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50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509A
KR20070053509A KR1020050111364A KR20050111364A KR20070053509A KR 20070053509 A KR20070053509 A KR 20070053509A KR 1020050111364 A KR1020050111364 A KR 1020050111364A KR 20050111364 A KR20050111364 A KR 20050111364A KR 20070053509 A KR20070053509 A KR 2007005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mpartment
auxiliary storage
auxiliary
temperatur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3509A/ko
Publication of KR2007005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주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과 구획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마련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공급하는 송풍팬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와; 상기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을 상기 주저장실 송풍팬과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의 불량시 적절히 대응하여 응급운전을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전방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냉장고 10 : 본체
11 : 주저장실 15 : 보조저장실
21 : 주저장실 증발기 25 : 보조저장실 증발기
31 : 주저장실 송풍기 35 : 보조저장실 송풍기
40 : 온도감지부 70 : 제어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급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 제1996-0034205호에 개시된 종래의 냉장고는 냉각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복수개의 증발기를 사용한다. 즉,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증발기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고내가 냉각될 수 있다. 냉장실에는 냉장실증발기와 냉장실송풍팬이 설치되어 있고, 냉동실에는 냉동실증발기와 냉동실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축기 및 응축기를 경유한 냉매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매는 증발되어 각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한 후 압축기로 유입되는 사이클을 형성한다.
한편, 최근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과 같은 주저장실과 별도로 식품이 보관되는 보조저장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조저장실은 냉동실 및 냉장실보다 저장용적이 적다. 또한, 보조저장실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과 독립적으로 냉각되도록 별도의 증발기 및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보조저장실은 보조저장실 온도센서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냉각되므로 보조저장실 온도센서가 불량이거나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보조저장실의 냉각제어를 제대로 수행하지못해 저장된 식품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의 불량시에 적절히 대응하여 응급운전을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과 구획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마련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공급하는 송풍팬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와; 상기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을 상기 주저장실 송풍팬과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온도 범위는 영하 50도 이하와 영상 65도 이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소정 시간은 대략 10~4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과 구획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마련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공급하는 송풍팬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와; 상기 보조저장실 증발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와; 상기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보조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주저장실 송풍팬이 정지상태인 경우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을 정지시키며, 상기 주저장실 송풍팬이 구동상태인 경우 상기 보조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정 온도 범위는 영하 50도 이하와 영상 65도 이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소정 시간은 대략 10~4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전방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15)이 형성된 본체(10)와, 저장실(11,15)을 개폐하는 도어(5,6)와, 본체(10)의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21,25)와, 증발기(21,25)에 의해 발생된 냉기를 저장실(11,15)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31,35)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온도감지부(40)와,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45)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보조저장실 송풍팬(35)을 주저장실 송풍팬(31)과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저장실(11,15)은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된 주저장실(11)과,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보조저장실(15)을 포함한다. 주저장실(11)은 양측으로 구획되어 냉동실(11a) 및 냉장실(11b)을 형성하며, 보조저장실(15)은 양측으로 구획되어 보조냉동실(15a) 및 보조냉장실(15b)을 형성한다.
도어(5,6)는 주저장실(11)을 개폐하는 주저장실 도어(5)와, 보조저장실(15)을 개폐하는 보조저장실 도어(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주저장실 도어(5) 는 상하방향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본체(10)에 결합되며, 보조저장실 도어(6)는 서랍타입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보조저장실 도어(6) 역시 주저장실 도어(5)처럼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증발기(21,25)는 주저장실(11)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주저장실 증발기(21)와, 보조저장실(15)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보조저장실 증발기(25)를 포함한다. 주저장실 증발기(21)는 냉동실(11a) 및 냉장실(11b)에 대응하여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를 포함하며, 보조저장실 증발기(25)는 보조냉동실(15a) 및 보조냉장실(15b)에 대응하여 보조냉동실 증발기 및 보조냉장실 증발기를 포함한다.
