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205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205A
KR20070049205A KR1020077005534A KR20077005534A KR20070049205A KR 20070049205 A KR20070049205 A KR 20070049205A KR 1020077005534 A KR1020077005534 A KR 1020077005534A KR 20077005534 A KR20077005534 A KR 20077005534A KR 20070049205 A KR20070049205 A KR 2007004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spectacle lens
display device
imag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안경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타입의 소형의 화상 표시 장치를 어떤 구조의 안경에도 설치되도록 개량한다. 화상 표시 장치(3)는 액정 디스플레이, 확대 렌즈(114)가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는 그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광을 확대 렌즈(114)를 거쳐서 봄으로써, 화상을 볼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3)는 그 배면에 흡입반(160)을 구비하고 있고, 이 흡입반(160)에 의해 안경이 구비하는 안경 렌즈의 평활한 전방의 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확대 렌즈, 흡입반, 케이블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머리부 등의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소형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머리부 등의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되고, 사용자의 눈 앞에 화상을 표시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가 가상 현실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HMD는, 통상, 외광을 차단하여 화상만을 표시하는 것이 되고, 일반적으로는 고글 형상, 혹은 대형의 안경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HMD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어떤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화상을 볼 수 있는 반면, 외계를 볼 수는 없게 된다.
최근, 화상을 시계의 일부에 표시하여 외계도, 화상도 볼 수 있도록 한 소형의 화상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타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평성 7년 특허 출원 공개 제20960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 반사 미러, 접안 렌즈 등을 1개의 하우징에 수용하는 동시에, 그 하우징에 클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클립으로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프레임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은 안경의 프레임의 상부 외측 근처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LCD에 표시된 화상을 반사 미러와 접안 렌즈, 또한 안경의 렌즈를 거쳐서 사용자의 한쪽 눈에 경사 상방으로부터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 타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시선의 이동에 의해, 외계를 볼지, 화상을 볼지의 선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일상 생활의 장면에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장면으로서 실내외를 특별히 묻지 않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그로 인해,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이면, 음을 재생하는 것이고, 젊은이의 라이프 스타일을 크게 바꾼 휴대형 헤드폰 스테레오의 영상 등의 용도에 응용 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 타입의 화상 표시 장치는 기존의 안경에 설치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화상 표시 장치를 안경에 설치하는 것은 어렵다. 안경에는 프레임의 유무나, 프레임의 재질이나 굵기, 혹은 템플의 재질이나 굵기의 차이 등 다양한 변동이 있으므로, 어떤 안경이라도 화상 표시 장치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은 의외로 매우 어렵다.
한편, 안경을 화상 표시 장치와의 조합을 당초부터 의도한 전용품으로 하면, 이와 같은 난점은 해결되지만, 그것으로는 안경이라는 패션성이 강한 것을 고객에게 강제하게 되어,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고객이 싫어하는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화상 표시 장치를 어떤 안경이라도 간단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는 이하의 발명을 제안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는 안경이 구비하는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본원 발명자가 얻은 이하와 같은 지견을 기초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경에는 다양한 변동이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를 어떤 안경이라도 설치되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시행 착오의 결과, 본원 발명자는 어떤 안경이라도 공통되는 부재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이다. 그 면에 화상 표시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원의 화상 표시 장치는 어떤 안경이라도 설치되는 것이 된다.
또한, 본원에서 말하는 「안경 렌즈」의 말에는 도수가 들어가는 일반적인 렌즈뿐만 아니라, 도수가 없는 렌즈가 아닌 것도 포함한다. 본원의 화상 표시 장치는 도수가 없는 안경 렌즈를 구비한 멋부리기 안경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상세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본원 발명은 2개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첫번째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본원 발명은 사용 시에 사용자가 몸에 걸친 안경의 렌즈인 안경 렌즈에 설치하여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그리고,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대해 고정을 행할 수 있는 중간 부재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한쪽 눈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의 화상의 상광을 상기 한쪽 눈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한쪽 눈의 시야의 일부인 표시 범위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한쪽 눈으로 상기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갖고 이루어진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고정되는 중간 부재를 거쳐서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대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 중 어느 측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도 상관없지만, 안경 렌즈와 얼굴 사이에 그 정도 공간이 없는 것을 고려하면, 안경 렌즈의 얼굴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쪽이 용이하다. 또한, 이 사정은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두번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의 안경 렌즈에 대한 고정의 구체적인 형태는 중간 부재를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고정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는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고, 착탈 가능하게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 되어도 좋다. 안경에 대해 중간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하면,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경으로부터 중간 부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단, 안경에 대해 중간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하면,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에 안경에 대해 중간 부재를 설치하는 작업 및 중간 부재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설치하는 작업의 2개의 작업이 그 선후에는 어쨌든 필요해진다. 중간 부재가 안경 렌즈에 대해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면, 중간 부재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설치하는 작업만을 행하면 안경에 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고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그와 같은 지루함이 없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는 상기 안경 렌즈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되는 막대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중간 부재는 막대형 부재에 의해 안경 렌즈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중간 부재는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을 행하기 어려운 것이 되지만, 안경 렌즈에 대한 견고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 구성은 중간 부재가 안경 렌즈에 완전히 고정되는 경우의 일 예가 된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는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흡입반 또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입반 또는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은 중간 부재가 안경 렌즈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경우가 예가 된다.
중간 부재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의 고정의 구체적인 형태는 중간 부재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의 착탈 가능한 고정이 가능한 한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본원 발명의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안경 렌즈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고, 그 선단부에 대략 구형의 구부를 갖는 막대형의 돌출체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개구를 갖고, 그 개구로부터 그 내부에 상기 구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공간에 상기 구부가 들어갔을 때에 상기 구부가 상기 공간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의 「전방」이라는 말은, 안경을 사용자가 얼굴에 장착한 경우의 얼굴로부터 먼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혹은,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를 갖고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막대형체의 선단부에 대략 구형이 되는 동시에, 상기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는 구부를 갖는 돌출체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공간에 상기 구부가 들어갔을 때에 상기 구부가 상기 공간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소정의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볼록 곡면을 갖는 볼록부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에는 상기 볼록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인 오목 곡면을 갖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오목 곡면을 갖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에는 상기 오목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이고, 소정의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볼록 곡면을 갖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중간 부재는, 또한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에, 상기 안경 렌즈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것이고, 또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3개의 돌출편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에는 상기 돌출편에 접촉하는 볼록 곡면을 갖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돌출편은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볼록부는 각 돌출편의 내측에 내접하도록 하고, 돌출편에 흡착한다. 볼록부는 그것이 가능해지는 위치 관계에서 안경 렌즈에 배치된다.
중간 부재는 안경 렌즈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의 양쪽과 고정된다. 따라서, 중간 부재는 중간 부재와 안경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과, 중간 부재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중간 부재와 안경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상술한 구성과, 중간 부재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술한 구성은 1개의 중간 부재에서 어떻게 조합되어 있어도 좋다.
