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920A - 손상 볼트 및 나사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손상 볼트 및 나사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920A
KR20070043920A KR1020060102377A KR20060102377A KR20070043920A KR 20070043920 A KR20070043920 A KR 20070043920A KR 1020060102377 A KR1020060102377 A KR 1020060102377A KR 20060102377 A KR20060102377 A KR 20060102377A KR 20070043920 A KR20070043920 A KR 2007004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fastener
cutting edge
cutting
ser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튼 코작
이라 엠. 코작
Original Assignee
컴바인드 프로덕츠 컴퍼니 #1,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바인드 프로덕츠 컴퍼니 #1,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컴바인드 프로덕츠 컴퍼니 #1,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02Drills with connected cutting heads, e.g. with non-exchangeable cutting heads; Drills with a single insert extending across the rotational axis and having at least two radially extending cutting edges in the working position
    • B23B51/0003Drills with connected cutting heads, e.g. with non-exchangeable cutting heads; Drills with a single insert extending across the rotational axis and having at least two radially extending cutting edges in the working position with exchangeable heads or inserts
    • B23B51/00035Spade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81Conical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9Stepped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8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withdrawing broken threaded parts or 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23B2251/087Cutting edges with a wav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14Configuration of the cutting part, i.e. the main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는 양면 절두 원추형 구역으로 형성된 견인 또는 맞물림 표면에 의해 분리된 두 개 이상의 노치가 그로부터 연장하는 팁을 포함한다. 표면은 일 측면에서 비선형 절삭날에 다른 측면에서 비절삭날에 접경하고, 비트가 체결구의 결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체결구 내로 절삭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는 절삭날이 비트 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연장하고, 맞물림 표면이 복수의 톱니형부를 포함하고, 절삭날이 비트의 종방향 연장 주연부를 따라 나선형인 세로 홈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맞물림 표면, 절삭날, 체결구, 톱니형부

Description

손상 볼트 및 나사 제거 장치{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도 1a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비트의 입면도.
도 1ab는 라인 1ab-1ab를 따라 취한 도 1aa의 상면도.
도 1ac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그의 종축 둘레로 180°회전된 도 1aa의 입면도.
도 1b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톱니형 구역을 갖는 본 발명의 비트의 입면도.
도 1bb는 라인 1ba-1ba를 따라 취한 도 1ba의 상면도.
도 1bc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1ba에 도시된 톱니형 구역을 갖는 본 발명의 비트의 확대도.
도 1c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톱니형 구역을 갖는 대안적인 본 발명의 비트의 입면도.
도 1cb는 라인 1cb-1cb를 따라 취한 도 1ca의 상면도.
도 1cc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톱니형 구역을 갖는 대안적인 본 발명의 비트의 입면도.
도 1cd는 라인 1cd-1cd를 따라 취한 도 1ca의 상면도.
도 1d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1ba에 도시된 톱니형 구역의 상세도.
도 1d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1ba에 도시된 톱니형 구역의 대안 구성의 상세도.
도 2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톱니형 부분을 갖는 좌향 드릴 비트를 더 형성하는 제거 용이 비트(easy out bit)의 입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2a의 절삭날의 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절삭 나사산을 갖는 단차형 드릴 비트의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톱니형 부분을 갖는 대안적인 단차형 드릴 비트의 측면도.
도 3c는 라인 3c-3c를 따라 취한 도 3b의 상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안적인 체결구 추출 장치의 사시도.
도 4b는 라인 4b-4b를 따라 취한 도 4a의 상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변형 스페이드 플랫(spade flat)의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안적인 변형 스페이드 플랫의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비트의 변형예의 입면도.
도 6b는 라인 6b-6b를 따라 취한 도 6a의 상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비선형 절삭면을 도시하는 추출 공구의 입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절삭날 톱니형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 7a의 전개도.
도 8은 라인 8-8을 따라 취한 도 7a의 도면.
