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796A -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796A
KR20070042796A KR1020050098763A KR20050098763A KR20070042796A KR 20070042796 A KR20070042796 A KR 20070042796A KR 1020050098763 A KR1020050098763 A KR 1020050098763A KR 20050098763 A KR20050098763 A KR 20050098763A KR 20070042796 A KR20070042796 A KR 20070042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mote control
coating layer
fram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균
Original Assignee
김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균 filed Critical 김덕균
Priority to KR102005009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2796A/ko
Publication of KR2007004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스크린을 통한 원격조정시 사용사의 시야와 조정각이 다르거나, 별도의 원격송수신부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크린판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면으로 안료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코팅층의 상부로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투사 및 판서보드가 가능한 전반사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이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미사용시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원하는 공간으로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설치 및 철거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고, 공간활용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원격조정송수신부를 구비하지 않고, 스크린소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화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및 음향시스템을 간편하게 제어가능하고, 프리젠테이션 강의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스크린, 원격조정 스크린, 스크린 시스템

Description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Total reflection screen and remote control screen system using the same}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린을 구비한 홈시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스크린을 구비한 홈시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에서 스크린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4의 (a)는 스크린판의 단면도이고, 도4의 (b)는 스크린판 상부로 안료를 도표한 단면도이고, 도4의 (c)는 안료 상부로 불소수지를 도표한 단면도.
도5a는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5b는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6는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7은 도3의 스크린 시스템에서 하단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6의 (a)는 평면도이고, 도6의 (b)는 배면도이고, 도6의 (c)는 정면도.
도8은 도7에 나타낸 하단프레임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9은 도3의 스크린 시스템에서 상단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8의 (a)는 평면도이고, 도8의 (b)는 배면도이고, 도8의 (c)는 정면도.
도10는 도9에 나타낸 상단프레임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11은 도7의 하단프레임에 장착되는 전원부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11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11의 (b)는 정면도.
도12은 도7의 하단프레임에 장착되는 전원부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13는 도7의 하단프레임에 장착되는 볼륨부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13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13의 (b)는 하단프레임에 장착된 조립도.
도14은 도6에 나타낸 우퍼스피커 박스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15는 도14에 나타낸 우퍼스피커 박스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16는 도14에 나타낸 우퍼스피커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17은 도14의 우퍼스피커 박스가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18은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에서 측면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18의 (a)는 좌측프레임을 나타내고, 도18의 (b)는 우측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19은 도18에 나타낸 측면프레임의 단면도.
도20는 도19의 나타낸 측면프레임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그릴넷을 나타낸 것 으로서, 도20의 (a)는 그릴넷의 단면도이고, 도20의 (b)는 그릴넷이 좌측프레임에 장착된 단면도.
도21은 도10도에 나타낸 상단프레임에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22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가능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22의 (a)는 정면도이고, 도22의 (b)는 측면도.