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548A -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548A
KR20070053548A KR1020050111439A KR20050111439A KR20070053548A KR 20070053548 A KR20070053548 A KR 20070053548A KR 1020050111439 A KR1020050111439 A KR 1020050111439A KR 20050111439 A KR20050111439 A KR 20050111439A KR 20070053548 A KR20070053548 A KR 2007005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control box
air
pcb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만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3548A/en
Publication of KR2007005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5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내부에 구비되는 피씨비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box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ich is configured to easily separate the PCB provided in the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100)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0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안착되어 결합된 피씨비(220)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피씨비(220)를 내부에 수용하여 피씨비(220)를 보호하는 케이스(240)와, 상기 케이스(240)와 피씨비(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220)가 안착된 상태로 케이스(24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안착판넬(26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착판넬(260)의 일측에는, 돌출 성형되어 상기 피씨비(220)의 일측을 간섭하는 간섭돌기(264)와, 상기 피씨비(220)의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피씨비(220)의 일측을 관통한 체결부재(S)와 결합되는 결합보스(26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박스로부터 피씨비의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nit 100 to match the indoor air in the control box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the control box 20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seated And a case 240 for forming the exterior and receiving the PC 220 therein to protect the PC 220, and provided between the case 240 and the PC 220.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ounting panel 260 so that the 220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240 in a seated state, one side of the mounting panel 260 is protruded to interfere with one side of the PC 220 To support the interference projection 264, the lower surface of the PC 220 in the upward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oss 262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S) penetrating one side of the PC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paration of the PC from the control box is easy.

공기조화기, 실내기, 컨트롤박스, 피씨비, 분리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ntrol Box, PC, Separation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Control box of indoor unit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를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외관 사시도.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box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도 5의 A-A'부 종단면도.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

도 8 은 도 5의 B-B'부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기 110. 흡입그릴100. Indoor unit 110. Suction grill

112. 흡입구 116. 베인112.Suction Inlet 116.Vane

118. 루버 120. 캐비넷118. Louver 120. Cabinet

122. 커버 130. 송풍장치122. Cover 130. Blower

132. 팬모터 134. 횡류팬132. Fan motors 134. Crossflow fans

134'. 회전축 136. 에어가이드134 '. Rotating shaft 136. Air guide

136'. 기류안내돌기 138. 팬홀더136 '. Airflow Guide 138. Fan Holder

138'. 안착부 138". 차폐부138 '. Seat 138 ". Shield

140. 프론트판넬 142. 토출구140. Front panel 142. Outlet

150. 열교환기 170. 드레인팬150. Heat exchanger 170. Drain pan

172. 열차단부재 174. 필터172. Thermal barrier member 174. Filter

176. 스테빌라이저 180. 플라즈마필터176. Stabilizer 180. Plasma Filter

200. 컨트롤박스 220. 피씨비200. Control box 220. PC

222. 관통공 240. 케이스 222.Through hole 240.Case

242. 삽입공 260. 안착판넬242. Insertion hole 260. Mounting panel

262. 결합보스 262'. 체결홈262. Combined boss 262 '. Fastening groove

264. 간섭돌기 266. 결합후크264. Interference projections 266. Joining hooks

S . 체결부재 S.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박스 내부에 피씨비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판넬을 더 구비하여, 피씨비의 일측은 걸림구속하고 타측은 스크류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피씨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box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specifically,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anel to allow the PCB to be seated in the control box, so that one side of the PCB is locked and the other side is screwed to separate the PCB. It relates to a control box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facilitate the.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여름과 같이 실내가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고, 겨울에는 높은 온도의 따뜻한 바람을 송풍하여 난방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indoor air in an optimal state according to purpose. For example, when the room becomes hot, such as in summer, the room is cooled by blowing low temperature wind, and in winter, the room is heated by blowing high temperature warm wind.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전체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분리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소음과 공기조화기의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가 선호되고 있다.Such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into one type and a separate type.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one unit as a whole, and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installed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an outdoor unit installed in the outdoor space.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noise and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ir conditioner, a separate air conditio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conditioner”) has been preferr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내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천장으로부터 노출되어 외관 대부분을 형성하며 실내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구(12)가 형성된 흡입그릴(10)과, 천장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실내기(1)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캐비넷(20)과, 상기 캐비넷(20)과 흡입그릴(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1) 내/외부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판넬(30) 등으로 외관이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s exposed from the ceiling to form most of the appearance and the suction grill 10 is formed with the suction port 12 so that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e cabinet 20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inside the ceiling to keep the indoor unit 1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urfac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20 and the suction grill 10 so that the indoor unit 1 is in / outside. The exterior is composed of a front panel 30 for guiding the air flow to the furnace.

상기 흡입그릴(10)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전면(前面)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2)가 절제(切除)성형된다. 상기 흡입구(12)는 상기 실내기(1)와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가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1) 내부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The suction grill 1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2 are ablation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inlet 12 allows the indoor unit 1 and the room for air condition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by guiding indoor air into the indoor unit 1.

상기 흡입그릴(10)의 상/하측에는 가로로 긴 사각판 모양의 베인(14)이 구비된다. 상기 베인(14)은 프론트판넬(30)에 천공된 토출구(3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상하로 강제하게 된다.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ction grill 10 are provided with vanes 14 having a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plate shape. The vane 14 is forced up and down the flow of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 perforated in the front panel (30).

