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942A - 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942A
KR20070049942A KR1020050125799A KR20050125799A KR20070049942A KR 20070049942 A KR20070049942 A KR 20070049942A KR 1020050125799 A KR1020050125799 A KR 1020050125799A KR 20050125799 A KR20050125799 A KR 20050125799A KR 20070049942 A KR20070049942 A KR 2007004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forming
lower electrode
electrode patter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한
변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9942A/en
Publication of KR2007004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9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패시베이션을 이용하여 패널을 밀봉시킬 수 있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a)기판 상에 하부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하부전극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하부전극패턴의 일부영역을 노출시켜 화소영역이 정의되도록 하는 절연체를 형성하는 단계, (c)화소영역 사이의 절연체 상에 길이방향이 하부전극패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제1 분리체를 형성하는 단계, (d)제1 분리체 상에 제1 분리체의 상면과 오버랩되도록 제1 분리체의 상면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제1 분리체로부터 이탈이 용이하도록 제1 분리체에 점착되어 형성되는 제2 분리체를 형성하는 단계, (e)화소영역의 노출된 하부전극패턴 상에 발광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f)발광유기물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g)제2 분리체를 상기 제1 분리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h)상기 단계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 상에 콘포말하게 패시베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ovid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LED display panel that can seal a panel using passiva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LED display panel includes (a) forming a lower electrode pattern on a substrate, and (b) exposing an insulator to define a pixel region by exposing a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on a substrate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is formed. Forming a first separator on the insulator between the pixel regions, the first separator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and (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on the first separator. Forming a second separator having a width longer than a width of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so as to overlap with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separator being attached to the first separator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first separator; Forming a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on the exposed lower electrode pattern, (f) forming an upper electrode on the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g) leaving the second separator away from the first separator, and (h) On the structure formed by the step Conformally forming a passivation film.

오엘이디, OLED, 제1 분리체, 제2 분리체, 패시베이션 OLED, OLED, first separator, second separator, passivation

Description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이다.1 is a process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L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h는 도 1의 각 공정단계별에 따른 공정단면도들을 나타낸다.2A through 2H illustrate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each process step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기판 210: 하부전극패턴200: substrate 210: lower electrode pattern

220: 절연체 231: 제1 분리체220: insulator 231: first separator

232: 제2 분리체 240: 발광유기물층 232: second separator 240: luminescent organic layer

250: 상부전극 300, 400: 롤러250: upper electrode 300, 400: roller

본 발명은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 세하게는 오엘이디 소자에 습기나 산소를 차단해주기 위해 유리캔이나 스테인리스캔을 이용한 엔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방법이 아닌 유기막 및 무기막을 이용한 패시베이션(passivation) 방법에 의해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되 이때 발생하는 역테이퍼형 분리체로 인해 패시베이션막의 증착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한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LED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film and an inorganic material, not an encapsulation method using a glass can or a stainless steel can to block moisture or oxygen to the ODL el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LED display panel by manufacturing an OLED display panel by a passivation method using a film, but to solve the difficulty in depositing a passivation film due to the reverse tapered separator.

오엘이디(OLED)라 함은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약자로서 발광성(luminescent)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excited)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말한다.OLED stand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refers to a self-luminous display that emits light by electrically exciting a luminescent organic compound.

오엘이디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 광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 LCD에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다른 디스플레이 소자에 비해 중형 이하에서는 TFT-LCD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화질을 가질 수 있다는 점과 제조 공정이 단순하여 향후 가격 경쟁에서 유리하다는 등의 장점을 가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OLED can be operated at low voltage and eliminates the drawbacks of LCDs such as thinning, wide viewing angles, and fast response speeds.It is equivalent to or better than TFT-LCD in medium size and lower than other display device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display that ha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have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advantageous in future price competition.

이러한 오엘이디는 투명 유리 기판 상에 양전극으로서 ITO 투명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 하판과 기판 상에 음전극으로서 금속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 사이의 공간에 유기 발광성 소재가 형성되어, 상기 투명 전극과 상기 금속 전극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 때 유기 발광성 소재에 전류가 흐르면서 빛을 발광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The OLED is formed of an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in a space between a lower plate having a form in which an ITO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is formed as a positive electrode on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and an upper plate in which a metal electrode is formed as a negative electrode on the substrate. And a display device that emits light while a current flows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metal electrode and the metal electrode.