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크린에 랜덤한 오목렌즈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오목렌즈부의 상면으로 회색코팅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회색코팅층의 상면으로 투명 테프론 수지코팅층을 형성시킴에 따라, 투사스크린 기능과 판서보드 기능이 동시에 만족되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모듈을 구비하고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으로 구현 가능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스크린은 백색의 천 또는 쿠과형막 또는 반사형막으로 형성되고, 단순히 프로젝터에서 투영되는 빛을 반사시켜, 스크린에 상이 맺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 장치는 디지털 영상매치엔 PDP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대형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스크린 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린을 구비한 홈시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은 벽이나 스탠드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프로젝터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반사시켜 화상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스크린은 단순히 화상을 맺히는 공간으로의 역할만을 수행함으로, 음향 및 영상을 출력하는 홈시어터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 시스템을 외부에 설치하여야 하고, DVD,VTR,AMP 등의 경우 스피커로 전선을 연결하여야 함으로 별도의 설치 및 배치에 따른 공간상의 제약 비용증가뿐만 아니라, 화면을 제어하는 리모컨 수신부도 프로젝터에 따로 구비되어야하므로, 사용자가 채널을 돌리는 등의 화면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시선방향과 다른 프로젝터 방향으로 리모컨을 향하게 하여 신호를 보내야 함에 따라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스크린을 구비한 홈시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은 원격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송수신부는 프로젝터에 구비된 원격수신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프로젝터의 재생모듈 및 스크린에 연결된 기타 작동모듈들을 제어한다. 이와같이 구현될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을 향해 리모컨으로 작동함에 따라 사 용상 불편한 점은 해결하고 있으나, 스크린에 프로젝터의 원격수신부와 신호를 주고받는 원격송수신부를 별도로 장착해야 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고, 종래의 프로잭터와의 호환성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판에 오목부, 안료코팅층 및 불소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스크린을 향해 리모컨으로 원격신호를 입력할 경우, 스크린 표면특성에 의해 전반사되어 프로젝터의 원격수신부에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별도의 원격송수신부를 구비하지 않고 무선으로 원격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판서기능이 가능한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으로 스피커 모듈을 장착하고, 배면으로 우퍼스피커 모듈을 장착하여 저음영역을 보강함에 따라 음향효과를 증대 및 최적화시킬 수 있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기존에 구비하고 있는 영상음향기기(TV, DVD, VTR, 컴퓨터, 컴퓨터), 응향기기(라디오, 카세트, CD플레이어, MP3) 등을 스크린의 입출력단자에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실행 및 제어가 가능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기존에 구비하고 있는 각종 스피커를 스크리에 서치된 외부출력단자에 추가로 연결하여 음향효과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격조성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반사되는 투사스크린 기능 뿐만 아니라, 판서보드 기능을 갖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이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미사용시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원하는 공간으로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설치 및 철거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고, 공간활용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에 스피커 및 마이크 수신부가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프리젠테이션, 강의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간편하게 제어 가능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크린판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면으로 안료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코팅층의 상부로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투사 및 판서보드가 가능한 전반사 스크린을 제공하고, 스크린판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면으로 안료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코팅층의 상부로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투사 및 판서보드가 가능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전원모듈, 볼륨조절부, 마이크 수신부,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전반사 되는 스크린에 의해 프로젝터 의 영상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 모재인 스크린판에 스테인레스 볼을 판재에 충돌시켜 오목부를 형성시키는 오목부 형성단계; 오목부가 형성된 스크린판에 안료를 착색하는 안료코팅단계; 및 안료가 착색된 스크린판에 수지를 코팅하는 수지코팅단계를 포함하는 전반사 스크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구성, 기능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은 스크린, 스크린 프레임 및 스피커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프레임은 상단 프레임, 하단 프레임, 좌/우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스크린을 지지하며, 전원모듈부, 볼륨조절부, 마이크 수신부, 스피커 모듈이 장착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에서 스크린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4의 (a)는 스크린판의 단면도이고, 도4의 (b)는 스크린판 상부로 안료를 도표한 단면도이고, 도4의 (c)는 안료 상부로 불소수지를 도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오목부 형성단계, 안료착색단계 및 불소수지 코팅단계를 거쳐 전반사 스크린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판은 알루미늄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규칙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는 알루미늄 판재 자체의 광을 제거하여 너무 높은 알루미늄 판재 자체의 반사율을 줄일 뿐만 아니라, 프로젝터로 부터 투사되는 작은 각도의 투사광을 시청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반사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시키기 위하여 오목부를 형성시키기 전에 알루미늄 판재 자체의 스크레치나 흠집은 제거하고, 판재를 다른 외력에 의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편탄한 면에 올려놓고, 적당한 사이즈의 스텐레스 볼을 판재에 충돌시켜 오목부를 형성시킨다.
