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945A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1945A KR20200051945A KR1020180134897A KR20180134897A KR20200051945A KR 20200051945 A KR20200051945 A KR 20200051945A KR 1020180134897 A KR1020180134897 A KR 1020180134897A KR 20180134897 A KR20180134897 A KR 20180134897A KR 20200051945 A KR20200051945 A KR 202000519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damper
- cabinet
- supporter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2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heets or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유동하며 냉방, 난방, 청정 또는 가습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계절에 따른 기후 조건과 실내 환경 등에 따라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방 기능이나 난방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스탠드형과 벽걸이형 그리고 액자형과 천장 카세트형 등과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서로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분리형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화된 창문형과 같은 일체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이 출시되고 있다.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hanges air into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flowing, cooling, heating, cleaning or humidifying air. The air conditioner mainly performs the cooling function or the heating function to maintain the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depending on the climat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eason and the indoor environment, and indoor and outdoor units such as stand-type and wall-mounted type, frame type and ceiling cassette type, etc. Various types of products are being launched, such as a separate type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n integrated type such as a window type in which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are integrated.
천장 카세트형의 경우, 실내기가 실내공간의 천장면에 장착되므로, 열교환기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팬과 드레인펌프구조를 가질 수 있다. 드레인펌프의 경우, 실내기의 내측에 스크류를 통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eiling cassette type, since the indoor unit is mount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indoor space, it may have a drain pan and a drain pump structure for discharging condensate condensed in the heat exchanger. In the case of a drain pump, it may have a structur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through a screw.
한국특허 KR19990033901A에서는 스크류를 체결을 통해 드레인펌프를 장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KR19990033901A discloses a structure for mounting a drain pump by fastening a screw.
다만, 이러한 스크류체결방식은 스크류체결을 위한 장비가 요구되는 점에서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발생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screw fasten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efficiency of work is reduced due to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fastening, since equipment for screw fastening is required.
또한, 스크류를 통한 체결의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에 의한 진동으로, 체결력이 약화되거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fastening through a scre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astening force may be weakened or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vibration due to operation of the drain pump.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기에 장착되는 드레인펌프의 체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ce of operation by simplify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drain pump mounted in the indoor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드레인펌프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도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aintaining a fastening force even when vibration is caused by the operation of a drain pump.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캐비닛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으로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펌프;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펌프가 장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드레인펌프와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는 서포터를 포함하여, 드레인펌프가 캐비닛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진동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bottom of the open cabinet; A front panel covering an opened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cabin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abin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flow air inside the cabinet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A fan motor fixed to the cabinet and rotating the blowing fan; A heat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exchanging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with a refrigerant; A drain pan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collect condensate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A drain pump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discharge condensate collected by the drain pan to the outside; A bracket fixed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equipped with the drain pump; And a supporter fixedly connected to the drain pum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er fixedly connected to the bracke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rain pump is stably fixed to the cabinet and less affected by vibration.
상기 서포터는 상기 드레인펌프와 상기 브라켓 각각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되어, 드레인펌프와 브라켓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The supporter is coupled to each of the drain pump and the bracket in a hook manner,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drain pump and the bracket can be facilitated.
상기 드레인펌프와 상기 서포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펌프의 진동을 완화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여, 드레인펌프의 진동이 캐비닛의 완화되어 전달될 수 있다. Arranged between the drain pump and the supporter, and further comprising a damper to dampen the vibration of the drain pump, the vibration of the drain pump can be transmitted by the relaxation of the cabinet.
상기 서포터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댐퍼의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홀에 삽입되는 서포터바디; 상기 서포터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의 일측면과 맞닿는 댐퍼받침부; 상기 댐퍼의 일측면이 상기 댐퍼받침부와 맞닿을 때, 상기 댐퍼 일측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측면을 가압하는 댐퍼고정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과 맞닿는 브라켓지지대; 및 상기 브라켓지지대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과 맞닿을 때,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과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타측면을 가압하는 브라켓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supporter has a pillar shape, and a supporter body is inserted into a central hole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damper; A damper support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er body and contacting one side surface of the damper; A damper fixing unit that presses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of the damper when one side of the damper contacts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 A bracket support abutting one side of the bracket; And when the bracket support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racket, it includes a bracket fixing unit for pressing the other sid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bracket.
