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158A -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158A
KR20070047158A KR1020050103981A KR20050103981A KR20070047158A KR 20070047158 A KR20070047158 A KR 20070047158A KR 1020050103981 A KR1020050103981 A KR 1020050103981A KR 20050103981 A KR20050103981 A KR 20050103981A KR 20070047158 A KR20070047158 A KR 2007004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unit
main body
carbon dioxide
at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0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7158A/ko
Publication of KR2007004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가 구비된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외측과 연통된 일측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모으는 모기유인부와; 상기 모기유인부에 의하여 모여든 모기를 포집하여 퇴치하는 모기퇴치부와; 상기 모기퇴치부와 모기유인부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장치의 공간을 활용하여 모기퇴치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게 됨으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게 되며 두개의 부품을 하나로 합치는 것에 의하여 생산비를 절감하게 된다.
영상장치, 모기유인부, 모기퇴치부, 이산화탄소, 저장탱크

Description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Image device with mosquito control function}
도 1은 종래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모기퇴치 기능을 구성하는 모기유인부와 모기퇴치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영상장치 32 : 본체
34 : 프레임 40 : 모기유인부
42 : 가이드돌기 44 : 상부케이스
46 : 상측경계망 48 : 저장탱크
50 : 수위측정센서 52 : 배수관
54 : 메인밸브 56 :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센서
58 : 반응부 59 : 이산화망간 가루
60 : 모기퇴치부 62 : 가이드돌기
64 : 하부케이스 66 : 하측경계망
68 : 흡입공 70 : 송풍부
72 : 팬 74 : 모터
80 : 접착포 90 : 디스플레이장치
92 : 커넥터수용부 94 : 커넥터삽입부
본 발명은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장치의 일측에 이산화탄소를 인의적으로 발생시키는 모기 유인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인장치를 향하여 모여든 모기를 흡입하여 포집하게 되는 포획부가 설치된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보다 대형화된 화면을 가지는 영상표시수단의 요구가 점증되어 왔으나, 종래의 일반적인 영상표시수단이었던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직시형 음극선관은 화면을 대형화시키기 위해서는 음극선과 자체를 대형으로 제작해야 하는데 따른 현실적 여러 제약 요인 등으로 인하여 대형화 정도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대형화된 화면을 얻을 수 있는 방안으로서 개 발되어 실용화된 것이, 소위 프로젝션 텔레비젼이나 오디오 프로젝터와 등과 같은 상품의 영상 투사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영상 투사 시스템은 특수 제작된 소형 음극선관(CRT)이나 액정표시소자(LCD) 또는 폴리머 분산 액정 표시판넬(PDLC) 등의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을 사용하여 영상을 발생시키고, 그 영상을 광학렌즈 예를 들어 프로젝션 렌즈를 이용하여 확대시켜 대형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최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형 화면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에서 날로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본체(10)의 전면에 스크린(11)이 설치되고, 본체(10)의 배면에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리어커버(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빛을 투광시키는 프로젝터(13)가 설치되고, 상기 프로젝터(13)로부터 투광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14)가 리어커버(12)상에 장착되는바, 상기 미러(14)를 통해 반사된 빛이 스크린(11) 상에 화상으로 투영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를 가지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포함하여 영상장치의 측면등에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현대사회에서는 인류와 함께 공존해오면서 여러가지 질병과 전염병으 로 수천명의 사람과 수만의 가축의 목숨을 빼앗아 가는 해충이, 과학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공해와 지구온난화로 해충이 더욱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환경공해에 적응하면서 내성이 생겨 현재까지 해충을 완전히 방제할 뚜렷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살충제를 분무하거나, 살충제을 증발시키는 장치를 사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수단이 있지만, 살충제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해충의 내성이 강해져서 싶게 죽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모기는 숙주 동물의 체취, 숙주 동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및 이산화탄소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기를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모기향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모기를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모기를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모기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모기를 퇴치하기 위한 장치는 각 가정마다 보급된 영상장치와는 별도의 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의하여 비교적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별도의 전원공급부가 요구되는 것에 의하여 생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장치에서 활용되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과, 모기 퇴치를 위한 장치가 영상장치와는 별도 로 설치된 것에 의하여 제품의 생산비가 증가되며, 공간활용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본체가 구비된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외측과 연통된 일측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모으는 모기유인부와; 상기 모기유인부에 의하여 모여든 모기를 포집하여 퇴치하는 모기퇴치부와; 상기 모기퇴치부와 모기유인부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기유인부와 모기퇴치부는 상기 영상장치의 본체 측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기유인부는; 상기 본체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과산화수소가 