상기 프론트판넬(30)은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는 흡입유로(34)가 천공되어 상기 흡입구(1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흡입유로(34)의 상하측에는 토출구(32)가 천공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 내부를 경유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front panel 3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suction passage 34 is drilled therein to guide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 through the suction port 12, and the suction passage 34 is provide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charge port 32 is perforated to guide the air through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1 to be discharged back to the room.

따라서, 상기 흡입유로(34)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그릴(10)이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32)의 전방에는 베인(14)이 장착됨이 일반적이다.Therefore, the suction grill 10 is mounted in front of the suction passage 34, and the vane 14 is generally mounted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32.

상기 프론트판넬(30)의 후방에는 드레인팬(4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40)은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5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후면이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A drain pan 4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30. The drain pan 40 is for accommodat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r 50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formed so that the rear surface is recessed forward.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40)의 전면(前面)에는 열차단부재(42)가 결합된다. 상기 열차단부재(42)는 드레인팬(40) 후면에 수용된 응축수의 냉기에 의해 드레인 팬(40)의 외면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열차단 효과가 탁월한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e foam)으로 발포 성형되며 상기 드레인팬(40)의 후면을 제외한 전면(全面)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eat shield member 42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rain pan 40. The thermal barrier member 42 is to prevent dew from form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an 40 by cold air of condensate stored in the rear of the drain pan 40, and foam molding of polyethylene foam having excellent thermal barrier effect. An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surface (except the rear surface of the drain pan 40).

상기 드레인팬(40)의 천공된 중앙부에는 필터(44)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44)는 상기 흡입구(1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필터링함으로써 실내기(1) 내부의 이물 적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lter 44 is mounted to the perforated center portion of the drain pan 40. The filter 44 may prevent the loading of foreign matter inside the indoor unit 1 by filtering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rough the inlet 12.

상기 드레인팬(40)의 후면 상하부 일측에는 후단부가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스테빌라이저(46)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46)는 실내기(1)를 천장에 장착시에 아래에서 설명할 횡류팬(60)에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내기(1)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게 된다. The stabilizer 4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rain pan 40 so that the rear end is convex. The stabilizer 46 is configured to be close to the crossflow fan 6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the indoor unit 1 is mounted on the ceiling to partitio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1 from side to side.

따라서,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어 횡류팬(60)을 지나온 공기는 상기 스테빌라이저(4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32)로 토출된다.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and passed through the crossflow fan 60 is guided by the stabilizer 46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32.

상기 드레인팬(46)의 상하측에는 루버(48)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48)는 삼각형 모양의 다수개 날(3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토출구(34)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좌우로 강제하게 된다. Louvers 48 are mounted above and below the drain pan 46. The louver 48 has a plurality of blades 36 'having a triangular shap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to force the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34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드레인팬(40)의 후측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5066955695-PAT00001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50)는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열을 흡열하게 된다.The rear side of the drain pan 4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5066955695-PAT00001
"The heat exchanger 50 having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is installed. The heat exchanger 50 is for heat-exchang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 and heats the indoor air using a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Endothermic.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면에는 플라즈마필터(F)가 장착된다. 상기 플라즈마 필터(F)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기(50)와 근접하도록 장착된다.Plasma filter (F)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50). The plasma filter F purifies the air by adsorb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is mounted to be close to the heat exchanger 50.

따라서, 상기 필터(44)에 의해서 1차로 걸러진 실내 공기는 상기 플라즈마필터(F)에 의해서 2차로 이물이 제거되어 상기 열교환기(50)로 유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indoor air filtered primarily by the filter 44 is secondarily removed by the plasma filter F to flow to the heat exchanger 50.

상기 열교환기(50)의 후방에는 한쌍의 횡류팬(60)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60)은 일단부에 장착되는 팬모터(62)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열교환기(50)에 의해서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The rear of the heat exchanger 50 is provided with a pair of cross flow fans 60. The crossflow fan 60 is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fan motor 62 mounted at one end to allow indoor air for air conditioning to flow into the indoor unit 1, and by the heat exchanger 50. Simultaneously, the heat exchanged air is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보다 상세하게 상기 횡류팬(60)은 좌우측단이 팬장착구(64)와 결합되어 이탈이 규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팬모터(62)는 팬모터(62)를 수용하는 모터장착구(66)와 팬장착구(64)에 의해서 감싸진 상태로 상기 팬모터(62)의 좌측단과 축결합됨으로써 상기 팬모터(62)로의 회전동력 전달은 가능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crossflow fan 60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nd of the fan mounting holes 64, the separation is rotatable in a controlled state, the fan motor 62 is a motor mounting port for accommodating the fan motor 62 By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fan motor 62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66) and the fan mounting port 64,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to the fan motor 62 is possible.

따라서, 상기 횡류팬(6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흡입구(1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50)에 의해서 열교환된 후 상기 토출구(32)로 유동 방향이 강제되어 실내기(1)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ross flow fan 60 is rotated,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rough the suction port 12 is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50 and then the flow direction is forced to the discharge port 32. It becomes possible to discharge to the indoor unit 1 outside.

그리고, 상기 캐비넷(20)의 내부 벽면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5066955695-PAT00002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는 에어가이드(70)가 부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70)는 상기 횡류팬(60)의 작용에 의해서 흡입구(12)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32)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공기가 간섭없이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binet 2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5066955695-PAT00002
An air guide 70 having a shaped longitudinal section is attached. The air guide 70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12 by the action of the crossflow fan 60 to flow to the discharge port 32, and the air guides the inside to allow the air to flow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Is formed round.