상기 댐퍼받침부와 상기 브라켓지지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드레인펌프의 진동이 캐비닛의 완화되어 전달될 수 있다. The damper support portion and the bracket suppo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drain pump can be relaxed and transmitted to the cabinet.
상기 댐퍼고정부는, 상기 서포터바디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댐퍼고정부바디; 및 상기 댐퍼고정부바디의 하측단부에서 밴딩되어,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댐퍼고정부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의 일측면이 상기 댐퍼받침부와 맞닿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댐퍼고정부후크 각각의 단부는 상기 댐퍼의 타측면과 맞닿게 배치되어, 서포터가 댐퍼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damper fixing portion, the damper fixing bod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er body; And at least two damper fixing hooks which are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damper fixing body and are inclined upwardly, and when one side of the damper contacts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 the at least two dampers. Each end of the fixed hook is disposed to abut against the other side of the damper, so that the supporter can be fixed to the damp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브라켓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지지대의 중심에서 상기 서포터바디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고정부바디; 상기 브라켓고정부바디의 상측단부에서 상기 브라켓지지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이 상기 브라켓지지대와 맞닿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 각각의 단부는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과 맞닿게 배치되어, 서포터가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bracket fixing portion, the bracket fixing body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upporter body from the center of the bracket support; And at least two bracket fixing hooks which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bracket support from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fixing body, and when one side of the bracket contacts the bracket support, the at least two bracket fixing hooks Each en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the supporter can be fixed to the bracke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브라켓지지대는, 상기 서포터바디의 상부에서 상측방향 및 반경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산형태를 가져, 드레인펌프에서 서포터로 전달되는 진동이 브라켓으로 완화되어 전달될 수 있다. The bracket support has an umbrella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er body in an upward direction and an outer direction of a radius, so that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drain pump to the supporter can be alleviated and transmitted to the bracket.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고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홀의 내측면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의 2면에서 맞닿도록 형성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서포터가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t each end of each of the at least two bracket fixing hooks, a step portion formed to abut on an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hole formed in the bracket so as to insert the bracket fixing portion and two surfaces of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er supports the bracket. It can be fixed stably.
상기 드레인펌프는, 외형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물이 상기 펌프하우징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펌프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물을 상기 흡입부로 흡입하여 상기 배수부로 보내는 드레인펌프 구동부; 및 상기 펌프 하우징이 브라켓에 장착되도록 상기 댐퍼를 통해 서포터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The drain pump includes a pump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A suction unit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pan is sucked into the pump housing; A drain unit for draining water sucked into the pump housing; A drain pump driving part that sucks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pan through the suction part and sends it to the drain part; And a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er through the damper so that the pump housing is mounted on the bracket.
상기 체결부는 상기 댐퍼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댐퍼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출입홀이 형성되어, 출입홀을 통해 댐퍼가 체결부에 장착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has a shap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damper, and an entrance hole formed to fit a damp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and a damper may be mounted to the fastening part through the access hole.
상기 댐퍼에는 외둘레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댐퍼의 외둘레면과 맞닿는 내둘레면에서 상기 댐퍼의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댐퍼가 체결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damper is formed with a ring-shaped fastening groove formed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with a protruding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in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damper As a result, the damper can be stably fixed to the fastening por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서포터를 드레인펌프와 캐비닛의 브라켓에 후크방식으로 체결되어, 제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supporter is fastened to the drain pump and the bracket of the cabinet by a hook method, so that the production is simple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increased.
둘째, 서포터는 드레인펌프와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고, 브라켓과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어, 체결시 드레인펌프의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 supporter is fixedly connected to the drain pum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bracke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stably fixed to the vibration of the drain pump when fasten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가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Ⅴ-Ⅴ’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 드레인펌프, 댐퍼, 브라켓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 드레인펌프, 댐퍼, 브라켓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 6a의 단면도이다.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racket.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front view of FIG. 5A.
5C is a side view of FIG. 5A.
5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5C.
