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977A -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 Google Patents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977A
KR20070052977A KR1020050110833A KR20050110833A KR20070052977A KR 20070052977 A KR20070052977 A KR 20070052977A KR 1020050110833 A KR1020050110833 A KR 1020050110833A KR 20050110833 A KR20050110833 A KR 20050110833A KR 20070052977 A KR20070052977 A KR 2007005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s
soil
cover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766B1 (ko
Inventor
이남용
Original Assignee
이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용 filed Critical 이남용
Priority to KR102005011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766B1/ko
Priority to PCT/KR2006/002514 priority patent/WO2007058423A1/en
Publication of KR2007005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01G2009/1446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01G2009/1453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containing textil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통풍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한 길이만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 본체의 면상에 고추, 마늘, 양파, 배추, 무, 상추, 양파, 담배 등 각종 농작물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미리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작지 토양을 덮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경작지 토양과 외부와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토양의 수분증발과 농작물의 냉해를 방지하는 한편, 병충해를 방지하고 여러 차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는 통기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한 길이만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 본체의 면상에 고추, 마늘, 배추, 무, 상추, 담배, 생강 등 농작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이 미리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토양덮개, 멀칭, 관통공, 절개부

Description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MULCH FOR CULTIVATING CROP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원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삼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 대신에 다수의 절개선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 대신에 절개선이 "E"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관통공이 원형으로 형성된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관통공이 삼각형으로 형성된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관통공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관통공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관통공 대신에 절개선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관통공 대신에 절개선이 "E"형상으로 형성된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고추를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양파를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무를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를 이용하여 배추를 재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경작지 토양(이랑) 14 : 덮개 본체
16 : 농작물 18 : 관통공
20 : 절개부 22 : 절개선
24 : 고정핀.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풍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한 길이만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 본체의 면상에 고추, 마늘, 양파, 배추, 무, 상추, 담배, 생강 등 각종 농작물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작지 토양을 덮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경작지 토양과 외부와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토양의 수분증발과 농작물의 냉해를 방지하는 한편, 병충해를 방지하고 여러 차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농작물이 심어지는 경작지 토양(이랑)의 수분을 유지하고, 강우시 빗물에 의한 토양유실을 방지하며, 잡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경작지 토양을 피복재로 멀칭(Mulching)하였다.
이와 같이 경작지 토양을 피복재로 덮어준 상태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멀칭재배방식은 건조지 또는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에서 경작지 토양의 수분증발을 방지하여 토양내의 수분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매우 크고 잡초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비교적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경작지 토양의 멀칭에 이용되는 피복재로서 투명 또는 검정색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 필름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이 합성수지 필름을 토양덮개로 사용하는 경우에 수분차단성이 매우 우수하여 경작지 토양의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교과는 탁월하지만 통풍성 전혀 없기 때문에 경작지 토양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함에 따라 지렁이나 굼벵이 등이 서식하지 못하여 유기농법에 적용하는데 커다란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종래 합성수지재 토양덮개의 경우 흡수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강우시 빗물이 경작지 토양내로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에 건조지나 강우량이 적은 지지역의 경우 농작물의 생육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액비를 분사방식으로 살포하는 경우 토양이나 농작물의 뿌리쪽으로 제대로 스며들지 못하여 농작물의 생육이 균일하지 못하고 커다란 편차를 나타내어 단위면적당 소출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 합성수지재 토양덮개의 경우 보온성이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이상 기후로 인하여 갑자기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농작물의 뿌리나 줄기 밑둥이 냉해를 입기 쉬우며, 내구성이 매우 약하여 한번 사용한 후에는 걷어낸 후 폐기해야 하는데 재질이 썩지 않는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토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재 토양덮개의 경우 농작물을 심기 위한 관통공이 