본원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중간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안경 렌즈에 고정한 후에, 사용자가 화상 표시 장치 본체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두번째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본원 발명의 두번째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몸에 걸친 안경의 렌즈인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설치하여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한쪽 눈 앞에 위치하는 것이고, 소정의 화상의 상광을 상기 한쪽 눈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한쪽 눈의 시야의 일부인 표시 범위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한쪽 눈으로 상기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렌즈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본원 발명의 첫번째와 달리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직접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설치된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렌즈 고정 수단은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대해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떻게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렌즈 고정 수단은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흡입반 또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입반 또는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렌즈 고정 수단은 안경 렌즈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화상 표시 장치를 안경 렌즈에 고정한 후에 사용자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화상 표시 장치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두번째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수단을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표시 수단으로부터의 상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유도하는 렌즈를 수납한 상기 케이스로부터 볼록 설치된 경통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상기 경통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그 내측 부분에 상기 경통의 외주에 접촉하는 구멍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경통을 그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경통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반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그 내측 부분에 상기 상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투명한 부분을 갖고, 또한 그 투명한 부분을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면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반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배치된 점착제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원 발명의 첫번째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는 한쪽 눈용의 1개만이라도 좋고, 양 눈용의 2개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원 발명의 두번째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도 1개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어도, 2개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 혹은 화상 표시 장치가 1개인 경우, 화상 표시 장치 본체 혹은 화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한쪽 눈에 대응하는 안경 렌즈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안경의 다른 쪽 눈에 대응하는 안경 렌즈에 상기 화상 표시 장치 본체 또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다른 쪽 눈 앞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다른 쪽 눈의 시야 중, 상기 표시 범위에 대략 대응하는 범위, 또는 상기 범위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범위인 차폐 범위로부터 상기 다른 쪽 눈으로 들어오는 광을 상기 한쪽 눈에 상기 표시 범위로부터 들어오는 광보다도 약하게 하는 차폐 수단을 마련해도 좋다.
차폐 수단은 이하와 같은 시야 투쟁의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가 1개이거나, 혹은 화상 표시 장치가 1개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쪽 눈으로 표시 수단을 보고 있을 때에, 다른 쪽 눈에는 주위의 경치가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시야 투쟁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시야 투쟁이라 함은, 오른쪽 눈, 왼쪽 눈으로부터 들어간 정보 중, 어느 한쪽만이 의식되는 현상을 말한다. 오른쪽 눈과 왼쪽 눈으로부터 들어간 정보는 통상, 다소의 다른 점(예를 들어, 양 눈의 시차)은 있지만,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뇌는 2개의 정보로부터 1개의 정보를 만들어 내고, 이를 보이고 있는 「내용」으로 인식한다. 이에 대해,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의 각각에 공통점이 적고, 서로 크게 다른 정보를 넣은 경우, 뇌는 이들 정보를 잘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뇌는 임의의 것으로부터의 정보를 우선시키고, 그쪽의 정보만을 보고 있는 내용으로서 인식하도록 처리를 행하는 일이 있다. 이때, 뇌가 우선시킨 정보를 기초로 하는 화상 또는 경치는 보이고 있다고 인식되지만, 뇌가 우선시키지 않았던 정보를 기초로 하는 화상 또는 경치는 보이고 있다고는 인식되지 않는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가 1개이거나, 혹은 화상 표시 장치가 1개만으로 사용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시야 투쟁이 현저하게 일어난다. 시야 투쟁이 일어나면, 표시 수단이 보이고 있다고 인식되는 상황과, 경치가 보이고 있다고 인식되는 상황이 교대로 일어나게 된다. 표시 수단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 빈발한 것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도움이 되지 않고, 또한 표시 수단이 약간 보이고 있다고 해도, 시야 투쟁이 빈발하는 것이라면, 사용자에 큰 피로를 부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폐 수단이 있으면, 그 차폐 수단이 직전에 놓인 측의 눈의 시계를 그 차폐 수단으로 차단함으로써 그 눈을, 말하자면 죽은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뇌는 표시 수단에 의해 화상을 보고 있는 측의 눈으로부터의 정보만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하여 인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시야 투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차폐 수단은 상기 화상 표시 장치 본체, 혹은 화상 표시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경우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안경 렌즈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 혹은 화상 표시 장치가 이동하였다고 해도 화상 표시 장치 본체, 혹은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다른 쪽 눈 앞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다른 쪽 눈의 시야 중, 상기 표시 범위에 대략 대응하는 범위, 또는 상기 범위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범위인 차폐 범위로부터 상기 다른 쪽 눈으로 들어오는 광을 상기 한쪽 눈으로 상기 표시 범위로부터 들어오는 광보다도 약하게 하는 데 충분한 크기로 하고 있는 것이면, 차폐 수단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차폐 수단은, 예를 들어 점착제에 의해 안경 렌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시트형의 것, 상기 다른 쪽 눈의 시계를 차단하는 데 충분한 크기의 불투명한 흡입반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전체를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상측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투시 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중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은 도1에 나타낸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제2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중간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8은 제2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제2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중간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제3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중간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1은 제4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와 중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는 제4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3A는 제5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와 중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B는 제5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4는 제6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5는 제7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전체를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6은 제7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가 설치된 안경을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7에 있어서, 도17의 (A)는 도15에 도시한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가 그 앞에 있는 측의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7의 (B)는 동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가 없는 측의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7의 (C)는 동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제8 변형예의 화상 표시 장치의 차폐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9는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전체를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에 도시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21A는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전체를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1B는 도21A에 도시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흡입반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는 제4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전체를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3은 제5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24는 제6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전체를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5는 제6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의 변형예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상부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공통되는 것에는 공통의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1)는 본원 발명의 첫번째에 상당하는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G)의 안경 렌즈(GL)의 평활한 면에 대해 설치되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2개 구비하고 있고, 이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각각을 안경 렌즈(GL)의 평활한 면에 설치하는 중간 부재(200)를 2개 구비하고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1)를 상부 전방(「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란에 있어서, 「전방」이라는 말은, 안경을 사용자가 얼굴에 장착한 경우의 얼굴로부터 먼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함)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1)와 조합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경(G)은 통 상으로 판매되고 있는 기성품이다. 또한, 도1에 도시한 안경(G)은 안경 렌즈(GL)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 구성의 상세 내용은 불문이다. 안경(G)은, 예를 들어 이와 같은 프레임을 갖지 않는, 소위 프레임이 없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안경 렌즈(GL)는 원시용, 근시용, 원근 양용 등의 렌즈의 기능을 갖는 것이라도 상관없지만, 단순한 글래스나 수지의 판이라도 좋다. 즉, 안경(G)은 안경 렌즈(GL)를 갖는 한, 멋부리기 안경이라도 상관없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모두 화상 표시 장치(1)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눈의 한쪽 앞에 위치하는 것이고, 그것이 그 앞에 위치하는 눈으로 소정의 화상의 상광을 유도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좌우 각 눈의 시야의 일부인 표시 범위에 상술한 소정의 화상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그 소정의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서로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도2의 투시도, 도3의 분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10)는,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제이다.