Figure 6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of the supporter, drain pump, damper,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a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of the supporter, drain pump, damper,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9에 표시된 상, 하의 표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표시된 실내기의 내부구성의 경우도, 실내기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상하방향을 기준을 설명한다. 도면에 표시된 방향의 설정은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기준 설정에 따라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pper and lower marks shown in FIGS. 1 to 9 are for explaining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구성><Overall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외형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구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으로 흡입구(23a) 및 토출구(24a, 24b, 24c, 24d)를 형성하는 프론트패널(20), 캐비닛(10) 내부의 공기를 흡입구(23a)에서 토출구(24a, 24b, 24c, 24d)로 유동시키도록 캐비닛(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송풍팬(30), 송풍팬(3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32), 흡입구(23a)에서 토출구(24a, 24b, 24c, 24d)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6), 흡입구(23a)를 커버하는 흡입그릴(23), 흡입그릴(23)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흡입구(23a)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필터(23b)를 포함한다.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ms an outer shape, covers the cabinet (10) with the bottom open, the opened bottom of the cabinet (10), and the inlet (23a) and outlet (( 24a, 24b, 24c, 24d) to form the
캐비닛(10)은 내부에 송풍팬(30), 열교환기(36), 팬모터(32)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구된다. 캐비닛(1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공간의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의 내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드레인펌프(40)가 장착되는 브라켓(14)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4)은 캐비닛(10)의 둘레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4)은 캐비닛(1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개의 부재로 캐비닛(10)의 내측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4)은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드레인펌프 고정부(13)의 하측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14)은 드레인펌프 고정부(1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드레인펌프 고정부(13)의 하측에서 판형태로 형성되거나, 드레인펌프 고정부(13)의 상부에서 ‘ㄷ’자형태로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브라켓(14)은 캐비닛(10)의 내측에서 고정되고, 이하에서 설명할 서포터(100)가 삽입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태변화가 가능하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패널(20)은 캐비닛(10)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프론트패널(20)은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된다. 프론트패널(20)에는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3a)와, 캐비닛(10) 내부의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빠져나가는 토출구(24a, 24b, 24c, 24d)가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23a)는 프론트패널(20)의 중앙에 배치되고, 토출구(24a, 24b, 24c, 24d)는 흡입구(23a)의 둘레측에 흡입구(23a)로부터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패널(20)에는 1개의 흡입구(23a)가 형성되고, 4개의 토출구(24a, 24b, 24c, 24d)가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1개의 흡입구(23a)가 형성되고, 1개 또는 2개이상의 토출구가 배치될 수 있다. The
토출구(24a, 24b, 24c, 24d)는 흡입구(23a)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토출구(24a, 24b, 24c, 24d)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26a, 26b, 26c, 26d)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인(26a, 26b, 26c, 26d)은 토출구(24a, 24b, 24c, 24d)에서 배치되는 위치와 각도가 변경되어, 토출구(24a, 24b, 24c, 24d)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패널(20)은 캐비닛(10)에 결합되고, 토출구(24a, 24b, 24c, 24d)를 형성하는 프론트바디(22)와, 다수개의 그릴홀이 형성되고, 흡입구(23a)를 커버하는 흡입그릴(23)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패널(20)의 흡입구(23a)에는 복수의 그릴홀이 형성된 흡입그릴(2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그릴(23)에는 격자형태를 가진 복수의 그릴홀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그릴(23)의 상측에는 흡입구(23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필터(23b)가 배치될 수 있다.A
송풍팬(30)은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캐비닛(10) 내측의 공기유동을 형성한다. 송풍팬(30)은 흡입구(23a)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3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blowing
팬모터(32)는 캐비닛(1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결되는 송풍팬(30)을 회전시킨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흡입구(23a)에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30)으로 안내하는 벨마우스(34)를 포함한다. 벨마우스(34)는 흡입그릴(23)과 송풍팬(30) 사이에 배치된다. The
열교환기(36)는 송풍팬(30)의 둘레로 배치된다. 열교환기(36)는 흡입구(23a)에서 토출구(24a, 24b, 24c, 24d)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6)는 캐비닛(10) 내부를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열교환기(36)의 내측에는 송풍팬(30)이 배치된다.The
열교환기(36)의 외측에는 토출구(24a, 24b, 24c, 24d)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36)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discharge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through the