상기 캐비넷(20)의 내부 저면에는 컨트롤박스(80)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80)는 실내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모양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82) 내부에는 피씨비(PCB,84)가 구비된다.The control box 80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20. The control box 8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the PCB (PCB) 84 is provided in the case 82 to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ppearance of the upper portion is opened.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80) 내부 즉, 상기 케이스(82)와 피씨비(84) 사이에는 상기 피씨비(84)가 케이스(8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장착구(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장착구(90)의 고정을 위해 상기 케이스(82)의 내부 바닥면과 피씨비(84)에는 다수개의 삽입공(82',84')이 천공된다.Therefore, the mounting hole 90 to prevent the PCB 84 from flowing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82 between the case 82 and the PCB 84. ) Is further provided,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82 'and 84' are dri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the PCB 84 of the case 82 to fix the mounting hole 90.

상기 장착구(90)는 크게 상기 케이스(82)의 삽입공(82')에 걸림 고정되는 하측후크(92)와, 상기 피씨비(84)의 삽입공(84')에 걸림 고정되는 상측후크(94)와, 상기 하측후크(92)가 결합시에 상기 케이스(82)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기 피씨비(84)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96)와, 상기 탄성부(96)와 상측후크(94) 사이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피씨비(84)가 케이스(82)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부(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unting hole 90 has a lower hook 92 which is largely locked to the insertion hole 82 'of the case 82, and an upper hook which is locked to the insertion hole 84' of the PC 84. 94 and an elastic portion 96 which contact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82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PCB 84 when the lower hook 92 is engaged, and an upp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96. It has a "+" shaped cross section between the hooks 94 and includes a spacer 98 that supports the PCB 84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82.

따라서, 상기 케이스(82)와 피씨비(84)의 삽입공(82',84')에 상기 하측후크(92) 및 상측후크(94)가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82)는 탄성부(96)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며, 이격부(98)에 의해서 하면이 상기 케이스(82)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된다.Therefore, when the lower hook 92 and the upper hook 94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82 'and 84' of the case 82 and the PCB 84, the case 82 is the elastic portion 96.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82 by the spacer 98.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피씨비(84)는 장착구(90),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후크(92) 및 상측 후크(9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82) 내부에 장착된다.That is, the PCB 84 is mounted inside the case 8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mounting hole 9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hook 92 and the upper hook 94.

따라서, 상기 피씨비(84)의 파손 및 손상으로 교체가 요구될 때 상기 장착구(90)로부터 피씨비(84)를 분리하는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replacement is required due to breakage or damage of the PCB 84,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PCB 84 from the mounting hole 90 is difficult.

또한, 분리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힘에 의해 상기 장착구(90)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eakage of the mounting hole 90 is frequently generated by an excessive force in the separating process.

뿐만 아니라,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컨트롤박스(80)의 서비스가 지연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the service of the control box 80 is delayed due to the above problems, which is not preferabl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트롤박스 내부에 피씨비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판넬을 더 구비하여, 피씨비의 일측은 걸림구속하고 타측은 스크류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피씨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anel to allow the PCB to be seated inside the control box, one side of the PCB to be locked and the other side by screw fastening To provide a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안착되어 결합된 피씨비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피씨비를 내부에 수용하여 피씨비를 보호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피씨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가 안착된 상태로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안착판넬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착판넬의 일측에는, 돌출 성형되어 상기 피씨비의 일측을 간섭하는 간섭돌기와, 상기 피씨비의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하 며, 상기 피씨비의 일측을 관통한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보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nit that harmonizes the indoor air, the control box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seated and coupled Forming an appearance and having a case to protect the PC by receiving the PC therei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case and the PC to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ounting panel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ase in a state where the PC is seated, the seating One side of the panel, protrudingly formed interference protrusions interfering with one side of the PCB,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PCB in the upward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ss coupled with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one side of the PCB. .

상기 안착판넬의 일측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걸림 결합되는 결합후크가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seating panel is protruded downwar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hooks that are engaged with the one side of the case is provided.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며 결합후크를 수용시에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결합후크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삽입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case is perforated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the coupling hook to interfere with one side when receiving the coupling hook.

상기 결합보스의 상면으로부터 간섭돌기 하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피씨비의 두께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PCB.

상기 간섭돌기 및 결합보스는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ference protrusion and the coupling boss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상기 간섭돌기와 결합후크 및 결합보스는 상기 안착판넬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ference protrusion, the coupling hook and the coupling bos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ting panel.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의하면, 플라즈마필터의 이물 제거기능이 향상되며 라인작업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rain pa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of the plasma filter is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during the line work.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공기 조화가 요구되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조화하는 것으로 대략 가로가 긴 직육면체의 외형 을 가지며, 하면이 실내 천장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room where air conditioning is required to match indoor air, and ha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mounted to expose the bottom surface from the indoor ceiling. .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는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12)가 형성된 흡입그릴(110)과, 상기 흡입그릴(110) 외측에서 구비되어 천장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하측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20)과, 상기 캐비넷(120)의 좌우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그릴(110)과 캐비넷(120)이 형성하는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122), 및 상기 캐비넷(120)과 흡입그릴(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100) 내/외부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판넬(140) 등으로 외관이 구성된다.The indoor unit 100 includes a suction grill 110 having a suction port 112 formed therein so that indoor air can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is provided outside the suction grill 110 and inserted into the ceiling. The cover 120 is formed on the cabinet 120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built, and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120 to shield a space formed by the suction grill 110 and the cabinet 120 by forming a space downward. ), And a front panel 140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120 and the suction grill 110 to guide air flow into / out of the indoor unit 100.

