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264A -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264A
KR20070044264A KR1020050100353A KR20050100353A KR20070044264A KR 20070044264 A KR20070044264 A KR 20070044264A KR 1020050100353 A KR1020050100353 A KR 1020050100353A KR 20050100353 A KR20050100353 A KR 20050100353A KR 20070044264 A KR20070044264 A KR 2007004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alue
call
name
called party
spe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4264A/ko
Publication of KR2007004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3Predictive input, predictive dialling by comparing the dialled sequence with the content of a telephone dir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넘버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착신자의 이름을 간략히 입력하여 바로 발신이 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이 개시된다. 장치는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특번을 이용한 발신에 따른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에 있어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특번 이외에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키값을 처리하는 키값 처리부; 키값 처리부로부터 키값을 입력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부; 착신자의 이름 및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특수한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특수번호 저장부; 및 키값 처리부에서 처리된 키값을 보관하고 키패드의 통화키가 입력되면 전화번호 저장부를 검색하여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이름이 한 개만 있는 경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발신을 명령하고, 복수개 있는 경우 화면에 복수개의 착신자의 이름을 표시하며, 없는 경우 그 키값으로 발신을 명령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넘버플러스 서비스, 특번(Feature Cod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ELEPHONE DIRECTORY IN A MOBILE PHON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넘버 플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키값 처리부 2 : 표시 처리부
3 : 제어부 4 : 전화번호 저장부
5 : 특수번호 저장부 6 : 호출 처리부
111, 112 : 무선국 121,122 : RNC
131, 132 : MSC 140 : SGSN
150 : IP-DCN 160 : GGSN
200 : PSTN/PLMN 300,400 : HLR
본 발명은 넘버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한 자번호 발신 시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넘버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착신자의 이름을 간략히 입력하여 바로 발신이 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이 발달과 더불어 단말기 가격이 하락 하면서 휴대전화의 편리성과 휴대전화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등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입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근래에는 각 이동 통신사마다 가입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가입자의 이동단말 번호(모번호) 이외에 추가적으로 별도의 수신전용 번호(자번호)를 부여하는 일명 넘버 플러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가입자에 대하여 두개의 번호를 부여하는 서비스로서 호 수신 시 이동단말에 표시되는 착신번호에 따라 발신자를 구분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각 이동 통신사는 발신자의 발신번호를 착신자의 이동단말에 표시함으로써 발신번호에 따라 발신자를 구분할 수 있는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이동 단말에서는 넘버플러스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전화번호가 입력된 이동 단말 내부의 전화번호 저장주소(단축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기능의 하나인 폰북에서 이를 검색하여 전화번호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넘버플러스 서비스에 따른 특번(Feature Code)(예를 들어, '*22#'과 상대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 폰북의 검색절차를 일일이 수행한 후 발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에 있어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넘버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넘버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착신자의 이름을 간략히 입력하여 바로 발신이 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는,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특번을 이용한 발신에 따른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에 있어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특번 이외에 상기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키값을 처리하는 키값 처리부; 상기 키값 처리부로부터 키값을 입력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부; 상기 착신자의 이름 및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특수한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특수번호 저장부; 및 상기 키값 처리부에서 처리된 키값을 보관하고 상기 키패드의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이름이 한 개만 있는 경우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발신을 명령하고, 복수개 있는 경우 화면에 복수개의 착신자의 이름을 표시하며, 없는 경우 그 키값으로 발신을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은,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특번을 이용한 발신에 따른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의 특번 입력 직후 상대방 전화번호 검색이 가능하도록 전화번호부 검색메뉴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하는 소정 소프트웨어를 이동통신 단말에 업그레이드 하는 단계; 발신가입자가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자번호를 호출하기 위하여, 키패드를 통해 소정 특번과 함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름의 초성에 해당하는 키값을 초기화면에 입력한 후 통화키(Send)를 누르는 단계; 제어부가, 착신자의 이름 및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 및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특수한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특수번호 저장부를 검색하여 입력된 키값이 각각 저장된 이름 및 특수번호 와 일치하는지 조사하는 단계;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이름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서 검색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이름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키값으로 호출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호출 시도 단계에서 이름이 검색된 경우 상기 키값이 특수번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키값이 특수번호인 경우 검색된 두 개 이상의 이름 또는 특수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특수번호가 아닌 경우 검색된 이름의 개수가 몇 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검색된 이름이 한 개인 경우 그 이름의 번호로 호출을 시도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검색된 이름이 두 개 이상인 경우 그 이름 또는 특수번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번호를 선택한 후, 그 선택된 번호로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넘버 플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세대 망인 비동기 IMT-2000 망은, 이동단말(11 및 12)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무선국(111 및 112)과, 상기 무선국(111) 및 무선국(112)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무선국 제어기(이하 'RNC'라 칭함)(121 및 122)와, 상기 RNC(121 및 122)에 접속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다수의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131 및 132)와, 상기 RNC(121및 122)에 접속되어 GPRS 호를 교환하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이하 'SGSN'이라 칭함)(140)를 포함하고, 상기 SGSN(140)에는 IP기반의 데이터 네트워크망(이하 'IP-DCN'이라 칭함)(150)이 접속되고, 상기 IP-DCN(150)는 데이터 서비스 관문노드(이하 'GGSN'이라 칭함)(160)이 접속된다.