캐비닛(10) 내부에는 열교환기(36)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드레인팬(12)과, 드레인팬(12)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40)가 배치될 수 있다. Inside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팬(12)은 열교환기(36)에 거치될 수 있다. 드레인팬(12)은 실내열교환기(36)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40)는 드레인팬(12)에 의해 한방향으로 모인 응축수를 캐비닛(10)외부로 배출한다.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40)는 캐비닛(10) 내측에 모서리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펌프(40)는 열교환기(36)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펌프(40)는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돌출 배치된 드레인펌프 고정부(13)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펌프(40)는 캐비닛(10)의 내측에 배치된 브라켓(14)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드레인펌프 체결 구성><Drain pump connection configu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가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단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 드레인펌프, 댐퍼, 브라켓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그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racket. 5A to 5D are perspective views, front views, side views, and short views of suppor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of the supporter, drain pump, damper,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 서포터의 구성과 브라켓을 포함한 이들의 체결관계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B, the construction of the drain pump and the suppor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ir fastening relationship including bracket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4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다. 드레인펌프(40)는 응축수 배수호스(50)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40)는 외형을 형성하는 펌프 하우징(42), 드레인팬(12)에 집수된 물이 펌프 하우징(42)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44), 드레인팬(12)에 집수되는 물의 량을 파악하는 플로터(46), 배수호스(50)와 연결되어, 드레인펌프(40)로 흡입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부(48), 드레인팬(12)에 집수된 물을 흡입부(44)로 흡입하여 배수부(48)로 보내는 드레인펌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드레인펌프(40)는 서포터(100)에 의해 캐비닛(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브라켓(14)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40)는 서포터(100) 및 댐퍼(60)에 의해 브라켓(14)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40)는 드레인펌프(40)를 브라켓(14)에 장착하도록 서포터(100)와 연결되는 체결부(54)를 더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40)는 복수의 서포터(100)를 통해 브라켓(14)에 장착되는 복수의 체결부(54)를 포함한다. The
체결부(54)는 댐퍼(60)를 통해 서포터(10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54)는 댐퍼(6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체결부(54)는 원기둥형상의 댐퍼(6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체결부(54)의 내둘레면은 댐퍼(60)의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54)의 일측에는 댐퍼(60)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출입홀(5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54)는 댐퍼(60)의 외둘레면과 맞닿는 내둘레면에서, 댐퍼(60)의 체결홈(64)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돌기(56)가 형성된다. 삽입돌기(56)는 체결부(54)의 내둘레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체결부(54)에 댐퍼(60)가 삽입될 때, 삽입돌기(56)가 체결홈(64)에 끼워진다. On one side of the
댐퍼(60)는 서포터(100)와 체결부(54) 사이에 배치되어, 드레인펌프(40)에 의한 진동을 완화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60)는 내부에 서포터(100)가 삽입되는 원기둥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The
댐퍼(60)는 둘레면에 체결부(54)의 삽입돌기(56)가 삽입되는 체결홈(64)이 형성된다. 체결홈(64)은 댐퍼(60)의 둘레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고리형상을 가진다. 댐퍼(60)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중심홀(62)이 형성된다. 댐퍼(60)의 중심홀(62)로 서포터(100)가 삽입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00)는 드레인펌프(40)를 브라켓(14)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00)는 댐퍼(60)와 연결되어, 드레인펌프(40)를 브라켓(14)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00)는 댐퍼(60)를 통해 드레인펌프(40)의 체결부(54)와 연결되는 드레인펌프연결부(101)와, 브라켓(14)과 연결되는 브라켓연결부(111)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00)는 댐퍼(60)를 통해 드레인펌프(40)와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는 드레인펌프연결부(101)와, 브라켓(14)과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는 브라켓연결부(111)를 포함한다. The
드레인펌프연결부(101)와 브라켓연결부(11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포터바디(102)를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The drain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00)는 드레인펌프(40) 및 브라켓(14) 각각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후크방식의 결합이란, 댐퍼고정부(106)가 댐퍼(60)의 중심홀(62)을 따라 삽입되고, 댐퍼받침부(104)가 댐퍼(60)의 일측면(60a)에 맞닿아 댐퍼(60)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할 때, 댐퍼고정부(106)의 댐퍼고정부후크(110)가 댐퍼(60)의 타측면(60b)에 맞닿아 댐퍼(60)의 타측방향 이동도 제한하는 방식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크방식의 결합은, 브라켓고정부(114)가 브라켓홀(16)을 따라 삽입되고, 브라켓지지대(112)가 브라켓(14)의 일측면(14a)에 맞닿아 브라켓(14)의 일측방향이동을 제한할 때, 브라켓고정부(114)의 브라켓고정부후크(118)가 브라켓(14)의 타측면(14b)에 맞닿아 브라켓(14)의 타측방향 이동도 제한하는 것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00)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댐퍼(60)의 중심홀(62)에 삽입되는 서포터바디(102), 서포터바디(102)의 상부에 배치되고, 댐퍼(60)의 일측면(60a)과 맞닿는 댐퍼받침부(104), 댐퍼(60)의 일측면(60a)이 댐퍼받침부(104)에 맞닿을 때, 댐퍼(60)의 일측면(60a)의 반대측에 형성된 타측면(60b)을 가압하는 댐퍼고정부(106), 브라켓(14)의 일측면(14a)에 맞닿는 브라켓지지대(112), 및 브라켓지지대(112)가 브라켓(14)의 일측면(14a)과 맞닿을 때, 브라켓(14)의 일측면(14a)과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타측면(14b)을 가압하는 브라켓고정부(114)를 포함한다.The