케이스(110)의 후방의 면에는 경통(120)이 설치되어 있다. 경통(120)은 대략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110)의 후방의 면에는, 또한 구멍(130)이 마련되어 있다. 구멍(130)의 내부에는 소정의 넓이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구멍(130)의 개구 부분에는 구멍(130)의 개구를 막도록 하여 판형의 탄성편(140)이 4매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편(140)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 두께 방향으로 다소 절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모두 케이블(C)과 접속되어 있다. 이 케이블(C)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를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로 이송하는 것이다. 케이블(C)은 안경(G)이 구비하는 손잡이에, 예를 들어 단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된 부재(이 부재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함)에서 코킹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이, 케이블(C)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외측면[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안경(G)에 장착한 경우의 사용자의 얼굴의 측방측의 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변환 기판(111), 백 라이트 유닛(112), 액정 디스플레이(113)가 설치되어 있다.
경통(120)의 내부에는 확대 렌즈(114)가 설치되어 있다.
변환 기판(111)은 케이블(C)과 접속되어 있고, 케이블(C)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화상 신호를 액정 디스플레이(113)에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변환하고, 액정 디스플레이(113)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환 기판(111)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케이블(C)을 거쳐서 이송되어 오는 비디오 신호나 RGB 신호 등의 화상 신호를 수신하고, 이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113)에 표시한다. 단, 변환 기판(111)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그 전부, 혹은 일부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밖에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변환 기판(111)은 케이블(C)을 경유하지 않고, 화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변환 기판(111)은, 또한 텔레비전 튜너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변환 기판(111)은 일반적인 텔레비전 방송용 전파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드함으로써, 텔레비전 방송의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113)에 표시한다. 변환 기판(111)이 액정 디스플레이(113)에 표시하는 화상은 이에 그치지 않고,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재생된 화상이나, 퍼스널 컴퓨터나, 게임 장치 등의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재생된 화상 등 다방면에 걸칠 가능성이 있다.
백 라이트 유닛(112)은 액정 디스플레이(113)를 배후로부터 조명하는 백 라이트와, 이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제어를 행하면서 백 라이트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113)는 변환 기판(111)의 제어 하에서 동화상, 혹은 정지 화상인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확대 렌즈(114)는 액정 디스플레이(113)에 표시된 화상의 상광을 확대하는 것이다. 또한, 확대 렌즈(114)는 1매일 필요는 없고, 복수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확대 렌즈(114)는, 또한 경통(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전후 이동(광축을 따른 방향에서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확대 렌즈(114)의 전후 이동은 액정 디스플레이(113)로부터의 상광의 결상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시력의 좋고 나쁨에 따르지 않고, 혹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안경(G)의 안경 렌즈(GL)의 도수가 사용자의 눈에 맞지 않 는 등의 사정이 있었다고 해도, 사용자의 눈의 망막에 상술한 화상을 확실하게 결상시키게 된다. 확대 렌즈(114)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어떤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어 경통(120)을 2중의 구조로 하여 이들 내측의 것의 외면과, 외측의 것의 내면에 나사 절단을 하여 나사 결합시키는 동시에, 경통(120)의 외측의 것을 케이스(110)에 고정하고, 또한 경통(120)의 내측의 것의 내면에 확대 렌즈(114)를 고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통(120)을 회전함으로써 확대 렌즈(114)가 전후 이동을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확대 렌즈(114)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다른 수단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확대 렌즈(114)의 광축 상의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경통(120)이며, 케이스(110)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을 준비해 두고, 사용자의 시력 등에 따라서 경통(120)마다 확대 렌즈(114)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2개의 중간 부재(200)는 모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의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전방면으로부터 베이스(2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막대형의 돌출체(22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1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각 변이 5 ㎜인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돌출체(220)의 선단부에는 구형의 구체(2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체(221)의 직경은 상술한 구멍(130)의 내부에 약간 여유를 가진 상태에서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베이스(210)의 배면에는 층형이 된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2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점착제층(222)은 그 표면을 안경 렌즈(GL)의 평활한 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중간 부재(200)를 안경 렌즈(GL)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GL)에 설치된 중간 부재(200)에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설치된다. 점착제층(222)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설치된 중간 부재(200)를 안경 렌즈(GL)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제층(222)의 안경 렌즈(GL)로의 설치는 착탈 가능한 것이 된다. 즉, 점착제층(222)은 중간 부재(200)에 큰 충격이나 강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중간 부재(200)를 안경 렌즈(GL)에 고정할 수 있지만, 강한 힘을 가하면 중간 부재(200)를 안경 렌즈(GL)로부터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화상 표시 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안경(G)의 안경 렌즈(GL)의 평활한 면에 설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 렌즈(GL)의 전방의 면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설치한다.
안경 렌즈(GL)의 전방의 면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안경 렌즈(GL)의 전방의 면에 중간 부재(200)를 설치한다. 이 설치는 중간 부재(200)의 점착제층(222)을 안경 렌즈(GL)의 적당한 위치에 접촉시켜 압박함으로써 행한다.
계속해서, 안경 렌즈(GL)에 설치한 중간 부재(200)의 돌출체(220) 선단부의 구체(221)를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에 마련된 구멍(130)의 내부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는 구체(221)를 탄성편(140) 사이의 간극에 탄성편(140)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압입함으로써 구체(221)를 구멍(130)의 내부에 삽입한다. 구멍(130)의 내부에 구체(221)를 삽입한 상태를 도5에 나타낸다. 구체(221)는 그 선단부측이 구멍(130)의 내측에 접촉하고, 또한 그 기단부측이 탄성편(140)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구체(221)는 구멍(130)의 내부에서 구멍(130)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중간 부재(200)를 거쳐서 안경 렌즈(GL)의 전방의 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상의 작업을 좌우 양 눈용 안경 렌즈(GL)의 양쪽에 대해 행한다.
또한, 양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안경 렌즈(GL)의 각각에 1개씩 설치하면, 케이블(C)을 그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설치되어 있는 안경 렌즈(GL)에 가까운 측의 안경(G)의 손잡이에 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모두 안경 렌즈(GL)의 전방의 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혹은 그 사이의 경사 방향 등의 원하는 방향으로 구체(221)를 중심으로 다소 요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경통(120)이 자신의 눈의 눈동자의 방향을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환언하면, 확대 렌즈(114)의 광축이 자신의 눈의 눈동자와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요동시켜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확대 렌즈(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통(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확대 렌즈(114)를 전후 이동시켜 화상을 보기 쉬운 위치로 확대 렌즈(1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각도의 조정과, 확대 렌즈(114)의 이동은 화상의 표시를 개시한 후 행해도 좋다.
이상의 준비를 행한 후,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에 의한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C)에 접속된 것(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원을 넣고, 필요한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케이블(C)을 거쳐서 화상 신호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로 이송된다. 화상 신호는 각각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 내의 변환 기판(111)을 거쳐서 액정 디스플레이(113)로 이송된다. 액정 디스플레이(113)는 이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백 라이트 유닛(112)에 포함되는 백 라이트로부터의 광인, 이 화상에 대한 상광은 확대 렌즈(114)를 거쳐서 사용자의 각각의 눈으로 이송되어 사용자의 각각의 눈에 결상한다.