본 발명은 하드웨어 공구 비트(hardware tool bit)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공작편(workpiece)에 여전히 매립되어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합된 손상된 체결구(fastener)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사, 볼트 및 다른 나사 결합 장치와 같은 체결구의 사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더 많은 체결구가 사용될수록, 체결구가 둥글게되고, 파손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쓸모없게 되는 가능성이 많아진다. 이 시점에서, 체결구는 제거되어야 하고, 그리고/또는 공작편이 교체되거나 폐기되어야 한다.
무수한 나사 제거 비트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비트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샤프트와 같은 각각의 회전하는 공구 샤프트가 수동 또는 동력 구동되는 점에서 일반적이다. 비트의 제2 단부는 체결구가 공작편에 의해 여전히 단단히 유지되는 동안 체결구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비트의 제2 단부는 표준 드릴 비트의 단부와 유사하다. 다수의 파손 볼트 추출기는 좌향 절삭날(cutting edge)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777,850호는 두 개의 이러한 날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좌향 추출을 시작하기 위해 체결구 내에 "맞물리게(bite)" 하는데 필요한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데 상당한 동력을 여전히 요구한다.
2003년 7월 22일 베르가모(Bergamo)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595,730 B2호는 손상된 나사를 제거하기 위한 비트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체결구의 내부면이 아니라 체결구의 외부면에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장치에 의한 체결구의 "파지(purchase)"는 외부면에 위탁된다.
종래의 추출 장치의 다른 예는 독일 특허 DE 19526631 A1호에 개시된 공구이다. 공구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움직이지 않는(frozen)" 나사/볼트 또는 리벳 내에 구멍을 천공하는 두 개의 절삭날을 묘사한다. 두 개의 절삭날은 또한 체결구 내에 구멍을 천공한 후에 동일 체결구를 느슨하게 하여 이에 의해 공작편으로부터 체결구를 제거하기 위한 추출 시간을 감소시키는 두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공구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이 공구의 문제점은 공작편으로부터의 제거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결구 내에 리세스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독일 특허의 공구는, 체결구가 두 개의 절삭날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데 충분한 깊이를 갖는 리세스를 구비하지 않으면 슬롯 형성 표면 구조를 갖는 체결구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다르게는, 슬롯 형성된 헤드 체결구는 제거 중에 손상될 수 있다.
공작편에 의해 단단히 유지된 체결구의 용이한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파손 볼트 또는 파손 나사 추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당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장치는 수동식 핸들로 또는 전동식(배터리 구동식을 포함) 공구로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 장치는 최소의 요구 힘으로 체결구의 추출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체결구로부터의 장치의 회전 제거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거 곤란한(wayward) 체결 구의 내부면 만큼 결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다수의 단점을 극복하는 파손 볼트 또는 파손 나사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구를 추출하기 위해 단지 낮은 레벨의 토크만을 필요로 하는 파손 볼트/나사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한 쌍의 일반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절삭날을 갖고, 절삭날 각각은 제거기의 축에 대해 각도를 규정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상이한 절삭날 각도가 체결구의 내부면 내로의 비트의 맞물림을 보강한다는 것이다. 절삭날은 또한 체결구의 부가의 파지를 제공하도록 절삭날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톱니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톱니형부는 0.25 RPM 정도로 낮은 토크 속도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 및 전동 공구의 일반적인 RPM 정도로 높은 토크로 비트가 제거 곤란한 체결구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수동식 스크류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30 RPM이 비전동식 수동 공구에 일반적이도록 손목 롤링(wrist roll)당 1/4 회전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또한 천공을 갖는 파손 볼트/나사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비트의 축에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톱니형부를 포함하는 좌향 카운터싱크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체결구의 더 많은 내부면이 톱니형부의 절삭날에 이용 가능해지도록 하고, 공작편 내의 나사산 형성 캐비티가 그대로 잔류하는 동안 비트에 부착된 체결구의 제 거기의 후퇴를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구 제거기 능력을 갖는 단차형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드릴 비트의 축방향 이격 단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일반적으로 종방향 연장 톱니형부이다. 