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252A -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252A
KR20070050252A KR1020050107613A KR20050107613A KR20070050252A KR 20070050252 A KR20070050252 A KR 20070050252A KR 1020050107613 A KR1020050107613 A KR 1020050107613A KR 20050107613 A KR20050107613 A KR 20050107613A KR 20070050252 A KR20070050252 A KR 2007005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absorbing
adhesive composition
absorbing dye
dye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호
구지영
손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0252A/ko
Publication of KR2007005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및 바인더 점착 수지를 포함한다.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근적외선 흡수 색소, 적외선 투과율, PDP 장치

Description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e for optical film,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pressure adhesive composite for optical fil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200: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300: 액정 패널 어셈블리 400: 구동 회로 기판
500: 커버 600: PDP 장치
본 발명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 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 광일렉트로닉스 관련 부품 및 기기가 진보하고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장치용 등으로 보급되고 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표하는 장치로는 음극선관(Cathode-Ray Tube; CRT) 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및 박형화에 대한 시장의 요구를 CRT 장치로는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EL 표시 장치(Oragnic ElectroLuminescen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 장치 등으로 대표되는 평판 표시 장치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자발광 장치로서 시야각이 우수하고 대형화 및 박형화가 용이한 PDP 장치가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대형 텔레비전 분야에서는 점차 CRT 장치를 대체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PDP 장치는 그 구동 특성상 전자파 및 근적외선의 방출량이 많고 형광체의 표면 반사가 높을 뿐 아니라 봉입 가스인 헬륨(He)이나 제논(Xe)에서 방출되는 오렌지 광으로 인해 색순도가 음극선관에 미치지 못한다. PDP 장치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은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정밀 기기 소자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PDP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와 근적외선의 방출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동시에 반사광을 감소시키고 색순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에는 통상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하는 광학 필름, 색 보정 기능을 광학 필름, 전자파를 차폐하는 광학 필름 등이 하나 이상 배치된다. 이러한 광학 필름들은 투명 기판에 점착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접착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수개의 광학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의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며, 필터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근적외선 흡수 기능, 색 보정 기능 등을 점착제에 포함시킴으로써 광학 필름의 개수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보다 넓은 범위의 근적외선을 차폐하기 위해 최대 흡수 파장을 달리하는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하나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혼합할 경우 시간의 경과 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상호 작용을 일으켜, 흡수능이 저하되는 등 안정성이 저해된다. 또한,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점착제의 점착 수지와 반응함으로써, 점착력 및 재박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 이상의 색소를 포함하면서도 색소간 상호 작용이 억제되며, 점착력 및 재박리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 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포함하는 PDP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및 바인더 점착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는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와 바인더 점착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 및 올리고머를 반응시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및 바인더 점착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바인더 점착 수지를 포함한다.
먼저 바인더 점착 수지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발현하는 수지로서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글리시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다량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의 작용기들은 후술하는 가교제와 반응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바인더 점착 수지의 예로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하나를 공중합 모노머로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메 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 메틸,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 에틸 등의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n- 또는 i-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계 모노머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중합 모노머로 사용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명도가 좋은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근적외선을 흡수하여 근적외선의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는 코발트계 색소, 철계 색소, 크롬계 색소 또는 티탄계 색소 등의 무기계 색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이모늄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아미늄계 색소, 폴리메틴계 색소, 아조계 색소 또는 디티올계 금속 착물계 색소 등의 유기계 색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중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유기계 색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감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메틴계 색소 또는 디이모늄계 색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2종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최대 흡수 파장이 다른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는 상기 열거된 제1 근 적외선 흡수 색소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 동일하게 사용되지만,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는 최대 흡수 파장이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단파장 근적외선 영역인 700 내지 900nm의 파장에서 최대 흡수능을 갖는 경우,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장파장 근적외선 영역인 900 내지 1100nm에서 최대 흡수능을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 흡수 파장을 달리하는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넓은 파장 범위에서의 근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제1 및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 각각 폴리메틴계 색소 및 디이모늄계 색소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함량은 바인더 점착 수지 고형분을 기준으로 1ppm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메틴계 색소와 상기 디이모늄계 색소가 혼합되어 병존할 경우 상호 작용이 일어나 흡수능이 저하되며, 특히 내습, 내열, 열사이클, UV 조사 등의 내구성 테스트를 거치게 되면 흡수능이 더욱 저하되고, 외관 