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079A - 농작물 관리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079A
KR20070054079A KR1020060050554A KR20060050554A KR20070054079A KR 20070054079 A KR20070054079 A KR 20070054079A KR 1020060050554 A KR1020060050554 A KR 1020060050554A KR 20060050554 A KR20060050554 A KR 20060050554A KR 20070054079 A KR20070054079 A KR 2007005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manager
crop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수 filed Critical 정경수
Priority to KR102006005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4079A/ko
Publication of KR2007005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사용하는 농작물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핸들을 갖춘 프레임에 구동바퀴와 보조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농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농기구는 프레임에 설치된 엔진과 동력전달 케이블을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구동바퀴는 프레임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축전지의 전원으로 가동되는 전기모터의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축전지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가동되는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어지게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보조바퀴로서 톱니바퀴를 사용하면서 프레임의 뒤쪽에 배치하여 관리기의 중심을 잡아 주도록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작물 관리기는 구동바퀴가 전기모터의 구동력의 의해 작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고,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보조바퀴가 중심을 잡아 주게 함으로써 좁은 곳이나 험한 지형에서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기가 프레임의 앞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시야를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농작물 관리기, 작업용 관리기

Description

농작물 관리기{Machine for culturing the corp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기에서 구동바퀴에 허브모터가 설치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기에서 구동바퀴의 축에 전기모터가 직접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핸들 3 - 프레임
5 - 구동바퀴 7 - 보조바퀴
9 - 농기구 11 - 엔진
13 - 동력전달케이블 15 - 축전지
17 - 전기모터 19 - 발전기
21 - 스프로켓 23 - 스프로켓
25 - 체인 27 - 허브모터
29 - 설치프레임 31 - 설치대
33 - 보조프레임 35 - 스위치
37 - 제어기
본 발명은 농작물을 경작하는데 사용하는 농작물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리하고 제어할 수가 있고, 지형이 좁은 곳이나 험한 곳에서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게 한 농작물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관리기는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각종 농기구 등과 같은 작업기를 설치하여 동력으로 가동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칭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농기구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의 농작물 관리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농작물 관리기는 농기구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의 힘으로 구동바퀴를 구동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구동바퀴에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농기구로 전달되는 동력도 함께 단속하면서 제어하여야 하므로, 농작물 관리기의 제어가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엔진의 회전력을 직접 구동바퀴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메커니즘에서는 작업기의 가동상태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 상태에 따라 엔진의 가동상태를 가변시키면서 작업기도 함께 켜야 하기 때문에 더욱더 제어가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농작물 관리기는 차체를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바퀴가 고무바퀴 등과 같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좁은 장소에서나 경사진 곳 등에서는 바퀴가 농작물 관리기의 차체를 안전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전복되거나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농작물 관리기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형이 험한 곳이나 좁은 곳에서도 안전하게 가동할 수 있게 한 농작물 관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작물 관리기는, 핸들을 갖춘 프레임에 구동바퀴와 보조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농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농기구는 프레임에 설치된 엔진과 동력전달 케이블을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구동바퀴는 프레임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축전지의 전원으로 가동되는 전기모터의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축전지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가동되는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어지게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보조바퀴로서 톱니바퀴를 사용하면서 프레임의 뒤쪽에 배치하여 관리기의 중심을 잡아 주도록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작물 관리기는 구동바퀴가 전기모터의 구동력의 의해 작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고,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보조바퀴가 중심을 잡아 주게 함으로써 좁은 곳이나 험한 지형에서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기가 프레임의 앞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시야를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기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기는 핸들(1)을 갖춘 프레임(3)에 구동바퀴(5)와 보조바퀴(7)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의 선단에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농기구(9)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농기구(9)는 프레임(3)에 설치된 엔진(11)과 동력전달 케이블(13)을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바퀴(5)는 프레임(3)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축전지(15)의 전원으로 가동되는 전기모터(17)의 기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 축전지(15)는 엔진(11)의 구동력으로 가동되는 발전기(19)에 의해 충전되어지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기모터(17)의 구동력을 구동바퀴(5)에 전달하는 방식은 전기모터(17)의 종류와 그 설치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으로 만들 수가 있는 바, 예컨대 도 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모터(17)를 구동바퀴(5)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경우에는 전기모터(17)의 회전축(17a)에 설치된 스프로켓(21)과 구동바퀴(5)의 구동축(5a)에 설치된 스프로켓(23)을 연결하는 체인(25)을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바퀴(5)의 구동축(5a) 한쪽에 전기모터(17)를 직접 연결하고, 구동축(5a)의 다른 한쪽은 프레임(3)에 지지되게 할 수가 있다.
또, 이와 다른 방법으로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바퀴(5)의 중심에 허브모터(27)를 설치하고, 상기 허브모터(27)의 구동축(5a)을 프레임(3)에 지지되게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한 농구기(9)는 예초기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쟁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농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농기구(9)와 직접 연결되는 농기구 설치프레임(29)은 설치대(31)를 통하여 프레임(3)에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29)의 선단에 설치되는 농기구(9)는 동력전달 케이블(13)을 통하여 엔진(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데,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13)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자유로이 구부려질 수 있으면서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엔진(11)과 농기구(9)의 배치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시키면서 연결할 수가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19)는 엔진(11)의 출력축(11a)에 직접 연결되어 가동하면서 전기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엔진(11)의 출력축(11a)의 선단에 동력전달케이블(13)이 직렬 연결되어 함께 가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조바퀴(7)는 프레임(3)의 뒤쪽으로 뻗어 나오게 설치된 보조프레임(33)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원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톱니바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바퀴(7)의 톱니가 지면에 박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농작물 작업기가 좁은 곳에서나 비탈진 지형에서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할 때, 작업기를 지지하여 옆으로 쓰러지지 않게 해 줌으로써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물론, 상기 보조바퀴(7)는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고무바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작물 관리기는 상기 핸들(1)에 설치되어 전기모터(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35)를 조작함으로써 전기모터(17)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모터(17)의 출력조절에 따라 체인(25) 등을 통하여 연결된 구동바퀴(5)의 구동상태가 조절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농기구(9)는 핸들(1)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어기(37)를 조절함으로써 동력전달케이블(13)을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여 그 작동을 제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기는 농기구(9)의 작동상태와 구동바퀴(5)의 가동상태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작업기는 구동바퀴(5)가 전기모터(17)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핸들(1)에 설치된 스위치(35)만으로 간단하게 구동바퀴(5)의 구동상태를 조절할 수가 있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작업기는 보조바퀴로서 지면에 박혀 지지되는 톱니바퀴를 사용함으로써 좁은 지형에서나 경사진 곳에서 작업을 할 때 농작물 작업기의 자세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

