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274A -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274A
KR20070043274A KR1020050099343A KR20050099343A KR20070043274A KR 20070043274 A KR20070043274 A KR 20070043274A KR 1020050099343 A KR1020050099343 A KR 1020050099343A KR 20050099343 A KR20050099343 A KR 20050099343A KR 20070043274 A KR20070043274 A KR 2007004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ne
impedance
broadband antenna
impedance conversion
s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154B1 (ko
Inventor
김병남
김진석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안테나 filed Critical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to KR102005009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54B1/ko
Priority to EP06020972A priority patent/EP1777782B1/en
Priority to US11/551,398 priority patent/US7619566B2/en
Publication of KR2007004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동작 주파수에 따라 소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슬롯 위치에 의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스터브로 이루어진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의 측부면 일부분이 외부 접지와 연결되는 단락부와, 상기 단락부와 인접되어 상기 방사부의 측부면에 형성된 스터브로부터 연장되어 다중 절곡되며, 상기 방사부의 하부면에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전류가 급전되는 급전부로 이루어져 상기 급전 선로의 다중 절곡된 길이와 간격 및 상기 급전 선로에 형성된 관통홀의 크기에 의하여 임피던스가 정합됨으로써, 다수의 광대역 공진주파수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한 안테나를 통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다중 절곡, 슬롯, 급전 선로, 광대역, 공진주파수, 단락부

Description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 Impedance Transformation Type Wide Band Antenna }
도 1a는 종래의 스터브를 이용한 단일층 광대역 안테나의 사시도
도 1b는 상기 도 1a의 저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상부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하부면 사시도
도 3은 상기한 도 2와 같은 형태의 안테나에 대한 특성 그래프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스터브를 이용한 단일층 광대역 안테나
20 : 유전체 30 : 홀 40 : 패치 51 : 제 1 스터브
52 : 제 2 스터브 60 : 접지판
70 : 급전점 80 : 동축 선로
200 :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210 : 급전부 220 : 급전 선로
230 : 관통홀 240 : 방사부
250 : 스터브 260 : 슬롯
270 : 제 1 스터브 280 : 제 2 스터브
290 : 단락부
본 발명은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임피던스가 변환되도록 급전 선로를 다중 경로로 형성하고, 다중 절곡하여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형성함으로써, 다중 대역 및 광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통신은 협대역 통신으로부터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와 같은 광대역 통신으로 서비스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또한 하나의 단말기로 다중의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 때문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는 복합적인 기능과 함께 광대역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의 스터브를 이용한 단일층 광대역 안테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저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10)는 그 상면에 구비된 유전체(기판)(20)와, 상기 유전체(20) 상부에 상기 유전체(2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그 내부에 소정의 홀(30)이 형성된 패치(40)와, 상기 패치(40)의 대각 방향의 모서리측에 부착되어 그의 위치와 크기를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안테나(10)의 공진주파수와 임피던스를 변환시키기 위한 박판형상의 도체 스터브(50) 및 상기 유전체(20)의 하부에 부착된 전도성 접지판(60)으로 구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점(70)이 상기 패치(40)내에 형성된 홀(30)을 통해 납땜되는 상기 패치(40)와 외부 신호원을 공급하는 동축 선로(80)를 구비한다.