이 톱니형부는 좌향 절삭 방식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이 일 실시예가 무수한 상이한 섕크 직경을 갖는 체결구를 추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간략하게, 본 발명은 결합 방향을 갖는 파손 체결구를 제거하기 위한 비트를 제공하고, 상기 비트는 종축을 갖는 세장형 샤프트로서, 상기 샤프트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단부는 팁에서 종결하는 세장형 샤프트; 상기 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선형 절삭날로서, 상기 절삭날은 비트가 체결구의 결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체결구 내로 절삭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비선형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제2 단부는 회전 토크를 제공하는 공구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더 용이한 체결구 추출을 허용하기 위한 비트 구조 및 단일 장치의 다양한 비트/나사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a는 본 발명의 비트의 현저한 특징을 제공하고, 비트는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다. 임의의 일반적인 비트와 마찬가지로, 비트는 일반적으로 팁(19)에서 종결하는 제1 단부(13)를 갖는 샤프트(12)를 포함한다. 팁(19)은 일반적으로 첨예한 것으로서 도시되었지만, 절삭면(14)이 서로 또는 팁과 동일 평 면상에 정렬되지 않도록 표준의 분할 팁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 분할 첨단 구조는 공작편으로부터 비트의 "탈락(walk out)"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조는 비트의 회전 운동 중에 체결구 상에 비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비트의 제2 단부(15)는 척 또는 콜릿(또는 토크를 부여하기 위한 소정의 다른 수단)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하는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공구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단부의 단면은 원형, 6각형, 다각형 또는 팁이 회전 토크를 받게 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비트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종방향 연장 노치(16)를 포함하고, 각각의 노치는 선행 또는 절삭날(14)을 갖고 일 측면에서 종결된다. 노치의 다른 측면은 비절삭날(17)과 접경한다. 절삭날(14) 및 비절삭날 양자 모두는 축(a)에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비트 주연부로 연장한다. 단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연장 노치가 허용 가능하지만, 설명을 위해 이하의 논의는 두 개의 노치 구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절삭날(14)은 시계방향 결합을 갖는 체결구를 추출하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지향하고, 반시계방향 체결구에 대해서는 역으로 지향한다. 절삭날과 비절삭날 사이에는 절두 원추형 구역의 섹션으로서 설명될 수 있는 맞물림 또는 견인 보강면(18)이 있다. 맞물림 표면은 절삭날(14)과 비절삭날(17)과 접경한다.
절삭날(14)은 비트의 종축(α)에 대한 각도(β)를 형성한다. 도 1ac에 도시된 비트의 대향 측면은 그의 절삭날(14b)이 각도 β와는 상이한 비트의 축(α)에 대한 각도(γ)로 배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를 형성한다. 도 1ab 는 라인 1ab-1ab를 따라 취한 도 1aa의 상면도이다.
놀랍게도 그리고 예상외로, 본 발명자는 절삭날 각도의 차이가 파손 체결구의 섕크로의 더 큰 맞물림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1 각도(β)는 50% 만큼 제2 각도(γ)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각도는 45°인 반면, 제2 각도(γ)는 30°이다. 이상적으로, 각도들의 합은 파손 체결구의 임의의 잔류 슬롯이 절삭날(14, 14b) 각각의 적어도 일부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aa에 도시된 절삭날은 직선형이지만,대안 실시예에서 절삭날은 체결구의 결합 방향에 대향하여 배향된 나선형 구조를 규정한다.
도 1aa 및 도 1a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절삭날을 갖는 비트의 대안으로서, 날(14a) 중 하나 또는 더 많은 날이 톱니형으로 형성되고, 만곡되거나 톱니형으로 형성되어 만곡될 수 있다. 톱니형 날은 도 1ba(도 1bb는 라인 1bb-1bb를 따라 취한 도 1ba의 상면도임)에 도시된다. 톱니형부(15)는 절삭날의 적어도 상당한 길이를 따라 시작하고 우향 방향(즉, B로 나타낸 소형 화살표의 방향에 대향함)으로 절삭날로부터 횡단방향으로 그리고 비트의 주연부에 원주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톱니형부는 비절삭날(17)(도 1ba 및 도 1ca 참조)에서 종결하도록 절두 원추형 표면(18)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고, 또는 톱니형부는 절삭날(14)과 비절삭날(17) 사이의 표면(18)에서 정지할 수 있다(도 1cc 및 라인 1cc-1cc를 따라 취한 도 1cc의 상면도인 도 1cd 참조). 톱니형부는 도 1bc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 사이에 갭(19)을 갖는 일련의 치형부(15)를 표면(18) 상에 규정한다. 톱니형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표면을 구비한 장치는 이하에 설명되 는 바와 같이 부가의 파지 시너지 효과를 제공한다.