이때, 사용자의 각 눈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화상이 보인다.
도6에 있어서의 I는 화상이고, 일반적으로는 어두운 공간(S) 중에 화상(I)이 갑자기 뜨는 상태에서 그것은 보인다. 화상(I)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범위가 본 발명의 표시 범위에 상당한다. 또한, 화상(I)의 주위에 있는 공간(S)은 확대 렌즈(114)의 눈동자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공간(S)의 주위에는 경통(120)의 선단부가 어렴풋이 보인다. 경통(120)의 선단부가 어렴풋이만 보이는 것은 이것이 사용자의 눈의 근점보다도 사용자의 눈 근처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통(120)의 주위에는 외계(O)가 보인다. 외계(O)의 주연은 사용자의 눈의 시야에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범위의 크기는, 사용자가 화상(I)을 보는 측의 눈의 시야의 1/3보다도 훨씬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표시 범위의 화면 각도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20°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는 표시 범위를 보고 있는 상태이고, 시선을 움직이지 않고 외계의 경치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선을 움직이면 외계의 경치를 보다 많이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좌우 양 눈의 시야 내의 표시 범위에 있는 화상(I)을 좌우 양 눈의 각각에서 봄으로써 양 눈으로 화상(I)을 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중간 부재(200)의 점착제층(222)을 변형한 경우>
이하, 중간 부재(200)의 점착제층(222)을 변형한 경우에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예(제1 내지 제3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변형예]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의 베이스(210)의 배면에는 그 표면을 안경 렌즈(GL)의 평활한 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중간 부재(200)를 안경 렌즈(GL)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층(2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점착제층(222)은,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 렌즈(GL)로의 착탈 가능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는 도4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그 점착제층(222)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르고, 안경 렌즈(GL)로의 항구적인 고정을 행하는 것이 된다. 이 점이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로부터의 변경점이다. 이 경우에는 화상 표시 장치(1)를 사용하지 않고 안경(G)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중간 부재(200)는 안경 렌즈(GL)로 설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통으로 안경(G)이 이용되는 경우에 중간 부재(200)가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중간 부재(200)는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210)의 1변을 3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변형예]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의 베이스(210)의 배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층(222)이 설치되어 있었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중간 부재(200)는 점착제층(222) 대신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막대형 부재(223) 및 고정 부재(2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이 제2 변형예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로부터의 변경점이다. 막대형 부재(223) 및 고정 부재(224)는 중간 부재(200)의 안경 렌즈(GL)로의 항구적인 고정을 행하는 것이다.
막대형 부재(223)는 안경 렌즈(GL)의 소정의 위치에 개방된 구멍을 관통시키는 막대형의 부재이고, 베이스(210)의 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막대형 부재(223)는 그 길이가 안경 렌즈(GL)의 두께보다도 수㎜ 정도 길어지도록 되 어 있고, 그 외주면에 나사 절단되어 있다. 고정 부재(224)는 그 내주면에 나사 절단이 이루어진 두께 1 ㎜ 정도의 너트이고, 안경 렌즈(GL)를 관통하여 안경 렌즈(GL)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막대형 부재(223)에 대해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는 안경 렌즈(GL)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시킨 막대형 부재(223)에 고정 부재(224)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도8에 도시하도록 하여 안경 렌즈(GL)에 고정된다.
또한, 막대형 부재(223)는 고정 부재(224)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GL)와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막대형 부재(223)는 그 외주에 나사 절단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GL)와 고정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막대형 부재(223)는 안경 렌즈(GL)를 반드시 관통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막대형 부재(223)의 길이를 안경 렌즈(GL)의 두께보다도 짧게 하고, 또한 안경 렌즈(GL)의 전방의 면에 막대형 부재(223)의 직경 및 길이에 대응한 구멍을 마련하고, 그 구멍에 막대형 부재(223)를 삽입하고, 예를 들어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막대형 부재(223)를, 나아가서는 중간 부재(200)를 안경 렌즈(GL)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간 부재(200)를, 막대형 부재(223)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이면, 중간 부재(200)를 베이스(210) 빠짐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중간 부재(200)는,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제3 변형예]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의 베이스(210)의 배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층(222)이 설치되어 있었다.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중간 부재(200)는 점착제층(222) 대신에,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흡입반(22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점이 제3 변형예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로부터의 변경점이다. 흡입반(225)은 중간 부재(200)의 안경 렌즈(GL)로의 착탈 가능한 고정을 행하는 것이다.
흡입반(225)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이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단, 가장 흡입반(225)은 탄성이 있는 고무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흡입반(225)의 외측에는 막대형의 손잡이(22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225A)는 안경 렌즈(GL)에 흡착시킨 흡입반(225)을 안경 렌즈(GL)로부터 제거할 때에 이용하는 것이고, 그것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인장함으로써, 흡입반(225)을 안경 렌즈(GL)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중간 부재(200)의 돌출체(220)를 변형한 경우>
이하, 중간 부재(200)의 돌출체(220)를 변형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예(제4 내지 제6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 변형예]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4)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고,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의 베이스(210)의 전방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체(220)가 설치되어 있었다.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4)의 중간 부재(200)는 돌출체(220) 대신에,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후방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멍(226)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멍(226)은 그 내부에 소정의 넓이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간을 제거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210)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226)의 개구 부분에는,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구멍(130)의 주위에 있던 탄성편(140)과 동일한 탄성편(2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편(227)은 그 두께 방향으로 다소 절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멍(226)을 구비한 중간 부재(200)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그 후방의 면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가 구비되어 있던 돌출체(220)와 동일한 돌출체(1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체(151)는 막대형이고, 그 선단부에 구형의 구체(1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체는 구멍(226)에 약간 여유를 가진 상태에서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4)는, 결국,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와 중간 부재(200)의 고정을 실현하기 위해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에 마련되어 있던 구멍(130)과, 중간 부재(200)에 설치되어 있던 돌출체(220)의 위치 관계를 역전한 것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1-4)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그것이 구 비하는 돌출체(151)의 선단부의 구체(152)를 중간 부재(200)가 구비하는 구멍(226)에 삽입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간 부재(2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돌출체(151)의 구체(152)을 구멍(226)에 삽입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와 중간 부재(200)를 고정한 상태의 단면을 도1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5 변형예]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의 베이스(210)의 전방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체(220)가 설치되어 있었다.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5)의 중간 부재(200)는, 이것 대신에,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대(228)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토대(228)에는 볼록 곡면(229)이 마련되어 있다. 이 볼록 곡면(229)은 중간 부재(200)의 전방을 향해 볼록 설치되어 있다. 볼록 곡면(229)은 소정의 구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대(228)를 구비한 중간 부재(200)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그 후방의 면에 오목 곡면(15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 곡면(153)은 상술한 볼록 곡면(229)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볼록 곡면(229)과 오목 곡면(153)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볼록 곡면(229)과 오목 곡면(153)이 마련되어 있는 부재를 모두 자석에 의해 형성하거나, 혹은 한쪽 부재를 자석에 의해, 다른 쪽의 부재를 자석에 흡착하는 금속에 의해 형성하는 것 등을 함으로써 볼록 곡면(229)과 오목 곡면(153)이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하게 된다.
