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540A -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540A
KR20070052540A KR1020050110284A KR20050110284A KR20070052540A KR 20070052540 A KR20070052540 A KR 20070052540A KR 1020050110284 A KR1020050110284 A KR 1020050110284A KR 20050110284 A KR20050110284 A KR 20050110284A KR 20070052540 A KR20070052540 A KR 20070052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etwork
service
telematics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719B1 (ko
Inventor
홍상기
이준욱
최완식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7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차량 서비스(차량 제어/진단 서비스,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서비스)의 시험(검증)을 위해, 각종 차량 네트워크와 연동할 수 있는 다중 통신 모듈과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치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시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및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변경에 따른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차량 서비스 시험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한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차량 내 각 장치의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프로파일; 상기 장치 프로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험대상 차량의 종류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수단; 상기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수단에 의해 분석 처리된 메시지에 따른 가시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가시화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에 이용됨.
텔레매틱스 단말기, 차량 서비스, 차량 네트워크, 장치 프로파일, 가상 차량 시스템

Description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Virtual vehicle system and testing method for vehicle related service on telematics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시험 시스템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텔레매틱스 단말기 20 : 차량 네트워크
30 : 가상 차량 시스템 31 :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모듈
32 : 차량 내부 장치 프로파일 33 : 멀티미디어 장치 프로파일
34 :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모듈
35 :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기
36 : 멀티미디어 장치 가시화 모듈
37 : 차량 내부 장치 가시화 모듈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차량 서비스(차량 제어/진단 서비스,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서비스)의 시험(검증)을 위해, 각종 차량 네트워크와 연동할 수 있는 다중 통신 모듈과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치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시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및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변경에 따른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차량 서비스 시험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차량 서비스는 차량 제어 및 진단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서비스를 포함한다.
텔레매틱스는 통신, 정보, 자동차 기술 등이 접목된 복합 기술로서 이동통신망, 방송망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 진단 및 제어, 멀티미디어 서비스(예 : 인터넷),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다양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중에서, 차량 진단 및 제어와 각종 멀티미디어 장 치, 예를 들면 카 오디오, DVD 플레이어, 앰프 등을 제어하는 서비스(이하, 상기 두 가지를 차량 서비스라고 통칭함)는 CAN, LIN, MOST 등과 같은 차량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관련된 기술로서 국제적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량 서비스 개발 후의 시험(검증) 과정이 필수라 할 수 있는데, 먼저 텔레매틱스에서 제공하는 차량 서비스와 관련된 종래의 유사 기술을 차례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자가진단 시스템(공개번호 10-2004-0011228, 2004.02.05 공개)"에 대하여 살펴보면, 차량 내부에 설치된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통해 전자제어유닛(ECU)이 출력하는 자가진단 정보를 요청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시간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차량을 자체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기존에는 차량 정비소에 구비된 테스트 기를 통해서만 전자제어유닛(ECU)이 진단대상 장치로부터 입수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었으나, 전자제어유닛(ECU)과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자가진단 데이터를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차량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제1 종래기술의 경우 차량 내 각종 장치에 대한 자가진단을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제공하는 타 서비스(예 :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서비스)에 대해서는 자가진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개발 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서비스 시험(검증) 방안 역시 결여되어 있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제2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차량진단 모듈을 내장한 텔레매틱스 시스템(공개번호 10-2005-0082302, 2005.08.23 공개)"에 대하여 살펴보면, 기존에 차량 네트워크(CAN 등)로 연결되어 있던 차량진단 모듈과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통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현함으로써,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었던 노즐을 제거해 배선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제2 종래기술의 경우 별도의 모듈들을 통합하여 차량 내 배선설계를 수월하게 하나, 차량 진단 등을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및 텔레매틱스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술에 대해서는 기술적 진보를 보이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제3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의 후진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공개번호 10-2005-0079064, 2005.08.09 공개)"에 대하여 살펴보면,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 제어유닛과 후방경고시스템을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연결 구성하여 차량 후진시 차량과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근접거리 범위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차량 후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후방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제3 종래기술 역시 후방 충돌 방지를 위한 제어를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구현하는 방식으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기능 범위를 확대할 뿐, 텔레매 틱스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차량 진단 및 제어 등)의 시험(검증)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차량 서비스의 개발 후에 수행되는 서비스 시험(검증)에 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개발된 각종 차량 서비스를 시험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된 차량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그런데, 차량 시스템이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어 있음으로 말미암아 차량 종류 및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의 