도 1ca는 맞물림 표면이 축에 대해 각도(γ)에서 톱니형부를 지지하는 점이 도 1ac와 유사하고, 도 1cb는 라인 1cb-1cb를 따라 취한 도 1ca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자는 톱니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절삭날 및 중간의 다음 절삭날이 공작편으로부터의 용이한 추출을 위해 체결구 내로의 이 평활한 절삭날의 "맞물림"을 원활하게 보강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대안의 톱니형/평활한 절삭날 구조는, 이에 의해 톱니형 날이 체결구 표면의 형태를 거칠게 하여 체결구와 평활한 절삭면의 파지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2중 작용을 제공한다.
동일 비트 상의 복수의 절삭날은, 날을 갖는 하나의 구조가 서로 상이한 축방향 위치에서 체결구 내로 맞물리는 상태로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두 개의 톱니형 날 중간의 평활한 날에 대향하는 인접한 날에서도). 날의 공격 각도(예를 들면, 상술한 각도 β 및 γ)를 변경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비트가 제거를 위해 잔해(carcass) 내로 고정될 수 있기 전에 인접한 톱니형 날이 체결구의 잔해를 파괴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톱니형부의 구조에 다수의 가능한 변형예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가능한 실시예는 톱니형 부가 비트 축에 대해 동일한 각도에 있는 두 개의 절삭날에 제공되는 것이고, 톱니형부는 갭(11)에 의해 분리된 치형부(15)의 두 개의 세트를 규정한다. 도 1da 및 도 1db는 본 실시예의 두 개의 가능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da에서 두 개의 표면 상의 대응 치형부(15a'-15b', 15a"-15b", 15a"'-15a"' 등)는 노치(16)를 가로질러 방위적으로 정렬되고, 도 1db에서 대응 치형부는 다른 측면에 서 갭(11)과 방위적으로 정렬되도록 노치의 다른 측면 상의 것들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엇갈린 톱니 구조는 체결구의 상이한 반경방향 및 축방향 구역에서의 톱니형부 맞물림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서로 방위적으로 정렬된 톱니형부는 비트의 종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에 위치된 이들 톱니형부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비트는 첨예한 정점으로 종결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오히려, 둥근 또는 무딘 정점으로 종결하는 비트가 특히 대직경 생크를 갖는 체결구에 또는 중심 캐비티가 체결구를 추출하려는 이전의 시도 중에 형성되는 체결구에 적합하다. 도 6a는 맞물림 표면(18)이 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고(도 1aa 참조) 또한 톱니형부를 포함할 수 있는(도 1ba 참조) 이러한 무딘 정점 비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b는 라인 6b-6b를 따라 취한 도 6a의 상면도이다.
도 2a는 표준 "제거 용이" 구조(제거 용이는 테이퍼 형성, 좌향 나선형을 규정함)를 포함하는 도면 부호 2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파손 체결구 제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드릴 비트(28)에서 종결하는 복수의 좌향 절삭면(22)을 포함한다. 비트(28)는 도 1aa 및 도 1ba에 설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거 용이 구조를 갖는 체결구 제거기 비트(20)는 비트(20)의 절삭면(들)(22)을 따라 복수의 톱니형부(2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절삭면은 비트(20)의 주연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선형 구역을 규정한다. 톱니형부는 비트의 절삭날(14) 중 하나 이상을 따라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저한 특징 은 비트의 섕크(12)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한(필수적인 것은 아님) 복수의 좌향 톱니형부(24)이다. 이들 톱니형부는 나사 헤드의 리세스 내에 맞물린다. 도 2b는 톱니형부(24)가 나선형 절삭면(22)의 절삭날(14) 상에 치형부(25)를 규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절삭날(14)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면 부호 30으로 도시된 체결구 제거 비트를 도시한다. 이 제거 비트(30)는 회전 핸들 또는 척, 또는 콜릿(도시 생략)에 의해 수용되도록 채택된 제1 단부(31)를 갖는다. 제거 비트(30)의 제2 단부(32)는 도 1aa 내지 도 1b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비트 구조(39)에서 종결한다. 일반적으로, 제거 비트의 절삭 구역은 단차형 드릴 구조(32) 및 구조의 단차부(34) 중간에 위치된 톱니형 날(33)을 포함하여 톱니형부가 단차부의 반경방향 지향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이들 톱니형 날(33)은 일반적으로 비트(30)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좌향(반시계 방향) 드릴 절삭 구조를 규정한다.
