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967A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967A
KR20070052967A KR1020050110811A KR20050110811A KR20070052967A KR 20070052967 A KR20070052967 A KR 20070052967A KR 1020050110811 A KR1020050110811 A KR 1020050110811A KR 20050110811 A KR20050110811 A KR 20050110811A KR 20070052967 A KR20070052967 A KR 2007005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module
lens assembly
camera len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388B1 (ko
Inventor
쯔모리 마사히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하우징 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모듈; 상기 셔터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레일; 및 상기 셔터 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셔터 모듈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속 레일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속편을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는 셔터 모듈의 구동수단에 전원과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접속 구조로 접속 레일과, 접속편으로 구성되면서, 접속편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접속 레일과의 접촉 상태를 일정한 힘으로 유지하여 셔터 모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고, 셔터 모듈의 이동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의 화상 입력 경로 간섭이 없으므로 촬영 화상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셔터, 접속 레일, 접속편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SHUTTER DEVICE FOR CAMERA LENS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모듈이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몸체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 구조를 갖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화상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가공이나 기록, 재생 등의 신호 처리를 모두 전기적으로 수행하는 기기로서, 은염 필름 카메라와 같이 현상을 위한 암실 작업이나 화학적 처리가 불필요하고 촬영한 화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기록된 화상 정보가 전자화되어 있어 컴퓨터에서의 후처리나 원격 전송이 가능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대의 화상 기기의 하나로 기대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그 활용 영역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자체의 성능에 준하는 성능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문가용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디지털 카메라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분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소형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도 그 성능 향상을 위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즉, 렌즈 모듈을 카메라 소자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초점 거리(focul length)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소자에 결상되는 화상을 광학적으로 확대 / 축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카메라 소자와 렌즈 모듈 사이에는 셔터 모듈이 장착되며, 셔터 모듈에 설치되는 셔터 블레이드가 입사되는 화상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모듈도 렌즈 모듈의 줌 인 / 줌 아웃 동작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카메라 소자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셔터 모듈 내에 설치되어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 신호를 제공하 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내부에 배선된다.
그러나, 셔터 모듈의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는 셔터 모듈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일부분이 굴곡을 이루면서 셔터 모듈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이때, 굴곡을 이루는 가요성 인쇄회로는 입사되는 화상의 경로와 간섭을 일으켜 촬영되는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촬영 자체를 불가능하게 할 위험이 있다. 또한, 그 자체 형상으로 인하여 가요성 인쇄회로가 가지게 되는 복원력은 이동 위치에 따라 셔터 모듈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가 다르기 때문에 셔터 모듈의 위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 모듈의 구동수단에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촬영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 인쇄회로의 복원력이 셔터 모듈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셔터 모듈의 위치 제어가 용이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하우징 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모듈;
상기 셔터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레일; 및
상기 셔터 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셔터 모듈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속 레일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속편을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셔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셔터 모듈(102)이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그 하우징(100a)의 내부에 장착되는 카메라 소자(101)와 렌즈 모듈(103)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소자(101)와 렌즈 모듈(103) 사이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모듈(102)을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렌즈 모듈(103)과 셔터 모듈(102)의 직선 이동 구조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간결하게 도시되어 있음에 유 의한다.
상기 카메라 소자(101)는 피사체의 화상을 입사 받아 그 색상 및 밝기 등 영상정보를 디지털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광전 변환 소자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이 있다. CCD 센서는 성능면에서 CMOS 센서보다 우수한 편이고, CMOS 센서는 CCD 센서에 비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COMS 센서의 성능이 향상되어 CCD 센서보다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더 많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렌즈 모듈(103)은 렌즈 하우징(131)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렌즈(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소자(101)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 모듈(103)이 상기 카메라 소자(101)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소자(101)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화상이 광학적으로 확대 / 축소된다.
상기 셔터 모듈(102)은 상기 렌즈 모듈(103)과 카메라 소자(101) 사이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소자(101)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화상이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123)과, 상기 몸체(121)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123)을 개폐시키는 셔터 블레이드(125)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 모듈(103)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하우징(100a) 내에서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셔터 모듈(102)은 상기 렌즈 모듈(103)과 카메라 소자(101) 사이에서 직선이동 하면서 상기 카메라 소자(101)로 피사체의 화상이 원 활하게 입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렌즈 모듈(103)과 셔터 모듈(102)의 원활한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에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축(141)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세 개의 가이드 축(141)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축(141)들 중 하나는 상기 렌즈 모듈(103)의 렌즈 하우징(131)과, 상기 셔터 모듈(102)의 몸체(121)를 동시에 관통하게 설치되고, 다른 두 가이드 축(141)들은 상기 렌즈 하우징(131)과 몸체(121)를 각각 관통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축(141)들은 각각 상기 카메라 소자(101)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렌즈 하우징(131) 및 몸체(121)에 각각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103)과 셔터 모듈(102)이 상기 카메라 소자(101)의 광축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평상시, 상기 셔터 블레이드(125)는 상기 관통홀(123)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피사체 촬영시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카메라 소자(101)에 결상될 수 있는 시간만큼 관통홀(123)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카메라의 구성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셔터 모듈(102)은 구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셔터 블레이드(125)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 소자(101)에 결상될 수 있는 시간만큼 상기 관통홀(123)을 개방시킨 후, 다시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으로는 솔레노이드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과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셔터 블레이드(12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과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그 하우징(100a)의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레일(151)과, 상기 셔터 모듈(102)에 장착된 접속편(127; 도 3에 도시됨)을 구비한다.