상기 흡입그릴(110)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전면(全面)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2)가 절제(切除) 성형된다. 상기 흡입구(112)는 상기 실내기(100)와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가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1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The suction grill 11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e suction grill 11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12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110. The inlet 112 may guide the indoor air to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00 by allowing the indoor unit 100 and the room for air condition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흡입그릴(110)은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110)의 중앙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제(切除)되어 상기 실내기(100) 내부가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와 연통되도록 하는 흡입구(112)가 다수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The suction grill 1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serves as a passage to allow indoor air to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ly,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12 are generally formed at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110 so that the indoor unit 100 communicates with the room for air conditioning.

상기 흡입그릴(110)의 하면 전/후에는 토출구(14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42)는 프론트판넬(140)의 하면 전후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제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에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Discharge openings 142 are formed before and after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110, respectively. The discharge port 142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40, and serves to guide the discharge to the interior after heat exchange in the indoor unit (100).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는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112)로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에 상기 토출구(142)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전후로 분리하여 토출하게 된다.Therefore, the indoor unit 100 separates the air heat exchan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back and forth after discharging the indoor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그리고, 상기 토출구(142) 내부에는 사각판 모양의 베인(116)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베인(116)은 실내기(10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구(14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될 때 이를 간섭하여 토출 방향을 강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rectangular plate-shaped vane 116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discharge port 142. The vane 116 serves to force the discharge direction by interfering when the heat exchanged air inside the indoor unit 100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따라서, 상기 베인(116)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회동하게 되면 상기 토출구(142)로 토출되는 공기는 유동 방향이 강제되어 실내의 구석진 곳까지 송풍 가능하게 되며, 상기 베인(116)이 흡입그릴(110)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게 되면 상기 토출구(142)는 차폐된다.Therefore, when the vane 116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42 is forced to flow to the corner of the room, the vane 116 is suction grill 110 The discharge port 142 is shielded when placed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

이하에서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구성을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인(116)의 후측에는 상기 토출구(142)로 토출되는 공기를 좌우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루버(118)가 설치된다. 상기 루버(118)는 삼각형 모양의 다수개 날(118')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날(118')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토출되 는 공기는 유동방향이 강제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ar side of the vane 116 is provided with a louver 118 for forcibly flowing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4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ouver 118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118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blade 118'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discharged air flows The direction is forced.

따라서, 상기 루버(118)의 좌측단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회전동력이 상기 베인(116)과 루버(118)에 전달됨으로써 베인(116)과 루버(118)는 반복 회동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a moto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louver 118 to generate power by applying power, and the vane 116 and the louver 118 are generated from the motor (not shown). ), The vanes 116 and the louvers 118 can be repeatedly rotated.

상기 베인(116)과 루버(118)의 후방에는 송풍장치(13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장치(130)는 실내 공기의 흡입 및 송풍을 강제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A blower 130 is provided behind the vanes 116 and the louvers 118. The blower 130 is for forcing the suction and blowing of the indoor air is provided with a pair in the same shape, it is install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inside the indoor unit (100).

상기 송풍장치(130)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32)와, 상기 팬모터(132)의 일측과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시에 풍력을 발생하는 횡류팬(134)과, 상기 횡류팬(134)이 내부에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며 횡류팬(134)으로부터 발생된 풍력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36)와, 상기 에어가이드(136)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횡류팬(134)이 에어가이드(1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팬홀더(1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lower 130 is a fan motor 132 for generating a rotational power when the power is applied, and a cross-flow fan 134 for rotating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an motor 132 to generate wind power when rotating; The crossflow fan 134 is accommodated in a spaced apart state therein, the air guide 136 for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wind generated from the crossflow fan 134 and the air guide 136 is coupled to the crossflow fa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n holder 138 to prevent the 13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ir guide 136.

상기 횡류팬(134)은 좌우 방향으로 긴 원통 모양을 가지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134)은 좌우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된 회전축(134')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The cross-flow fan 134 has a long cylindrical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blad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equal intervals. The crossflow fan 134 is rotatable by a rotation shaft 134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urfaces.

상기 횡류팬(134)은 전술한 팬모터(13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150)에 의해서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토출구(142)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게 된다.The crossflow fan 134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above-described fan motor 132 and rotates at a high speed so that indoor air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at the same time, a heat exchanger to be described below. The air heat-exchanged by the 150 is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상기 횡류팬(134)의 이격된 우측 및 상측에는 에어가이드(136)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136)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ㄱ'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기 캐비넷(120)의 내부 벽면에 부착된다. Air guides 136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crossflow fan 134. That is, the air guide 136 has an approximately 'A' shaped longitudinal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binet 120.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36)는 실내기(100) 내부를 경유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136)는 횡류팬(134)에 의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후에 횡류팬(134)을 관통한 공기를 상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토출구(142)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air guide 136 guides the flow direction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unit 100. That is, the air guide 136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by the cross flow fan 134 and guid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ross flow fan 134 upward to flow to the discharge port 142. You will be guided.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36)의 절곡된 부위의 전면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간섭없이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front surface of the bent portion of the air guide 136 is preferably formed to be round so that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can flow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36)의 전면 중앙부에는 가로로 길게 기류안내돌기(136')가 형성된다. 상기 기류안내돌기(136')는 상기 실내기(100)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횡류팬(134)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하측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an airflow guide protrusion 136 ′ is formed on the front center of the air guide 136. The airflow guide protrusion 136 ′ guide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to flow into the crossflow fan 134. The lower side of the airflow guide protrusion 136 ′ is formed to be inclined backward and the upper side is rounded.