상기 각 MSC(131 및 132)에는 가입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HLR(300 및 400)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HLR(300 및 400)은 SGSN(140)과 접속된다.
한편, 상기 MSC(131 및 132)에는 PSTN/PLMN 이라 불리우는 공중망(200)이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위치등록기 HLR(300 및 400)는 소정의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데, 상기 HLR(300 및 400)에 구비되는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등록정보 저장부(미도시)와, 가입자의 모번호(Primary MSISDN)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모번호 저장부(미도시) 및 상기 가입자의 모번호에 매칭되는 자번호(Secondary MSISDN)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자번호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HLR(300 및 400)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를 통해 모번호와 자번호를 이용하는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하며, 각 가입자별로 모번호에 자번호를 매칭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도면 및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넘버플러스 가입자가 모번호로 발신을 수행할 경우(일반적인 발신), MSC는 HLR(300)로 착신번호에 대한 경로정보를 요청/수신하고, 해당 착신 MSC로 호 설정 을 하게 되는데, 이때 착신단말에는 상기 모번호가 발신번호로 표시된다.
그러나, 넘버플러스 가입자가 미리 설정된 특번을 이용하여 발신을 수행하면, 상기 HLR(300)은 상기 특번을 분석하여 자번호 발신임을 인지하고 이후 호설정 과정에서는 자번호가 발신번호가 되도록 설정하여 MSC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착신단말로 페이징 시 착신단말에는 상기 자번호가 발신번호로 표시된다.
한편, 발신가입자가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모번호를 호출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호 연결과정과 동일하게 호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발신가입자가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자번호를 호출할 경우에는 상기 HLR(300)이 상기 자번호에 대한 모번호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모번호 저장부(312)로부터 상기 자번호에 매칭되는 가입자의 모번호를 조회한다. 그리고, 그 조회된 모번호를 기준으로 발신가입자 및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호를 연결하되,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착신단말에 상기 자번호를 착신번호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는 자신에게 걸려온 전화가 자번호로 수신된 호인지 또는 모번호로 수신된 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 장치는 키패드(10)로부터 입력된 키값을 처리하는 키값 처리부(1)와, 상기 키값 처리부(1)로부터 키값을 입력 받아 화면(LCD)(20)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부(2)와, 상기 키값 처리부(1)로부터 처리된 키값을 보관하고 자동발신을 제어하는 제어부(3)와,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 호 저장부(4)와, 특수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특수번호 저장부(5) 및 호출처리를 수행하는 호출 처리부(6)로 구성된다.
우선 발신가입자가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자번호를 호출하기 위하여,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0)를 통해 특번(예를 들어, '*22#')과 함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름의 초성에 해당하는 키값을 초기화면에 입력한다. 이때, 발신자의 특번 입력 시 곧바로 상대방 전화번호 검색이 가능하도록 전화번호부 검색메뉴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하는 소정 소프트웨어를 이동통신 단말에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이하, 통화 상대방 이름의 초성을 입력하는 예에 대하여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사람에게 전화를 하고자 할 때 키패드(10)에서 「8(ㅇ)→*(획추가)→1(ㄱ)→2(ㄴ)→*(획추가)」를 차례로 누르면 「8*1-2*」가 화면(LCD)에 표시된다. 상기 키패드(10)를 통해 입력된 '8 * 1 2 *' 는 상기 키값 처리부(1)에서 키값 처리루틴에 의해 처리되어 상기 표시 처리부(2) 및 상기 제어부(3)로 입력된다.
상기 표시 처리부(2)는 상기 처리된 키값을 상기 화면(LCD)(20)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3)는 키값을 내부의 버퍼에 보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는 키패드의 통화키가 입력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4)를 검색하여 '8 * 1 2 *(ㅎㄱㄷ)'에 해당하는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4)에 'ㅎㄱㄷ'에 해당하는 '홍길동'이라는 이름이 저장 되어 있으면 '홍길동'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 처리부(2)에 보내고 상기 호출 처리부(6)에는 호출명령을 보낸다.