이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25)는,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곡면(229)과 오목 곡면(153)을 흡착시킴으로써 중간 부재(200)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착탈 가능한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중간 부재(200)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볼록 곡면(229)에 대해 오목 곡면(153)을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중간 부재(200)에 대한 각도를,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 변화되게 된다.
[제6 변형예]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의 베이스(210)의 전방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체(220)가 설치되어 있었다.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중간 부재(200)는, 이것 대신에, 토대(228)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토대(228)에는 오목 곡면(2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 곡면(230)은 중간 부재(200)의 전방으로 개구를 향한 오목부이다. 오목 곡면(230)은 후술하는 볼록 곡면(15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대(228)를 구비한 중간 부재(200)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그 후방의 면에 볼록 곡면(15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볼록 곡면(154)은 소정의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오목 곡면(230)과 볼록 곡면(154)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목 곡면(230)과 볼록 곡면(154)이 마련되어 있는 부재를 모두 자석에 의해 형성하거나, 혹은 한쪽 부재를 자석에 의해, 다른 쪽 부재를 자석에 흡착하는 금속에 의해 형성하는 것 등을 함으로써 오목 곡면(230)과 볼록 곡면(154)이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하게 된다.
결국, 이 제6 변형예는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볼록 곡면(229)과 오목 곡면(153)의 위치 관계를 역전시킨 것이다.
이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 곡면(230)과 볼록 곡면(154)을 흡착시킴으로써 중간 부재(200)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착탈 가능한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중간 부재(200)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오목 곡면(230)에 대해 볼록 곡면(154)을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중간 부재(200)에 대한 각도를,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서 변화되게 된다.
<중간 부재(200)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1개씩으로 한 경우>
이하, 중간 부재(200)와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1개씩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예(제7 및 제8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7 변형예]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7)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 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것은, 이하의 점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와 중간 부재(200)를 각각 2개씩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의 좌우 양 눈에 각각 대응된 안경(G)의 2개의 안경 렌즈(GL)의 각각에 중간 부재(200)를 거쳐서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7)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200) 및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1개씩만 갖고 있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이 화상 표시 장치(1-7)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가 갖고 있지 않았던 차폐체(300)를 갖고 있다. 또한, 차폐체(30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것이 있던 쪽이 사용자는 화상을 보기 쉬워진다.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7)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 및 중간 부재(20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 및 중간 부재(200)의 구성은 제1 내지 제6 변형예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안경 렌즈(GL)에 고정된다. 이 고정은 사용자의 오른쪽 눈 또는 왼쪽 눈에 대응하는 안경 렌즈(GL)의 한쪽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게 된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안경(G)이 구비하는 2개의 안경 렌즈(GL) 중 어느 쪽에 설치되어도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화상을 보기 쉬운 쪽의 눈에 대응하는 측의 안경 렌즈(GL)에 설치된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설치되지 않은 측의 안경 렌즈(GL)에는 차폐체(300)가 설치된다. 이 차폐체(300)는 본 발명의 차폐 수단에 상당한다.
차폐체(300)는 화상 표시 장치(1-7)의 사용 시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안경 렌즈(GL)에 설치하여 이용된다. 차폐체(300)는 그 상태에서 그것이 설치된 안경 렌즈(GL)에 대응하는 측의 눈의 시야 내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그 전에 놓인 측의 눈에 있어서의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범위, 혹은 그것을 포함하는 것보다 넓은 범위(차폐 범위)로 들어오는 광을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그 전에 놓인 측의 눈에 있어서의 표시 범위로 들어오는 광보다도 약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차폐체(300)는 차폐 범위에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광을 차폐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검은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에 의해 불투명으로 형성된 유연성이 있는 밀봉재로서 구성된다. 이 차폐체(300)는 그 일면의 전체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에 의해 안경 렌즈(GL)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1-7)는 이하와 같이 하여 이용한다.
이 화상 표시 장치(1-7)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안경(G)의 안경 렌즈(GL)의 한쪽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다른 쪽에 차폐체(300)를 고정하는 등의 준비를 행한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안경 렌즈(GL)에 고정하는 방법 및 그 후의 각도의 조정 방법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특별히 변경은 없다. 확 대 렌즈(114)의 위치 조정, 케이블(C)의 안경(G)의 손잡이로의 고정,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각도 조정 등을 행할 수도 있다. 안경(G)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와 차폐체(300)를 고정한 상태를 도16에 나타낸다.
이상의 준비를 행한 후,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에 의한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C)에 접속된 것(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원을 넣고, 필요한 조작을 행한다. 화상에 대한 상광은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에 내장한 확대 렌즈(114)를 거쳐서 그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설치된 안경 렌즈(GL)와 대응하는 눈으로 이송되어 그 눈에 결상한다. 한편, 차폐체(300)가 설치된 안경 렌즈(GL)와 대응하는 측의 눈에는 차폐체(300)가 보인다.
이때, 사용자의 눈 중,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상광이 결상하는 측의 것에는, 도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화상이 보인다.
이는, 도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사용자의 눈 중, 차폐체(300)가 그 전방에 놓인 측의 것에는, 도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체(300)가 어렴풋이 보인다. 차폐체(300)가 어렴풋이만 보이는 것은 이 차폐체(300)의 위치가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의 근점보다도 사용자의 눈에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에는 주로 외계(O)가 보이고 있다. 끝일수록 차폐체(300)는 상광이 결상되고 있는 측의 눈의 표시 범위(I)에 대응하는 범위(I')를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의 시야 중에 검게 보이고 있다. 이는, 차폐 체(300)가 있는 범위로부터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으로 들어오는 광이, 화상(I)이 보이고 있는 범위로부터 상광이 결상되고 있는 눈으로 들어오는 광보다도 약하게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는 설명을 위해 도시된 것이고, 실제는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는, I'를 포함시킨 부분 전체가 차폐체(300)로서 검게 보이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는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시선을 움직이지 않고, 외계의 경치도 인식할 수 있다. 시선을 움직이면, 물론 보다 많은 범위에서 외계의 경치를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상광이 결상되고 있는 눈으로 본 화상(I)과,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으로 본 차폐체(300)는 뇌 중에서 합성되어, 도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인다.
즉, 검은 차폐체(300) 상에 화상(I)이 올라타고 있는 것과 같이 보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상광이 결상되고 있는 측의 눈의 시야 중에 있어서의 화상(I)의 표시 범위와,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의 시야 중에 있어서의 표시 범위에 대응하는 범위로 비교하면, 표시 범위로부터 사용자의 상광이 결상되고 있는 눈이 받는 광자극은, 그것에 대응하는 범위로부터 사용자의 차폐체(300)를 보고 있는 눈이 받는 광자극보다도 더 많아진다. 이에 의해, 시야 투쟁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검은 차폐체(300) 상에 화상(I)이 올라타고 있는 것과 같이 보이도록 화상(I)을 보면서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위치 조정이나, 차폐체(300)의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제8 변형예]
제8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7 변형예의 차폐체(300)로 변경을 가한 것이 제8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가 된다.