따라서 상기 횡류팬(134)의 흡입력에 의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기류안내돌기(136')에 의해서 간섭 및 안내되어 대각선 방향 즉, 횡류팬(134)의 중심방향으로 안내된다.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crossflow fan 134 is interfered with and guided by the airflow guide protrusion 136 ′ and guided in a diagonal direction, that is, the center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134. .

상기 에어가이드(136)의 좌우측단에는 상기한 팬홀더(138)가 구비된다. 상기 팬홀더(138)는 횡류팬(134)과 팬모터(132)가 에어가이드(136)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횡류팬(134)이 에어가이드(136)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동하도록 안내하는 안착부(138')와, 상기 안착부(138')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팬모터(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폐부(1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n holder 138 is provid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air guide 136. The fan holder 138 is such that the cross flow fan 134 and the fan motor 132 are mounted to the air guide 136, and the cross flow fan 134 is rotat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guide 136. And a shielding portion 138 " coupled to a tip of the seating portion 138 'to prevent the fan motor 132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안착부(138')는 후단부가 에어가이드(136)의 전면 좌우측단에 결합되며 선단부는 상기 팬모터(132)의 좌측단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132)는 안착부(138')의 마주보는 면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 The seating portion 138 ′ has a rear end coupled to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 guide 136 and the front end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left end shape of the fan motor 132. Therefore, the fan motor 132 is accommodat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38 ').

그리고, 상기 안착부(138')의 마주보는 면은 상기 회전축(134')이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함몰 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38')의 팬홀더(138) 내부에 수용된팬모터(132)와 회전축(134')은 결합 가능하게 된다.The facing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38 'is recessed outwardly so that the rotation shaft 134' is inserted. Accordingly, the fan motor 132 and the rotating shaft 134 'accommodated in the fan holder 138 of the seating portion 138'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안착부(138')의 전방에는 차폐부(138")가 결합된다. 상기 차폐부(138")의 후반부는 상기 팬모터(132)의 전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38')와 차폐부(138")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에 상기 팬모터(132)가 수용되면 팬모터(132)는 상기 팬홀더(138)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A shield 138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eat 138 '. The second half of the shield 138" is re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alf of the fan motor 132. Therefore, when the fan motor 132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ating portion 138 ′ and the shielding portion 138 ″, the fan motor 132 is not separated from the fan holder 138.

상기 한 쌍의 송풍장치(130) 사이에는 열교환기(15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50)는 실내로부터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우측에서 볼 때 대략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The heat exchang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blowers 130. The heat exchanger 150 is for heat-exchang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from the room, and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It has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and is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한편, 상기 열교환기(150)의 전방에는 드레인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70)은 열교환기(150)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열교환기(150)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후면이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Meanwhile, a drain pan 17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150. The drain pan 170 is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when the heat exchanger 150 heat exchanges the indoor air, and the rear surface is recessed forward.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70)의 전면(前面)에는 열차단부재(172)가 결합된다. 상기 열차단부재(172)는 드레인팬(170) 후면에 수용된 응축수의 냉기에 의해 드레인팬(170)의 외면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열차단 효과가 탁월한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e foam)으로 성형되며 상기 드레인팬(170)의 후면을 제외한 전면(全面)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heat shield member 172 is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drain pan 170. The heat blocking member 172 is to prevent dew from form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an 170 by cold air of condensate stored in the rear of the drain pan 170, and is formed of polyethylene foam having excellent heat blocking effect.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surface except for the rear surface of the drain pan 170.

상기 드레인팬(170)의 천공된 중앙부에는 필터(174)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174)는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1차로 필터링함으로써 실내기(100) 내부의 이물 적재는 물론 부품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lter 174 is mounted to the perforated center portion of the drain pan 170. The filter 174 may primarily filter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being loaded inside the indoor unit 100 as well as to prevent failure of components.

또한, 상기 드레인팬(170)은 흡입구(112)를 관통한 후에 필터(174)에 의해서 필터링된 공기가 후방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170)의 전방에 존재하는 공기는 천공된 중앙부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안내된다. In addition, the drain pan 170 also performs the role of guiding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174 to flow backward af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112. That is, air existing in front of the drain pan 170 is guided to the rear through the perforated center.

상기 드레인팬(170)의 후면 상하부에는 스테빌라이저(176)가 후방 돌출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176)는 상부가 뾰족한 유선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기 횡류팬(134)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횡류팬(134)을 지나온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게 된다.The stabilizer 176 protrudes rear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rear portions of the drain pan 170. The stabilizer 176 has a pointed streamlined vertical sec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crossflow fan 134 to guide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passing through the crossflow fan 134.

즉, 상기 스테빌라이저(176)는 후단부가 횡류팬(134)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형성됨으로써 상기 횡류팬(134) 하측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횡류팬(134)을 지나온 공기는 스테빌라이저(176)에 의해서 안내되어 토출구(142)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stabilizer 176 is formed so that the rear end thereof is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 flow fan 134 to divide the space below the cross flow fan 134 up and down. Ther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rossflow fan 134 is guided by the stabilizer 176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42.

상기 드레인팬(170)의 전방에는 플라즈마필터(18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필터(180)는 필터(174)에 의해서 1차로 필터링된 공기를 2차로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하도록 구성된다.A plasma filter 180 is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drain pan 170. The plasma filter 18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air filtered primarily by the filter 174 secondly, and is configured to charge and adsorb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한편, 상기 플라즈마필터(180)의 전방 좌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컨트롤박스(200)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실내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판넬(140)의 전면 좌측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그릴(110)을 프론트판넬(140)로부터 분리시에 상기 실내기(100)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left side of the plasma filter 180 is equipped with a control box 20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ox 20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is mount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140, when the suction grill 110 is separated from the front panel 140, the indoor unit 100 is configured to be exposed forward.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200)에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그릴(110)을 실내기(100)로부터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ontrol box 200, the suction grill 110 is separated from the indoor unit 100, and repair and replacement are possible.