상기 표시 처리부(2)는 입력 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화면(20)에 표시하고, 상기 호출 처리부(6)는 그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한다.
다만, 'ㅎㄱㄷ'의 초성에 해당하는 사람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8 * 1 2 *'로 발신이 될 것이나 이러한 전화번호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통화가 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4)에 '홍길동' 이외에 '황기대' 라는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양쪽으로 발신을 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어부(3)는 상기 표시 처리부(2)로 하여금 두 명의 이름('홍길동'과 '황기대') 및 대응하는 두 개의 전화번호를 상기 화면(20)에 표시하게 하여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사람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예를 들어,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강기로' 이며 이에 대응하는 키값이 '114' 일 경우, 이것은 전화번호 안내서비스의 번호와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름의 초성에 대응하는 키값이 '114'와 같이 특수번호에 해당하는 경우 그러한 번호를 상기 특수번호 저장부(5)에 저장하여 놓고 통화키 입력 후 상기 제어부(5)가 특수번호 저장부(6)에 저장된 번호와 입력된 키값이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강기로'의 초성(ㄱㄱㄹ)에 대응하는 키값('114')을 입력하고 통화키를 누르면 화면에 '114' 및 '강기로'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강기로'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다만, 'ㄱㄱㄹ'의 초성에 해당하는 사람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직접 114로 통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넘버 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한 자번호 발신 시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즉, 모번호 발신 시의 전화번호부 검색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우선 발신가입자가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자번호를 호출하기 위하여, 키패드(10)를 통해 특번(예를 들어, '*22#')과 함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름의 초성에 해당하는 키값을 초기화면에 입력한 후 통화키(Send)를 누른다(S10).
이후,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4) 및 상기 특수번호 저장부(5)를 검색하여 입력된 키값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4) 및 상기 특수번호 저장부(5)에 저장된 이름 및 특수번호와 일치하는지 조사한다(S11).
이후,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이름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4)에서 검색되었는지를 판단한 후(S12), 이름이 검색된 경우 상기 키값이 특수번호인지를 판단한다(S13). 한편, 이름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키값으로 호출을 시도한다(S17).
이후, 상기 단계(S13)의 판단결과, 상기 키값이 특수번호인 경우 검색된 두 개 이상의 이름 또는 특수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S15), 특수번호가 아닌 경우 검색된 이름의 개수가 몇 개인지를 판단한 후(S14), 검색된 이름이 한 개인 경우 그 이름의 번호로 호출을 시도한다(S17).
한편, 상기 단계(S4)의 판단결과, 검색된 이름이 두 개 이상인 경우 그 이름 또는 특수번호를 화면에 표시한다(S15).
이후,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번호를 선택하게 되면(S16), 그 선택된 번호로 통화를 시도한다(S17).
이후, 특번을 이용한 발신이 수행되는바, 발신단말(11)은 특번과 착신번호를 상기 발신측 MSC(131)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MSC(131)은 상기 특번을 이용한 발신을 수신한 후 상기 특번에 따라 상기 발신측 HLR(300)로 서비스제어 요청메시지(InitialDP)를 전송한다(S18).
이후, 상기 발신측 HLR(300)은 상기 메시지 수신 및 특번 분석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발신단말 자번호 송출임을 인식한 후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입자의 모번호에 대한 자번호를 조회한다(S19).
이후, 상기 발신측 HLR(300)은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된 자번호를 이후 진행되는 발신 호의 발신번호로써 사용하도록 하는 정보와 자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MSC(131)로 전송한다(S20). 상기 발신측 MSC(131)는 상기 발신측 HLR(3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자번호를 발신번호(Calling Party Number)로 설정하여 착신측 HLR(400)로 경로요청(Send Routing Info)을 수행한다(S21).
이후, 상기 착신측 HLR(400)은 착신측 MSC(132)로 경로정보요청(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MSC(132)는 상기 경로 정보 요청 에 따른 응답을 상기 착신측 HLR(400)로 전송한다(S22). 상기 착신측 HLR(400)은 상기 착신측 MSC(132)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후 그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MSC(131)로 전송한다(S23). 이에 따라 자번호가 발신번호로 설정된다.
이후, 상기 발신측 MSC(132)는 상기 경로정보 및 상기 설정된 발신정보(자번호=발신번호)에 따라 상기 착신측 MSC(132)로 호 설정(Call Setup)을 수행하고, 상기 착신측 MSC(132)는 발신번호(자번호)를 포함한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12)로 전송한다(S24). 이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12)은 상기 발신번호, 즉 발신 가입자의 자번호를 단말에 표시하게 된다.