송풍팬(31,35)은 주저장실 증발기(21) 및 보조저장실 증발기(25)에 각각 대응하여 주저장실 송풍팬(31) 및 보조저장실 송풍팬(35)을 포함한다. 주저장실 송풍팬(31)은 각각 냉동실(11a) 및 냉장실(11b)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보조저장실 송풍팬(35)은 각각 보조냉동실(15a) 및 보조냉장실(15b)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각 저장실(11, 15)에 대응하여 독립된 증발기(21, 25)를 구비함으로써 각 증발기(21, 25)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상호 혼합되지 않게 독립적으로 각 저장실(11, 15)로 공급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40)는 각 저장실(11, 15)의 고내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주저장실 온도감지부(41)인 냉동실 온도감지부(41a)와, 냉장실 온도감지부(41b)와,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45)인 보조냉동실 온도감지부(45a)와,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를 포함한다. 또한, 온도감지부(40)는 각 증발기(21, 25) 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는 주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1)인 냉동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1a)와, 냉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1b)와, 보조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5)인 보조냉동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5a)와, 보조냉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5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각 저장실(11, 15)의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운전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전설정부(미도시)는 도어(5, 6)에 하나로 마련되어 각 저장실(11, 15)의 운전모드를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각 저장실의 도어(5, 6)마다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운전설정부(미도시)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설정부는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냉동실(15a)은 일반냉동모드, SOFT FREEZE모드, QUICK FREEZE모드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일반냉동모드는 통상의 냉동실(11a)과 비슷하게 보조냉동실(15a)의 고내온도를 영하 15도이하로 유지하도록 설정되며, SOFT FREEZE모드는 보조냉동실(15a)의 고내온도를 영하 1도와 영하 13도 사이로 유지하도록 설정되며, QUICK FREEZE모드는 보조냉동실(15a) 고내를 급속냉동을 하도록 소정 시간 동안 연속운전을 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QUICK FREEZE 설정시간을 말한다.
보조냉장실(15b)은 COOL모드, SOFT FREEZE모드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COOL모드는 보조냉장실(15b)의 고내온도를 영하 1도와 영상 7도 사이로 유지하도록 설정되며, SOFT FREEZE모드는 보조냉장실(15b)의 고내온도를 0도와 영하 5도 사이로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전술한 각 운전모드의 온도대역은 필요에 따라 재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도이다.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 불량시 보조냉장실(15b)의 구동방법을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설정부(미도시)에서 보조냉장실(15b)의 운전모드를 설정하면, 설정된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가 보조냉장실(15b)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고, 제어부(70)가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S10)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의 불량 여부의 판단 기준은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가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를 불량으로 판단한다. 소정 온도란 대략 영하 50도 이하와 영상 65도 이상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대략 10분~40분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어부(70)의 판단결과 보조냉장실 온도감지부(45b)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보조냉장실(15b)의 설정상태를 판단한다.(S20)
여기서, 보조냉장실(15b)의 설정상태가 COOL모드인 경우, 냉장실(11b)의 송풍팬(31b)의 구동여부를 확인한다.(S30') 확인 결과 냉장실 송풍팬(31b)이 구동상태이면 보조냉장실 송풍팬(35b)을 구동시킨다.(S40')
한편, 보조냉장실(15b)의 설정상태가 SOFT FREEZE모드인 경우, 냉장실 송풍팬(31b)의 구동여부를 확인한다.(S30) 확인 결과 냉장실 송풍팬(31b)이 구동상태이면 보조냉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5b)가 온도를 감지한다.(S40) 보조냉장실 증발기 온도 감지부(55b)의 감지 결과가 보조냉장실 제어 ON온도 이상이면 보조냉장실 송풍팬(35b)을 구동시킨다.(S50) 여기서, 보조냉장실 제상 ON온도는 대략 영하 1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보조냉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5b)가 온도를 감지하여(S60) 보조냉장실 제어 OFF온도 이하이면 보조냉장실 송풍팬(35b)의 구동을 멈춘다.(S70) 여기서, 보조냉장실 제어 OFF온도는 대략 영하 21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보조냉동실 온도감지부(45a) 불량시 보조냉동실(15a)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설정부에서 보조냉동실(15a)의 운전모드를 설정하면, 설정된 보조냉동실 온도감지부(45a)가 보조냉동실(15a)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고, 제어부(70)가 보조냉동실 온도감지부(45a)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S100)
보조냉동실 온도감지부(45a)의 불량 여부의 판단 기준은 보조냉동실 온도감 지부(45a)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가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보조냉동실 온도감지부(45a)를 불량으로 판단한다. 소정 온도란 대략 영하 50도 이하와 영상 65도 이상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대략 10분~40분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어부(70)의 판단결과 보조냉동실 온도감지부(45a)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보조냉동실(15a)의 설정상태를 판단한다.(S200)
여기서, 보조냉동실(15a)의 설정상태가 일반냉동모드인 경우, 냉동실 송풍팬(31a)의 구동여부를 확인한다.(S300') 확인 결과 냉동실 송풍팬(31a)이 구동상태이면 보조냉동실 송풍팬(35a)을 구동시킨다.(S400')