보관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과산화수소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메인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과산화수소와 반응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이산화망간 가루가 있는 반응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기퇴치부는; 상기 본체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면이 통공 형성된 흡입공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를 통 하여 유입된 모기를 포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 측면에 부착된 접착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측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모기유인부와 모기퇴치부의 동작상태를 알려주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 내측에는 수위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과산화수소의 수량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기유인부에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기유인부에 설치된 장치들과 연결된 전선은 커넥터삽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삽입부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수용부는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기유인부의 상측과 상기 모기퇴치부의 하측은 모기가 통과할 수 없는 경계망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장치의 공간을 활용하여 모기퇴치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게 됨으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게 되며 두개의 부품을 하나로 합치는 것에 의하여 생산비를 절감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모기퇴치 기능을 구성하는 모기유인부와 모기퇴치부 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장치(30)의 본체(32) 측면에는 외측과 연통된 일측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모으는 모기유인부(40)와, 상기 모기유인부(40)에 의하여 모여든 모기를 포집하여 퇴치하는 모기퇴치부(60)가 프레임(34)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기유인부(40)는, 상기 본체(32)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34)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가이드돌기(42)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은 개방되고 하측은 상측경계망(46)이 형성된 상부케이스(4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케이스(44)의 내측에는 과산화수소가 보관되기 위한 저장탱크(48)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48) 내측에는 수위측정센서(50)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48) 내측에 보관된 과산화수소가 설정된 양보다 적을 경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배수관(52)에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메인벨브가 설치됨으로, 상기 과산화수소의 투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메인밸브(54) 하측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이산화망간 가루(59)가 있는 반응부(5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기유인부(40)에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센서(56)가 설치되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게 됨으로,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모기유인부(40) 하측에 설치된 모기퇴치부(60)는, 상기 본체(32)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34)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가이드돌기(62)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과 하부면은 막혀 있으며, 상측면에는 모기는 통과하지 못하는 하측경계망(66)이 설치되어 하부케이스(64)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64)의 전면이 통공 형성된 흡입공(68)에 설치되는 송풍부(70)는 팬(72)과 모터(74)로 이루어지며, 외측의 공기와 모기를 상기 하부케이스(64) 내측으로 유입하게 된다.
상기 송풍부(70)를 통하여 유입된 모기를 포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64) 측면에는 끈끈이가 도포된 접착포(80)가 부착된다.
상기 송풍부(70)와 상기 수위측정센서(50), 메인밸브(54),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센서(56)는 상기 모기퇴치부(60)와 모기유인부(40)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제어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측의 디스플레이장치(90)와 연결되어, 상기 모기유인부(40)와 모기퇴치부(60)의 동작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상기 하측경계망(66)은 모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좁은 통공을 가지게 되며, 상기 상측경계망(46)도 동일한 통공을 갖게 되거나, 좀더 큰 통공을 갖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44)를 프레임(34) 외측으로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모기유인부(40)에 설치된 장치들과 연결된 전선은 커넥터삽입부(94)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삽입부(94)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수용부(92)는 상기 본체(32) 측면에 형성됨으로, 상기 커넥터수용부(92)에서 커넥터삽입부(94)를 분리하고 상기 모기유 인부(40)를 프레임(34)에서 분리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모기퇴치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장치(30)의 작동과 같이 작동하거나, 리모콘등에 의한 입력장치에 의하여 동작명령이 내려지면, 제어부에서는 메인밸브(54)를 개방하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밸브(54)가 개방되어 저장탱크(48) 내측의 과산화수소가 반응부(58) 내측의 이산화망간 가루(59)에 떨어져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70)의 팬(72)도 동작됨으로, 외측의 공기와 모기를 흡입공(68)을 통하여 하부케이스(64) 내측으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64) 내측으로 흡입된 공기는 하측경계망(66)과 상측경계망(46)을 통하여 상부케이스(44) 내측으로 이동하여 이산화탄소를 영상장치(30) 외측으로 발산시키게 된다.
이산화탄소의 발생지점을 따라 몰려든 모기는 상기 송풍부(70)의 흡입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부케이스(64) 내측으로 유입되어 접착포(80)에 달라붙어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설정치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발생될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센서(56)에서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어 메인밸브(54)를 닫게 됨으로, 실내공기 오염을 사전에 차단하게 된다.