제8 변형예에 있어서의 차폐체(301)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반에 의해 구성된다. 이 흡입반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 예를 들어 수지나 고무에 의해 형성된다. 유연성이 있는 소재는, 이 제8 변형예에서는 불투명한 것으로 되어 있다.
흡입반인 차폐체(301)는 안경 렌즈(GL)에 대해 착탈 가능해진다. 차폐체(301)는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차폐체(300)와 마찬가지로 그것이 설치된 안경 렌즈(GL)에 대응하는 측의 눈의 시계를 방지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2)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2)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와 동일한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2)는, 또한 중간 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200)는 금속, 또는 자석에 의해 구성된 3개의 핀(260)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핀(260)은 안경 렌즈(GL)의 두께의 3배 정도의 길이가 되고, 안경 렌즈(GL)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안경 렌즈(GL)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안경 렌즈(GL)의 양쪽에 3개씩 핀(260)이 고정된다.
핀(260)은 모두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경 렌즈(GL)의 전방을 향해 몇 개, 예를 들어 3 ㎜ 정도 돌출되도록 하여 안경 렌즈(GL)에 고정된다. 안경 렌즈(GL)에 대한 핀(260)의 고정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경 렌즈(GL)를 관통하도록 하여 개방한 구멍에 핀(260)을 삽입하고, 접착제로 핀(260)을 그 구멍의 내부에 접착 고정함으로써 핀(260)의 안경 렌즈(GL)로의 고정을 행하고 있다. 이 핀(260)은 매우 작고, 또한 사용자의 눈의 근점보다도 사용자 눈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 핀(260)이 붙은 안경(G)을 사용하였다고 해도, 사용자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은 실질적으로 없다.
쌍안경 렌즈(GL)에 고정된 3개의 핀(260)은 모두 가상의 원주의 소정의 3군데에 상당하는 위치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삼각형의 소정의 정점에 대응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2)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안경 렌즈(GL)로의 중간 부재(200)[핀(260)]의 고정을 우선 행해 둔다.
계속해서, 중간 부재(200)의 각각에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고정한다.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그 후방의 면에 볼록 곡면(15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볼록 곡면(154)을 3개의 핀(260)의 사이에 인입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중간 부재(200)에 대한 고정을 행하는 것이다. 볼록 곡면(154)은 3개의 핀(260)의 내측에, 도20의 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내접한다. 핀(260)과 볼록 곡면(154)은 자력에 의해 흡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핀(260)과 볼록 곡면(154)을 접촉시킴으로써, 볼록 곡면(154)과 핀(260)이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는 중간 부재(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중간 부재(200)에 대한 고정은 2개의 안경 렌즈(GL)의 양쪽에 대해 행한다.
이 상태에서 확대 렌즈(114)의 위치 조정, 케이블(C)의 안경(G)의 손잡이로의 고정,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각도 조정 등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 곡면(154)은 3개의 핀(260)과 접촉한 상태에서 핀(260)에 흡착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볼록 곡면(154)을 핀(260)에 대해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각도가 변화된다. 사용자는 화상을 보기 쉬워지도록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의 각도를 조정하면 된다.
이상의 준비를 행한 후,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에 의한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C)에 접속된 것(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원 을 넣고, 필요한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화상을 볼 수 있다.
화상을 볼 필요가 없어지면, 중간 부재(200)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제거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2)는 중간 부재(200) 및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를 각각 2개씩 구비하고, 2개의 안경 렌즈(GL)의 각각에 설치한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에 의해 양 눈으로 화상을 보는 타입의 것이었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제7 및 제8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쪽 눈으로 화상을 보는 타입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중간 부재(200)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100)가 설치되는 것이 예정된 안경 렌즈(GL)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족하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2)를 이용하는 경우, 중간 부재(20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안경 렌즈(GL)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제7 및 제8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차폐체(300, 301)를 설치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3)는,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3)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1)와 상당한 부분에서 그 구성을 동일하게 하지만, 중간 부재(200)를 구비하지 않는다.
화상 표시 장치(3)는,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110)와 동일한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구조에 관해서도, 이 케이스(110)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 단, 이 케이스(110)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케이스(110)가 구비되어 있던 구멍(130)과, 탄성편(140)이 없다. 그 대신에, 구멍(130)이 있던 위치에 흡입반(160)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반(160)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져 있다.
흡입반(160)은, 도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반(160)은 케이스(110)의 배면에 설치된 제1 축체(171) 및 제1 축체(171)와 직교하도록 하고, 제1 축체(171)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제2 축체(172)를 거쳐서 케이스(1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축체(171)는 그 양단부를 수용하는 베어링(173)에 의해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축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 축체(172)는 제1 축체(171)에 그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제1 축체(171)의 상술한 회전에 따라서 제1 축체(17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흡입반(160)의 이측에는 흡입반(160)과 일체로 성형된 2개의 파지체(141)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파지체(141)는 제2 축체(172)에 제1 축체(171)를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로 설치할 수 있다. 파지체(141)에는, 절결부로부터 제2 축체(172)를 그 내부에 넣을 수 있는 구멍이 개방되어 있고, 제2 축체(172)를 절결부로부터 그 구멍 증에 압입함으로써 제2 축체(172)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3)는 흡입반(160)을 안경 렌즈(GL)에 흡착시킴으로써 안경 렌즈(GL)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스(110)에 설치된 흡입반(160)은 케이스(110)에 대 해, 제1 축체(171)와, 제2 축체(172)를 회전의 축으로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축체(171)는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제2 축체(172)는 그것에 수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안경 렌즈(GL)에 설치된 화상 표시 장치(3)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3)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3)는 사용에 있어서, 흡입반(160)을 안경 렌즈(GL)로 압박함으로써 안경 렌즈(GL)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확대 렌즈(114)의 위치 조정, 케이블(C)의 안경(G)의 손잡이로의 고정, 화상 표시 장치(3)의 각도 조정 등을 행해도 좋다.
이상의 작업을 좌우 양 눈용 안경 렌즈(GL)의 양쪽에 대해 행한다.
이상의 준비를 행한 후, 화상 표시 장치(3)에 의한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C)에 접속된 것(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원을 넣고, 필요한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화상을 볼 수 있다.
