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615B1 -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615B1
KR101583615B1 KR1020080107783A KR20080107783A KR101583615B1 KR 101583615 B1 KR101583615 B1 KR 101583615B1 KR 1020080107783 A KR1020080107783 A KR 1020080107783A KR 20080107783 A KR20080107783 A KR 20080107783A KR 101583615 B1 KR101583615 B1 KR 101583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uidance
vo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709A (ko
Inventor
차주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6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전송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안내에 따라 선택된 안내 번호를 기초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 번호부 정보, 메뉴 정보, 음성 안내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GUIDANCE APPARATUS, VOICE GUIDANCE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음성 안내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거나 메뉴 선택 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내장 카메라나 메모리 등을 탑재하여 디지털 카메라 촬영이나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등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향상으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또한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만 그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새로이 부가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등을 이용하여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 헤드셋 등을 이용한 MP3 감상,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통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게임 기능, DMB 기능 등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이미지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서버(예를 들면, 포털 서버, 자신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특정 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함으로써, 해당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경우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매우 많은 수의 고령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지만, 암기력, 시력, 조정 능력 등의 저하로 복잡한 단말기 기능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동 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버튼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조하거나 카메라, 일정 등의 기능에 바로 전환될 수 있는 특정 키버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되는 키버튼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조하거나 카메라, 일정 등의 기능에 바로 전환될 수 있는 특정 키버튼을 이용하도록 하고는 있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쉽게 이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고, 이로 인해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고 음성 통화와 같은 단순 기능만을 이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 시 저장된 전화번호부 정보를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안내함으로써, 음성 통화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시 단말기 메뉴 정보를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안내함으로써, 단말기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 1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음성 통화를 위한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메뉴 정보와 함께 음성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달하며,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상기 음성 통화를 요청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단말 클라이언트와, 상기 음성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정보와 함께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음성 안내 데이 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단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음성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클라이언트는, 단말기 메뉴에 따른 그룹화된 항목별 또는 이름 첫글자의 자음별로 정렬시킨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클라이언트는,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도록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 상기 메뉴 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 2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전달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성 안내 제어부와, 상기 음성 안내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로 생성한 후에, 이를 전달하는 음성 변환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변환부는, 자동 응답 시스템(ARS : Automatic Response System)이 탑재되거나 음성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변환부는, 단말기 메뉴에 따른 그룹화된 항목별 또는 이름 첫글자의 자음별로 정렬시킨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변환부는,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도록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 상기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제 3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음성 통화를 위한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메뉴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상기 음성 안내에서 선택된 안내 번호를 전송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상기 음성 통화를 수행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성 안내 장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음성 안내 장치를 연결시켜 각종 정보의 요청 및 전송을 수행하며, 선택된 상기 전화번호로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 보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는, 단말기 메뉴에 따른 그룹화된 항목별 또는 이름 첫글자의 자음별로 정렬시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뉴 정보는,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도록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4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요청신호와 함께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되는 음성 안내를 통해 선택된 안내 번호로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통화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음성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는, 단말기 메뉴에 따른 그룹화된 항목별 또는 이름 첫글자의 자음별로 정렬시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는, 상기 그룹화된 항목별로 정렬된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그룹화된 항목과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포함된 이름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는, 상기 이름 첫글자의 자음별로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자음 항목과 상기 자음 항목에 포함된 이름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화번호는, 상기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교환기 또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안내 장치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제 5 관점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와 함께 단말기의 메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되는 음성 안내를 통해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뉴 정보는,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도록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는, 상기 상위 항목 및 하위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메뉴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상위 항목과 선택된 상기 상위 항목의 상기 하위 항목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요청신호와 함께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정보를 전송하고, 전화 번호부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를 제공한 후에 제공되는 음성 안내를 통해 선택된 안내 번호로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여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음성 통화 호를 연결하거나,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와 함께 단말기의 메뉴 정보를 전송하고,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를 제공한 후에, 제공되는 음성 안내를 통해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킴으로써,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음성 안내를 통해 제공하여 복잡한 단말기 기능을 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 시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전화 번호부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저장한 후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제공된 음성 안내에 따라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전화번호로 통화 호를 연결하거나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 시 단말기의 메뉴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저장한 후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제공된 음성 안내에 따라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킨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안내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및 메뉴 선택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108),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110) 및 음성 안내 장치(112)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화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발신 단말기로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 등을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호를 발생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는 음성 통화를 위한 키가 입력될 경우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에 음성 통화 요청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 번호부 정보(예를 들면, 이름, 전화번호 등)를 전송하며,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음성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이러한 음성 안내를 통해 특정 안내 번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안내 번호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와의 음성 통화 호를 연결한다.
