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877A -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 Google Patents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877A
KR20070047877A KR1020050104709A KR20050104709A KR20070047877A KR 20070047877 A KR20070047877 A KR 20070047877A KR 1020050104709 A KR1020050104709 A KR 1020050104709A KR 20050104709 A KR20050104709 A KR 20050104709A KR 20070047877 A KR20070047877 A KR 2007004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ill
communication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6695B1 (ko
Inventor
최경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 중 비디오 디코더에서 발생하는 에러율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상기 에러율을 미리 정한 기준 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에러율이 미리 정한 상기 기준 값보다 크면 송신측 단말기로 정지 화상의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 상기 요청에 따른 정지 화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통신, 화면 전환, 화질 개선, 정지화상, 동화상

Description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VIDEO TELEPHONY FOR ACCEPTING MOVIE AND STILL PIC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화상 통신중 화질 저하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화상 통신시 에러율을 확인하여 에러율에 따라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 통신시 발생하는 화질 저하 현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상 통신 중 통신 방법의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네트워크의 부하가 커지는 경우 동화상 통화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지 영상만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임의로 획득한 영상을 무작위로 보내어 깨지거나 의미 없는 영상만 확인가능한 일을 방지하도록 하여 영상 통화의 주목적인 원하는 영상 전송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정지 화상을 이용한 화상 통신의 화질 개선 방법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이 급격히 개선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화만을 위한 기기가 아닌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 기기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 개선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으로는 데이터 통신의 고속화, 표시부의 개선, 그리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능력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는 고성능 제어부와 복잡한 연산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및 방대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 기능까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가 부착된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가 화상 통신(Video Telephony)이다.
3세대 휴대 단말기에 새롭게 제공되는 서비스 중 하나인 영상 통화 서비스는 회로 스위치 서비스의 일종으로, 정해진 비율로 전송자(bearer)를 설정한 후 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상대방이나 상대방이 비추는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IMT-2000은 전세계적으로 동일한 주파수(2GHz) 대역을 사용하여 로밍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유럽식인 비동기식 CDMA 방식과 북미식인 동기식 CDMA 방식이 있다. 비동기식 CDMA 방식을 W-CDMA(Wideband CDMA)라 하고, 동기식 CDMA를 MC-CDMA(Multi Carrier CDMA)라고도 하고 IMT-2000망에서 화상전화를 제공하기 위해서 는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정의하는 국제적 표준인 H.323 또는 H.324M을 시스템에 구현해야 한다. H.323은 패킷데이터망인 IP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H.324M은 기존의 H.324를 무선망 용도로 개선한 것이다. H.324는 PSTN망을 기준으로 개발된 시스템 프로토콜이고, H.324M(Mobile)은 이동통신용으로 H.324를 개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이미지와 사용자의 음성을 모두 전송하게 되는데, 그 비율은 네트워크로부터 요청되는 전송률을 따르게 된다.
하지만, 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은 지속적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통신 네트워크의 환경이 좋지 않으면 프레임 데이터로 전송되는 영상 프레임들 중 일부가 소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자는 깨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임의의 획득 영상만 전송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즉, 영상 통화의 주목적인 원하는 영상과 음성의 전송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의미 없는 영상이나 깨진 영상만이 전송되는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장 낮은 전송률이 설정되는 경우 음성만이 전송되며 영상은 전혀 전송될 수 없게 되어 화상 통신의 의미가 없으므로 화상 통화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신시 발생하는 화질 저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요구에 따라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통신시 발생하는 화질 저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디오 디코더에서 발생하는 에러량을 미리 정한 기준값보다 비교하여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 중 통신 모드 변경 이벤트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사결과 정지 영상의 요청을 입력받으면 송신측 단말기로 상기 정지 영상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요청한 정지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통화의 종료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을 이용한 화상 통신의 화질 개선 방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 중 비디오 디코더에서 발생하는 에러율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상기 에러율을 미리 정한 기준 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에러율이 미리 정한 상기 기준 값보다 크면 송신측 단말기로 정지 화상의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 상기 요청한 정지 화상을 수신하여 통화하고 통화의 종료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화상통신의 요구가 발생하면 비디오 디코더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 후 디코딩시키며, 카메라(104)로부터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는 인코딩한 후, JPEG/MPEG의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도록 제어하며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통신 모드의 전환을 요청받으면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동화상 통화 중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측정된 에러량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크면 정지 화상을 요청하도록 제어하고, 정지 화상으로 통화시 에러량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으면 송신측으로 동화상의 통신을 요청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비디오 인코더(112)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화상 프레임으로 인코딩하고, 비디오 디코더(114)는 카메라로부터 수 신된 화상 프레임을 압축 해제하여 디코딩하고 네트워크 에러 및 딜레이 같은 외부환경에 따라서 전송된 영상이 손상되는 에러를 확인한다.
메모리(110)는 롬, 램으로 구성되며 롬(ROM : Read Only Memory)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RF(Radio Frequency)부(116)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및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뿐만 아니라 무선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에서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제어부(100)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처리한다.
또한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104)로부터 입력되어 비디오 인코더에선 인코딩, 압축 처리된 각종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한다.
오디오부(108)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RF부(116)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또한 화상 통신시 RF부(116)로부터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무선 오디오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 출력시킨다.
키패드(key pad)(10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화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6)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고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화상 통신 중 화질 저하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통신 발생 이벤트를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의 검사결과 화상 통신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후 화상 통신 발생 이벤트를 재확인한다.
만일 상기 201단계의 검사결과 화상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을 실시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통신 모드의 변경을 입력받는지 검사한다. 상기 207단계의 검사결과 통신 모드의 변경을 요청받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 하여 현재 통화 모드를 유지하여 통신하고 21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의 종료를 검사한다.
만일 207단계의 검사결과 사용자로부터 통신 모드의 변경을 요청받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송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통신 모드 변경을 요청한다. 상기 단계에서 통신 모드의 변경 요청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의 정해진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측으로 변경된 모드의 통신을 요청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드 변경 요청에 따른 영상을 수신하여 통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의 종료를 검사한다. 상기 215단계의 검사결과 통화 종료로 확인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부터 통화 종료를 확인할 때까지 과정을 반복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화상 통신시 에러율을 확인하여 에러율에 따라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화상 통신 발생 이벤트의 발생을 검사한다. 상기 301단계의 검사결과 화상 통신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후 화상 통신 발생 이벤트를 재검사한다.
만일 301단계의 검사결과 화상 통신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동화상을 이용한 화상 통신을 실시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되는 영상의 에러율을 측정한다. 상기 307단계의 에러율 측정은 휴대용 단말기의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디코딩하는 중 확인되는 Macro Block 의 손실 갯 수로 확인하며 상기 307단계에서 수신되는 영상의 에러율의 측정을 완료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7단계에서 검출된 에러의 갯 수가 화상 통화에 적합한 값보다 큰지 검사한다. 상기 309단계는 화상 통화시 발생하는 화질 저하 현상에 따라 미리 정한 값을 기준으로 정지 영상 또는 동화상으로 통신하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에러율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미리 정한 기준 값은 상기 화상 통신 중 수신하는 상기 동화상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에러 갯 수이다.
상기 309단계의 검사결과 에러율이 화상 통화에 적합한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송신측 단말기로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을 요청하고 315단계로 진행하여 요청에 따른 영상을 수신하여 통화를 한다.
만일 상기 309단계의 검사결과 휴대용 단말기의 비디오 디코더에서 확인된 에러율이 화상 통화에 적합한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크면 휴대용 단말기는 화질이 좋지 않은 동화상으로 통신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화질이 좋은 정지 영상으로 통신을 송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요청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통신 모드의 전환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정의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통신 모드의 전환을 요청하며 상기 315단계에서 정지 영상으로 통신을 요청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요청에 따른 영상을 수신하여 통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종료를 검사하고 상기 317단계의 검사결과 통화 종료로 확인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중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과정부터 통화 종료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 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화상 통신시 움직임이 많은 경우나 복잡한 영상이 잡힌 경우 화질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지 화상으로 전환하거나 발생하는 에러율을 확인하여 에러율에 따른 통신 모드의 전환 방법을 제공함으로 화상 통신시 발생하는 화질 저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7)