미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작지 토양을 덮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히 관통공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관통공 사이의 간격 또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농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 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풍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한 길이만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 본체의 면상에 고추, 마늘, 양파, 배추, 무, 상추, 담배, 생강 등 각종 농작물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작지 토양을 덮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경작지 토양과 외부와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토양의 수분증발과 농작물의 냉해를 방지하는 한편, 병충해를 방지하고 여러 차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는 통풍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한 길이만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 본체의 면상에 고추, 마늘, 배추, 상추, 무, 양파, 담배, 생강 등 각종 농작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이 미리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 본체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카시미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은 원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절개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 대신에 다수의 절개선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放射)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 대신에 절개선이 "E"형상으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원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삼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 대신에 다수의 절개선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에서 관통공 대신에 절개선이 "E"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10)는 경작지 토양, 즉 이랑에 덮여지는 경우에 덮여진 경작지 토양으로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가뭄시 경작지 토양으로부터 외부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심한 강우(降雨)시 경작지 토양이 빗물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농작물의 뿌리는 물론, 줄기의 아랫부분을 감싸주어 보온하기 때문에 냉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경작지 토양위에 덮여진 상태에서 미리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농작물을 보다 쉽게 옮겨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10)는 농작물이 옮겨져 심어지는 이랑, 즉 경작지 토양(12)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길이와 너비를 가지며,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한 길이 만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 본체(14)와, 농작물(16)을 간편하게 옮겨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 본체(14)의 면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미리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18)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 본체(14)는 통풍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통풍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는 함성섬유재 부직포나 천연섬유재의 부직포 또는 카시미론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1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각 관통공(18)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절개부(2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 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관통공(18)의 형상과 크기는 옮겨심고자 하는 농작물(16)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데, 배추나 무우, 상추, 담배 등과 같이 잎사귀의 폭이 넓고 잎사귀의 퍼짐각도가 큰 농작물의 경우에는 관통공(18)의 크기가 넓은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마늘이나 양파 또는 고추 같이 잎사귀의 폭이 좁고, 잎사귀의 퍼짐각도가 작으며, 줄기가 곧게 자라면서 올라가는 농작물의 경우에는 관통공(18)의 크기가 작은 것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관통공(18)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개부(20)는 관통공(18)을 통하여 심어진 농작물(16)이 자라면서 잎사귀가 커지고 줄기가 굵어지는 경우에 관통공(18)의 가장자리가 윗쪽으로 젖혀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18)이 원형인 경우에는 다수의 절개부(2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관통공(18)이 삼각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절개부(20)는 꼭지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정 길이 만큼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18)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개선(22)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放射)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22)이 "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10)에서 경작지 토양(12)에 덮여진 덮개 본체(14)의 가장자리는 별도로 마련되는 고정핀(24)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흙을 덮어 주는 방식으로 들뜨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밭이나 수확이 끝난 논 등에 준비된 이랑, 즉 경작지 토양(12)위에 본 발명을 구성하는 덮개 본체(14)를 좌우 가장자리가 충분히 여유있도록 덮어주고, 그 가장자리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핀(24)을 박아 해당 덮개 본체(14)가 들뜨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덮개 본체(14)를 경작지 토양(12)위에 덮은 상태에서 덮개 본체(14)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공(18)을 통하여 별도의 육묘장에서 포트에 심어 생육시킨 고추, 마늘, 양파, 무, 배추, 상추, 담배, 생강 등 각종 농작물(16)의 어린모를 옮겨 심는다.
상기와 같이 옮겨 심어진 농작물(16)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라나는 경우에 줄기는 관통공(18)을 통하여 상방향으로 비교적 곧게 뻗으면서 자라나고, 줄기의 외측 둘레면에서 생성되는 잎사귀는 관통공(18)의 가장자리가 절개부(20)의 작용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젖혀짐에 따라 생육에 지장을 받지 않고 자라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10)를 적용하는 경우에 배추, 무, 상추, 담배 등과 같이 잎사귀의 폭이 넓고 잎사귀의 퍼짐각도가 큰 농작물의 경우에는 관통공(18)의 크기가 넓은 것을 적용한다.