일 예로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안내 시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전화 번호부 메뉴에서 가족, 직장, 학교 등으로 그룹화된 항목에 따라 음성 안내할 수 있으며, 이름 첫글자의 자음(즉, ??, ??, ?? 등)을 기준으로 음성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는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메뉴 키가 입력될 경우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에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정보(예를 들면, 일정, 카메라, 무선 인터넷 등)를 전송하며,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음성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이러한 음성 안내를 통해 특정 안내 번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킨다.
한편,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화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서, 교환기(106) 및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의 통화 호를 연결하여 링 신호와 함께 통신 서비스(통화 호 연결)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통화 또는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단말 클라이언 트(102a), 무선 송수신부(102b) 및 음성 처리부(102c)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하여 이하에서는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 클라이언트(102a)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음성 통화를 위한 키가 입력될 경우 무선 송수신부(102b)를 통해 음성 통화 요청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 번호부 정보(예를 들면, 이름, 전화번호 등)를 전송하며, 무선 송수신부(102b)로부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음성 처리부(102c)로 전달하며, 음성 안내를 통해 특정 안내 번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안내 번호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와 연결된 음성 통화 호로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 클라이언트(102a)는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메뉴 키가 입력될 경우 무선 송수신부(102b)를 통해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정보(예를 들면, 일정, 카메라, 무선 인터넷 등)를 전송하며, 무선 송수신부(102b)를 통해 음성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처리부(102c)로 전달하며, 음성 안내를 통해 특정 안내 번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무선 송수신부(102b)는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통신망(104)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송신 신호(예를 들면, 음성 통화 요청신호, 전화 번호부 정보 신호 등)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망(104)으로 전송하 며, 무선 통신망(104)으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예를 들면, 음성 안내 데이터 신호 등)는 단말 클라이언트(102a)로 전달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102c)는 단말 클라이언트(102a)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처리하여 도시 생략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전화 번호 안내, 단말기 기능 안내 등의 음성 안내를 수행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무선 통신망(104)은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에서,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되고,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노드 B(Node-B),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된다. 물론, 무선 통신망(104)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한다.
다음에, 교환기(106)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 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아울러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교환기(106)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이와 함께 전송되는 전화 번호부 정보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장치(112)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 전송하며,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 특정 안내 번호가 선택되면 해당 안내 번호에 따른 전화번호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요청한 후에, 요청된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해당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로의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여,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와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와의 음성 통화 호를 연결한다.
한편, 교환기(106)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 메뉴 키 입력에 따른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이와 함께 전송되는 메뉴 정보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장치(112)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 전송한다.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HLR, 108)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또는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및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프로파일 정보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발신 번호 서비스와 같은 가입된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홈 위치 등록기(108)는 유선 통신 서비스에 구현할 경우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홈 위치 등록기(108)와 유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는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110)는 교환기(106)가 서비스하는 지역 내 방문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담당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또는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의 가입자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HLR, 108)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음성 안내 장치(112)는 자동 응답 시스템(ARS : 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음성 모듈을 포함하여 각종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교환기(106)로부터 전화 번호부 정보와 함께 음성 안내가 요청되면 해당 전화 번호부 정보의 문자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음성 변환)한 후에, 해당 단말기 정보와 함께 음성 안내 데이터로 생성하여 저장해 두고, 이러한 음성 안내 데이터를 해 당 단말기 정보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교환기(106)로 전송한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112)는 교환기(106)로부터 메뉴 정보와 함께 음성 안내가 요청되면 해당 메뉴 정보의 문자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음성 변환)한 후에, 해당 단말기 정보와 함께 음성 안내 데이터로 생성하여 저장해 두고, 이러한 음성 안내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 정보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교환기(106)로 전송한다. 이 때, 음성 안내 장치(112)에 단말기별 메뉴 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메뉴 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가 요청되면 해당 단말기 정보에 따른 단말기별 메뉴 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교환기(106)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적합한 음성 안내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음성 안내 장치(112)는 음성 안내 제어부(112a), 음성 변환부(112b) 및 음성 안내 데이터베이스(112c)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성 안내 제어부(112a)는 교환기(106)로부터 전화 번호부 정보와 함께 음성 안내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전화 번호부 정보를 음성 변환부(112b)로 전달하고, 음성 변환부(112b)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변환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12c)에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저장해 두고, 그 음성 안내 데이터를 교환기(106)로 전송한다.
또한, 음성 안내 제어부(112a)는 교환기(106)로부터 메뉴 정보와 함께 음성 안내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부(112b)로 전달하고, 음성 변환부(112b)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변환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안내 정보 데이 터베이스(112c)에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저장해 두고, 그 음성 안내 데이터를 교환기(106)로 전송한다.