서포터바디(102)는 대략 원기둥의 형태를 가진다. 서포터바디(102)는 댐퍼(60)의 중심홀(62)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바디(102)의 외둘레면에는 댐퍼(60)에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홈(102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홈(102a)은 서포터바디(102)의 외둘레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서포터바디(102)가 댐퍼(60)의 중심홀(62)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서포터바디(102)는 댐퍼받침부(104)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터바디(102)는 댐퍼받침부(104)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브라켓지지대(112)와 연결될 수 있다. The
댐퍼받침부(104)는 서포터바디(102)의 상부에서 서포터바디(102)의 외둘레면의 반경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댐퍼받침부(104)는, 서포터바디(102)가 댐퍼(60)의 중심홀(62)에 삽입될 때, 댐퍼(60)의 일측면(60a)과 맞닿아 댐퍼(60)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댐퍼받침부(104)는 원판형태를 가지고, 댐퍼(60)의 일측면(60a)과 맞닿는다.The
댐퍼고정부(106)는 댐퍼(60)의 일측면(60a)이 댐퍼받침부(104)에 맞닿을 때, 댐퍼(60)의 일측면(60a)에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타측면(60b)을 가압한다. 댐퍼고정부(106)는 서포터바디(102)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댐퍼고정부바디(108), 댐퍼고정부바디(108)의 하측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고정부(106)는 적어도 2개의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를 포함한다.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는 댐퍼고정부바디(108)의 단부에서 서포터바디(102)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2개의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는 댐퍼고정부바디(108)를 기준으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The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는, 댐퍼고정부바디(108)와 연결되는 댐퍼고정부바디(108)의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댐퍼고정부바디(108)와 이격된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된다.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는, 댐퍼고정부바디(108)와 연결되는 댐퍼고정부바디(108)의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의 두께가 커진다. The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는 외력에 의해 상측단부가 댐퍼고정부바디(108)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다. 서포터(100)가 댐퍼(60)에 삽입될 때에는,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가 댐퍼고정부바디(108)와 가깝게 배치가 변경되어, 서포터(100)의 댐퍼고정부 및 서포터바디(102)가 댐퍼(60)의 중심홀(62)로 삽입될 수 있다. The upper ends of the
반면에, 댐퍼(6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댐퍼고정부후크(110a, 110b)가 댐퍼(60)의 타측면(60b)을 가압하는 형태의 배치가 변경되지 않아, 댐퍼(60)가 서포터(100)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브라켓지지대(112)는 댐퍼받침부(104)의 상측에 배치된다. 브라켓지지대(112)는 댐퍼받침부(104)와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지지대(112)는 서포터바디(102)의 상측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브라켓지지대(112)는 서포터바디(102)의 상부에서 상측방향 및 반경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산형태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지지대(112)의 단부는 브라켓(14)의 일측면(14a)과 맞닿는다. 도 //를 참조하면, 브라켓지지대(112)는 단면이 외측방향 및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지지대(112)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서포터바디(102)의 상부에서 반경의 외측방향 및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브라켓지지대(112)는 내측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브라켓고정부(114)의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의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브라켓고정부(114)는, 브라켓지지대(112)와 브라켓(14)의 일측면(14a)이 맞닿을 때, 브라켓(14)의 일측면(14a)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타측면(14b)을 가압한다. 브라켓고정부(114)는 브라켓지지대(112)의 중심에서 서포터바디(102)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고정부바디(116), 브라켓고정부바디(116)의 상측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고정부(114)는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를 포함한다.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는 브라켓고정부바디(116)의 단부에서 브라켓지지대(112)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 각각은 브라켓고정부바디(116)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The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는, 브라켓고정부바디(116)와 연결되는 브라켓고정부바디(116)의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브라켓고정부바디(116)와 이격된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된다.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는, 브라켓고정부바디(116)와 연결되는 브라켓고정부바디(116)의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의 두께가 커진다. The bracket fixing hooks 118a and 118b are arranged such that the spaced apart from the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는 외력에 의해 하측단부가 브라켓고정부바디(116)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서포터(100)가 브라켓(14)에 삽입될 때에는,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가 브라켓고정부바디(116)와 가깝게 배치가 변경되어, 서포터(100)의 브라켓고정부(114)가 브라켓(14)의 브라켓홀(16)로 삽입될 수 있다. The bracket fixing hooks 118a and 118b may move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반면에, 댐퍼(6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가 브라켓(14)의 타측면(14b)을 가압하는 형태의 배치가 변경되지 않아, 브라켓(14)이 서포터(100)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의 단부에는 브라켓(14)에 형성되는 브라켓홀(16)의 내측면(16a)과 브라켓(14)의 타측면(14b)의 2면에서 맞닿도록 형성되는 단차부(122)를 포함한다. 단차부(122)는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의 하측단부에서 내측의 일부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At the ends of the bracket fixing hooks 118a and 118b, a step is formed to abut on two surfaces of the inner side 16a of the