반면에 마늘, 양파, 고추 같이 잎사귀의 폭이 좁고, 잎사귀의 퍼짐각도가 작으며, 줄기가 곧게 자라 올라가는 농작물(16)의 경우에는 관통공(18)의 크기가 작 은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 본체(14)의 면상에 관통공(18) 대신 방사상 또는 "E"형 절개선(22)이 형성된 경우에는 감자나 생강 같이 뿌리를 심어 싹이 트는 종류의 농작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농작물(16)이 성장함에 따라 그 줄기가 상기 절개선(22) 사이의 가장자리를 밀어 올리게 되고, 밀어 올려지는 부분은 절개선(22)의 작용에 의하여 윗쪽으로 젖혀지기 때문에 농작물의 생육과 성장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10)를 사용하면, 덮개 본체(14)가 함성섬유 또는 천연섬유재의 부직포나 카시미론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통풍성이 우수하여 경작지 토양(12) 내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농작물의 균일성이 유지되고 경작지 토양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지 않는 것은 물론, 낮에 상승된 수증기가 야간에 기온이 내려감에 따라 덮개 본체(14)의 저면에서 이슬로 변하면서 다시 경작지 토양으로 떨어지고, 강우시의 빗물 또한 흡수되기 때문에 수분부족에 의한 농작물의 성장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심한 강우시 빗물에 의하여 경작지 토양(12)이 유실되지 않게 되며, 경작지 토양(12)으로부터 올라오는 탄저균과 각종 바이러스균이 덮개 본체(14)에 의하여 차단되고, 경작지 토양(12)에 개미가 서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진딧물이 발생되지 않아 농작물의 병충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외부의 공기가 경작지 토양(12)내로 유입됨에 따라 토양내에서 지렁이, 굼벵이 등이 서식할 수 있게 되고, 흡수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액비를 분사방식으로 살포할 때 전량 농작물과 경작지 토양에 흡수되며, 그 결과 농작물이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어 단위 면적당 소출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10)는 보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농작물(16)의 뿌리와 줄기 밑부분에 대한 냉해를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한번 사용한 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농작물(16)을 심기 위한 관통공(18)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종래의 합성수지 필름형태의 멀칭재와 같이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나 준비과정이 필요 없어 작업시간을 줄이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통풍성이 우수하여 경작지 토양내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농작물의 균일성이 유지되고 경작지 토양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지 않는 것은 물론, 낮에 상승된 수증기가 야간에 기온이 내려감에 따라 덮개 본체의 저면에서 이슬로 변하면서 다시 경작지 토양으로 떨어지고, 강우시의 빗물 또한 흡수되기 때문에 경작지 토양의 수분유지능력이 탁월하다.
또, 비가 세차게 내리더라도 경작지 토양이 유실되지 않으며, 경작지 토양)으로부터 올라오는 탄저균과 각종 바이러스균이 차단되고, 진딧물이 발생되지 않아 농작물의 병충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외부의 공기가 경작지 토양내로 유입됨에 따라 토양내에서 지렁이가 서식할 수 있게 되고, 흡수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액비를 분사방식으로 살포할 때 전량 농작물과 경작지 토양에 흡수 되며, 그 결과 농작물이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어 단위 면적당 소출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구성하는 덮개 본체의 보온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농작물의 뿌리와 줄기 밑부분에 대한 냉해를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여러 차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관통공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종래의 합성수지 필름형태의 멀칭재와 같이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나 준비과정이 필요 없어 작업시간을 줄이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통풍성, 흡수성, 보온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한 길이만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 본체의 면상에 고추, 마늘, 배추, 무, 양파, 상추, 담배, 생강 등의 농작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이 미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본체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카시미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원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절개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대신에 다수의 절개선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放射)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대신에 절개선이 "E"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KR1020050110833A 2005-11-18 2005-11-18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KR10073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33A KR100737766B1 (ko) 2005-11-18 2005-11-18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PCT/KR2006/002514 WO2007058423A1 (en) 2005-11-18 2006-06-28 Mulch for cultivating cro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33A KR100737766B1 (ko) 2005-11-18 2005-11-18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701U Division KR200408127Y1 (ko) 2005-11-18 2005-11-18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977A true KR20070052977A (ko) 2007-05-23