한편, 보조냉동실(15a) 설정상태가 QUICK FREEZE인 경우, 구동하고 있는 보조냉동실 송풍팬(35a)이 설정된 QUICK FREEZE 설정시간 이상 구동되면 보조냉동실 송풍팬(35a)의 구동을 멈춘다.(S300")
한편, 보조냉동실(15a)의 설정상태가 SOFT FREEZE모드인 경우, 냉동실 송풍팬(31a)의 구동여부를 확인한다.(S300) 확인 결과 냉동실 송풍팬(31a)이 구동상태이면 보조냉동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5a)가 온도를 감지한다.(S400) 보조냉동실 증발기 온도 감지부(55a)에서 감지된 결과가 보조냉동실 제어 ON온도 이상이면 보조냉동실 송풍팬(35a)을 구동시킨다.(S500) 여기서, 보조냉동실 제어 ON온도는 대략 영하 1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보조냉동실 증발기 온도감지부(55a)의 온도를 감지하여(S600) 보조냉동실 제어 OFF온도 이하이면 보조냉동실 송풍팬(35a)의 구동을 멈춘다.(S700) 여기 서, 보조냉동실 제어 OFF온도는 대략 영하 19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냉장고는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가 고장나더라도 설정상태에 따라 운전을 하므로 저장식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의 불량시 적절히 대응하여 응급운전을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주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과 구획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마련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공급하는 송풍팬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와;
    상기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을 상기 주저장실 송풍팬과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온도 범위는 영하 50도 이하와 영상 65도 이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소정 시간은 대략 10~4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주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과 구획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마련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주저장실 및 상기 보조저장실에 각각 공급하는 송풍팬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와;
    상기 보조저장실 증발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와;
    상기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보조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실 온도감지부에서 소정 온도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상기 주저장실 송풍팬이 정지상태인 경우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을 정지시키며, 상기 주저장실 송풍팬이 구동상태인 경우 상기 보조저장실 증발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저장실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온도 범위는 영하 50도 이하와 영상 65도 이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소정 시간은 대략 10~4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111364A 2005-11-21 2005-11-21 냉장고 KR20070053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64A KR20070053509A (ko) 2005-11-21 2005-11-2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64A KR20070053509A (ko) 2005-11-21 2005-11-2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09A true KR20070053509A (ko) 2007-05-25

Family

ID=3827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364A KR20070053509A (ko) 2005-11-21 2005-11-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35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4763A (zh) * 2019-12-11 2021-06-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设备控制方法以及制冷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4763A (zh) * 2019-12-11 2021-06-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设备控制方法以及制冷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6095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95554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JP3819878B2 (ja) 冷蔵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039339A1 (en)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4653616B2 (ja) 冷却貯蔵庫
US6729150B2 (en) Method of controlling multi-compartment type kimchi refrigerator
KR20130137271A (ko) 냉장고
JP2007071520A (ja) 冷却貯蔵庫及びその圧縮機の制御方法
KR20180073301A (ko) 멀티 덕트 어셈블리 및 멀티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그리고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1000893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20070053509A (ko) 냉장고
KR101164815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57742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551497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운전 제어방법
KR20070061946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44740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냉장고 냉기 제어방법
KR100529895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321245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150031078A (ko) 김치냉장고
KR100443988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623514B1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각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냉각제어방법
KR100529894B1 (ko) 냉장고
KR100826934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621927B1 (ko) 비타민순환냉장고 및 이를 구현하는 비타민순환제어방법
KR100557435B1 (ko) 냉장고와 그 온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