브라켓고정부(114)가 브라켓(14)에 고정될 때,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의 하측단부(120)는 브라켓(14)의 타측면(14b)과, 브라켓홀(16)의 내측면(16a)에 맞닿아 고정된다. When the
브라켓고정부후크(118a, 118b)의 하측단부 중 단차부(122)가 형성되지 않는 외측의 일부는 브라켓(14)의 타측면(14b)과 맞닿고, 단차부(122)의 외둘레면(122a)은 브라켓홀(16)의 내측면(16a)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Of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bracket fixing hooks 118a and 118b, a portion of the outside wher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실내기
10 : 캐비닛
12 : 드레인팬
14 : 브라켓
16 : 브라켓홀
20 : 프론트패널
23 : 흡입그릴
30 : 송풍팬
40 : 드레인펌프
42 : 펌프하우징
52 : 체결부
54 : 출입홀
56 : 삽입돌기
60 : 댐퍼
62 : 중심홀
64 : 체결홈
100 : 서포터
102 : 서포터바디
104 : 댐퍼받침부
106 : 댐퍼고정부
112 : 브라켓지지대
114 : 브라켓고정부1: Indoor unit 10: Cabinet
12: drain pan 14: bracket
16: Bracket hole 20: Front panel
23: suction grill 30: blower fan
40: drain pump 42: pump housing
52: fastening part 54: entrance hall
56: insertion protrusion 60: damper
62: center hole 64: fastening groove
100: supporter 102: supporter body
104: damper support 106: damper fixing
112: bracket support 114: bracket fixing
Claims (12)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캐비닛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으로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펌프;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펌프가 장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드레인펌프와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 cabinet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bottom;
A front panel covering an opened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cabin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abin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flow air inside the cabinet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A fan motor fixed to the cabinet and rotating the blowing fan;
A heat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exchanging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with a refrigerant;
A drain pan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collect condensate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A drain pump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discharge condensate collected by the drain pan to the outside;
A bracket fixed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equipped with the drain pump; And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upporter fixedly connected to the drain pum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bracke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서포터는 상기 드레인펌프와 상기 브라켓 각각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er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upled to each of the drain pump and the bracket by a hook method.
상기 드레인펌프와 상기 서포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펌프의 진동을 완화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damper disposed between the drain pump and the supporter to dampen the vibration of the drain pump.
상기 서포터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댐퍼의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홀에 삽입되는 서포터바디;
상기 서포터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의 일측면과 맞닿는 댐퍼받침부;
상기 댐퍼의 일측면이 상기 댐퍼받침부와 맞닿을 때, 상기 댐퍼 일측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측면을 가압하는 댐퍼고정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과 맞닿는 브라켓지지대; 및
상기 브라켓지지대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과 맞닿을 때,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과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타측면을 가압하는 브라켓고정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er,
A supporter body having a column shape and inserted into a central hole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damper;
A damper support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er body and contacting one side surface of the damper;
A damper fixing unit that presses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of the damper when one side of the damper contacts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
A bracket support abutting one side of the bracket; And
When the bracket support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racke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bracket fixing unit for pressing the other sid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bracket.