상기 소정 크기의 패치(40)는 왼쪽변의 상단부에 제 1 스터브(51)와 오른쪽의 하단부에 제 2 스터브(5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터브(51, 52)의 위치가 상기 패치(40)의 중심에 대해 정확히 대칭이 되도록 설계되어야 만이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터브(51, 52)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10)가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스터브(51, 52)를 상기 패치(40)의 중심에 대해 거의 대칭되게 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접지판(60)과 방사체인 패치(40)사이에 구비된 유전층(20)은 상기 안테나(10)의 사용용도에 따라 공기층을 이용하여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10)의 급전을 위한 커넥터의 위치도 안테나(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변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도록 하여 스터브(51, 52)의 치수와 함께 급전점(70)의 위치에 의해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 정합에 의하여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스터브를 이용한 단일층 광대역 안테나에서는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터브의 치수나 급전점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실제 무선통신 단말기에 탑재할 수 있는 공간적인 제약을 받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동일한 안테나 공간내에서의 다중 대역까지 지원을 요구하고 있어 무선통신 시스템에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소형화에 유리한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중 경로로 형성된 급전 선로를 다중 절곡하여 높이와 길이 및 다중 경로에 구현된 관통홀의 크기를 조절하여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형성함으로써, 다중 대역 및 광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동작 주파수에 따라 소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슬롯 위치에 의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스터브로 이루어진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의 측부면 일부분이 외부 접지와 연결되는 단락부와, 상기 단락부와 인접되어 상기 방사부의 측부면에 형성된 스터브로부터 연장되어 다중 절곡되며, 상기 방사부의 하부면에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전류가 급전되는 급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전 선로는 다중 절곡된 길이와 간격에 의하여 임피던스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전 선로는 ㄷ-자형 또는 ㄹ-자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전 선로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상부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하부면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사부(240)는 금속 판재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측부면의 일부분이 연장되어 급전 선로(220)와 단락부(290)가 하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스터브(250)는 상기 방사부(240)의 상부면과 측부면에 미앤더 라인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260)에 의하여 상기 방사부(240)의 상부면과 측부면에 소정의 길이로 일측이 개방되어 종단되며, 상기 슬롯(260)에 의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구분되어 제 1 스터브(270)와 제 2 스터브(28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락부(290)는 상기 급전 선로(220)와 인접되는 상기 방사부(240)의 일측 측부면에 다른 일부분이 외부 접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전 선로(220)는 상기 단락부(290)와 인접되며, 상기 방사부(240)의 측부면에 형성된 스터브(250)로부터 연장되어 ㄷ-자형으로 다중 절곡되고,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다중경로가 이루어진다. 또한, ㄹ-자형 또는 제한된 높이 내에서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전부(210)는 소정 폭을 갖는 사각형 형태로 상기 급전 선로(220)의 끝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200)는 소정 폭을 갖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상기 급전부(210)를 통해 전류가 급전되어 금속 판재로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상기 방사부(240)에 일측 측부면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ㄷ 자형으로 다중 절곡된 상기 급전 선로(220)의 길이에 따른 인덕터스 성분과 상기 급전 선로(220)의 간격에 의하여 조정되어 용량성 커패시턴스 성분 및 유도성 인덕턴스 성분이 형성되며, 상기 급전 선로(220)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다중경로가 전류의 흐름을 변화시켜 유도성 인덕턴스 성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30)의 크기에 의하여 전류의 흐름이 조정된다.
또한, 상기 단락부(290)가 외부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방사부(240)사이의 높이 및 상기 급전 선로(220)의 면전에 의하여 성분이 조정되며, 상기 용량성 커패시턴스와 유도성 인덕턴스 성분에 의하여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다수의 광대역 고주파 공진주파수가 형성되며, 상기 임피던스가 정합된 급전 선로(220)를 통해 상기 방사부(240)의 상부면과 측부면에 복수개의 슬롯(260)에 의하여 상기 방사부(240)의 상부면과 측부면에 소정의 길이로 일측이 개방되어 종단된 제 1 스터브(270)와 제 2 스터브(280)의 길이에 의하여 이중대역의 공진주파수가 형성된다.
도 3은 상기한 도 2와 같은 형태의 안테나에 대한 특성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같은 형태의 안테나(200)에 대해 700MHz ~ 2300MHz 까지 주파수에 따른 반사특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안테나(200)의 정재파비( SWR : Standing Wave Ratio)를 나타내고 있으며, 광대역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셀룰라 통신의 주파수 대역은 800MHz ~ 900MHz 대역이고, PCS의 주파수 대역폭은 1700MHz ~ 1900MHz 이다. IMT-2000의 주파수 대역은 1900MHz ~ 2200MHz로 실제 사용대역은 230MHz가 할당되어 넓은 대역에서 동작하여야 한다. 이를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테나(200)의 특성과 비교해보면 안테나의 광대역 특성을 잘 알 수 있으며, 이중 대역이상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각각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는 다중 경로로 형성되고, 다중 절곡된 급전 선로의 길이와 간격 및 외부 접지와 연결된 상기 단락부와 방사부사이의 높이와 상기 급전 선로에 형성된 관통홀의 크기에 의하여 임피던스가 정합됨으로써, 다수의 광대역 공진주파수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한 안테나를 통해 동시에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동작 주파수에 따라 소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슬롯 위치에 의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스터브로 이루어진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의 측부면 일부분이 외부 접지와 연결되는 단락부와;