다음에, 음성 변환부(112b)는 자동 응답 시스템(ARS)이 탑재되거나 음성 변환 모듈이 포함되는 것으로, 음성 안내 제어부(112a)로부터 전달되는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음성 안내 데이터로 생성한 후에, 이를 음성 안내 제어부(112a)로 전달한다.
그리고,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12c)는 음성 안내 제어부(112a)로부터 전달되는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각각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12c)에는 단말기별 메뉴 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 데이터가 기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음성 안내 제어부(112a)로부터의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음성 안내 데이터가 추출되어 음성 안내 제어부(112a)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요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음성 안내 장치(112)에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 전송하도록 교환기(106)에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화 번호부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교환기(106)의 소정 저장 매체에 저장해 두고,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검출하여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와의 통화 호 연결을 즉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내에 저장된 메뉴 정보를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 시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메뉴 정보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번호, 단말기 기종, 통신사, 시리얼 번호 등)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고, 음성 안내 장치(112)에 구비된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메뉴 정보(음성 변환된 메뉴 정보)를 검출하여 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 시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전화 번호부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저장한 후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제공된 음성 안내에 따라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전화번호로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안내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위한 특정키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하는 음성 통화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정보(예를 들면, 이름, 전화번호 등)와 함께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전송한다(단계402). 여기에서, 전화 번호부 정보는,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항목별(예를 들면, 가족, 직장, 학교 등)로 정렬시키거나, 이름 첫글자의 자음(즉, ??, ??, ?? 등)별로 정렬시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교환기(106)에서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통화 요청신호에 따라 함께 전송되는 전화 번호부 정보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면서 음성 안내를 요청한다(단계404).
다음에, 음성 안내 장치(112)에서는 전송되는 전화 번호부 정보를 각각 음성 변환하여 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406). 일 예로서,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항목별로 정렬된 전화 번호부 정보가 전송되면, 그룹화된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의 이름을 안내 번호에 대응하여 선택하는 등의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름 첫글자의 자음별로 정렬된 전화 번호부 정보가 전송되면, 이름 첫글자 자음을 선택하고, 선택된 첫글자 자음에 속하는 이름을 안내 번호에 대응하여 선택하는 등의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112)에서는 생성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해 두고, 이러한 음성 안내 데이터를 교환기(106)로 전송하며, 교환기(106)에서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408).
이에 따라,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위한 음성 안내를 제공한다(단계410). 예를 들면, 단말기 메뉴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항목별로 정렬된 전화 번호부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는, "가족은 1번, 직장은 2번, 학교는 3번" 등으로 그룹화된 항목을 음성 안내한 후, 1번이 선택될 경우 가족 그룹에 속한 이름으로 "OOO은 1번, XXX는 2번, YYY는 3번" 등으로 음성 안내할 수 있으며, 이름 첫글자의 자음별로 정렬된 전화 번호부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는, "??자는 1번, ??자는 2번, ??자는 3번" 등으로 자음 항목을 음성 안내한 후, 1번이 선택될 경우 ??자에 속한 "강OO는 1번, 고XX은 2번, 김YY는 3번" 등으로 음성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제공되는 음성 안내를 통해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위한 특정 안내 번호를 선택할 경우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선택된 안내 번호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다(단계412).
그리고, 교환기(106)에서는 전송되는 안내 번호에 따른 음성 통화를 위해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요청하고(단계414), 음성 안내 장치(112)에서는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전화 번호를 검출하여 교환기(106)로 전송한다(단계416).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요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음성 안내 장치(112)에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 전송하도록 교환기(106)에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화 번호부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교환기(106)의 소정 저장 매체에 저장해 두고,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교환기(106)에서는 전송되는 전화 번호에 따라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로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함으로써(단계418),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와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102/2)와의 음성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한다(단계420).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요청 시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기에 전화 번호부 정보를 음성 안내하여 음성 안내를 통해 선택된 전화번호로 쉽게 음성 통화 호를 연결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 시 단말기의 메뉴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저장한 후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제공된 음성 안내에 따라 선택된 안내 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 기능을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안내를 이용하여 메뉴 선택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메뉴키를 입력 선택하면(단계502),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메뉴 정보(예를 들면, 일정, 카메라, 무선 인터넷 등)와 함께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전송한다(단계504). 여기에서, 메뉴 정보는, 일정, 카메라, 무선 인터넷 등의 상위 항목과 그에 대응하는 일정의 경우 달력, 모닝콜, 스케줄러, 메모 등의 하위 항목으로 구성되어 전송되며, 이러한 메뉴 정보는 단말기별로 구성된 기능별 메뉴 구성에 대응되 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교환기(106)에서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신호에 따라 함께 전송되는 메뉴 정보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면서 음성 안내를 요청한다(단계506).