오엘이디는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기물 또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이 주위의 산소, 수분, 또는 그 외 다른 환경적 요인과 반응하여 오엘이 디 소자가 서서히 열화(degradation)되어 발광소자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발광소자의 음극(cathode)으로 사용되는 금속전극들은 수분 또는 산소에 노출될 경우 산화가 쉽게 일어나 특성 변화가 급격히 일어난다.In spite of the above advantages, OLED has a short life span due to the degradation of OLED element due to the organic layer or the light emitting layer made of polymer reacts with surrounding oxygen, moisture,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 disadvantage is losing. In particular, metal electrodes used as cathodes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easily oxidized when exposed to moisture or oxygen, resulting in rapid change in properties.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 오엘이디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와, 기술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산업계에서는 공정용이성을 고려해 흡습제(dessicant)로서 칼슘옥사이드(CaO), 바륨옥사이드(BaO) 등을 붙인 금속캡(metal cap) 또는 유리캡(glass cap)을 자외선(UV) 경화형 에폭시-베이스드 접착제(epoxy-based adhesive)를 이용하여 오엘이디 소자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수분 및 산소의 투과를 차단하여 오엘이디의 열화를 억제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and to ensure the stability of ODL, various attempts,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being made. Until now, in the industry, a metal cap or glass cap attached with calcium oxide (CaO), barium oxide (BaO), etc. as a desiccant in consideration of process ease has been applied to ultraviolet (UV) curable epoxy-based substrates. As a method of attaching to an OLED element using an epoxy-based adhesive, a method of blocking the permeation of moisture and oxygen to suppress the degradation of the OLED is employed.

금속캡 또는 유리캡을 이용해 오엘이디 소자를 엔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하는 경우, 경량화 및 소자 박막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금속캡에 의해서 구부림이 가능한 차세대 발광소자의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When encapsulating an ODL element using a metal cap or a glass cap,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device,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a next-generation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be bent by the metal cap.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금속캡이나 유리캡을 이용한 엔캡슐레이션 방법이 아닌, 다양한 방법 예컨대 플라스틱캡을 이용해 엔캡슐레이션 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9-88334호), 소자를 쉴드글라스(shield glass)로 덮어씌운 후 소자와 쉴드 사이에 실리콘오일을 채워 수분, 산소 등을 차단하는 방법(미합중국 특허 5962962호) 등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thods, such as encapsulation using a plastic cap, are not encapsulated using a metal cap or a glass cap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88334), and a shield glass A method of blocking moisture, oxygen, and the like by filling a silicon oil between the device and the shield after being covered with (S. Patent No. 5962962)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모두 소자를 박형화(3㎛이하)하기엔 여전히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both of these methods still have problems to thin the device (less than 3 mu m).

따라서, 이러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극 금속전극이 형성된 오엘이디 소자에 전체적으로 콘포말(conformal)하게 무기층 및 유기층을 형성하여 소자전체를 밀봉시켜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법, 즉 패시베이션(passivation)에 의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all these problems, a method of forming an inorganic layer and an organic layer on the OLED element on which the cathode metal electrode is formed to form an overall structure to seal the entire element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and oxygen, that is, passivation ( Passiv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상기에서 "콘포말하게"의 의미는 피도포층의 표면과 전체적으로 접하며 피도포층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도포된다는 의미이다.In the above, "conformally" means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and is appli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oating layer as it is.