상기 접속 레일(151)은 가요성 인쇄회로(105) 상의 회로 패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105)가 그 일면의 코팅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a)의 내벽에 부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접속 레일(151)은 상기 카메라 소자(101)의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셔터 모듈(102)의 몸체(121) 일면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105),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레일(151)와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두 쌍의 접속 레일(151)들을 구비한다. 상기 접속 레일(151)들 중 한 쌍은 상기 셔터 모듈(102)의 구동수단에 제공되는 전원 인가용으로, 다른 한 쌍은 상기 셔터 모듈(102)의 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전기신호 인가용으로 활용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접속편(157)은 상기 셔터 모듈(102)의 몸체(121)로부터 상기 하우징(100a)의 내벽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그의 일면이 상기 접속 레일(151)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105)와 상기 셔터 모듈(102)이 상기 하우징(100a)에 조립되면, 상기 접속편(127)은 그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접속 레일(15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접속편(127)과 접속 레일(127)이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편(127)은 절곡 연장되어 그 일면이 상기 접속 레일(151)에 대면하며, 동시에 상기 접속 레일(151)에 대면하는 상기 접속편(127)의 일면이 상기 접 속 레일(151)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즉, 상기 접속편(127)은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접속 레일(15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편(127)이 상기 접속 레일(15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힘은 상기 셔터 모듈(102)의 이동 위치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셔터 모듈(102)의 위치를 제어하기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는 셔터 모듈의 구동수단에 전원과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접속 구조로 접속 레일과, 셔터 모듈의 몸체에 제공된 접속편을 제공하고, 접속편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하우징 내벽에 형성된 접속 레일과의 접촉 상태를 일정한 힘으로 유지함으로써, 셔터 모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요성 인쇄회로를 이용한 접속 구조의 경우 가요성 인쇄회로가 피사체 화상이 진행하는 경로에 간섭되어 촬영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제거하고 접속 레일과 접속편을 이용한 접속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셔터 모듈의 이동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의 화상 입력 경로와의 간섭이 없으므로 안정된 촬영 화상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하우징 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모듈;
    상기 셔터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레일; 및
    상기 셔터 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셔터 모듈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속 레일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속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화상이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 및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셔터 블레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모듈은,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접속 레일과 접속편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그의 일면이 상기 접속 레일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접속 레일과 대면하는 부분이 상기 접속 레일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축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레일은,
    상기 셔터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도포되는 인쇄회 로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모듈은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를 관통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카메라 소자와, 상기 카메라 소자의 광축 상에 정렬된 렌즈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셔터 모듈은 상기 카메라 소자와 렌즈 모듈 사이에서 상기 카메라 소자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소자의 광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렌즈 모듈 및 셔터 모듈은 상기 가이드 축의 안내를 받아 상기 카메라 소자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모듈.
KR1020050110811A 2005-11-18 2005-11-18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KR10073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11A KR100735388B1 (ko) 2005-11-18 2005-11-18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11A KR100735388B1 (ko) 2005-11-18 2005-11-18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967A true KR20070052967A (ko) 2007-05-23
KR100735388B1 KR100735388B1 (ko) 2007-07-04

Family

ID=3827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811A KR100735388B1 (ko) 2005-11-18 2005-11-18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465B1 (ko) * 2007-09-28 2009-08-14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카메라용 셔터모듈과 이를 구비한 소형 카메라 모듈
KR101469990B1 (ko) * 2008-06-02 2014-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532B1 (ko) * 1988-09-30 1991-11-21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렌즈 셔터장치
KR930010600A (ko) * 1991-11-27 1993-06-22 이헌조 카메라의 셔터
JPH1124125A (ja) 1997-06-30 1999-01-29 Canon Inc 光学機器
JP2002296479A (ja) * 2001-03-29 2002-10-09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の鏡胴内電気接続構造
KR20050043513A (ko) * 2003-11-06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링성이 우수한 플러그 튜브 가스켓 조성물
KR100565801B1 (ko) 2004-01-20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셔터 구동용 스테핑모터 및 렌즈셔터 구동장치 및이를 가지는 렌즈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465B1 (ko) * 2007-09-28 2009-08-14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카메라용 셔터모듈과 이를 구비한 소형 카메라 모듈
KR101469990B1 (ko) * 2008-06-02 2014-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388B1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58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770866B1 (ko)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US7604421B2 (en) Imaging device module
KR101643771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6646816B2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e method for photographic optical system
KR101853346B1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KR100736486B1 (ko) 소형 카메라의 조리개 셔터 장치
JP2006337987A (ja) カメラレンズアセンブリの手振れ補正装置
JP492108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固定装置
KR100713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EP2034719A2 (en) Camera lens module
KR100678268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EP1715378A1 (en) Small form factor camera module with mechanical iris and shutter
KR100389625B1 (ko) 포커스 구동모터를 이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마이크로모드구현장치
JP2008077072A (ja) 撮像素子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0735388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US20100086291A1 (en) Camera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70095015A (ko) 카메라장치 및 통신기기
JP200510219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0640097B1 (ko) 영상 촬영 장치
KR20090063398A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이의 초기상태 초점거리 조절방법
KR100774560B1 (ko) 소형 줌 카메라장치
KR100526652B1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KR100693500B1 (ko) 슬라이드를 이용한 줌 레벨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5156B1 (ko)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