다음에, 음성 안내 장치(112)에서는 전송되는 메뉴 정보를 각각 음성 변환하여 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508). 일 예로서,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이 포함된 메뉴 정보가 전송되면, 상위 항목을 안내하고, 선택에 따라 각각 대응하는 하위 항목을 안내하도록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 장치(112)에서는 생성된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해 두고(단계510), 이러한 음성 안내 데이터를 교환기(106)로 전송하며, 교환기(106)에서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512).
이에 따라,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전송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음성 안내를 제공한다(단계514). 예를 들면,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이 포함된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는, "일정은 1번, 카메라는 2번, 무선 인터넷은 3번" 등으로 음성 안내한 후에, 1번을 선택한 경우 "달력은 1번, 모닝콜은 2번, 스케줄러는 3번, 메모는 4번" 등으로 음성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는 제공되는 음성 안내를 통해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특정 안내 번호를 선택할 경우 이에 따라 해당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킨다(단계516).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 내에 저장된 메뉴 정보를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 시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메뉴 정보는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102/1)에서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번호, 단말기 기종, 통신사, 시리얼 번호 등)를 음성 안내 장치(112)로 전송하고, 음성 안내 장치(112)에 구비된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메뉴 정보(음성 변환된 메뉴 정보)를 검출하여 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 시 단말기의 메뉴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기에 메뉴 정보를 음성 안내하여 음성 안내를 통해 선택된 단말기 기능을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 안내를 통해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단말기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단말기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기 이용 을 촉진시켜 다양한 계층에서 이용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 이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안내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및 메뉴 선택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통화 또는 단말기 기능 동작을 위한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적합한 음성 안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안내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안내를 이용하여 메뉴 선택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 : 제 1 이동 통신 단말기 102/2 : 제 2 이동 통신 단말기
104 : 무선 통신망 106 : 교환기
108 : 홈 위치 등록기 110 : 방문자 위치 등록기
112 : 음성 안내 장치

Claims (19)

  1.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음성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전송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클라이언트; 및
    상기 단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음성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클라이언트는,
    상기 음성 안내에 따라 선택된 안내 번호를 기초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안내 서비스 요청이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메뉴 정보와 함께 수신되면,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상기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부로 전달하고, 상기 음성 변환부로부터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상기 메뉴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송신되도록 하는 음성 안내 제어부; 및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상기 메뉴 정보를 음성 변환하여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부는,
    자동 응답 시스템(ARS : Automatic Response System)이 탑재되거나 음성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상기 메뉴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음성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음성 안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음성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전송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 정보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안내에 따라 선택된 안내 번호를 기초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메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80107783A 2008-10-31 2008-10-31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3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783A KR101583615B1 (ko) 2008-10-31 2008-10-31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783A KR101583615B1 (ko) 2008-10-31 2008-10-31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709A KR20100053709A (ko) 2010-05-24
KR101583615B1 true KR101583615B1 (ko) 2016-01-08

Family

ID=4227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783A KR101583615B1 (ko) 2008-10-31 2008-10-31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6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99A (ko) * 2000-09-28 2000-12-05 김홍태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한 전화 연결방법
KR20010088941A (ko) * 2001-08-16 2001-09-29 최용훈 음성안내 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88544A (ko) * 2004-03-02 2005-09-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음성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1126B1 (ko) * 2006-11-29 2012-08-03 주식회사 케이티 고객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동안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709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6371B2 (ja) 緊急呼番号のアルファタグ付けおよび型の指摘
KR100495353B1 (ko) 착신화면으로서의 발신자 식별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KR1004203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상자의 현상태 표시 및 간편정보전송방법
KR101414465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KR10158361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712462B1 (ko)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KR100619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101271145B1 (ko)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KR100931729B1 (ko) 국제 통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52732A (ko) 전화번호 목록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0716707B1 (ko) 통화에 따른 자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69487B1 (ko) 별도의 데이터 채널로 전송된 발신자 식별 영상을 착신화면으로 표시하는 방법
WO200508899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 ring back tone
KR100716680B1 (ko) 통화 상대방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67352B1 (ko)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5278B1 (ko) 발신자 식별 영상의 표시 방법
JP4567536B2 (ja) 複数ベアラ接続機能付き通信端末
KR1005841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작성시 문자 기호 변환 방법
KR101605126B1 (ko)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9486B1 (ko) 동의에 의해 저장된 발신자 식별 영상을 착신화면으로표시하는 방법
KR100615280B1 (ko) 이동통신용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발신자 식별 영상의전송방법
KR100627836B1 (ko) 예약 시간 경과 후 음성/단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83532B1 (ko) 통화 연결음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JP2014158107A (ja) 電話機、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および電話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