이러한 패시베이션 방법을 이용한 오엘이디 소자를 밀봉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3-82256호(접착식 유기-무기 복합막을 갖춘 엔캡슐레이션 박막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와 제2004-7017534호(배리어 코팅 및 그의 제조방법)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별도의 금속캡이나 유리캡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음극 금속전극 형성공정이 완료된 오엘이디 소자에 일정한 유기-무기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함으로서 금속캡이나 유리캡을 이용한 엔캡슐레이션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sealing an ODL device using such a passivation method a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82256 (encapsulation thin film having an adhesive organic-inorganic composite film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2004-7017534 ( Barrier coat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l of which are formed by forming a passivation layer made of a combination of organic-inorganic films on an OLED device having a cathode metal electrode forming process without using a separate metal cap or glass cap. The same effect as the encapsulation method using a cap or glass cap can be obtained.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능동형 오엘이디(AM-OLED; Active Matrix OLED)에 적용하기 위해 발명된 기술들로서 이들 기술을 수동형 오엘이디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역테이퍼형(Reverse Taper type) 분리체(separator)로 인해 틈새가 생겨 밀착력이 떨어지거나 전체적으로 콘포말(conformal)하게 증착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However, the above methods are invented for the application to the Active Matrix OLED (AM-OLED), and in the case of applying the technology to the passive OID, the reverse taper type separator. Due to the gaps, the adhesion is reduced or it is very difficult to conformally deposit overall.

또한, 역테이퍼형 분리체와 패시베이션막 간에 틈새가 생기게 되면 이 틈새로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everse tapered separator and the passivation film, external moisture or oxygen may penetrate into the gap.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리캡이나 금속캡을 이용한 엔캡슐레이션 방법이 아닌 음극 금속전극 형성이 완료된 오엘이디 소자에 수층의 유기-무기물층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 방법을 통하여 오엘이디 소자를 밀봉함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역테이퍼형 분리체를 대신할 수 있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capsulate the ODL element through a passivation method formed by stacking several layers of organic-inorganic layers on an ODL element on which a cathode metal electrode is formed, rather than an encapsulation method using a glass cap or a metal cap.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DL display panel that can replace the inverted tapered separator that is a probl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a)기판 상에 하부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하부전극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하부전극패턴의 일부영역을 노출시켜 화소영역이 정의되도록 하는 절연체를 형성하는 단계, (c)화소영역 사이의 절연체 상에 길이방향이 하부전극패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제1 분리체를 형성하는 단계, (d)제1 분리체 상에 제1 분리체의 상면과 오버랩되도록 제1 분리체의 상면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제1 분리체로부터 이탈이 용이하도록 제1 분리체에 점착되어 형성되는 제2 분리체를 형성하는 단계, (e)화소영역의 노출된 하부전극패턴 상에 발광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f)발광유기물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g)제2 분리체를 상기 제1 분리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h)상기 단계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 상에 콘포말하게 패시베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L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ming a lower electrode pattern on a substrate, and (b) a lower electrode on a substrate on which a lower electrode pattern is formed. Forming an insulator to define a pixel region by exposing a portion of the pattern, (c) forming a first separator on the insulator between the pixel regions, the length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d) has a wid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to overlap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on the first separator,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separator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first separator Forming a second separator, (e) forming a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on the exposed lower electrode pattern of the pixel region, (f) forming an upper electrode on the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g) a second separator To the first separator It includes the step of leaving, and (h) to form the cone to a foam structure formed by the above step a passivation film.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도면에서 층과 막 또는 영역들의 크기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막 또는 층이 다른 막 또는 층의 "상에" 형성된다라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막 또는 층이 상기 다른 막 또는 층의 위에 직접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다른 막 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layers and films or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when any film or layer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f another film or layer, It may be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film or layer, and a third other film or lay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이고, 도 2a 내지 도 2h는 도 1의 각 공정단계별에 따른 공정단면도들을 나타낸다.1 is a process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L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h is a process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each process step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0) 상에 하부전극패턴(210)을 형성한다 (S110).In order to manufacture the L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2A, a lower electrode pattern 210 is formed on the substrate 200 (S110).

기판(200)은 본 발명의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베이스층(base layer)이 되는 것으로, 하부발광형(bottom emission)과 양방향발광형(dual emission)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유리로 된 투명기판이 사용되고, 상부발광형(top emission)의 경우에는 실리콘기판이 사용된다.The substrate 200 becomes a base layer of the OLED display panel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case of a bottom emission type and a dual emission OLED display panel, the substrate 200 is made of glass. Transparent substrates are used, and in the case of top emission, silicon substrates are used.