변경에 따른 유연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험 대상 차량의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되거나 차량 네트워크의 종류가 변경되면, 하드웨어적인 차량 시스템을 추가 제작 혹은 수정하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전체 서비스 개발 비용 및 개발 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차량 서비스(차량 제어/진단 서비스,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서비스)의 시험(검증)을 위해, 각종 차량 네트워크와 연동할 수 있는 다중 통신 모듈과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치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시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및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변경에 따른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차량 서비스 시험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차종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각 차종별 장치 프로파일과, 다양한 종류의 차량 네트워크(CAN, LIN, MOST 등)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기존의 하드웨어적인 시험 환경(실제 차량)을 탈피한 소프트웨어적 시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서비스 시험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한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차량 내 각 장치의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프로파일; 상기 장치 프로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험대상 차량의 종류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수단; 상기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을 통해 수 신되는 메시지를 분석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수단에 의해 분석 처리된 메시지에 따른 가시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가시화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차량 내 각 장치의 환경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 프로파일 저장 단계; 시험대상 차량의 종류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구성 단계; 외부의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단계;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 처리하는 메시지 해석 단계; 및 상기 분석 처리된 메시지에 따른 가시화 동작을 수행하는 가시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서비스(차량 진단 및 제어 서비스,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시스템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즉 물리적인 실제 차량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간편하게 구성되는 다양한 시험 환경 하에서 각종 차량 서비스가 시간ㆍ비용 효 율적으로 검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 네트워크(CAN, LIN, MOST 등)와 연동하기 위하여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차종별로 달리 설정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장치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장치 프로파일은 차량의 내부 장치(예 : 에어컨)에 대한 프로파일과 멀티미디어 장치(예 : 카 오디오)에 대한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시험 시스템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시험 시스템은,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1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와 가상 차량 시스템(30)을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20), 및 실제 차량과 동일한 환경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이때, 텔레매틱스 단말기(10)는 차량 서비스, 즉 차량 진단 및 제어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여기서, 차량 서비스의 제어 대상 장치는 에어컨, 히터, 실내등, 제동장치, 변속기, 창문과 같은 차량 내부 장치와 카 오디오, DVD 플레이어, 앰프, CDP 등과 같은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LCD) 및 기타 장치(GPS, 이동통신 모듈 등), 차량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차량 네트워크(2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와 가상 차량 시스템(30) 을 연결하는 물리적인 통신 계층으로 CAN, LIN, MOS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차량 시스템(30)은 실제 물리적인 차량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상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즉, 하드웨어적인 시험 환경을 탈피하여 각종 차량 종류 및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하에서 차량 서비스에 대한 시험(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서비스 시험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0)의 응용 프로그램이 차량 네트워크(20)를 통해 가상 차량 시스템(30)과 연계되어 수행된다. 이하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차량 시스템(30)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은, 다양한 차량 네트워크와의 연동 및 네트워크 적응을 위한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모듈(31), 차량 종류(차종)에 따른 각 차량 내부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치의 환경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차량 내부 장치/멀티미디어 장치 프로파일(32, 33), 각각의 프로파일을 읽어와 그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모듈(34), 텔레매틱스 단말기(10)로부터 차량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 처리(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기(35),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기(35)에 의해 분석 처리된 메시지에 따라 차량 내부 장치,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서비스를 각각 가시화하고, 텔레매틱스 단말기(10)로 각종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차량 내부 장치 가시화 모듈(37) 및 멀티미디어 장치 가시화 모듈(36)을 포함한다.
이때, 다중 차량 네트워크 모듈(31)은 다중 통신 모듈로서 CAN, LIN, MOST 등과 같은 각종 차량 네트워크(32)와 연동한다. 그리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량 네트워크(20)를 통해 동일한 차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 내부 장치 가시화 모듈(37) 및 멀티미디어 장치 가시화 모듈(36)은 예를 들어 차량 내의 에어백이 터지는 가시화 동작이 수행되었을 경우 해당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텔레매틱스 단말기(10)로 전송하여(즉,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가 그에 따른 후속 조치, 여기서는 긴급구난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가상 차량 시스템(30)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현재, 차량 내부 장치 프로파일(32) 및 멀티미디어 장치 프로파일(33)에는 차량 종류(차종)에 따른 차량 내부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치의 환경정보가 각각 저장된 상태이다(301).
먼저,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모듈(34)이 시험대상 차량의 종류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한다(302). 즉, 해당되는 차량 내부 장치 프로파일 및 멀티미디어 장치 프로파일을 차량 내부 장치 프로파일(32)과 멀티미디어 장치 프로파일(33) 로부터 각각 읽어와 네트워크 환경설정을 수행한다.
상기 환경설정 완료 후,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모듈(31)이 차량 네트워크(20)를 통해 임의의 차량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한다(303). 즉, 사용자의 차량 서비스 실시 요청에 따라 텔레매틱스 단말기(10)에서 생성하여 전송한 메시지를 차량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한다.
이후,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기(35)가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 처리한다(304). 즉, 상기 수신 메시지를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차량 서비스를 요청받은 차종, 대상 장치의 종류, 및 해당 장치에서의 동작(기능) 등을 확인한다.
