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004A -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004A
KR20070054004A KR1020050111930A KR20050111930A KR20070054004A KR 20070054004 A KR20070054004 A KR 20070054004A KR 1020050111930 A KR1020050111930 A KR 1020050111930A KR 20050111930 A KR20050111930 A KR 20050111930A KR 20070054004 A KR20070054004 A KR 2007005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nu
screen display
display information
id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855B1 (ko
Inventor
최윤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8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표시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 및 대기모드에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편집 명령에 따라 메뉴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편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메뉴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표시된 메뉴정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메뉴정보를 탭 메뉴 또는 아이콘 메뉴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 설정이 가능하고 이동키만으로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하다.
휴대용 단말기, 대기화면, 특정메뉴, 편집, 실시간 정보, 변경

Description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a displaying information on standby screen}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2의 키입력부가 적용된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을 위한 키패드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표시설정을 위한 메뉴정보를 대기화면에 표시한 도면,
도 5는 도2를 이용하여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2를 이용하여 저장부의 저장된 표시정보를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2를 이용하여 단말기 자체에서 실행 가능한 정보를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 정보를 변경하기위한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도 8의 편집 및 저장단계 중 대기화면 표시정보 추가 및 생성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추가 진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9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생성 진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8의 편집 및 저장단계 중 대기화면 표시정보 삭제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삭제 진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4는 도 8에서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모드 동안 표시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들을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로 간편하게 변경 설정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대기모드에서 기본적인 이미지만 제공되는 것 이상의 역할을 바라게 되었다. 대기모드에서 다양한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된 대기화면(10)은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이미지 또는 인터넷에서 다운 받은 동영상 등의 영상 데이터(20)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는 단순한 이미지로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기화면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메뉴키, 이동키, 및 확인키 등을 눌러서 여러 단계를 진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들을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로 설정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를 설정 가능한 다양한 정보들 중 설정 및 변경하고자 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선택 및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저장부, 표시부,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표시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저장한다.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 및 대기모드에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는 편집 명령에 따라 메뉴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편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메뉴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표시된 메뉴정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편집 명령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편집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표시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메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메뉴정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을 참조하면,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RF부(200), 데이터 처리부(210), 오디오 처리부(220), 키입력부(250), 저장부(230), 표시부(240), 제어부(260), 영상처리부(130), 및 카메라부(100)를 포함한다.
RF부(20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 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210)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20)는 데이터처리부(210)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처리부(2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250)는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60)로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입력부(250)는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메뉴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키들(255), 메뉴정보들의 위치이동 및 선택을 위한 이동키(253), 및 대기모드에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 선택키(251) 를 별도로 구비한다.
저장부(230)는 프로그램 영역과 본 실시 예에 사용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그램영역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영역에는 표시정보영역(231), 대기화면 메뉴리스트영역(233) 및 실시간 정보영역(235)이 마련된다. 표시정보영역(231)에는 메뉴정보와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저장된다. 대기화면메뉴리스트영역(233)에는 사용자가 추가한 메뉴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와 제품 생산 시 저장된 기본적인 메뉴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저장된다. 실시간 정보영역(235)에는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실시간 정보가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대기화면 메뉴리스트영역(233)은 테이블 구조를 가지며, 제어부(260)에 의해 편집된 메뉴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저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26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처리부(2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편집명령에 따라 메뉴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편집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저장된 메뉴정보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하며, 표시된 메뉴정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영상처리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를 입력으로 화면(270)에 표시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 및 대기모드에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카메라부(100)는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카메라부(100)는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카메라부(100)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영상처리부(130)는 카메라부(10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부(240)의 규격에 맞도록 전송하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한다.
도 3은 도 2의 키 입력부가 적용된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을 위한 키패드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키패드(250a)는 사용자가 소성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한다. 키패드(250a)에는 대기화면 메뉴 편집키(255), 이동키(253), 및 메뉴 선택키(251)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표시설정을 위한 메뉴정보를 대기화면에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대기화면(270)에는 날씨, 포토, 계산기, 달력, 및 타이머의 메뉴정보(272)가 탭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메뉴정보(272)는 탭 외에도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를 이용하여,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2를 이용하여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대기화면 표시정보로 선택하기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대기화면(270)에 표시된 메뉴정보들(272) 중에서 날씨 메뉴정보(273)에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날씨 메뉴정보(273) 탭을 선택한다.