도 3a에서, 단차부(34)는 다양한 체결구 섕크 직경이 제거 비트(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다른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단차부는 일단 비트가 체결구 섕크 내에 매립되고 공작편 내의 나사산 형성 캐비티는 그대로 잔류하면 체결구를 축방향으로 후퇴시키는데 필요한 고정을 제공하도록 이격된 자체 탭핑 나사산(37)을 갖는다.
도 3b는 대안적인 단차형 드릴 비트(73)를 도시하고, 단차부(34)는 반시계방향 절삭날(74) 및 맞물림 표면(78)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비트(73)는 팁으로부터 샤프트(31)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 이사의 노 치(71)를 갖는 팁(72)에서 종결하는 제1 단부를 갖고, 상기 노치는 복수의 절삭날(79)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날(74)은 축을 따라 위치되고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의 방향으로 축으로부터 더 멀리 연속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맞물림 표면(75) 상에 배열된다. 절삭날(79)은 비트가 체결구의 결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절삭날이 체결구 내로 방위적으로 절삭할 때 점진적인 반경방향 단차부에서 체결구 내로 절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면(75)의 구역에 따라 복수의 치형부(76)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치형부는 체결구의 종축을 따른 방향으로 체결구에 맞물리도록 채택된 하나의 절삭날(74)을 규정한다. 따라서, 단차부(34) 각각은 드릴 비트가 체결구 내로 전진할 때 체결구 내에 맞물리는 원통톱(hole saw)을 구성한다. 도 3c는 라인 3c-3c를 따라 취한 도 3b의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도 1aa 및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73)는 상기 표면(75)으로부터 돌출하는 톱니형 날 및 상기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자체 탭핑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절삭날(79)이 축에 대한 유사하지 않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4a는 도면 부호 40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다른 비트를 도시하고, 도 4b는 라인 4b-4b를 따라 취한 도 4a의 상면도이다. 이 비트는 카바이드 인서트(42)에서 종결하는 중공형 로드의 형상의 "글래스 드릴"(44)을 포함한다. 인서트(42)는 각각의 노치(43)가 150°내지 180°인 범위로 도 1aa 및 도 1ba에 도시된 바와 같은 2-노치 비트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로드의 종축에 횡단방향으로 위치된 편평한 "스페이드" 비트와 유사하다. 인서트의 말단부는, 그 각각이 로드 의 종축에 대해 동일 각도에 있거나 동일 각도에 있지 않을 수 있는 복수의 좌향 절삭날(14)을 규정한다. 선택적으로, 이들 날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절삭날로부터 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톱니형부(15)를 포함하는 맞물림 표면을 규정한다. 이들 에지 각각은 좌향 구조로 구성되므로, 좌향 체결구가 이에 의해 추출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비트에서, 절삭날은 좌향 체결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향 지향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4b는 라인 4b-4b를 따라 취한 도 4a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나사/볼트 제거기 구조는 다른 일반적인 공구 비트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a 및 도 1ba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조의 요소는 이미 친숙한 공구를 최적화하도록 일반적인 스페이드 플랫 비트(도 5a는 파손 체결구의 슬롯에 도시된 스페이드 플랫의 도면임)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페이드 드릴은 척, 또는 토크 부여 공구의 콜릿 내에 수용되도록 채택된 섕크를 포함하고, 섕크는 종종 "스페이드 플랫"이라 칭하는 편평한 절삭 요소에서 종결한다. 스페이드 플랫은 일반적으로 섕크와 평행한 절삭날과 섕크와 정렬된 절삭 팁 및/또는 섕크에 평행하지만 섕크의 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된 측면 절삭 팁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스페이드 플랫 하이브리드(50)는 파손 나사(54)의 슬롯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되고, 나사는 공작편(56) 내로 카운터싱킹된다. 작동시에, 스페이드 플랫 하이브리드(50)의 절삭날(14)은 나사의 헤드(58) 내로 매립된다. 나사의 슬롯의 중심은 하이브리드 비트(50)의 사용자에 대한 파일럿 구멍으로 서 도시된다.