화상을 볼 필요가 없어지면, 안경 렌즈(GL)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3)를 제거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3)는 안경 렌즈(GL)의 편측에만 설치해도 좋고, 양측에 설치해도 좋다. 후자이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상태에서, 전자이면 제1 실시 형태의 제7 또는 제8 변형예와 동일한 상태에서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전자의 경우이면, 화상 표시 장치(3)가 설치되지 않은 측의 안경 렌즈(GL)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제7 및 제8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차폐체(300, 301)을 설치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4)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4)는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3)와 상당한 부분에서 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3)는 케이스(110)의 배면에 흡입반(160)을 구비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4)는 흡입반(160)을 구비하지만, 그 설치 위치가 제3 실시 형태인 경우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입반(160)은 경통(120)의 선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반(160)은 고무 등의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되어 있고, 주발형이고 그 내측 부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부분)에 흡입반(160)과 동심(同心)이 되는 구멍이 뚫려 있다. 그 구멍에 경통(120)을 삽입한 상태에서 흡입반(160)은 경통(120)에 고정되어 있다. 흡입반(160)의 구멍의 내측과, 경통(120)의 외주면은 기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화상 표시 장치(4)는 흡입반(160)을 안경 렌즈(GL)에 흡착시킴으로써 안경 렌즈(GL)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입반(160)의 설치 위치 및 그 내측의 주발형이 된 부분의 깊이는 안경 렌즈(GL)에 화상 표시 장치(4)를 고정한 경우에 경통(120)의 선단부가 안경 렌즈(GL)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4)의 사용 방법은 화상 표시 장치(3)의 사용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4)는 화상 표시 장치(3)와 마찬가지로 안경 렌즈(GL)의 편측에만 설치해도 좋고, 양측에 설치해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 화상 표시 장치(4)가 설치되지 않은 측의 안경 렌즈(GL)에 제1 실시 형태의 제7 및 제8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차폐체(300, 301)를 설치할 수 있는 점도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5)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3)와 상당한 부분에서 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3)는 케이스(110)의 배면에 흡입반(160)을 구비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5)는 흡입반(160)을 구비하지만, 그 설치 위치가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입반(160)은 경통(120)의 선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통(120)은 그 외측면의 형상이,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 부분이 팽창된 통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흡입반(160)은 고무 등의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되어 있고, 주발형이고, 그 중앙 부근에 흡입반(160)과 동심이 되는 구멍이 뚫려 있다. 또한, 이 흡입반(160)의 구멍의 내측에는 투명한 창부재(161)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창부재(16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제이고, 그 외주 부분이 구멍의 내측 부분과 기밀해지도록 하고, 구멍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흡입반(160)은 그 창부재(161)의 근변에서 고정부(162)와 고정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고정부(162)는 그 내측면이 경통(120)의 외주면의 선단부 부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정부(162)는 흡입반(16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62)는 흡입반(160)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62)의 내측에,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경통(120)을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부(162) 및 그것과 일체로 한 흡입반(160)은 경통(120)에 고정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5)는 흡입반(160)을 안경 렌즈(GL)에 흡착시킴으로써 안경 렌즈(GL)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입반(160)의 설치 위치 및 그 내측의 주발형의 부분의 깊이는 안경 렌즈(GL)에 화상 표시 장치(5)를 고정한 경우에 창부재(161)가 안경 렌즈(GL)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화상 표시 장치(5)는 경통(120)에 대해 고정부(162)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경통(120)에 대한, 환언하면, 경통(120) 내에 있는 렌즈의 광축에 대한 각도를 20°정도의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안경 렌즈(GL)에 설치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5)의 사용 방법은 화상 표시 장치(3)의 사용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필요에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5)를 경통(120)에 대해 요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화상을 보기 쉬운 각도로 화상 표시 장 치(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5)는 화상 표시 장치(3)와 마찬가지로 안경 렌즈(GL)의 편측에만 설치해도 좋고, 양측에 설치해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5)가 설치되는 측의 안경 렌즈(GL)에 제1 실시 형태의 제7 및 제8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차폐체(300, 301)를 설치할 수 있는 점도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6)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6)는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3)와 상당한 부분에서 그 구성을 동일하게 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3)는 케이스(110)의 배면에 흡입반(160)을 구비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6)는 흡입반(160)을 구비하지만, 그 설치 위치가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입반(160)은 경통(120)의 선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통(120)의 선단부 부근의 외측의 경통(120)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는 원통형으로 한 핀(121)이 경통(120)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흡입반(160)은 고무 등의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되어 있고, 주발형이고, 그 중앙 부근에 흡입반(160)과 동심이 되는 둥근 구멍이 뚫려 있다. 또한, 이 흡입반(160)의 구멍의 내측에는 투명한 창부재(161)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창부 재(16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제이고, 그 외주 부분이 구멍의 내측 부분과 기밀해지도록 하여 구멍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흡입반(160)은 그 창부재(161)의 근변에서 고정 부재(163)와 고정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고정 부재(163)는 그 내측면이 경통(120)의 외주면의 선단부 부근의 형상에 대응하게 된 링형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163)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흡입반(160)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는 원통형으로 된 핀(16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164)은 고정 부재(163)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되어 있다.
흡입반(160)과, 경통(120)은 링형으로 형성된 링 부재(165)에 의해 접속된다. 링 부재(165)는 경통(120)의 선단부 부분의 외경보다도 그 내경이 약간 크고, 또한 고정 부재(163)의 내경보다도 그 외경이 약간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링 부재(165)에는 그 중심을 대칭의 중심으로서 상호 대칭이 되는 4개의 위치에 구멍이 뚫려 있다. 4개의 구멍 중, 상기 중심을 대칭으로 하여 반대측에 존재하는 2개의 구멍(166A)은 경통(120)에 설치된 핀(121)을 그 구멍(166A)으로 유도하기 위한 절결부(166X)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른 2개의 구멍(166B)은 고정 부재(163)에 설치된 핀(164)을 그 구멍(166B)으로 유도하기 위한 절결부(166Y)이고, 절결부(166X)와는 반대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구비하고 있다. 절결부(166X) 내를 미끄럼 이동시켜 2개의 핀(121)을 2개의 구멍(166A) 내에 각각 끼워 넣는 동시에, 절결부(166Y) 내를 미끄럼 이동시켜 2개의 구멍(166B) 내에 2개의 핀(164)을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흡입반(160)과, 경통(120)은 링 부재(165)를 거쳐서 접속되 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경통(120)에 설치된 흡입반(160)은 경통(120)에 대해 2개의 축[2개의 핀(121)을 가상적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축, 2개의 핀(164)을 가상적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축]의 주위로 요동할 수 있다.