상기 댐퍼받침부와 상기 브라켓지지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The damper support portion and the bracket support are indoor units of the air conditioner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댐퍼고정부는,
상기 서포터바디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댐퍼고정부바디; 및
상기 댐퍼고정부바디의 하측단부에서 밴딩되어,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댐퍼고정부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의 일측면이 상기 댐퍼받침부와 맞닿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댐퍼고정부후크 각각의 단부는 상기 댐퍼의 타측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The damper fixing part,
A damper fixing bod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er body; And
And at least two damper fixing hooks which are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damper fixing body and are inclined upward.
When one side of the damper is in contact with the damper support, each end of each of the at least two damper fixing hooks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damper.
상기 브라켓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지지대의 중심에서 상기 서포터바디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고정부바디;
상기 브라켓고정부바디의 상측단부에서 상기 브라켓지지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이 상기 브라켓지지대와 맞닿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 각각의 단부는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4,
The bracket fixing part,
A bracket fixing body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er body from the center of the bracket support;
And at least two bracket fixing hooks which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bracket support from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fixing body.
When one side of the bracket is in contact with the bracket support, each end of each of the at least two bracket fixing hooks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브라켓지지대는, 상기 서포터바디의 상부에서 상측방향 및 반경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산형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7,
The bracket suppor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umbrella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body in an upward direction and an outer direction of a radius.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라켓고정부후크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고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홀의 내측면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의 2면에서 맞닿도록 형성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8,
At each end of each of the at least two bracket fixing hook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to abut on an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hole formed in the bracket so as to insert the bracket fixing portion and two surfaces of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is formed. Indoor unit.
상기 드레인펌프는,
외형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물이 상기 펌프하우징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펌프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물을 상기 흡입부로 흡입하여 상기 배수부로 보내는 드레인펌프 구동부; 및
상기 펌프 하우징이 브라켓에 장착되도록 상기 댐퍼를 통해 서포터와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ccording to claim 2,
The drain pump,
A pump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A suction unit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pan is sucked into the pump housing;
A drain unit for draining water sucked into the pump housing;
A drain pump driving part that sucks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pan through the suction part and sends it to the drain part; And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astening part connected to a supporter through the damper so that the pump housing is mounted on the bracket.
상기 체결부는 상기 댐퍼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댐퍼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출입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10,
The fastening portion has a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dampe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entrance hole formed to fit a damp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unit.
상기 댐퍼에는 외둘레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댐퍼의 외둘레면과 맞닿는 내둘레면에서 상기 댐퍼의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ethod of claim 10,
The damper is formed with a ring-shaped fastening groove formed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astening unit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a fastening groove of the damper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897A KR102165466B1 (en) | 2018-11-06 | 2018-11-06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897A KR102165466B1 (en) | 2018-11-06 | 2018-11-06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945A true KR20200051945A (en) | 2020-05-14 |
KR102165466B1 KR102165466B1 (en) | 2020-10-14 |
Family
ID=7073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4897A KR102165466B1 (en) | 2018-11-06 | 2018-11-06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546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548A (en) * | 2005-11-21 | 2007-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KR20140079108A (en) * | 2012-12-18 | 2014-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KR20170014447A (en) * | 2015-07-30 | 2017-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oiner |
-
2018
- 2018-11-06 KR KR1020180134897A patent/KR10216546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548A (en) * | 2005-11-21 | 2007-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box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KR20140079108A (en) * | 2012-12-18 | 2014-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KR20170014447A (en) * | 2015-07-30 | 2017-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o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5466B1 (en) | 2020-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09683B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06403016B (en) | Th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396941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oiner | |
JP6134855B2 (en) | Air conditioner | |
KR101195563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 |
KR102165465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165466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203437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070119896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1742878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oiner | |
KR102201289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477942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102334042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22102A (en) | Air conditioner | |
KR20130043431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KR102205166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070078256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180840Y1 (en) | Back panel water intruding producting device of airconditioner indoor unit | |
KR20230081758A (en) | Drain fan for air conditioner | |
KR20090027354A (en) | A caulking structure of drain hose hookup for air conditioner | |
KR20070077642A (en) | Air-conditioner and indoor unit for the same | |
KR100353373B1 (en) | The heater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 |
JPH0749290Y2 (en)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
KR101973205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50057906A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