하부전극패턴(210)은 애노드(anode)로 사용되는 전극으로서 상기 기판(200)에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을 가지고 형성된다.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is an electrode used as an anode and is formed with a stripe pattern on the substrate 200.

하부전극패턴(210)은 하부발광형과 양방향발광형의 경우에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재질로 형성되나, 상부발광형의 경우에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 the case of the bottom emission type and the bidirectional emission type, but is formed using a metal material in the case of the top emission type.

하부전극패턴(2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판(200) 상에 전체적으로 전도성물질을 도포하고 이를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스트라이프 패턴) 포토-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패터닝해 주게 된다.In order to form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a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on the entire substrate 200 and patterned using a photo-etching process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stripe pattern).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패턴(210)이 형성된 투명기판(200) 상에 절연체(220)를 형성한다(S120).Next, as shown in FIG. 2B, an insulator 220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200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is formed (S120).

절연체(insulator; 220)는 하부전극패턴(210)이 형성된 기판(200) 상에 콘포말(conformal)하게 형성하되, 다만 화소영역(pixel)이 정의될 하부전극패턴(210)의 일부영역에는 형성되지 아니한다. 즉, 화소영역이 정의될 영역에는 형성된 절연체(220) 사이로 하부전극패턴(210)이 노출되어 있다.The insulator 220 is formed conformally on the substrate 200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is formed, but is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where a pixel area is to be defined. Not. That is,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is exposed between the insulators 220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pixel region is to be defined.

절연체(220)는 SiOx, SiNx와 같이 무기물을 포토-에칭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 나, 일반적으로는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포토-현상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The insulator 220 may be formed by photo-etching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Ox and SiNx, but is generally formed through a photo-development process using a photoresist.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220) 상에 제1 분리체(231)를 형성한다(S130).Next, as shown in FIG. 2C, a first separator 231 is formed on the insulator 220 (S130).

제1 분리체(231)는 일반적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포토-현상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그 단면형상은 테이퍼형(Taper; 기판쪽에서 위로 갈수록 끝이 좁아지는 형상 또는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인 형상),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parator 231 is generally formed through a photo-development process using a photoresist,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thereof is tapered (a tapered end shape or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It may have one of square, rectangular shap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tapered shape.

제1 분리체(231)는 노출된 하부전극패턴(210)이 존재하는 화소영역 사이의 절연체(220) 상에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이 하부전극패턴(2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separator 231 is formed on the insulator 220 between the pixel regions in which the exposed lower electrode pattern 210 is present, and the length of the first separator 231 is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10. .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리체(232)를 형성한다(S140).Next, as shown in Figure 2d to form a second separator 232 (S140).

이때, 제2 분리체(232)는 제1 분리체(231)와 점착시키는, 즉 후에 어떠한 물리적 힘을 가하였을 때 분리(detach)가 가능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제1 분리체(231) 상에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separator 232 may be adhered to the first separator 231, that is, the first separator 231 may have a strength that can be detached when any physical force is applied later. Is formed on the phase.

또한, 제2 분리체(232)는 제1 분리체(231)의 상면과 완전히 오버랩(overlap)되도록 상기 제1 분리체(231)의 상면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separator 232 has a wid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231 so as to completely overlap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231.

제1 분리체(231) 상에 제2 분리체를(232)를 형성하는 공정은 롤코터(roll coater) 또는 그라비아 인쇄방법(그라비어 인쇄는 오목판 인쇄 중 사진 기술을 응용하여 화학적 부식 방법과 헤리오 전자 조각 및 레이져로 제판한 오목판을 이용 R로터리 방식으로 인쇄하는 방식임)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롤코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parator 232 on the first separator 231 may include a roll coater or a gravure printing method (gravure printing uses a photographic technique during concave plate printing. It can be carried out by the electronic rotary engraving and the laser-printed concave plate to print in the R rotary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a roll coater.