이 화상 표시 장치(6)는 흡입반(160)을 안경 렌즈(GL)에 흡착시킴으로써 안경 렌즈(GL)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입반(160)의 설치 위치 및 그 내측의 주발형의 부분의 깊이는 안경 렌즈(GL)에 화상 표시 장치(6)를 고정한 경우에 창부재(161)가 안경 렌즈(GL)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술한 2개의 축은 안경 렌즈(GL)에 화상 표시 장치(6)를 설치한 경우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에 거의 따르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6)는 안경 렌즈(GL)에 설치한 상태에서, 대략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화상을 보기 쉬운 각도로 화상 표시 장치(6)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6)의 사용 방법은 화상 표시 장치(3)의 사용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화상 표시 장치(6)는 화상 표시 장치(3)와 마찬가지로, 안경 렌즈(GL)의 편측에만 설치해도 좋고, 양측에 설치해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 화상 표시 장치(6)가 설치되지 않는 측의 안경 렌즈(GL)에 제1 실시 형태의 제7 및 제8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차폐체(300, 301)를 설치할 수 있는 점도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6)에 있어서의 흡입반(160)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 이 변형할 수 있다. 이 흡입반(160)은 2개이고, 그 정상점 부분에 접속된 막대형의 다리(167)의 선단부에 상술한 핀(164)과 마찬가지로 형성된 핀(168)의 대략 중심을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이 흡입반(160)은 2개의 핀(168)을 절결부(166Y) 내를 미끄럼 이동시켜 구멍(166B)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링 부재(165)에 설치된다. 이 변형예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6)도 안경 렌즈(GL)에 설치한 상태에서 대략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Claims (17)

  1. 사용 시에 사용자의 몸에 걸친 안경의 렌즈인 안경 렌즈에 설치하여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대해 고정을 행할 수 있는 중간 부재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한쪽 눈 앞에 위치하는 것이고, 소정의 화상의 상광을 상기 한쪽 눈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한쪽 눈의 시야의 일부인 표시 범위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한쪽 눈으로 상기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갖고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안경 렌즈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되는 막대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 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흡입반 또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입반 또는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안경 렌즈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고, 그 선단부에 대략 구형의 구부를 갖는 막대형의 돌출체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개구를 갖고, 그 개구로부터 그 내부에 상기 구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공간에 상기 구부가 들어갔을 때에 상기 구부가 상기 공간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를 갖고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막대형체의 선단부에 대략 구형이 되는 동시에, 상기 공간에 삽입할 수 있는 구부를 갖는 돌출체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공간에 상기 구부가 들어갔을 때에 상기 구부가 상기 공간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소정의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볼록 곡면을 갖는 볼록부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에는 상기 볼록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인 오목 곡면을 갖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오목 곡면을 갖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에는 상기 오목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이고, 소정의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볼록 곡면을 갖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그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경우에, 상기 안경 렌즈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것이고, 또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3개의 돌출편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고정 수단에는 상기 돌출편에 접촉하는 볼록 곡면을 갖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돌출편은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중간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 본체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중 적어 도 일방향으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1. 사용 시에 사용자의 몸에 걸친 안경의 렌즈인 안경 렌즈의 평활한 면에 설치하여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한쪽 눈 앞에 위치하는 것이고, 소정의 화상의 상광을 상기 한쪽 눈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한쪽 눈의 시야의 일부인 표시 범위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한쪽 눈으로 상기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렌즈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흡입반 또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입반 또는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을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표시 수단으로부터의 상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유도하는 렌즈를 수납한 상기 케이스로부터 볼록 설치된 경통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상기 경통에 마련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그 내측 부분에 상기 경통의 외주에 접촉하는 구멍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경통을 그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경통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반이 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그 내측 부분에 상기 상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투명한 부분을 갖고, 또한 그 투명한 부분을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면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반이 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배치된 점착제가 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 수단은 상기 안경 렌즈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77005534A 2004-08-10 2005-08-09 화상 표시 장치 KR200700492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3912A JP4018677B2 (ja) 2004-08-10 2004-08-10 画像表示装置
JPJP-P-2004-00233912 2004-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05A true KR20070049205A (ko) 2007-05-10

Family

ID=3583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534A KR20070049205A (ko) 2004-08-10 2005-08-09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86586A1 (ko)
EP (1) EP1777953A4 (ko)
JP (1) JP4018677B2 (ko)
KR (1) KR20070049205A (ko)
CN (1) CN101002462A (ko)
WO (1) WO2006016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7007A (zh) * 2005-01-28 2008-03-19 斯卡拉株式会社 万向接头和图像显示装置
US20080013037A1 (en) * 2006-07-17 2008-01-17 Carollo Jerome T Eyeglass-mounted virtual display system
EP2165234A1 (en) * 2007-06-07 2010-03-24 Panagiotis Pavlopoulos An eyewear comprising at least one display device
FR2918770B1 (fr) * 2007-07-10 2009-09-11 Essilor Int Afficheur destine a etre integre a une paire de lunettes.
CN101975993A (zh) * 2010-08-25 2011-02-16 山东众泰威圣智能电子技术有限公司 消防用目镜显示器
JP5477310B2 (ja) * 2011-02-24 2014-04-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頭部装着型の画像表示装置
US9001005B2 (en) 2012-02-29 2015-04-07 Recon Instruments Inc. Modular heads-up display systems
EP2634617A1 (en) * 2012-02-29 2013-09-04 Recon Instruments Inc. Modular heads-up display systems
US9069166B2 (en) 2012-02-29 2015-06-30 Recon Instruments Inc. Gaze detecting heads-up display systems
US9857590B2 (en) * 2014-10-11 2018-01-02 Floyd Steven Hall, Jr. Method and system for press-on displays for fashionable eyewear and nosewear
US10378858B2 (en) 2016-01-21 2019-08-13 Kai W. Gul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 target
US20190012841A1 (en) * 2017-07-09 2019-01-10 Eyedaptic, Inc. Artificial intelligence enhanced system for adaptive control driven ar/vr visual aids
US12050323B2 (en) * 2019-07-10 2024-07-30 Visionsafe, Llc Heads-up display apparatus for use during a smoke emergency
US20240064280A1 (en) * 2022-08-18 2024-02-22 Apple Inc. Optical assemblies for shared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5416A1 (de) * 1991-03-08 1992-09-10 Menrad Ferdinand Gmbh Co Kg Kombinationsbrille
US5266977A (en) * 1991-07-12 1993-11-30 Linden Harry A Lens device and method
US5546227A (en) * 1993-02-24 1996-08-13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US5585871A (en) * 1995-05-26 1996-12-17 Linden; Harry Multi-function display apparatus
CA2324171A1 (en) * 1999-10-23 2001-04-23 Suk Jae Lee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spectacles and clip-on sunshades with each other
US6431705B1 (en) * 1999-11-10 2002-08-13 Infoeye Eyewear heart rate monitor
JP2002189464A (ja) * 2000-12-21 2002-07-05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2277816A (ja) * 2001-03-21 2002-09-25 Minolta Co Ltd 映像表示装置
DE10231427B4 (de) * 2002-07-11 2015-02-19 Carl Zeiss Ag Anzeig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86586A1 (en) 2008-08-07
JP4018677B2 (ja) 2007-12-05
EP1777953A4 (en) 2008-01-23
CN101002462A (zh) 2007-07-18
JP2006054618A (ja) 2006-02-23
WO2006016691A1 (ja) 2006-02-16
EP1777953A1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9205A (ko) 화상 표시 장치
US7319437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134106A (ko) 화상 표시 장치
EP3360001B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US1071257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mountable head mounted displays
US8493287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6873155B (zh) 一种头戴显示器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JP2010231119A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KR20020088226A (ko)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KR20170044296A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029675A1 (ja) 装着型電子めがね装置
EP2625561B1 (en) Glasses
JPH06315124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H05183838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2005195822A (ja) 画像表示装置
JP2001305475A (ja) 映像表示装置
JPH06315123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WO2005026819A1 (ja) 画像表示装置
JP2005195821A (ja) 画像表示装置
JPH06315121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H06315122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