색상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호 작용은 폴리메틴계 색소 및/또는 디이모늄계 색소에 존재하는 작용기에 의한 화학 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흡수능 저하 및 색상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폴리메틴계 색소 및/또는 디이모늄계 색소의 작용기를 제거하거나 반응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 예컨대 폴리메틴계 색소는 바인더 점착 수지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 및/또는 하이드록시기 등과 반응하여 색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점착제의 가교 반응을 방해함으로써 점착 특성을 저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반응성 감소가 더욱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올리고머에 결합되어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가 제거되거나 감소되어 다른 색소, 예컨대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의 상호 반응이 억제됨으로써, 외부 환경 또는 시간의 경과에 의한 흡수능 저하 및 색상 변화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조성물 내에 서로 다른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보유하면서도 근적외선 흡수능이 유지력이 우수하다. 또한 바인더 점착 수지와의 상호 반응이 억제됨으로써 점착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결합체를 이루는 올리고머는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화학 결합을 할 수 있는 물질로서, 바인더 점착 수지와 상용성이 좋은 물질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엄격한 제한은 없지만, 후술되는 색소의 안정화를 고려하고, 색소 분자량이 약 800 내지 1,000인 것을 감안하면, 1,000 이상일 수 있으며, 색소와의 반응성 유지, 바인더 점착 수지와의 상용성 및 점착제 조성물의 재박리성 등을 고려할 때, 10,00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바인더 점착 수지와 가교 반응을 하는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인더 점착 수지의 작용기와 반응하여 경화됨으로써 점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가교제는 예컨대 바인더 점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폭시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는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 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화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예시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레벨링제 등의 다양한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온 컷(cut) 기능을 갖는 색소,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조색 염료 등의 색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 바인더 점착 수지 및 가교제를 용해하는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할로겐계, 알코올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지방족 탄화 수소계, 에테르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매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이 점착제층으로 사용될 경우 건조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은 그 자체로서 광학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상태의 경우뿐만 아니라, 용매가 일부 또는 전부 제거된 고체 상태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광학 필름, 점착제층,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구별하여 지칭하고 있으나, 상기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광학 필름이나 점착제층과 동일한 개념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층 상에 다른 광학 필름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점착제층 자체가 광학 필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이 2종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간의 반응성을 저하시키도록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올리고머에 결합되어 있는 예를 들었지만, 반대의 경우, 즉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올리고머에 결합시킨 결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올리고머에 결합시킨 형태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이 하나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다른 색소나 기타 다른 물질들과의 반응에 의한 흡수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여기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로서 편의상 PDP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FED(Field Emission Display), SED(Surface conduction Electron Emitter Display) 장치 등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 장치를 설명하며, 그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는 해당 부분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 장치(600)는 케이스(100),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500), 전자파 및 근적외선 등을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200), 가스 방전 현상이 일어나는 방전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panel assembly, 300), 및 케이스(100) 내에 수용되어 방전셀에서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 기판(4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200)는 도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된 도전층을 구비하며, 이 도전층은 커버(500)를 통하여 케이스(100)로 접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PDP 장치의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200)는 투명 기판(210), 투명 기판(210) 상에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220) 및 광학 필름(230)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210)은 다양한 필터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투명 기판(210)은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화, 반강화 유리 또는 석영 등의 무기 화합물이나 투명한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에테르커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중 가격, 내열성, 투명성 측면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기판(210) 상에는 광학 필름(230)을 투명 기판(210)에 접착시킴과 동시에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220)이 배치되어 있다. PDP 장치는 그 구동 특성상 근적외선 및 전자파의 방출량이 많은데, 이러한 근적외선 및 전자파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무선 전화기나 리모콘 등의 정밀 기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근적외선 및 전자파의 방출을 억제할 필요가 있 으며, 점착제층(220)이 근적외선을 흡수함으로써 근적외선 방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점착제층(220)은 바인더 점착 수지 및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적어도 하나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올리고머와의 결합체의 형태로 포함됨으로써, 바인더 점착 수지와의 상호 반응 및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간 상호 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점착제층(220) 내에 서로 다른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가지면서도 근적외선 흡수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동시에 다른 광학 필름(230)과의 점착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의 제조 공정 단순화 및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점착제층(220)에는 네온 컷(cut) 색소,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230)은 PDP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외부 유출량을 억제시키는 역할, 색 보정 역할 등을 수행하기 위해 1층 또는 2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층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층과 다른 층 사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이 개재될 수 있다.