도 5a에서, 도면 부호 5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공구는 도 1aa 및 도 1ba에 도시된 구조 중 하나와 유사하게 팁(51) 상에 그리고 스페이드 플랫(52)의 반시계방향 지향 위치에 절삭날(14)을 규정한다. 비트(50)는 또한 측면 절삭 팁(53)을 포함한다.
도 5b에서, 스페이드 플랫은 삼각형 절삭 요소(59)에서 종결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페이드 플랫은 평활한 또는 톱니형 형태를 갖는 비절삭날 및 맞물림 표면을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드 플랫은 1/4"(6.35mm) 크기로 도시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오히려, 무수한 스페이드 플랫 크기가 잔류 체결구 헤드(58) 또는 잔류 섕크의 직경에 따라 적합하다.
스페이드 플랫의 다른 실시예는 절삭날(14)이 삼각형 형상을 취하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모두 좌향 절삭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좌향 체결구가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 우향 절삭 구조를 갖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실시예 각각의 대향 절삭날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비트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한 각각의 비트의 종축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된다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트의 절삭날(14) 및 비절삭날(17)은 도 7 및 도 8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만곡(즉, 비선형)될 수 있다. 도 8의 상면도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비절삭날(14a, 14b)제1 및 제2 비절삭날(17a, 17b)과 협동하여 노치(32, 34)의 반경방향 원호에 대응하는 각도 A 및 B를 형성한다. 노치(32, 34)는 좌향 드릴 비트의 세로 홈 또는 릴리프면을 형상화하고 암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의 세로 홈은 일반적으로 직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그리고 비트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하지만, 만곡된 세로 홈은 또한 적합한 변형예이다. 이러한 세로 홈은 비트의 주연부의 종방향 연장 섹션을 따라 그리고 그의 원주 둘레로 연장된 나선 또는 소용돌이선을 규정한다. 이들 만곡된 세로홈은 또한 비트가 체결구를 추출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으로 지향하는 이들의 에지 또는 림을 따라 톱니형부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우향 체결구의 추출을 요구하는 작업에서는, 톱니형부는 반시계방향으로 지향하는 세로 홈 에지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절삭 및 비절삭날과 마찬가지로, 절삭 및 비절삭날은 각각의 절삭 및 비절삭날 중간에 표면이 위치하도록 비트의 절두 원추형 표면을 규정한다. 도 8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각도 A 및 B를 도시하였지만, 노치 각각에 의해 경계 정해진 각도 A 및 B는 체결구(18)의 슬롯의 디자인 또는 손상된 구조와 협동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 실질적으로 합동하는 결합은 공구(10)로부터 체결구로 증가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체결구의 슬롯부와 체결구 결합 단부(16)의 제1 및 제2 연장 노치 사이에 발생한다.
또한, 톱니형부(36)가 만곡된 절삭면에 제공되는 경우, 이러한 톱니형부는 선형, 아치형, 선분형, 방사상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톱니형부(36) 가 선형 구조를 포함할 때, 톱니형부(36)의 종축(ε)은 공구(10)의 종축(a)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또는 경사져서 배향될 수 있다(도 7b 참조).