  1.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 중 통신 모드 변경 이벤트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사결과 정지 영상 모드의 요청을 입력받으면 송신측 단말기로 상기 정지 영상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요청에 따라 정지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을 이용한 통화 중 동화상 모드의 요청을 받으면 송신측 단말기로 상기 동화상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요청에 따른 동화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화상 통신의 방법으로 동화상과 음성을 포함하여 통신하는 동화상 모드와 정지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여 통신하는 정지 영상 모드를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4.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이용한 통신 중 비디오 디코더에서 발생하는 에러율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상기 에러율을 미리 정한 기준 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에러율이 미리 정한 상기 기준 값보다 크면 송신측 단말기로 정지 화상의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
    상기 요청에 따른 정지 화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정지 화상을 이용한 통신 중 상기 에러율이 미리 정한 상기 기준 값보다 작으면 송신측 단말기로 동화상의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
    상기 요청에 따른 동화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화상 통신의 방법으로 동화상과 음성을 포함하여 통신하는 동화상 모드와 정지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여 통신하는 정지 영상 모드를 포함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기준 값은 상기 화상 통신 중 수신하는 상기 동화상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에러 갯 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KR1020050104709A 2005-11-03 2005-11-03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KR101216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709A KR101216695B1 (ko) 2005-11-03 2005-11-03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709A KR101216695B1 (ko) 2005-11-03 2005-11-03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877A true KR20070047877A (ko) 2007-05-08
KR101216695B1 KR101216695B1 (ko) 2012-12-31

Family

ID=3827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709A KR101216695B1 (ko) 2005-11-03 2005-11-03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37B1 (ko) * 2007-08-01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KR101448620B1 (ko) * 2007-07-12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에러 알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744B1 (ko) 2005-05-1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지화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정지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620B1 (ko) * 2007-07-12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에러 알림 방법
KR101351037B1 (ko) * 2007-08-01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695B1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840B2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93446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telephony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9506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vision broadcasting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681197B2 (en)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1007262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통화 연결 방법
KR2006002243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지역 알림 방법
KR1006404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KR101216695B1 (ko)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US20090174762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48777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정보를 복구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US815997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image data in video telephone mode of a wireless terminal
US20070044021A1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72520B1 (ko) 영상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영상기기 제어 방법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EP2317747A1 (en) A realiz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phone
KR20120058763A (ko) 영상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0000206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telephony
KR20040059662A (ko)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한 동영상메일 통신장치 및 방법
KR2011002446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31585B1 (ko) 카메라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2223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영상 컬러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812505B1 (ko) 대체 영상을 전송하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421055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とその通信装置
JP2009100378A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携帯端末、画像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55761A1 (zh) 一种可视电话动态相框实现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