이후, 상기 착신단말(12)이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되면 상기 발신단말(11)과 상기 착신단말(12) 간 통화로가 개설된다(S25).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화 상대방 이름의 초성에 해당하는 키값을 입력한 다음 바로 통화키를 누르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초성에 해당하는 키값 입력 후 통화키를 누르기 전에 예를 들어 '#'의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키값 다음에 '#'을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키값이 전화번호가 아닌 통화 상대 방 이름의 초성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강기로'의 초성에 해당하는 '114'를 입력하더라도 전화번호 안내서비스의 번호로 발신될 염려가 없어서 상기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특수번호 저장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넘버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착신자의 이름을 간략히 입력하여 바로 발신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특번을 이용한 발신에 따른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에 있어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특번 이외에 상기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키값을 처리하는 키값 처리부;
    상기 키값 처리부로부터 키값을 입력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부;
    상기 착신자의 이름 및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특수한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특수번호 저장부; 및
    상기 키값 처리부에서 처리된 키값을 보관하고 상기 키패드의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이름이 한 개만 있는 경우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발신을 명령하고, 복수개 있는 경우 화면에 복수개의 착신자의 이름을 표시하며, 없는 경우 그 키값으로 발신을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발신자에 의한 특번 입력 시에 업그레이드 된 소정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상 대방 전화번호 검색이 가능한 전화번호부 검색메뉴를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의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특수번호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키값이 특수번호인 경우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이름과 특수번호를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키값은,
    상기 착신자 이름의 초성에 해당하는 키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5.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특번을 이용한 발신에 따른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의 특번 입력 직후 상대방 전화번호 검색이 가능하도록 전화번호부 검색메뉴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하는 소정 소프트웨어를 이동통신 단말에 업그레이드 하는 제 1 단계;
    발신가입자가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자번호를 호출하기 위하여, 키패 드를 통해 소정 특번과 함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름의 초성에 해당하는 키값을 초기화면에 입력한 후 통화키(Send)를 누르는 제 2 단계;
    제어부가, 착신자의 이름 및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 및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특수한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특수번호 저장부를 검색하여 입력된 키값이 각각 저장된 이름 및 특수번호와 일치하는지 조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이름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서 검색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이름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키값으로 호출을 시도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이름이 검색된 경우 상기 키값이 특수번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키값이 특수번호인 경우 검색된 두 개 이상의 이름 또는 특수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특수번호가 아닌 경우 검색된 이름의 개수가 몇 개인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검색된 이름이 한 개인 경우 그 이름의 번호로 호출을 시도하고, 상기 제 5 단계에서 검색된 이름이 두 개 이상인 경우 그 이름 또는 특수번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6 단계; 및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번호를 선택한 후, 그 선택된 번호로 통화를 시도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6. 넘버플러스 서비스 가입자의 특번을 이용한 발신에 따른 전화번호부 검색 방 법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키값이 입력되는 제 1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화키가 입력되는 제 2 단계;
    상기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이름을 검색하여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이름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복수개의 착신자의 이름을 표시시키고, 한 개만 있는 경우에는 상기 키값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발신을 명령하고, 없는 경우에는 키값으로 발신을 명령하는 제 3 단계; 및
    발신측 MSC가, 경로정보 및 설정된 자번호 발신에 의한 발신정보에 따라 착신측 MSC로 호 설정(Call Setup)을 수행하고, 상기 착신측 MSC가, 발신번호를 포함한 페이징 메시지를 착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1020050100353A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44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353A KR20070044264A (ko)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353A KR20070044264A (ko)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264A true KR20070044264A (ko) 2007-04-27

Family

ID=3817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353A KR20070044264A (ko) 2005-10-24 2005-10-24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42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33165A (ja) 国際ダイヤル操作機能付き移動端末、国際ダイヤルプログラム、及び、国際ダイヤルシステム
US73338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device capability to a wireless network subscriber
JP5027921B2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0983141B1 (ko)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527385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29928B1 (ko) 국제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CN103051800A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网络应用处理方法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JP5069142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070044264A (ko)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0749435B1 (ko)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JP2006121756A (ja) 携帯型通信機器
KR100762665B1 (ko) 로밍 서비스에서의 발신 방법
CN112261698B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469487B1 (ko) 별도의 데이터 채널로 전송된 발신자 식별 영상을 착신화면으로 표시하는 방법
KR100887732B1 (ko) Wcdma 이동통신망에서 그룹내 단축번호를 이용한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6780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표시 및 발신 방법
KR100295754B1 (ko) 전화통신시스템의호전환방법
KR100650679B1 (ko) 무선인터넷 자동스위칭연결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58361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06051613A1 (ja) 宛先確認方法及び端末及び管理装置
KR20090002967A (ko) 발신자 번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406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응답 멘트 언어 변경 방법
KR20050104519A (ko) 통화 중 sms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