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164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164A
KR20070043164A KR1020050099121A KR20050099121A KR20070043164A KR 20070043164 A KR20070043164 A KR 20070043164A KR 1020050099121 A KR1020050099121 A KR 1020050099121A KR 20050099121 A KR20050099121 A KR 20050099121A KR 20070043164 A KR20070043164 A KR 20070043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upport
support plate
exhaust port
filter member
clothes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502B1 (ko
Inventor
김진두
이규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502B1/ko
Priority to US11/481,068 priority patent/US20070089316A1/en
Priority to EP06014172A priority patent/EP1777334A3/en
Publication of KR2007004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통 내에 착탈가능 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건조통과, 개방되어 있는 건조통의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판과, 세탁물의 지지를 위해 건조통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전방측 단부가 전방지지판측에 지지되는 전방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보조선반을 포함한 것으로, 전방지지부에는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조선반에 의한 공기의 유동속도 저하를 저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보조선반 착탈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건조통
30: 구동장치 40: 흡기유로
41: 하부 흡기덕트 42: 후방 흡기덕트
50: 배기유로 51: 필터케이스
51a: 필터설치공 51b: 배기구
52: 배기덕트 60: 송풍장치
70: 필터부재 71: 배기구
72: 손잡이부 80: 보조선반
81: 그리드부 82: 전방지지부
83: 관통공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통 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을 구비하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젖은 세탁물이 수용된 건조통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건조통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건조통과, 건조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회전하는 건조통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와, 건조통으로의 공기 유입을 안내하는 흡기유로와, 건조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여, 공기가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를 통해 건조통을 통과하며 건조통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건조통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건조통의 전단 및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판과 후방지지판이 마련되어 후방지지판의 상부에 흡기유로가 연결되고 전면지지판의 상부에 배기유로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기유로가 연결되어 있는 전방지지판측에는 배기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필터부재에는 걸러질 공기가 배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건조통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동작이 반복되면서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화처럼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겁고 딱딱한 세탁물의 경우 세탁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동작소음이 발생할 뿐 아니라 세탁물의 손상이 생긴다. 따라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7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의류건조기는 건조통의 내부에 수평으로 유지되는 보조선반을 설치하여 세탁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운동화와 같은 세탁물을 손쉽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보조선반의 전방측 단부가 배기구의 상측에 배치되어 배기구로 흡입되는 공기에 보조선반에 의한 유로 저항이 발생하여 공기의 유동 속도가 저하되고 그에 따라 의류건조기의 세탁물 건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통 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에 의한 공기의 유동 속도 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건조통과, 개방되어 있는 상기 건조통의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판과, 세탁물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전방측 단부가 상기 전방지지판측에 지지되는 전방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보조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지지부에는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판측에는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배출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기구가 마련되어 상기 배기구의 상측에 상기 전방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배기구의 상측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판에는 상기 전방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며 그 상면에 상기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 상기 배기구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전방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배기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관통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단이 상기 전방지지판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지지판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그 상면에 상기 필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설치공이 마련되어 있는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판에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은 상기 투입구와 대응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단과 대응하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단에 얹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건조통과, 개방되어 있는 상기 건조통의 전단 및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판 및 후단지지판과, 세탁물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전방측 단부와 그 후방측 단부가 상기 전방지지판측과 상기 후방지지판측에 각각 지지되어 설치되는 보조선반과,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배출될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구와, 상기 보조선반에 마련되되 상기 배기구측으로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배기구의 상측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통(20)과, 건조통(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를 포함하며, 공기가 건조통(20) 내부를 흡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흡기유로(40)와, 공기가 건조통(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기유로(50)와, 흡기유로(40) 및 배기유로(50)를 통해 공기가 건조통(20)으로 순환되게 하는 송풍장치(60)를 포함한다.
건조통(2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건조통(20)의 내주면에는 세탁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복수의 리프터(21)가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0) 내에는 개방되어 있는 건조통(20)의 전면 및 후면을 덮음과 동시에 건 조통(2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 내에는 건조통(2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이 각각 고정 설치된다.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에는 건조통(20)의 전단과 후단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건조통(20)의 전단 및 후단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돌출된 전방지지턱(24) 및 후방지지턱(25)이 마련되며, 건조통(20)의 전단과 전방지지턱(24)의 사이와 건조통(20)의 후단과 후방지지턱(25)의 사이에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찰감소부재(26)가 각각 개재된다. 또한,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의 하부에는 건조통(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27)가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10)의 전면과 전방지지판(22)에는 건조통(20)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원형의 투입구(10a, 22a)들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이러한 투입구(10a, 22a)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1)가 설치된다.