도 3은 롤코터(roll coater)를 이용한 제2 분리체(232)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the second separator 232 using a roll coat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리체(232)는 그 표면에 일정한 점착성질을 띄고 롤러(300)에 감겨져 있으며 롤러(300)가 회전하면서 하나하나씩 제1 분리체(231) 상에 제2 분리체(232)를 점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하여 준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separator 232 has a constant adhesiveness on the surface thereof and is wound on the roller 300, and the second separator 232 is rotated on the first separator 231 one by one as the roller 300 rotates. The separator 232 is formed by sticking.

다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으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하부전극패턴(210) 상에 발광유기물층(240)을 형성한다(S150).Referring back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240 is formed on the exposed lower electrode pattern 210 as shown in Figure 2e (S150) .

발광유기물층(240)은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실제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증발방식(evaporation)에 의해 절연체(220) 사이로 노출된 하부전극기판(210) 상에 형성된다.The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240 is actually formed on the OLED display panel and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substrate 210 exposed between the insulators 220 by evaporation.

다음으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기물층(240) 상에 상부전극(250)을 형성한다(S160).Next, as illustrated in FIG. 2F, an upper electrode 250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240 (S160).

상부전극(2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패널의 캐소드(cathode)로 사용되는 전극으로서 하부발광형(bottom emission)의 경우에는 Al, Cr, Ag, Ni와 같은 금속을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형성하며, 상부발광형(top emission)의 경우에는 ITO와 같은 투명전극을 이용하여 형성된다.The upper electrode 250 is an electrode used as a cathode of an LED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case of a bottom emission type, sputtering metals such as Al, Cr, Ag, and Ni. In the case of top emission, it is formed using a transparent electrode such as ITO.

상부전극(25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의 제2 분리체(232) 일종의 마스크(mask), 즉 상부전극(250)이 제1 분리체(231)와 제2 분리체(232)의 표면을 완전히 덮지 않고, 중간에 끊어진 부분이 존재하도록 하여, 제1 분리체(231)와 제2 분리체(232)를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쪽의 상부전극(25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주는데, 이는 제2 분리체(232)의 폭이 제1 분리체(231) 상면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가능하다.In forming the upper electrode 250, a mask of the second separator 232, that is, the upper electrode 250 completely covers the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or 231 and the second separator 232. It does not cover, so that there is a broken portion in the middle, the first separator 231 and the second separator 232 electrically separates the upper electrode 250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the second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width of the separator 232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231.

다음으로,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리체(232)를 제1 분리체(231)로부터 이탈시킨다(S170).Next, as shown in FIG. 2G, the second separator 23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or 231 (S170).

제2 분리체(232)를 제1 분리체(231)로부터 이탈시키는 공정은 제2 분리체(232)가 제1 분리체(231)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착력보다 강한 힘을 제2 분리체(232)에 가하게 되면 제2 분리체(232)는 제1 분리체(231)로부터 분리된다.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second separator 232 from the first separator 231, since the second separator 232 is adhered to the first separator 231, a force stronger than the adhe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eparator 231. When applied to the sieve 232, the second separator 23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or 231.

도 4는 제2 분리체(232)를 제1 분리체(23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for separating the second separator 232 from the first separator 23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리체(232)를 제1 분리체(23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정속도를 고려할 때 롤러(40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롤러(400)의 표면에 제2 분리체(232)가 제1 분리체(231)에 점착되어 있는 점착력보다 강한 점착력 또는 접착력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고, 이러한 롤러(400)를 제2 분리체(232)의 상면에 밀착시켜줌으로써 제2 분리체(232)를 제1 분리체(231)로부터 이탈시켜 주게 된다.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separate the second separator 232 from the first separator 231,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oller 400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speed, that is, the surface of the roller 400 may be removed. 2 The separator 232 is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stronger adhesive force or adhesive force than the adhesive force adhered to the first separator 231, and the roller 4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232 The second separator 23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or 231.

다음으로,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도 4g의 40참조) 상에 일정한 유기물과 무기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페시베이션막 (passivation layer; 260)을 콘포말(conformal)하게 형성하여 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이 일단락된다.Next, as shown in FIG. 2H, a passivation layer 260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certain organic material and inorganic material is conformally formed on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bove step (see 40 of FIG. 4G).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사용되던 역테이퍼형 분리체 대신할 수 있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체를 제시함으로써 후에 비교적 두꺼운 유리캡이나 금속캡을 이용한 엔캡슐레이션 방법이 아닌 얇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유기물과 무기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층을 이용한 봉지공정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D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enting a separator of the LED display panel that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reverse tapered separator used in the yen using a relatively thick glass cap or metal cap Instead of the encapsulation method, the encapsulation process using a passivation layer made of a combina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form becomes possible.