광학 필터(200)의 아래에는 패널 어셈블리(300)가 배치된다. 패널 어셈블리(300)는 전면 기판(311), 전면 기판(311)과 대향하는 배면 기판(321), 전면 기판(311) 및 배면 기판(321)의 사이에 위치하는 형광체층(325) 및 방전셀(326)을 포함한다.
전면 기판(311)의 아래에는 복수의 유지 전극(sustain electrode; 312)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유지 전극(312)에는 신호 지연을 줄이기 위한 버스 전극(713)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전극(312)이 형성된 전면 기판(311) 아래에는 이들을 덮는 유전체층(3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전체층(314) 아래에는 유전체 보호막(715)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보호막(715)은 예컨대, 스퍼터링(sputtering) 등을 이용하여 유전체층(314) 표면에 MgO 박막을 덮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면 기판(311)과 대향하는 배면 기판(321)의 상면에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322)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어드레스 전극(322)은 전면 기판(311)과 배면 기판(321)을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전면 기판(311)의 유지 전극(312)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드레스 전극(322) 위에는 이를 덮는 유전체층(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전체층(323)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322)과 평행하면서 전면 기판(311)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격벽(324)이 배치되어 있다. 격벽(324)은 이웃하는 어드레스 전극(32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격벽(324)과 유전체층(323)에 의해 정의되는 홈 부분의 측면에는 형광체층(325)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층(325)은 격벽(324)으로 구획되는 홈 부분마다 적색 형광체층(325R), 녹색 형광체층(325G) 및 청색 형광체층(325B)이 교대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광체층(325)은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법 또는 포토레지스트 필름법 등으로 형성되는 형광체 입자군으로 이루어진다. 형광체 층(325)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적색 형광체로서 (Y, Gd)BO3 : Eu, 녹색 형광체로서 Zn2SiO4 : Mn, 청색 형광체로서 BaMgAl10O17 : Eu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면 기판(311), 배면 기판(321) 및 유전체 보호막으로 이루어지는 방전셀(326)에는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즉, 방전셀(326)은 패널 어셈블리(300)에서는 전면 기판(311)과 배면 기판(321) 사이에서의 유지 전극(312)과 어드레스 전극(322)이 교차하는 각각의 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서 방전 가스로는 예컨대, Ne-Xe계 가스, He-Xe계 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패널 어셈블리(300)는 기본적으로 형광등과 동일한 발광 원리를 갖게 된다. 즉, 방전셀(326)의 내부에서의 방전에 따라 방전 가스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형광체층(325)을 여기, 발광시켜 가시광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패널 어셈블리(300)에 사용되는 각 색의 형광체층(325R, 325G, 325B)에는 각각 다른 가시광으로의 변환 효율을 갖는 형광체 재료가 사용된다. 따라서, 패널 어셈블리(300)에서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각 형광체층(325R, 325G, 325B)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색 밸런스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휘도가 가장 낮은 색의 형광체층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형광체층의 휘도를 색마다 지정된 비율로 저하시킴으로써 색 밸런스 조절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0)의 구동은 크게 어드레스 방전을 위한 구동과 유지 방전을 위한 구동으로 나뉘어진다. 어드레스 방전은 어드레스 전극(322)과 하나의 유지 전극(312) 사이에서 일어나며, 이때, 벽전하(wall charge)가 형성된다. 유지 방전은 벽전하가 형성된 방전셀(326)에 위치하는 두개의 유지 전극들(312)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서 일어난다. 유지 방전시에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해당 방전셀(326)의 형광체층(325)이 여기되어 가시광이 발산되며, 이 가시광이 전면 기판(311)을 통해 출사되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먼저, 작용기를 갖는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준비한다. 상기 작용기로는 1차 아민기, 2차 아민기, 하이드록시, 티올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는 대표적으로 최대 흡수 파장이 700 내지 900nm인 물질, 예컨대 폴리메틴계 색소가 예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반응하여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머를 생성한다. 이때 올리고머는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와 예컨대 에스테르화와 같은 화학 반응을 할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하도록 한다. 여기서 올리고머의 작용기의 수는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와 충분히 반응할 수 있도록 당량비 기준으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올리고머에 많은 수의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결합하게 되면 색상이 불균해지며, 올리고머에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결합하지 않은 미반응 작용기의 수가 많을 경우 이들이 가교 반응에 참여하게 되어 재박리성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올리고머 작용기의 수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당량비 기준으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의 10배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올리고머는 후술하는 혼합 단계에서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혼합되도록 바인더 점착 수지와 상용성이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용매에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올리고머를 투입하고 이를 반응시킨다. 