린더이며, 상기 전후방 이동용장치는 이동용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Th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device is a lifting cylinder,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ing device is a moving cylind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는,According to claim 2, The caisson transfer device, 하부 프레임;Lower 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An upper fram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fixing the lifting cylinder;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케이슨이 안착되는 안착대; 및A seating tab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cylinder and seated with a caisson; And 상기 이동용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가 포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 hea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by the moving cylind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헤드에는 상기 그립 헤드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 헤드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로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움켜쥐는 그립 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4. The grip head of claim 3, wherein the grip head includes a grip pad installed inside the grip head to grab a moving rail formed in the moving passage while the grip head moves forward or backward. , Self-moving caisson feed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드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rip pad, 상기 이동 레일과의 접촉면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고마찰 재질의 코팅 또는 고마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moving rail is formed in a saw blade shape, or a coating of high friction material or high friction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5. The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aisson conveying apparatus comprises a sliding pa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contacting the moving rai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liding pad, 저마찰 소재로 표면이 코팅되거나, 자체가 저마찰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coated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or is itself formed of a low friction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케이슨이 안착되지 않은 무부하 상태인 경우 케이슨 이송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측 프레임과, 상기 바퀴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caisson transfer device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and the wheel-side fram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frame to move the caisson transfer device when the caisson is unloaded stat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is coupled to the wheel fra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이송장치에는 상기 케이슨 안착대에 케이슨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바퀴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프레임에 지지대와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The self-moving type of claim 8, wherei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includes a support and an elastic member in the wheel frame to cushion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heel when the caisson is seated on the caisson seat. Caisson feeder.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실린더와 상기 이동용 실린더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Th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wherein the lifting cylinder and the moving cylinder are constituted by a hydraulic cylinder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ating table, 케이슨에 의해 안착대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뒤집어진 상태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Characterized in that the pyramid shape of the inverted state in order to disperse the impact force by the load momentarily applied to the seat by the caisson,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이동 통로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따라 제작중이거나 제작된 케이슨을 이송하는 이송시스템에서, 상기 케이슨을 상부에 안착시킨 채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슨 이송 장치에 있어서,In the transfer system for transporting the caisson being manufactured or manufactured along the moving rail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ving passage, in the caisson transfer device for moving along the moving passage with the caisson seated on the top, 하부 프레임;Lower 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승강용 실린더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An upper fram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fixing a lifting cylinder;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고 안착대에 안착된 케이슨을 상부로 승강시키는 승강용 실린더;An elevating cylinder fixed by the upper frame and configured to elevate the caisson mounted on a seating table to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승강용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케이슨이 안착되는 안착대;A seating tab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cylinder and seated with a caisson;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고 그립 헤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용 실린더;A moving cylinder coupl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frame and moving the grip head forward or backward; 상기 이동용 실린더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그립 헤드;A grip head moving forward or backward by the moving cylinder; 상기 그립 헤드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 헤드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 통로에 형성된 이동 레일을 움켜쥐는 그립 패드; 및A grip pad provided inside the grip head and gripping a moving rail formed in the moving passage while the grip head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레일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And a sliding pa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케이슨 제작장에서 제작된 케이슨을 물가까지 이송시키는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conveying system for transporting the caisson manufactured in the caisson workshop to the waterside 상기 케이슨 제작장부터 물가까지 복수개의 이동 통로가 형성되고,A plurality of moving passages are formed from the caisson workshop to the waterside, 상기 이동 통로의 상부에 복수개의 이동 레일이 형성되고,A plurality of moving rails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제 1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가 상기 이동 레일마다 복수개 설치되고,A plurality of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s provided for each of the moving rails, 상기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의 승강용 실린더에 공급될 유압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be supplied to the lifting cylinder of th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이송 시스템 내에 설치된 모든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가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성되고,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all self-moving caisson conveying devices installed in the caisson conveying system comprise two or more groups, 상기 제어부에서는 동일 그룹에 속한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에 동일한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The control unit, the caisson transf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sam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belonging to the same group.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동일한 이동 레일에 설치된 자가 이동형 케이슨 이송 장치에 동일한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이송 시스템.A caisson transf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sam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lf-moving caisson transfer device installed on the same moving rail.
KR1020070010175A 2007-01-31 2007-01-31 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KR100915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175A KR100915553B1 (en) 2007-01-31 2007-01-31 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175A KR100915553B1 (en) 2007-01-31 2007-01-31 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148A true KR20070054148A (en) 2007-05-28
KR100915553B1 KR100915553B1 (en) 2009-09-07

Family

ID=3827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175A KR100915553B1 (en) 2007-01-31 2007-01-31 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55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757B1 (en) * 2011-04-19 2014-02-07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Movable caisson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1820768B1 (en) 2011-09-15 2018-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ransporting vehicle moving on the rail for transporting load on the stairway
CN110016798A (en) * 2019-05-08 2019-07-16 中复连众风电科技有限公司 Self-travel type electric slicer
KR20220134814A (en) 2021-03-25 2022-10-06 현대건설주식회사 The device that transports caisson forward or backward, and a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27B1 (en) * 2011-06-30 2012-03-22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Caisson transport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59B1 (en) 2005-11-22 2006-12-14 삼성물산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ncrete structure and caisson carrying vehicle, using monolithic vertical and horizontal hydraulic jac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757B1 (en) * 2011-04-19 2014-02-07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Movable caisson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1820768B1 (en) 2011-09-15 2018-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ransporting vehicle moving on the rail for transporting load on the stairway
CN110016798A (en) * 2019-05-08 2019-07-16 中复连众风电科技有限公司 Self-travel type electric slicer
CN110016798B (en) * 2019-05-08 2020-08-04 中复连众风电科技有限公司 Self-walking electric cutting machine
KR20220134814A (en) 2021-03-25 2022-10-06 현대건설주식회사 The device that transports caisson forward or backward, and a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553B1 (en) 200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1132B (en)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
EP2146883B1 (en) Transferring system using aero-levitation style
KR100915553B1 (en) A self-movable caisson carrier vehicle and caisson carrier system there-using
JP2007520387A (en) Multi-platform air cargo loader
JP6701362B2 (en) STS Multi Trolley Portal Gantry Container Crane
CN103443015B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CN102602712A (en) Method for shipping of segments of steel box girders by rolling
KR100328309B1 (en) A Shipbuilding Method in a Drydock Using a Skid Mounting Method and a Skid Bogie System Therefor
JP5158544B2 (en) Landing and launching equipment for floating structures
KR101820768B1 (en) Transporting vehicle moving on the rail for transporting load on the stairway
WO2022151698A1 (en) New-type active extending and retracting system and automated transport device
CN2936872Y (en) Multifunction lifting circulation hand cart
CN108545580A (en) A kind of shock-damping structure for transport device in elevator
KR101835758B1 (en) 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irder of railway plate girder bridge
KR101358757B1 (en) Movable caisson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0705209B1 (en) Caisson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JP5280138B2 (en) Car with lifting platform
KR102125632B1 (en) Functional tilting fork arm assembly for forklift truck
JP2007113239A (en) Conveyance-placing method of heavy load and its system
CN209225025U (en) The replaceable platform floor of stepped ramp type and its unit cargo handling system
CN220317285U (en) AGV tray lifting machine
CN217732620U (en) Hydraulic ejector for heavy-load displacement
KR20050105820A (en) Caisson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transportation method
CN101959786A (en) Machine for lifting and handling loads, in particular containers
US104215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heavy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10 Patent application of lawful right holder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31

Effective date: 2012122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