Claims (6)

(a) 기판 상에 하부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a) forming a lower electrode pattern on the substrate; (b) 상기 하부전극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하부전극패턴의 일부영역을 노출시켜 화소영역이 정의되도록 하는 절연체를 형성하는 단계;(b) forming an insulato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is formed to expose a partial region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to define a pixel region; (c) 상기 화소영역 사이의 상기 절연체 상에 길이방향이 상기 하부전극패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제1 분리체를 형성하는 단계;(c) forming a first separator on the insulator between the pixel regions, the first separator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d) 상기 제1 분리체 상에 상기 제1 분리체의 상면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제1 분리체의 상면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분리체로부터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분리체에 점착되어 형성되는 제2 분리체를 형성하는 단계;(d) the first separator having a wid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so as to overlap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on the first separator, and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first separator; Forming a second separator formed by sticking to the second separator; (e) 상기 화소영역의 노출된 상기 하부전극패턴 상에 발광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e) forming a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on the exposed lower electrode patterns of the pixel region; (f) 상기 발광유기물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f) forming an upper electrode on the light emitting organic layer; (g) 상기 제2 분리체를 상기 제1 분리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g) leaving the second separator away from the first separator; And (h) 상기 단계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 상에 콘포말하게 패시베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h) forming a passivation film conformally on the structure formed by the ste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분리체는 감광막을 이용한 포토-현상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The first separato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LED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photo-development process using a photosensitive fil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분리체의 단면형상은 테이퍼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separator is a tapered, square, rectangu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D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d) 단계는 롤코터 또는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The step (d)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D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carried out using a roll coater or gravure prin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g) 단계는 상기 제1 분리체와 점착되어 있는 상기 제2 분리체의 점착력보다 강한 점착력 또는 접착력을 가지는 물질을 롤러에 도포하고, 상기 롤러를 상기 제2 분리체의 상면에 밀착시켜 물리적으로 상기 제2 분리체를 상기 제1 분리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In the step (g), a material having a stronger adhesive force or adhesion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separator adhered to the first separator is applied to the roller, and the roll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to physically And separating the second separator from the first separ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유기물층, 무기물층 각각을 적어도 한층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The passivation film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D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layer of each of the organic layer and the inorganic layer.
KR1020050125799A 2005-12-19 2005-12-19 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KR200700499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799A KR20070049942A (en) 2005-12-19 2005-12-19 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799A KR20070049942A (en) 2005-12-19 2005-12-19 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942A true KR20070049942A (en) 2007-05-14

Family

ID=3827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799A KR20070049942A (en) 2005-12-19 2005-12-19 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994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47B1 (en) * 2007-12-21 2008-05-28 (주)누리셀 Multi layer for encapsulation comprising a planarizing organic thin layer and a comformal organic thin l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47B1 (en) * 2007-12-21 2008-05-28 (주)누리셀 Multi layer for encapsulation comprising a planarizing organic thin layer and a comformal organic thin layer
US9681501B2 (en) 2007-12-21 2017-06-13 Applied Materials, Inc. Multi layer for encapsulation comprising a planarizing organic thin layer and a conformal organic thin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9963B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394808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KR100710763B1 (en) Organic el display
CN108807496B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080092848A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939732B2 (en) Organic, colored,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the production thereof
US7535164B2 (en) Self-emiss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87225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0840267B2 (en) Array substrat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nd display panels
JP200320897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evice
KR100949509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96494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166266A (en) Organic el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00396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4103502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0360328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KR20070049942A (en) Method for fabricating the oled display panel
JP2007005047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824366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element
JP2008130312A (en) Manufacturing method and encapsulated base board for electroluminescence element panel
KR100768711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emitt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486840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7142603A1 (en) An integrated shadow mask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KR10081576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474786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