상기 모기유인부(40)와 모기퇴치부(60)는 영상장치(30)의 프레임(34)에서 분 리하여, 과산화수소나 이산화망간 가루(59)를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포(80)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시, 제어부와 연결된 전선은 커넥터수용부(92)와 커넥터삽입부(94)의 결합에 의하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에 의하면, 영상장치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이용하여 모기를 퇴치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게 됨으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 하게 되며, 보다 쾌적한 시청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외형을 이루는 본체가 구비된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외측과 연통된 일측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모으는 모기유인부와;
    상기 모기유인부에 의하여 모여든 모기를 포집하여 퇴치하는 모기퇴치부와;
    상기 모기퇴치부와 모기유인부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유인부와 모기퇴치부는 상기 영상장치의 본체 측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유인부는;
    상기 본체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과산화수소가 보관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과산화수소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메인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과산화수소와 반응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이산화망간 가루가 있는 반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퇴치부는;
    상기 본체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삽입 설치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면이 통공 형성된 흡입공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를 통하여 유입된 모기를 포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 측면에 부착된 접착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측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모기유인부와 모기퇴치부의 동작상태를 알려주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측에는 수위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과산화수소의 수량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유인부에는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유인부에 설치된 장치들과 연결된 전선은 커넥터삽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삽입부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수용부는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유인부의 상측과 상기 모기퇴치부의 하측은 모기가 통과할 수 없는 경계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KR1020050103981A 2005-11-01 2005-11-01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KR20070047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81A KR20070047158A (ko) 2005-11-01 2005-11-01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81A KR20070047158A (ko) 2005-11-01 2005-11-01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58A true KR20070047158A (ko) 2007-05-04

Family

ID=3827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981A KR20070047158A (ko) 2005-11-01 2005-11-01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71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56B1 (ko) *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507554B1 (ko) * 2014-12-12 2015-04-01 주식회사 이티엔디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CN105394010A (zh) * 2015-10-31 2016-03-16 河南科技学院 野外昆虫图像自动采集装置及其图像采集方法
CN111937831A (zh) * 2020-08-25 2020-11-17 广东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昆虫诱捕图像采集器及其使用方法和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56B1 (ko) *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KR101507554B1 (ko) * 2014-12-12 2015-04-01 주식회사 이티엔디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WO2016093673A1 (ko) * 2014-12-12 2016-06-16 주식회사 이티엔디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US20170273291A1 (en) * 2014-12-12 2017-09-28 E-Tnd Co., Ltd. Insect capturing device having imaging function for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CN105394010A (zh) * 2015-10-31 2016-03-16 河南科技学院 野外昆虫图像自动采集装置及其图像采集方法
CN111937831A (zh) * 2020-08-25 2020-11-17 广东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昆虫诱捕图像采集器及其使用方法和系统
CN111937831B (zh) * 2020-08-25 2022-04-26 广东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昆虫诱捕图像采集器及其使用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3898B2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11751554B2 (en)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main body for guiding and stopping movement of an adhesive sheet
US8296993B2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JP2019205464A (ja) 捕虫装置とその使用方法
US8845118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226868A1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JP2019054807A (ja) 捕虫装置とその使用方法
KR200473843Y1 (ko) Led 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포집 장치
US20080141578A1 (en) Mosquito trap mediated by filtrated visible light emitting diode and mosquito bait
KR20070047158A (ko) 모기퇴치 기능이 구비된 영상장치
EP3566574B1 (en) Adhesive-type insect trap
KR20100055889A (ko) 포충기
KR20160007168A (ko) 빛과 향을 이용한 모기 퇴치기
CN115334878A (zh) 用于检测有害生物的系统
EP3566575B1 (en) Adhesive-type insect trap
US20220369614A1 (en) Non-chemical spray device for insects, pests and germs
KR20190066225A (ko) 점착시트로 빛이 투과되는 파리 포충기
KR20100007493A (ko) 해충 포획장치
KR102211482B1 (ko) 포충기
US20090090044A1 (en) In-wall pest control device
KR20200033610A (ko) 해충퇴치 기능을 가지는 공기 청정기
CN216722798U (zh) 一种除螨设备及用于除螨设备的尘桶
CN215270190U (zh) 一种灭蚊灯
KR20200104207A (ko) 방제용 곤충 트랩
CN115968845A (zh) 用于空调器的捕蚊装置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