이하에서는 상기한 컨트롤박스(200)의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box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컨트롤박스(2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컨트롤박스(200)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control box 200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trol box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200 configuration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대략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trol box 200 has a hexahedral shape with an approximately front opening,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xed.

즉,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전면에 안착되어 결합된 피씨비(220)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피씨비(220)를 내부에 수용하여 피씨비(220)를 보호하는 케이스(240)와, 상기 케이스(240)와 피씨비(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 기 피씨비(220)가 안착된 상태로 케이스(24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안착판넬(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control box 200 is a case 240 for protecting the PC 220 to form the appearance and the appearance of the PCB 22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seated on the front surface and accommodated therein And a mounting panel 260 provided between the case 240 and the PC 220 to constrain the PC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240 in a seated state.

상기 피씨비(220)는 도체 회로가 인쇄된 기판에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땜납으로 결합된 것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00)에 있어서 요부를 구성한다.The PC 220 is formed by solder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to a substrate on which a conductor circuit is printed, and constitutes a main portion of the control box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그리고, 상기 피씨비(220)는 실내기(100)의 작동 제어시에 많은 열을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씨비(220)는 실내기(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공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면이 상기 안착판넬(260)로부터 이격되도록 안착된다.In addition, the PC 220 generates a lot of heat during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indoor unit 100, and is vulnerable to such heat and tends to be easily broken. Thus, the PC 220 is seated so that the rea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anel 260 in order to be efficiently air-cooled by the air flowing in the indoor unit (100).

이를 위해 상기 안착판넬(26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보스(26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262)는 안착판넬(260)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전면이 상기 피씨비(220)의 후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씨비(220)가 안착판넬(26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coupling bosses 262 protruding forward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anel 260. A plurality of coupling bosses 262 are formed in the mounting panel 260 so that the front surface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PCB 220 so that the PC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anel 26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씨비(220)의 후면은 결합보스(262)의 돌출된 길이만큼 상기 안착판넬(26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피씨비(220)는 안착판넬(260)과 이격되어 형성된 후측의 공간을 통해 공냉 가능하며, 상기 피씨비(220)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 상기 결합보스(262)는 안착판넬(260)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rear surface of the PCB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anel 260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upling boss 262. Therefore, the PC 220 is air-cooled through a space formed on the rear side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panel 260, the coupling boss 262 is integral with the mounting panel 260 for a firm support of the PC 220 It is preferable to form.

그리고, 상기 결합보스(262)는 피씨비(220)가 상기 안착판넬(26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결합보스(262)의 중앙부에 는 함몰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도 8의 도면부호 S)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26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62')은 피씨비(220)에 천공 형성된 관통공(도 5의 도면부호 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boss 262 also serves to prevent the PC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nel 260. That is, a fastening groove 26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boss 262 to allow the fastening member (S in FIG. 8) such as a screw to be fastened, and the fastening groove 26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reference numeral 222 of FIG. 5) formed in the PC 220.

따라서, 상기 관통공(222)을 관통한 체결부재(S)가 상기 체결홈(262')에 체결되면 상기 피씨비(220)는 안착판넬(26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S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222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262 ′, the PC 220 is not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nel 260.

상기 안착판넬(260)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간섭돌기(264)가 구비된다. 상기 간섭돌기(264)는 피씨비(220)의 전면 하부를 간섭하여 상기 피씨비(220)의 하부가 전방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피씨비(220)의 유동을 충분히 간섭하여 규제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안착판넬(260)과 일체로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nel 260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protrusion 264 protruding upward.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prevents the lower portion of the PCB 220 from flowing forward by interfer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220, and a plurality of interference protrusions 264 to sufficiently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PCB 220. It is formed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nting panel 260.

따라서, 상기 피씨비(220)가 안착판넬(260) 내부에 비스듬하게 삽입되어 상기 간섭돌기(264)의 하면과 안착판넬(260)의 전면 사이에 상기 피씨비(220)의 하단부가 놓이게 되면, 상기 피씨비(220)의 하부는 간섭돌기(264)의 후면에 의해서 간섭되어 전방으로 유동하지 못하며, 상기 피씨비(220)의 후면은 상기 체결홈(262')에 의해서 지지된다.Therefore, when the PC 220 is inserted obliquely into the mounting panel 260 and the lower end of the PC 220 is plac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anel 260, The lower portion of the 220 is interfer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and cannot flow forwar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C 220 is supported by the fastening groove 262 ′.

그리고, 상기 간섭돌기(264)는 안착판넬(260) 내부에서 피씨비(220)의 하부를 완전히 구속하여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보스(262)의 상면으로부터 간섭돌기(264) 하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피씨비(22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is formed so as not to shak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completely restrai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CB 220 in the mounting panel 260.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26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C 220.