이후, 멀티미디어 장치 가시화 모듈(36), 차량 내부 장치 가시화 모듈(37)이 상기 해석된 메시지에 따른 가시화 동작을 수행한다(305). 즉, 실제 차량 상에서 수행되는 차량 서비스 동작(예 : 창문 올리기)을 화면을 통해 가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가시화 동작이 성공하는 경우에는 실제 차량에서의 서비스 수행 역시 성공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 수행의 확인 후(306) 해당 시험대상 차량에 대한 모든 서비스 시험(각 장치별 서비스 시험)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307)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기(10)로부터 임의의 차량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303)으로 진행하고,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시험대상 차량에 대한 차량 서비스의 시험을 종료한다. 즉, 새로운 차종에 대한 차량 서비스의 시험을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 제어 및 진단,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를 포함하는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기존 하드웨어적 시험 환경에 비해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시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차종에 따른 장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구성이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차량 네트워크와 연동 가능한 다중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시험 환경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시험 환경을 구축하여 하드웨어 시스템 변경에 소요되었던 시간, 물질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시험 환경 하에서 차량 서비스를 테스트할 수 있도 록 함으로써, 차량 네트워크에 지식이 부족한 서비스 개발자일지라도 손쉽게 서비스를 개발 및 시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한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차량 내 각 장치의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프로파일;
    상기 장치 프로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험대상 차량의 종류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수단;
    상기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수단에 의해 분석 처리된 메시지에 따른 가시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가시화 수단
    을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수단은,
    차량 내 각 장치에 대한 가시화 동작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
    을 더 수행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다중 차량 네트워크 연동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각 메시지를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차종, 대상 장치, 기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로파일은,
    차량 내부 장치 프로파일과, 멀티미디어 장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가상 차량 시스템.
  5.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차종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차량 내 각 장치의 환경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 프로파일 저장 단계;
    시험대상 차량의 종류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구성 단계;
    외부의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단계;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 처리하는 메시지 해석 단계; 및
    상기 분석 처리된 메시지에 따른 가시화 동작을 수행하는 가시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동작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해석 단계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차종, 대상 장치, 기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로파일 저장 단계는,
    각각의 차량 내부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환경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 단계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량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 제공 방법.
KR1020050110284A 2005-11-17 2005-11-17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84A KR100745719B1 (ko) 2005-11-17 2005-11-17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84A KR100745719B1 (ko) 2005-11-17 2005-11-17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40A true KR20070052540A (ko) 2007-05-22
KR100745719B1 KR100745719B1 (ko) 2007-08-03

Family

ID=3827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284A KR100745719B1 (ko) 2005-11-17 2005-11-17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7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17B1 (ko) * 2013-11-06 2014-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3434411A (zh) * 2021-06-28 2021-09-24 通号城市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Tias功能测试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1077B2 (en) * 2021-04-27 2023-05-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on-demand roadside AI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435B1 (ko) * 2000-12-30 2006-02-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인버터 가상운전 방법
KR20040011230A (ko) * 2002-07-29 2004-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진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의 자동진단 방법
KR20040050546A (ko) * 2002-12-10 2004-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텔레매틱스의 인터넷 접속장치 및 방법
KR101035797B1 (ko) * 2005-04-01 201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17B1 (ko) * 2013-11-06 2014-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3434411A (zh) * 2021-06-28 2021-09-24 通号城市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Tias功能测试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719B1 (ko) 200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9365B2 (en) Voice based automation testing for hands free module
CN109804324A (zh) 汽车远程诊断方法及装置
KR101723631B1 (ko) 자동차용 전장품간 연동 평가 테스트 방법
KR101797005B1 (ko) 차종 별 테스트 케이스 생성 방법
CN109547401B (zh) 网络安全漏洞优先化和修复
US11170585B2 (en) Vehicle fault diagnosis and analysis based on augmented 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DFMEA) data
US94897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driver to a condition of a vehicle
CN108140294A (zh) 车辆内部触觉输出
Frassinelli et al. I know where you parked last summer: Automated reverse engineering and privacy analysis of modern cars
CN111527389A (zh) 一种车辆诊断方法及一种车辆诊断设备和存储介质
Stachowski et al. An assessment method for automotive intrusion detection system performance
CN112693407A (zh) 车辆安全性增强
KR100745719B1 (ko)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차량 서비스 시험을 위한 차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85920B (zh) 实现DoIP实体的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600731B (zh) 一种车辆预警的方法和装置
CN113206861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CN117336191A (zh) 攻击模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216561897U (zh) Edr数据记录性能测试的实现系统及包括该实现系统的车辆
KR101053722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방법
Dhulipala Detection of injection attacks on in-vehicle network using data analytics
CN114328229A (zh) 一种空中下载技术测试系统
Gallardo Extraction and Analysis of Car Driving Data Via OBD II
Quigley et al. CAN bus message electrical signatures for automotive reverse engineering, bench marking and rogue ECU detection
CN104062966B (zh) 用于自动紧急制动系统的验证方法及相应的验证系统
KR20060084284A (ko) 모스트 단품 기능 테스트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