도 5b는 도 5a에 의해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도 5a에서 선택된 날씨 메뉴정보(273)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274)를 날씨로 설정하여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
도6은 도 2를 이용하여 저장부의 저장된 표시정보를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도 2를 이용하여 저장부(230)의 저장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로 선택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대기화면(270)에 표시된 메뉴정보들(272) 중에서 포토 메뉴정보(275)에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포토 메뉴정보(275) 탭을 선택한다.
도 6b는 도 6a에 의해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도 6a에서 선택된 포토 메뉴정보(275)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276)를 포토로 설정하여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
도 7은 도 2를 이용하여 단말기 자체에서 실행 가능한 정보를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로 설정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도 2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자체에서 실행 가능한 정보를 대기화면 표시정보로 선택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대기화면(270)에 표시된 메뉴정보들(272) 중에서 계산기 메뉴정보(277)에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계산기 메뉴정보(277) 탭을 선택한다.
도 7b는 도 7a에 의해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부(260)는 도 5a에서 선택된 계산기 메뉴정보(277)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278)를 계산기로 설정하여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260)는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메뉴정보에 대한 편집 명령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310).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입력되는 편집명령에 따 라 메뉴정보 및 메뉴정보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편집하여 표시정보영역(231)에 저장한다(S500). 메뉴정보 및 메뉴정보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편집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각각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메뉴정보 및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편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메뉴 선택키(251)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320).
메뉴 선택키(251)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표시정보영역(231)에 저장된 메뉴정보를 화면(270)에 표시한다(S330). 이후 메뉴정보 선택 여부를 판별한다(S340). 메뉴정보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S330 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메뉴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모드 표시정보로 설정한다(S350). 이후 제어부(260)는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모드동안 화면(270)에 표시한다(S600).
한편 제어부(260)는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한 화면에 표시 할수 없는 경우, 일정시간 간격으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스크롤 표시하는 것으로 대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S350단계에서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실시간 정보인 경우, 제어부(260)가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모드동안 표시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S350단계 이후 제어부(260)는 메뉴 선택키(251) 신호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 (S360). 메뉴 선택키(251)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S330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메뉴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설정을 완료하고 대기모드로 전환한다(S370).
도 9는 도 8의 편집 및 저장단계 중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추가 및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260)는 편집명령의 입력에 따라, 대기화면메뉴 리스트로 진입하여 특정메뉴정보가 대기화면메뉴 리스트영역(233)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별한다(S511).
특정 메뉴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생성명령(257)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513). 생성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추가할 특정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생성 및 표시한다(S515).
제어부(260)는 생성된 특정 대기화면 표시정보에 대해서 생성명령(257)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513). 생성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S515 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생성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화면 메뉴리스트영역(233)에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저장한다(S519).
제어부(260)는 저장된 대기화면 표시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S521). 제어부(260)는 체크표시 명령에 따라 해당정보에 체크표시를 설정한다(S523). 이후 제어부(260)는 설정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525).
설정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S525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체크 표시된 메뉴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정보영역(231)에 추가 및 업데 이트 한다(S527).