그러면,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와 올리고머의 작용기 사이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가 형성된다. 본 단계를 거치면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가 감소하거나 제거되며, 따라서 후속 공정에서 투입되는 바인더 점착 수지,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 또는 기타 다른 물질과의 반응성이 낮아지게 되어 안정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용매에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및 바인더 점착 수지를 투입하고 용해시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완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로는 앞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용매와 동일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한 용해력 및 분산력을 갖는 다른 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본 단계에서 가교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최대 흡수 파장이 다른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 및 기타 다른 첨가제를 더 투입하고 용해시킬 수 있다.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는 대표적으로 최대 흡수 파장이 900 내지 1100nm인 물질, 예컨대 디이모늄계 색소가 예시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 점착 수지,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 또는 기타 다른 첨가 제에 작용기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올리고머와 결합체를 이루면서 작용기가 감소하거나 제거되어,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의 반응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근적외선 흡수 색소간 상호 작용이 없는 안정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점착 수지와 근적외선 흡수 색소간 반응이 억제됨으로써 점착력이 충분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필요에 따라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경우에도 올리고머와 결합시킨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투명 기판에 코팅하고 건조시키고, 그 위에 다른 광학 필름 또는 다른 광학 시트 등을 부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다음의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하며,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1>
에틸 아세테이트 100g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0g, 메틸메타아크릴산 10g을 혼합하고 공중합시켜 분자량이 5,000이고 고형분이 약 50%인 공중합 올리고머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공중합 올리고머 용액에 하이드록시 작용기를 갖는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ADS835HO, American Dye Source, Inc.) 50g을 천천히 첨가하고, 8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공중합 올리고머와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간 반응시켰다. 이때 올리고머에 있는 카르복실기와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하이드록시기의 당량비를 1.6:1로 조절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최종 혼합 용액의 고형분의 함량이 15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어서, 분자량이 300,000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68℃인 아크릴계 점착 수지 15% 용액 100g에 상기 올리고머 용액 10g,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 디이모늄계 색소인 N,N,N',N'-테트라키스(p-디에틸아미노페닐)-p-페닐렌디아민-헥사플루오로 안티몬산이모늄염(NIR-IM2C2, 나가세케미텍스사) 1g 및 가교제로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0.1g을 첨가한 다음 용해시켜 최종 도공액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도공액을 바코터로 10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건조 도막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코팅한 다음, 100℃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분자량이 10,000인 공중합 올리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 1차 아민 작용기를 갖는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실험예 1>
분자량이 300,000인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15% 용액 100g에 제1 근적외 선 흡수 색소(ADS835HO, American Dye Source, Inc.) 1g 및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NIR-IM2C2, 나가세케미텍스사) 1g을 첨가한 다음 용해시켜 최종 도공액을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실험예 2>
분자량이 50,000인 공중합 올리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3, 비교실험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에 대하여, 분광광도계로 가시광 투과율 및 적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광학 필름에 대해 내습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온도가 60℃이고, 상대 습도가 90%인 항온조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분광 광도계로 가시광 투과율 및 적외선 투과율을 다시 측정하였다.
또한 광학 필름의 재박리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및 비교 실험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A4 크기로 하여 두께 0.5mm의 무알카리 유리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50℃, 0.5㎫ 하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하였다. 이어서, 상온에서 30분간 냉각한 후 90°, 300mm/min의 속도로 박리한 다음 유리에 점착제의 잔류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유리에 점착제가 잔류하지 않아 재박리성이 우수한 것은 'O'로 점착제가 잔류하여 재박리성이 불량한 것은 'X'로 나타내었다.