건조통(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는 하우징(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의 동력을 건조통에 전달하기 위한 풀리(32)와 벨트(33)를 포함한다. 벨트(33)는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 일단에 결합된 풀리(32)의 외면과 건조통(20)의 외면에 감기도록 설치되어 구동모터(31)의 회전에 따라 건조통(2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흡기유로(40)는 하우징(10) 내부의 건조통(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흡기덕트(41)와, 후방지지판(23)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지지판(23) 상부에 형성되는 흡기구(23a)와 하부 흡기덕트(41)를 연결하는 후방 흡기덕트(42)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때, 하부 흡기덕트(41) 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1a)가 설치된다.
배기유로(50)는 그 상단이 전방지지판(22) 하부를 관통하여 전방지지판(22)의 하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건조통(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재(7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케이스(51)와, 필터케이스(51)의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61)을 포함한 송풍케이스(62)와, 송풍케이스(62)의 후면에 연결되어 공기를 후방측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배기덕트(5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케이스(51)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부재(7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필터설치공(51a)이 마련되어 있으며, 필터부재(70)의 상면과 필터케이스(51)의 후면에는 필터부재(70)에 의해 걸러질 공기가 통과하여 필터케이스(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기구(71, 51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재(70) 및 필터케이스(51)는 원형의 투입구(10a, 22a)들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그 상면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송풍장치(60)는 일단에 풀리(32)가 설치되어 건조통(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 타단에 설치된 송풍팬(61)과, 송풍팬(61)의 주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필터케이스(51) 및 배기덕트(52)와 각각 연결되는 송풍케이스(62)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31)를 통해 건조통(20)과 송풍팬(61)을 회전시키면 건조통(20) 내부의 세탁물은 상승 및 낙하하게 되고, 송풍팬(61)에 의해 공기는 흡기유로(40)와 배기유로(50)를 통해 건조통(20) 내부를 순환하게 되므로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흡기덕트(41)에는 히터(41a)가 배치되어 건조통(2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건조통(20) 내의 세탁물은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에는 운동화처럼 무게가 무겁고 딱딱한 세탁물이 건조통(20)의 내부 공간에 고정상태로 배치되어 건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조통(20)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80)이 구비되어 있다.
보조선반(80)은 그 전단 및 후단이 전방지지판(22)측과 후방지지판(23)측에 각각 지지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세탁물을 얹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보조선반(80)에는 건조통(20)을 통과하는 공기나 세탁물의 물이 관통하여 하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그리드부(81)와, 보조선반(80)의 전방측 단부에 필터부재(70) 및 필터케이스(51)의 상면과 대응하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터케이스(51)의 상면에 지지되는 전방지지부(8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선반(80)의 전방지지부(82)가 필터케이스(51)의 상면에 지지되면, 필터부재(70)의 상면에 마련된 배기구(71)의 상측에 전방지지부(82)가 배치되므로, 보조선반(80)의 전방지지부(82)에 의해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로 유입되는 공기에 유로저항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보조선반(80)에 의한 유로저항 증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선반(80)의 전방지지부(82)에 공기가 관통하여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83)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이러한 관통공(83)은 공기가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측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와 대응하도록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 직상부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재(7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필터부재(70)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중앙부에 손잡이부(72)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에 언급한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가 필터부재(70) 상면의 손잡이부(72)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므로, 관통공(83)도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와 대응하도록 전방지지부(82)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부재(70)의 배기구(71)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공(83)을 통해 공기가 필터부재(70)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배기구(71)로 흡입될 수 있게 되므로, 보조선반(80)에 의한 유로저항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그 증가폭은 대폭 저감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배기구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선반의 전방지지부에 배기구측으로 공기가 통과하여 흐를 수 있게 하는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조선반에 의한 공기의 유동속도 저하와 그에 따른 건조효율 저하를 저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건조통과, 개방되어 있는 상기 건조통의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판과, 세탁물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전방측 단부가 상기 전방지지판측에 지지되는 전방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보조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지지부에는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판측에는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배출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기구가 마련되어 상기 배기구의 상측에 상기 전방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배기구의 상측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판에는 상기 전방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며 그 상면에 상기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 상기 배기구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전방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배기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관통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전방지지판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지지판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그 상면에 상기 필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설치공이 마련되어 있는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판에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은 상기 투입구와 대응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단과 