한편, S511단계에서 특정메뉴정보가 대기화면메뉴 리스트영역(233)에 저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S523단계 이후 과정을 수행한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추가하는 진행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메뉴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화면(271)에는 대기화면 리스트에 저장된 증권, 달력, 계산기, 날씨, 포토 및 스케줄의 메뉴정보들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은 대기화면 표시를 위해 체크표시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화면(271)의 소정 위치에는 대기화면의 표시정보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257)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b는 도 10a에서 설정된 메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270)에는 도 10a에서 선택된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361)이 탭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 10c는 도 10a에서 대기화면 메뉴 리스트를 추가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대기화면 메뉴리스트영역(233)에 저장된 증권, 달력, 계산기, 날씨, 포토, 및 스케줄의 메뉴정보들을 화면(270)에 표시한다. 도 10a의 대기화면 리스트에 체크표시 된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 외의 증권 메뉴정 보(303)에 체크 표시 명령이 입력되고 설정버튼(257)이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증권 메뉴정보(303)의 체크표시를 설정하고 증권 메뉴정보(303)를 표시정보영역(231)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도 10d는 도10c에서 추가된 대기모드 표시정보 및 메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도 10c에서 추가된 증권메뉴정보(303)를 대기화면의 메뉴정보(363) 탭에 추가하여, 증권,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의 메뉴정보들(363)을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생성하는 진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메뉴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대기화면메뉴리스트에 저장된 증권, 달력, 계산기,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 외의 다른 메뉴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제어부(260)는 화면(271)의 소정 위치에 생성버튼(258)을 생성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화면의 표시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도 11a에 추가하기 위한 타이머 메뉴정보(365)를 생성하여 화면(271)에 표시한다. 생성버튼(258)이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대기화면메뉴리스트영역(233)에 타이머 대기화면 표시정보(365)를 저장한다.
도 11c는 도 11b에 의해 생성된 특정 메뉴정보가 대기화면 리스트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의 과정 수행 후, 제어부(260)는 대기화면메뉴리스트에 저장된 증권, 달력, 계산기,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과 더불어 새로 생성된 타이머 메뉴정보(305)를 화면(270)에 표시한다. 이때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은 대기화면 표시를 위해 체크표시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화면(271)의 소정 위치에는 대기화면의 표시정보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257)이 표시되어 있다.
도 11d는 도 11c에 표시된 대기화면 리스트 중 생성된 특정메뉴정보를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타이머 메뉴정보(305)에 체크표시 명령이 입력되고 설정버튼(257)이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타이머 메뉴정보(305)의 체크표시를 설정하고 타이머 메뉴정보를 표시정보영역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도 11e는 도11d에서 추가된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메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도 11d에서 추가된 타이머 메뉴(305)를 대기화면의 메뉴정보(367) 탭에 추가하여, 증권, 달력, 날씨, 포토, 스케줄, 및 타이머의 메뉴정보들(367)을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
도 12는 도 8의 편집 및 저장 단계 중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260)는 편집명령의 입력에 따라 대기화면 리스트메뉴로 진입하여, 대 기화면메뉴 리스트영역(233)에 저장된 메뉴정보들을 화면(270)에 표시한다(S551). 제어부(260)는 체크 해제 명령에 따라 해당 정보에 체크 해제한다(S553). 제어부(260)는 설정 명령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555). 설정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S553단계를 수행한다.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체크 해제된 메뉴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정보 영역에서 삭제 및 업데이트 한다(S557).
도 13은 도 12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삭제하는 진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화면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메뉴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화면(271)에는 대기화면 메뉴 리스트에 저장된 증권, 달력, 계산기, 날씨, 포토 및 스케줄의 메뉴정보들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의 메뉴정보들은 대기화면(270) 표시를 위해 체크표시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화면(271)의 소정 위치에는 대기화면의 표시정보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257)이 표시되어 있다.
도 13b는 도 13a에서 설정된 메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270)에는 도 13a에서 선택된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351)이 탭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 13c는 도 13a에서 대기화면 메뉴 리스트를 삭제하기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화면(271)에는 대기화면 메뉴 리스트영역(233)에 저장된 증권, 달력, 계산기, 날씨, 포토, 및 스케줄의 메뉴정보들이 표시되어있다. 도 13a의 대기화면 리스트에 체크표시 설정된 달력, 날씨, 포토, 및 스케줄 메뉴정보들 중 포토 메뉴정보(301)에 체크 해제 명령이 입력되고, 설정버튼(257)이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포토 메뉴정보(301)의 체크표시를 해제하고 포토 메뉴정보(301)를 표시정보영역(231)에서 삭제 및 업데이트 한다.