KR100737766B1 KR100737766B1 (ko) 2007-07-12

Family

ID=3827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833A KR100737766B1 (ko) 2005-11-18 2005-11-18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7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0716A (zh) * 2013-07-23 2013-12-11 中国烟草总公司福建省公司 一种促进清香型烟株生长发育的移栽方法
KR20210000352U (ko) * 2019-08-06 2021-02-17 전명식 인삼재배용 멀칭부재
CN114467580A (zh) * 2022-01-12 2022-05-13 山东潍坊烟草有限公司 烟叶防虫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8340A (zh) * 2016-03-30 2016-06-08 福建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茶树害虫防治装置和防治方法
CN107926568B (zh) * 2017-12-08 2020-05-12 吕诗林 生姜种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2825B2 (ja) * 1992-03-04 1998-06-04 東レ株式会社 植物保育シートおよび植物の栽培方法
JP2860628B2 (ja) * 1994-06-27 1999-02-24 柳八 丸本 芋類の栽培方法及びマルチフィルム
JPH08336335A (ja) * 1995-06-12 1996-12-24 Kaneko Fujimoto マルチ栽培用シート
JP2886486B2 (ja) * 1995-07-17 1999-04-26 北陽製紙株式会社 農業用有孔マルチング紙
JPH1094336A (ja) * 1996-09-24 1998-04-14 Koichi Sawada 土壌被覆シート
US6205705B1 (en) * 1999-07-01 2001-03-27 Henroy S. Moodie Plant protective cover system
KR200217222Y1 (ko) * 2000-09-18 2001-03-15 이종호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200272836Y1 (ko) * 2001-08-25 2002-04-20 정규록 농업용 통기성 부직포반사필름
KR200362835Y1 (ko) * 2004-06-24 2004-09-23 강희수 딸기 재배용 멀칭 필름
KR200391270Y1 (ko) * 2005-05-11 2005-08-01 심재문 브이자형 식재구멍이 형성된 멀칭용 부직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0716A (zh) * 2013-07-23 2013-12-11 中国烟草总公司福建省公司 一种促进清香型烟株生长发育的移栽方法
KR20210000352U (ko) * 2019-08-06 2021-02-17 전명식 인삼재배용 멀칭부재
CN114467580A (zh) * 2022-01-12 2022-05-13 山东潍坊烟草有限公司 烟叶防虫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766B1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5319A (en) Horticultural sheet mulch
Lamont et al. Production system for horticultural crops grown in the Penn State high tunnel
KR100737766B1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KR200408127Y1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Bonanno Weed management in plasticulture
WO2007058423A1 (en) Mulch for cultivating crops
CA2370571A1 (en) Weed barrier tile
Biswas et al. A practical guide for successful orchid cultivation
KR20120006860U (ko) 방초 관수용 필름
US20210176923A1 (en) Organic Hemp Weed Barrier
KR20080104897A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 덮개
Sopha et al. Shallot Cultural Practices in Indonesia
JPH1094336A (ja) 土壌被覆シート
Opoku-Ameyaw et al. Development of weed management strategies for cashew cultivation in Ghana
Karim et al. Farmers coping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in sustainable Arabica coffee production
Ramesh More efficient use of agricultural inputs as part of adoption of preparedness strategies: multiple cropping
Langellotto et al. f-em9027watering. pdf
Beddes et al. Suppression and Control of Field Bindweed-(Perennial Morning Glory) in Residential Areas
CN117598162A (zh) 一种利用乡土草本植物替代控制热带珊瑚岛礁有害植物的方法
Polomski et al. Controlling Weeds by Cultivating and Mulching
JP2005034087A (ja) 野菜、果物等の基部土被覆板
Derr et al. Weed control in the vegetable garden
Garden Vegetable gardening
KR20080104900A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 덮개
Bouquet Boys' and girls' industrial clubs: cultivating and caring for the gar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