대응하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단에 얹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건조통과, 개방되어 있는 상기 건조통의 전단 및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판 및 후단지지판과, 세탁물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전방측 단부와 그 후방 측 단부가 상기 전방지지판측과 상기 후방지지판측에 각각 지지되어 설치되는 보조선반과,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배출될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구와, 상기 보조선반에 마련되되 상기 배기구측으로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배기구의 상측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전방지지판측에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배기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보조선반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판에는 상기 전방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통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며 그 상면에 상기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 상기 배기구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보조선반의 전방측 단부 양측에는 상기 배기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관통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전방지지판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지지판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그 상면에 상기 필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설치공이 마련되어 있는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판에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은 상기 투입구와 대응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선반의 전방측 단부에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단과 대응하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단에 얹혀지는 전방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전방지지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50099121A 2005-10-20 2005-10-20 의류건조기 KR10122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21A KR101225502B1 (ko) 2005-10-20 2005-10-20 의류건조기
US11/481,068 US20070089316A1 (en) 2005-10-20 2006-07-06 Clothing drying machine
EP06014172A EP1777334A3 (en) 2005-10-20 2006-07-07 Clothing d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21A KR101225502B1 (ko) 2005-10-20 2005-10-20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164A true KR20070043164A (ko) 2007-04-25
KR101225502B1 KR101225502B1 (ko) 2013-01-23

Family

ID=3768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121A KR101225502B1 (ko) 2005-10-20 2005-10-20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89316A1 (ko)
EP (1) EP1777334A3 (ko)
KR (1) KR1012255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319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50063817A (ko) * 2013-12-02 201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US10398285B2 (en) * 2018-01-26 2019-09-03 Jason E. Blackman Stationary rack attachable to a clothes dr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3559B (zh) * 2015-05-29 2020-04-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
US10266985B2 (en) * 2016-06-03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lapsible drying rack for laundry dryer
KR102604236B1 (ko) * 2016-06-2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CN110453469B (zh) * 2018-05-08 2023-07-14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干衣机用烘干支架及干衣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9514A (en) * 1972-07-24 1974-02-05 Maytag Co Bulkhead filter assembly
US4908959A (en) * 1988-10-05 1990-03-20 Whirlpool Corporation Airflow directing dry rack
JP3251879B2 (ja) * 1997-06-04 2002-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衣類乾燥機
US6698107B2 (en) * 2001-06-29 2004-03-02 Lg Electronics Inc. Drum for clothes drier
US8015727B2 (en) * 2003-11-11 2011-09-13 Lg Electronics Inc. Dryer rack
KR101143765B1 (ko) * 2003-12-10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EP1541743B1 (en) * 2003-12-10 2010-10-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with dry board
DE10360872A1 (de) * 2003-12-23 2005-07-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ungskorb und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n Trocknungskorb an einem Wäschetrockner
KR101061120B1 (ko) * 2004-11-02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용 건조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319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WO2011149319A3 (ko) * 2010-05-27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50063817A (ko) * 2013-12-02 201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US10398285B2 (en) * 2018-01-26 2019-09-03 Jason E. Blackman Stationary rack attachable to a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502B1 (ko) 2013-01-23
EP1777334A3 (en) 2007-12-26
EP1777334A2 (en) 2007-04-25
US20070089316A1 (en)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502B1 (ko) 의류건조기
KR101550843B1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KR101171486B1 (ko) 세탁건조기
KR20060040352A (ko) 린트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건조 세탁기
CA2531591C (en) Clothes dryer with improved air flow
KR20100041032A (ko) 의류건조기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JP408366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1544341B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100556805B1 (ko) 의류 건조기
CA2629493A1 (en) Clothes dryer with louvre cover
KR20060036267A (ko) 의류건조기
KR100732549B1 (ko) 의류건조기
KR100556804B1 (ko) 의류 건조기용 배기챔버
JP2012071069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CN111748985A (zh) 衣物处理设备
KR10220186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599041B1 (ko) 의류건조기
KR101095550B1 (ko) 의류건조기
JP4639552B2 (ja) 洗濯乾燥機
JP6043956B2 (ja) 洗濯乾燥機
KR101034195B1 (ko) 의류건조기
KR20030041385A (ko) 의류건조기
KR100662763B1 (ko)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KR100589907B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