따라서, 상기 피씨비(220)가 도 8과 같이 상기 안착판넬(260) 내부에 결합되 면, 상면 좌측은 상기 간섭돌기(264)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면의 다수곳은 상기 결합보스(262)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안착판넬(26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C 2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ating panel 260 as shown in FIG. 8, the upper left side of the PCB 22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and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262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nel 260 is not shaken inside.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안착판넬(260)의 후면 상하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공(242)과 걸림 결합되는 결합후크(266)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후크(266)는 안착판넬(260)이 케이스(24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단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again, upper and lower rear ends of the seating panel 260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hook 266 which protrudes rearward and is engaged with the insertion hole 242 to be described below. The coupling hook 266 is to allow the seating panel 260 to be coupled to the case 240, the rear end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따라서, 상기 결합후크(266)가 삽입공(242)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후크(266)의 후단부는 삽입공(242)의 일측에 의해서 간섭되어 휘어지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게 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후단부가 삽입공(242)의 후방으로 완전히 지나치게 되면 원상태로 복원되어 걸림 고정된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hook 26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2,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hook 266 is bent and interfered by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242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protrude inwardly. If the rear end is completely excessive to the rear of the insertion hole 242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is fixed.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266) 역시 간섭돌기(264)와 결합보스(262)와 마찬가지로 상기 안착판넬(26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피씨비(220)가 안착된 상태의 안착판넬(260)이 케이스(24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upling hook 266 is also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nting panel 260 similarly to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and the coupling boss 262. This is to ensure that the mounting panel 260 in the state in which the PC 220 is seated is firmly coupled to the case 240.

한편, 상기 케이스(240)는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피씨비(220)가 안착된 안착판넬(260)을 수용하며, 상기 안착판넬(260)의 일측을 구속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240 is formed by bending a rectangular plate a plurality of times, and accommodates the seating panel 260 on which the PCB 220 is sea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restraining one side of the seating panel 260. do.

즉, 상기 케이스(240)의 후면 상하단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된 삽입공(242)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결합후크(26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후크(266)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That i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42 drilled in a quadrangular shape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of the case 240, and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oks 266 to accommodate the coupling hooks 266. do.

따라서, 상기 안착판넬(260)이 케이스(240) 내부에 안착되면 상기 결합후크(266)는 삽입공(242)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안착판넬(260)은 케이스(24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Accordingly, when the seating panel 260 is seated inside the case 240, the coupling hook 26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2 and is locked, so that the seating panel 260 is firmly coupled to the case 240. .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작용을 냉방모드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ooling mode.

먼저, 전원을 인가하여 공기조화기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팬모터(132)는 회전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팬모터(132)와 연동하는 횡류팬(134)은 빠르게 회전하여 흡입력을 발생함으로써 실내 공기는 흡입구(11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다.Firs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by applying power, the fan motor 132 generates rotational power, and the crossflow fan 134 interlocked with the fan motor 132 rapidly rotates to generate suction power, thereby providing indoor air. It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174)에 의해서 1차로 이물이 필터링되고, 정화된 후에는 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플라즈마필터(180)를 통과하게 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is first filtered by the filter 174, and after purification, the air flows backward to pass through the plasma filter 180.

이때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은 상기 플라즈마필터(180)에 의해서 형성된 플라즈마에 의해 먼지만 흡착되어 필터링되며, 상기 플라즈마필터(180)에 의해서 먼지가 흡착되어 정화된 공기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열교환기(150)와 접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filtered by only the dust is adsorbed by the plasma formed by the plasma filter 180, the air adsorbed by the dust by the plasma filter 180 is moved to the rear to the heat exchanger ( 15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174) 및 플라즈마필터(180)에 의해서 필터링된 공기는 실내기(100) 내부에서 상/하로 나뉘어져 상기 열교환기(150)를 통과함으로써 열교환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174 and the plasma filter 180 is divided into up and down inside the indoor unit 100 to be heat exchanged by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0.

이후, 상기 열교환기(150)에 의해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는 상기 기류안 내돌기(136')에 의해서 간섭되어 상기 횡류팬(134)의 중심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기류안내돌기(136')에 의해서 유동 방향이 안내된 공기는 상기 횡류팬(134)에 의해서 강제되어 상기 실내기(100) 내부의 상/하부로 이동하게 된다.Thereafter, the air cooled by heat exchange by the heat exchanger 150 is guided toward the center of the cross flow fan 134 by interference with the protrusion 136 ′ in the air flow, and the air flow guide protrusion 136 ′. Air guided by the flow direction is forced by the cross flow fan 134 is moved to the upper / lower inside the indoor unit (100).

이때, 상기한 과정을 거친 공기는 에어가이드(136)의 라운드진 하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전방으로 유동방향이 바뀌게 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176)와 에어가이드(136)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서 더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142)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At this time, the air pass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guided by the rounded bottom surface of the air guide 136 to change the flow direction forward, and further moves along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tabilizer 176 and the air guide 136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그리고, 상기 토출구(142)를 통해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116)과 루버(118)에 의해서 간섭되어 실내 공간의 넓은 영역을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is interfered by the vane 116 and the louver 118 to harmonize a large area of the indoor space.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박스(200)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ontrol box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도 7에는 도 5의 A-A'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의 B-B'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 portion of FIG. 5, and 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 portion of FIG. 5.

먼저, 도 6과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200)가 분해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판넬(260) 내부에 피씨비(220)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6 in the disassembled state the control box 200 is inserted into the PCB 220 in the mounting panel 260 to be fix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피씨비(220)의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으로 오도록 기울인 다음 피씨비(220)의 하단부를 상기 간섭돌기(264)의 후측에 삽입하고, 기울어진 상부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피씨비(220)의 후면이 상기 결합보스(262)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upper part of the PC 220 is inclined to come forward than the lower part, and then the lower part of the PC 220 is inserted into the rear sid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and the tilted upper part is pushed backward to the rear of the PC. The back of the 22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coupling boss 262.