도 13d는 도13c에서 메뉴정보가 삭제된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메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도 13c에서 삭제된 포토 메뉴정보(301)를 대기화면의 메뉴정보(353) 탭에서 삭제하여, 달력, 날씨, 및 스케줄의 메뉴정보들(353)을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
도 14는 도 8에서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모드 동안 표시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실시간 정보로 설정된 경우이다.
제어부(260)는 저장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S610). 제어부(260)는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S620).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S610 단계를 수행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데이터 통신모드로 전환하여 실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제공자에 접속한다(S630). 제어부(260)는 실시간 정보의 제공자로부터 새로운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수신한다(S640). 제어부(260)는 저장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새로운 대기화면 표시정보로 저장한다(S650).
제어부(260)는 표시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저장된 새로운 대기화면 표시정보로 대체한다(S660). 이후 제어부(260)는 새로운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대기화면(270)에 표시한다(S670).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들을 편집(추가, 삭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대기화면의 메뉴정보들을 이동키로 선택 가능한 탭 메뉴 또는 아이콘 메뉴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 설정이 가능하고, 이동키만으로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3)

  1.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표시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 및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된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메뉴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메뉴정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편집하기위한 키들, 메뉴정보들의 위치이동 및 선택을 위한 이동키 ,및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 선택키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체적으로 실행 가능한 제 1 정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 2 정보 ,및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제 3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계산기 정보 및 시간 정보, 스케줄 정보 및 달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최근통화목록 정보, 포토 정보, 수신 문자메시지 정보, 및 전화번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운세정보 및 바이오리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통신을 통해 외부에서 제공받는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정보는 날씨 정보, 세계시간 정보, 및 증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저장된 메뉴정보를 탭 메뉴 및 아이콘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메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한 화면에 표시 불가능 할 경우,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스크롤 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편집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메뉴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들 중 상호 대응하는 임의의 정보를 삭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상기 메뉴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편집 명령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표시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상기 편집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표시정보, 및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 의 표시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메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메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저장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저장된 대기화면 표시정보가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실시간 정보인 경우,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상기 대기화면에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데이터 통신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정보의 제공자로부터 새로운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새로운 상기 대기화면 표시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상기 저장된 새로운 대기화면 표시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소정 시간동안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1020050111930A 2005-11-22 2005-11-22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106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930A KR101062855B1 (ko) 2005-11-22 2005-11-22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930A KR101062855B1 (ko) 2005-11-22 2005-11-22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004A true KR20070054004A (ko) 2007-05-28
KR101062855B1 KR101062855B1 (ko) 2011-09-07

Family

ID=3827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930A KR101062855B1 (ko) 2005-11-22 2005-11-22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8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934B1 (ko) * 2007-10-17 2014-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87510B1 (ko) * 2007-10-02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0519B1 (ko) * 2007-09-04 201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대기화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US8914063B2 (en) 2007-05-15 2014-1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ode setting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9330180B2 (en) 2007-10-02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4063B2 (en) 2007-05-15 2014-1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ode setting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430519B1 (ko) * 2007-09-04 201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대기화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KR101387510B1 (ko) * 2007-10-02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330180B2 (en) 2007-10-02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07517B2 (en) 2007-10-02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81934B1 (ko) * 2007-10-17 2014-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855B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367B1 (ko) 전자 디바이스의 주 디스플레이와 부 디스플레이 간의 시나리오 동기화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US83928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102383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US20020037753A1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window switching control method
KR101062855B1 (ko)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US87493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US89353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801698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54044B1 (ko) 신디케이티드 데이터 피드를 맞춤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04023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슬라이드 속성설정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28072B1 (ko) 사진을 편집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KR100606766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CN112000409B (zh) 移动终端及其显示方法
JP456990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919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98065B1 (ko) 키 입력 시간에 따른 메뉴 이동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8034895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20050068349A (k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약속 알람 설정 방법
KR1005143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JP2005151484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100736022B1 (ko) 사용자 맞춤형 메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3149358A (ja) 時計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50103103A (ko) 프리뷰를 이용한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N117636609A (zh) 无线智能穿戴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07013944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 message selective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