선택적으로, 체결구 결합면(24, 26)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톱니형부 대신에 또는 이에 부가하여, 대응 절삭날(20, 22)로부터 노치(32, 34)의 내부벽부(33, 35)를 따라 연장하는 톱니형부(36)가 또한 제공된다. 체결구 결합면(24, 26)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톱니형부와 마찬가지로, 톱니형부(36)는 체결구(18)의 대응 슬롯부와의 결합을 강화하고 공구(10)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도록 벽부의 단지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트는 일단 상기 체결구와의 결합이 실행되면 파손 체결구로부터 비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탐색기(finder)"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은 비트의 섕크와 결합되고 이와 동축이며 그와 함께 활주 가능한 관계에 있는 부속품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또는 튜브로서 구성되어, 탐색기는 공작편에 단단히 유지된 체결구의 주연부에 걸쳐 활주하도록 채택된다. 이와 같이, 탐색기는 체결구 내로의 비트의 적절한 매립을 보장하기 위해 체결구의 종축과 동축인 위치에 비트를 유지한다. 탐색기는 또한 체결구로부터 공작편의 인접 표면으로의 비트의 점핑(jumping) 또는 스킵핑(skipping)을 방지하고, 따라서 상기 공작편의 결합 또는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부가는 장치의 원주 둘레에 칼라 또는 반경방향 돌출부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칼라 또는 돌출부는 장치의 제1 및 제2 단부 중간에 위치될 수 있고 칼라의 위치 및 장치의 팁(19)에 의해 규정된 거리를 넘어 체결구 내 로의 장치의 관통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이 예시된 실시예의 상세를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되었지만, 이들 상세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기 위해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배타적인 소유권 또는 특권이 이하와 같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상기된 본원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낮은 레벨의 토크를 필요로 하는 파손 볼트/나사 제거기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체결구를 추출할 수 있다.

Claims (8)

  1. 결합 방향을 갖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로서,
    a) 종축을 갖는 세장형 샤프트로서, 상기 샤프트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단부는 팁에서 종결하는 세장형 샤프트;
    b) 상기 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선형 절삭날로서, 상기 절삭날은 비트가 체결구의 결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체결구 내로 절삭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비선형 절삭날을 포함하고,
    c) 상기 샤프트의 제2 단부는 회전 토크를 제공하는 공구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의 하나 이상은 견인 표면을 규정하고, 상기 표면은 톱니형부 및 견인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톱니형부를 포함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절삭날의 중간에 위치되는 두 개 이상의 세로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홈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트의 주연부의 종방 향 연장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나선을 규정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홈은 림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톱니형부는 상기 비트의 회전 방향으로 지향하여 림 상에 위치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부는 절삭날 상에 복수의 치형부를 규정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의 하나 이상은 복수의 톱니형부를 포함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8.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의 하나 이상은 상기 절삭날로부터 상기 비트의 절두 원추형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톱니형부를 포함하는 파손 체결구 제거용 비트.
KR1020060102377A 2005-10-22 2006-10-20 손상 볼트 및 나사 제거 장치 KR20070043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55,424 US20060101949A1 (en) 2003-04-25 2005-10-22 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US11/255,424 2005-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920A true KR20070043920A (ko) 2007-04-26

Family

ID=3754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377A KR20070043920A (ko) 2005-10-22 2006-10-20 손상 볼트 및 나사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101949A1 (ko)
EP (1) EP1777039A3 (ko)
KR (1) KR20070043920A (ko)
CN (1) CN1951637B (ko)
AR (1) AR058131A1 (ko)
BR (1) BRPI0604325A (ko)
MX (1) MXPA06012069A (ko)
TW (1) TWI337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3935B2 (ja) * 2011-06-17 2016-06-15 マコトロイ工業株式会社 ドリル