이때, 상기 피씨비(220)는 도8과 같이, 상면 좌측은 상기 간섭돌기(264)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면은 결합보스(262)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체결부재(S)를 결합보스(262)의 체결홈(262')에 체결하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C 22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and th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262. Thereafter, the fastening member S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262 ′ of the coupling boss 262.

상기 체결부재(S)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피씨비(220)는 안착판넬(26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By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S, the PC 220 is not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nel 260.

그리고, 상기 피씨비(220)가 결합된 안착판넬(260)을 케이스(240) 내부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후크(266)는 삽입공(242)에 삽입되면서 외측(도 7에서 볼 때 좌/우측)으로 벌어져 탄성복원력이 발생된다.Then, the mounting panel 260 to which the PC 220 is coupled is inserted into the case 240. At this time, the coupling hook 26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2 to be opened to the outside (left / right side when viewed in Figure 7)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이후 상기 결합후크(266)가 삽입공(242)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7과 같이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결합후크(266)는 삽입공(242)의 하단부 외측면과 걸림 결합된다.After the coupling hook 266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2, the coupling hook 266 is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hole 242 by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s shown in FIG.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컨트롤박스(200)를 구성하는 피씨비(220)와, 안착판넬(260) 및 케이스(240)의 결합은 완료된다.In this process, the combination of the PCB 220, the seating panel 260, and the case 240 constituting the control box 200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 사용중에 피씨비(220)가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때에는 상기 체결부재(S)를 체결홈(262')으로부터 풀어서 상기 피씨비(220)는 안착판넬(26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When the PCB 220 is damaged while the indoor unit 100 is in use and the replacement is required, the fastening member S is released from the fastening groove 262 'so that the PCB 22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nel 260. .

즉, 상기 체결부재(S)가 체결홈(262')에서 분리되면 상기 피씨비(220)의 우측은 구속이 해지된 상태가 되며, 이때 구속이 해지된 상기 피씨비(220)의 우측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피씨비(220)는 간섭돌기(26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안착판넬(26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astening member S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262 ', the right side of the PC 220 is in a restrained state, and at this time, the right side of the PC 220 is restrained upward. When lifted, the PC 2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64 to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nel 260.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에서는, 피씨비와 케이스 사이에 피씨비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판넬을 더 구비하고, 피씨비가 안착판넬에 형성된 간섭돌기와 결합보스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In the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anel for seating the PCB between the PCB and the case, the PC is configured to be coupled by the interference boss and the coupling boss formed on the mounting panel. .

따라서, 피씨비가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때에는 결합보스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풀어 피씨비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분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PCB is damaged and needs to be replaced, it is possible to disassemble the PCB by releasing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coupling boss, so that there is an easy disassembly.

또한, 피씨비 교체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며, 서비스성 또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CC replacement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serviceability is also improved.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점들로 인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제품 만족도 향상도 기대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bove advantage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customer satisfaction.

Claims (6)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에 있어서,In the control box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nit to match the indoor ai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상기 컨트롤박스는,The control box, 다수개의 전자부품이 안착되어 결합된 피씨비와,PCB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seated,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피씨비를 내부에 수용하여 피씨비를 보호하는 케이스와,A case which forms an exterior and accommodates the PC therein to protect the PC; 상기 케이스와 피씨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가 안착된 상태로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안착판넬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It is provided between the case and the PCB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ating panel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ase in the PCB seated state, 상기 안착판넬의 일측에는,On one side of the seating panel, 돌출 성형되어 상기 피씨비의 일측을 간섭하는 간섭돌기와,An interferenc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to interfere with one side of the PCB, 상기 피씨비의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피씨비의 일측을 관통한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보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The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C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oupling boss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penetrating one side of the P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넬의 일측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걸림 결합되는 결합후크가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panel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mounting pane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oks protruding downward and engaging with one side of the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며 결합후크를 수용시에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결합후크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삽입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According to claim 2, One side of the case is perforated molded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the coupling hook to interfere with one side when receiving the coupling hoo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의 상면으로부터 간섭돌기 하면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피씨비의 두께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The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claim 3, wherein a vertical distanc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to a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corresponds to a thickness of the PCB.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 및 결합보스는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5] The control box of the indoor unit of claim 4, wherein the interference protrusion and the coupling boss are formed in plur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와 결합후크 및 결합보스는 상기 안착판넬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The control box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terference protrusion, the coupling hook and the coupling bos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ating panel.
KR1020050111439A 2005-11-21 2005-11-21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0535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439A KR20070053548A (en) 2005-11-21 2005-11-21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439A KR20070053548A (en) 2005-11-21 2005-11-21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48A true KR20070053548A (en) 2007-05-25

Family

ID=3827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439A KR20070053548A (en) 2005-11-21 2005-11-21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354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45A (en) * 2018-11-06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45A (en) * 2018-11-06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25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066393A (en) Housing of indoor unit for ceiling duct type air conditioner
KR101199668B1 (en) Inlet-panel open and shut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6444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58602B1 (en) Inlet-panel supprot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053548A (en)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15628476A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070005176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66622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37160B1 (en) Drain pan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92571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47689B1 (en) Fan motor fixing structure of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20070053834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O2019062607A1 (en) Window-type air conditioner
KR101250159B1 (en)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100845183B1 (en) Power cord mounting of air conditioner
JP2014070820A (en) Outdoor unit
KR20070069377A (en) Drain pan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P1811235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4504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60126043A (en) Controller cover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044300A (en) Inlet-panel open and shut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33441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oiner
KR20070077360A (en) A indoor unit of split type air conditioner
CN117803977A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