  1. 핸들(1)을 갖춘 프레임(3)에 구동바퀴(5)와 보조바퀴(7)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의 선단에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농기구(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농기구(9)는 프레임(3)에 설치된 엔진(11)과 동력전달 케이블(13)을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구동바퀴(5)는 프레임(3)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축전지(15)의 전원으로 가동되는 전기모터(17)의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축전지(15)는 엔진(11)의 구동력으로 가동되는 발전기(19)에 의해 충전되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진 농작물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7)가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관리기
KR1020060050554A 2006-06-05 2006-06-05 농작물 관리기 KR20070054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554A KR20070054079A (ko) 2006-06-05 2006-06-05 농작물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554A KR20070054079A (ko) 2006-06-05 2006-06-05 농작물 관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005U Division KR200407582Y1 (ko) 2005-11-22 2005-11-22 농작물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079A true KR20070054079A (ko) 2007-05-28

Family

ID=3827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554A KR20070054079A (ko) 2006-06-05 2006-06-05 농작물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0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624B1 (ko) * 2022-10-14 2023-06-28 한국농기계 (주) 다목적 양손 예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624B1 (ko) * 2022-10-14 2023-06-28 한국농기계 (주) 다목적 양손 예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310B2 (en) Apparatus for farming, gardening and landscaping
US7594377B1 (en) Means of adjusting ground speed of a vehicle based on load on blade assembly
EP1452084A3 (en) Battery-powered walk-behind greensmower
EP1869965B1 (en) A motor-driven grass mover
EP1790205A3 (en) Electric drive riding greens mower
CA2398857A1 (en) Mower with engine-driven blade and electrical propulsion
MXPA03011478A (es) Segadora de carrete para cespedes, del tipo para empujar por detras, energizada por baterias, montada de manera articulada.
FR2815102B1 (fr) Boite de vitesse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teur a bras chargeur telescopique
US7134261B2 (en) Hybrid type working machine
JP5914959B2 (ja) 農用高所作業機
JP2004166629A (ja) 管理機
KR101849842B1 (ko) 밭갈이 장치
KR200407582Y1 (ko) 농작물 관리기
KR20070054079A (ko) 농작물 관리기
KR20100073978A (ko)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JP2008196153A (ja) 作業システム
JP2001161114A (ja) 乗用農作業機
CN201240285Y (zh) 电动手扶农用机
CN110771287A (zh) 一种园林工具
CN206575779U (zh) 一种多用途农耕车
CN206509986U (zh) 动力装置及电动工具系统
CN2274863Y (zh) 小型机动旋耕机
CN213805160U (zh) 园林工具
CN216873747U (zh) 一种电动农用耕种机
CN114145125B (zh) 一种自锁式自调电动割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