WO2013077857A1 (en) * 2011-11-22 2013-05-30 Robert Bosch Gmbh Drill bit
CN104128641A (zh) * 2013-05-03 2014-11-05 苏州文鼎模具有限公司 一种钻头
US20150043983A1 (en) * 2013-08-06 2015-02-12 Performance Carbide, Inc. Spade drill
WO2018150360A1 (en) * 2017-02-15 2018-08-23 Grip Tooling Technologies Llc Multi-directional driver bit
CN105598911A (zh) * 2016-03-11 2016-05-25 江苏元中直流微电网有限公司 失效螺纹紧固件快速切割高效拆除装置
ES2774470T3 (es) * 2016-09-09 2020-07-21 Hubitools S A Procedimiento de extracción de tornillos y extractor para la implementación del procedimiento
CN113211370B (zh) * 2020-02-05 2022-09-30 鸿安国际兴业有限公司 具有防滑功能的驱动工具
WO2022165841A1 (en) * 2021-02-08 2022-08-11 Apex Brands, Inc. Bolt extractor with distal end engagement areas
TWI790876B (zh) * 2021-12-27 2023-01-21 鴻安國際興業有限公司 具有防滑功能的驅動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0472A (en) * 1928-08-30 1929-10-17 William Whelan Improvements in screw threaded stud extractors
US1863045A (en) * 1931-07-03 1932-06-14 Cleveland Twist Drill Co Extractor for screws and the like
US1863046A (en) * 1931-07-11 1932-06-14 Cleveland Twist Drill Co Extractor
US2066132A (en) * 1935-11-05 1936-12-29 Leon L Zihler Stub pull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480648A (en) * 1947-11-03 1949-08-30 Delmar C Harer Stud extra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161090A (en) * 1962-10-17 1964-12-15 Silas B Mclellan Stud engaging wrench having a fluted gripping surface
FR1403823A (fr) * 1964-05-14 1965-06-25 Foret étagé pour préparer l'extraction des goujons
US4189266A (en) * 1975-08-01 1980-02-19 George Koslow Rotary drill bit for hand-held power drills
US5031487A (en) * 1989-11-02 1991-07-16 Alden Corporation Broken bolt extractor
US6595730B2 (en) * 2000-03-06 2003-07-22 Alden Corporation Bit for removing damaged screws
US6957937B2 (en) * 2001-02-20 2005-10-25 Maxtech Manufacturing Inc. Spade bits with angled sides
ES2263815T3 (es) * 2001-05-17 2006-12-16 Atlas Copco Mai Gmbh Corona de perforacion.
US20030136228A1 (en) * 2002-01-22 2003-07-24 Kuo Chen Liu Tool having a structure for removing damaged screws
CA2523268C (en) * 2003-04-25 2013-01-22 Burton Kozak 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US7152509B2 (en) * 2005-02-25 2006-12-26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Fastener ex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7039A2 (en) 2007-04-25
TW200730306A (en) 2007-08-16
TWI337116B (en) 2011-02-11
CN1951637B (zh) 2013-07-24
BRPI0604325A (pt) 2007-08-21
EP1777039A3 (en) 2010-06-23
MXPA06012069A (es) 2008-10-15
US20060101949A1 (en) 2006-05-18
CN1951637A (zh) 2007-04-25
AR058131A1 (es)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931B1 (ko) 손상된 볼트 및 나사 제거 장치
US8739658B2 (en) 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KR20070043920A (ko) 손상 볼트 및 나사 제거 장치
US8485066B2 (en) 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JP2005532179A (ja) ねじ頭の損傷したねじを除去するための工具
AU2006233160B2 (en) 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US20120210826A1 (en) Damaged Fastener Extractor
US7971508B2 (en) Device to extract broken fasteners embedded in a workpiece
US20040223832A1 (en) Blind-setting coring rivet assembly
US9849573B2 (en) Broken bolt extractor
US9352459B2 (en) Broken bolt extractor
US20130101366A1 (en) Drill bit for removing bolts and other fasteners
US6868756B2 (en) Device to extract broken fasteners embedded in a workpiece
JP2004521763A (ja) らせん状挿入物用のノッチ形成抜取具
AU2005237161B2 (en) 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US20050178245A1 (en) Device to extract broken fasteners embedded in a workpiece
EP2018919A1 (en) Screwing bit
JP4272608B2 (ja) ネジ抜き用ビット
KR20090061720A (ko) 드릴
WO2006078467A2 (en) Tool for removing screws with damaged h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