<표 1>
내습열 처리전 내습열 처리후 재박 리성
가시광 투과율 적외선 투과율 가시광 투과율 적외선 투과율
실험예 1 62 8 60 7 O
실험예 2 60 6 58 7 O
실험예 3 61 9 59 11 O
비교예 1 62 8 67 55 X
비교예 2 64 12 66 47 X
상기 표 1에서 내습열 처리전 가시광 투과율 및 적외선 투과율은 비교실험예 1에서 적외선 투과율이 12로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및 비교실험예들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내습열 처리후의 투과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가시광 투과율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적외선 투과율은 비교실험예 1 및 비교실험예 2에서 47 및 57로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교실험예 1에서는 올리고머로서 분자량이 큰 물질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입체 장애 등의 효과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올리고머간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작용기를 보유하며 결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다수의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가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반응함으로써 흡수능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경우 재박리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실험예 2는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올리고머간 반응을 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실험예 1에서보다 더욱 큰 흡수능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에도 재박리성은 불량하였다.
반면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은 내습열 처리후에도 적외선 투과율이 내습열 처리전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에 의한 광학 필름은 흡수능의 유지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재박리성 평가에서도 유리에 잔류 점착제가 남지 않았는데, 이는 비교실험예 1 및 2에서와는 달리 저분자 올리고머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층과 피접착층의 계면으로 이동 접착력을 저하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써 재박리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의하면, 2 이상의 색소를 포함하면서도, 색소간 상호 작용이 억제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색소로서 2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우수한 근적외선 흡수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바인더 점착 수지의 상호 작용이 억제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력 및 재박리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29)

  1.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및 바인더 점착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최대 흡수 파장이 다른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이 700 내지 900nm이고, 상기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이 900 내지 1100nm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폴리메틴계 색소이고 상기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디이모늄계 색소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아크릴계 수지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점착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글리시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점착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점착 수지와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10.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및 바인더 점착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최대 흡수 파장이 다른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이 700 내지 900nm이고, 상기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이 900 내지 1100nm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폴리메틴계 색소이고 상기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디이모늄계 색소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아크릴계 수지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점착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글리시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점착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점착 수지와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9. 제10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 및 올리고머를 반응시켜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 및 바인더 점착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는 1차 아민기, 2차 아민기, 하이드록시기, 티올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 및 상기 올리고머의 작용기의 비는 당량비를 기준으로 1.5 내지 11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올리고머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작용기의 수가 감소하는 단계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아크릴계 수지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는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최대 흡수 파장이 다른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단계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이 700 내지 900nm이고 상기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이 900 내지 1100nm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폴리메틴계 색소이고, 상기 제2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디이모늄계 색소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9.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는 상기 바인더 점착 수지와 가교 반응하는 가교제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단계인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50107613A 2005-11-10 2005-11-10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070050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13A KR20070050252A (ko) 2005-11-10 2005-11-10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13A KR20070050252A (ko) 2005-11-10 2005-11-10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252A true KR20070050252A (ko) 2007-05-15

Family

ID=3827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613A KR20070050252A (ko) 2005-11-10 2005-11-10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02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565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 필터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표시 장치
CN100587024C (zh) 荧光体糊组分和利用该组分制造平板显示装置的方法
TWI387790B (zh) 紅外線吸收薄膜
US20090090462A1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120030977A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03082302A (ja) 電子ディスプレイ用着色粘着剤付フィルム
JP2009227851A (ja) 光学フィルタ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
JP200551466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
JP4297898B2 (ja) 近赤外線吸収および色補正層を含む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タ
JPH1090688A (ja) 平板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227986B2 (en) Film unit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R101059459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표시 장치
JP2010270236A (ja) 紫外線硬化型色補正粘着剤組成物、色補正粘着剤および色補正粘着フィルム
KR20070050252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용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EP1780181A1 (en) A paste composition, and a green sheet, for forming a dielectric layer, and a method for forming a dielectric layer of plasma display panel
JP2002187229A (ja) 光学特性を備えたフィルム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前面保護フィルター
JP200218942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直貼り用フィルター
KR100331387B1 (ko) 형광체조성물,형광체페이스트및감광성드라이필름
KR20070075158A (ko) 광학 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 및 이를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70050250A (ko) 광학 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이를 포함하는 pdp 장치 및 광학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49042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터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340549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EP2157597B1 (en) Filter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filter
WO2007049589A1 (ja) 平面型画像表示装置
KR101515437B1 (ko) 액정표시장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