    상기 단락부와 인접되어 상기 방사부의 측부면에 형성된 스터브로부터 연장되어 다중 절곡되며, 상기 방사부의 하부면에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전류가 급전되는 급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선로는 다중 절곡된 길이와 간격에 의하여 임피던스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선로는 ㄷ-자형 또는 ㄹ-자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선로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선로의 다중 절곡된 길이와 간격 및 상기 급전 선로에 형성된 관통홀의 크기에 의하여 유도성 인덕턴스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와 상기 단락부 사이의 높이 및 상기 급전 선로의 면적에 의하여 용량성 커패시턴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상기 용량성 커패시턴스와 유도성 인덕턴스에 의하여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다수의 광대역 공진주파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상기 종단된 길이에 의하여 저주파 공진주 파수가 형성되는 제 1 스터브와 고주파 공진주파수가 형성되는 제 2 스터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KR1020050099343A 2005-10-20 2005-10-20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KR10073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43A KR100735154B1 (ko) 2005-10-20 2005-10-20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EP06020972A EP1777782B1 (en) 2005-10-20 2006-10-05 Impedance transformation type wide band antenna
US11/551,398 US7619566B2 (en) 2005-10-20 2006-10-20 Impedance transformation type wide band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43A KR100735154B1 (ko) 2005-10-20 2005-10-20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274A true KR20070043274A (ko) 2007-04-25
KR100735154B1 KR100735154B1 (ko) 2007-07-04

Family

ID=3767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343A KR100735154B1 (ko) 2005-10-20 2005-10-20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19566B2 (ko)
EP (1) EP1777782B1 (ko)
KR (1) KR100735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4190A (zh) * 2009-12-21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天线及其小型化方法
US9472846B2 (en) * 2011-02-18 2016-10-18 Laird Technologies, Inc. Multi-band planar inverted-F (PIFA) antennas and systems with improved isolation
US10243251B2 (en) * 2015-07-31 2019-03-26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Multi-band antenna for a window assembly
CN106972243B (zh) * 2017-01-22 2019-05-21 中国计量大学 一种覆盖gnss的多频段双向共面4g微带天线
CN108666752A (zh) * 2018-04-17 2018-10-16 惠州市元盛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天线
CN108990315B (zh) * 2018-10-12 2021-04-06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差分过孔阻抗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723B (fi) * 1997-03-27 2003-12-31 Nokia Corp Langattomien viestimien antenni
FI113212B (fi) * 1997-07-08 2004-03-15 Nokia Corp Usean taajuusalueen kaksoisresonanssiantennirakenne
DE10052909A1 (de) * 2000-10-25 2002-05-08 Siemens Ag Kommunikationsendgerät
KR100423395B1 (ko) * 2001-07-02 2004-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TW529779U (en) * 2001-10-26 2003-04-21 Hon Hai Prec Ind Co Ltd Multi-frequency antenna
EP1372213A1 (en) * 2002-06-11 2003-12-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ulti-frequency band antenna
DE60226909D1 (en) * 2002-11-28 2008-07-10 Research In Motion Ltd Ren
EP1576695B1 (en) * 2002-12-06 2008-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band antenna with shared slot structure
US7102573B2 (en) * 2003-01-13 2006-09-05 Cushcraft Corporation Patch antenna
JP4623272B2 (ja) * 2004-09-02 2011-02-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19566B2 (en) 2009-11-17
KR100735154B1 (ko) 2007-07-04
EP1777782B1 (en) 2012-05-30
US20070091000A1 (en) 2007-04-26
EP1777782A1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007B1 (ko) 초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101031052B1 (ko) 멀티밴드 안테나 컴포넌트
KR1008563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7333067B2 (en) Multi-band antenna with wide bandwidth
KR100638621B1 (ko)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US6404394B1 (en) Dual polarization slot antenna assembly
KR100799875B1 (ko)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6111545A (en) Antenna
US7956812B2 (en) Wide-band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266189A1 (en) Symmetrical dual-band uni-planar antenna and wireless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US20060192713A1 (en) Dielectric chip antenna structure
US7554488B2 (en) Planar antenna
US7855686B2 (en) Compact antennas for ultra-wideband applications
KR100735154B1 (ko) 임피던스 변환형 광대역 안테나
KR20060036702A (ko) 초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EP0938158A2 (en) Antenna
KR20020065811A (ko) 전자결합 인쇄 슬롯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0862533B1 (ko) 다중대역 안테나
CN113067124B (zh) 小型化Wi-Fi双频天线以及工作方法
KR100858969B1 (ko) 향상된 대역저지 특성을 갖는 보우타이형 광대역 모노폴안테나
TWI467853B (zh) 雙頻天線及應用該雙頻天線之無線通訊裝置
KR100693218B1 (ko) 스터브 단락형 광대역 안테나
KR20060068741A (ko) 평면 역 에프 안테나 구조
CN214849038U (zh) 一种七边形单陷波超宽带微带天线
KR100862492B1 (ko) 칩 안테나 실장용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