이 경우 작용압력은 7~9kgf/㎤ 정도가 바람직하고, 너무 작은 볼을 사용하면 알루미늄 양극산화막처리 후 엷은 회색 안료 착색 과정 및 투명 불소수지 코팅공정에서 오목렌즈 흔적이 거의 없어지므로 거친 볼 약 500-800 ㎛ 정도를 사용하여 불규칙한 오목부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모재인 알루미늄 판재는 0.6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목부를 형성시킨 다음, 안료를 착색한다. 이는 오목부가 불규칙하게 형성된 알루미늄 판재는 프로젝터로 부터 작은 각도로 투사되는 투사광외에 큰 각도로 오목렌즈면에 닺는 외광 또한 시청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특성을 보이고, 이는 스크린의 명암비를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한가지이고, 이와 같이 외광에 의해 저하되는 명암비를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크린 색깔을 회색으로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층은 모재로 부터 박리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알루미늄의 양극산화막처리공정, 착색공정, 봉공처리공정을 거쳐 최적화된 엷은 회색의 안료를 안착시킨다. 이때 회색안료 착색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는 물의 온도가 50~60℃이고, 시간은 염료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수초에서 수분까지 적용되고 회색염료의 첨가량은 0.1g/L ~ 5g/L까지 색의 진하기에 맞춰서 희석하는데 엷은 회색안료를 착색하기 위해 1-2g/L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색안료가 안착된 스크린 표면의 비점착성, 내열성, 비유성, 내약품성,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면 스크린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판서보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하여, 액상의 투명 불소수지 스프레이로 별도의 표면처리 없이 안착시킨 후 일정한 온도(100-280℃)에서 열처리를 통한 소성작업을 거쳐 표면특성을 추가한다.
그러나 모재인 알루미늄에 회색안료를 안착시키지 않고 직접 투명 불소수지를 코팅할 수도 있으며, 명암비는 외광에 의해 다소 감소될 수 있지만 스크린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엷은 회색의 불소수지를 알루미늄 모재위에 직집 안착시켜 코팅하는 방법을 통하여 회색안료 코팅공정을 생략하고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투사 및 판서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전반사 스크린이 형성되고, 상단프레임, 하단프레임, 좌/우프레임에 지지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장착시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재료로 이루어진 스크린테두리에 삽입장착됨에 따라 상기 스크린테두리는 후면 및 측면으로 장착된 스피커의 진동을 완충하고, 이에 따라 스크린의 성능 및 전반사 효율은 증대된다.
도5a는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5b는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의 전방으로 스크린이 장착되고, 벽면과 소정거리로 이격되기 위해 브라켓 가이드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은 상기 스크린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외력 또는 이물질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스크린의 전면으로 위치되는 롤 스크린을 더 구비한다.
도6는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시스템은 음향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음을 출력는 우퍼스피커가 배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형성되어, 기존의 오디오장치와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도7은 도3의 스크린 시스템에서 하단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6의 (a)는 평면도이고, 도6의 (b)는 배면도이고, 도6의 (c)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스크린 지지부가 형성되고, 전원스위치, 마이크수신부, 볼륨조절부가 장착된다.
도8은 도7에 나타낸 하단프레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단프레임의 배면으로 브라켓 가이드가 형성된다.
도9은 도3의 스크린 시스템에서 상단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8의 (a)는 평면도이고, 도8의 (b)는 배면도이고, 도8의 (c)는 정면도이고, 도10는 도9에 나타낸 상단프레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상단프레임은 스크린 지지부 및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되고, 배면으로 브라켓가이드가 형성된다.
도11은 도7의 하단프레임에 장착되는 전원부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11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11의 (b)는 정면도이고, 도12은 도7의 하단프레 임에 장착되는 전원부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 모듈은 전원부인쇄회로기판, 전원부 브라켓, 전원부 커넥터, 인쇄회로기판고정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원부 모듈 고정수단에 의해 하단프레임에 장착된다. 상기 하단프레임의 내부에는 흡음재가 더 장착된다.
도13는 도7의 하단프레임에 장착되는 볼륨부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13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13의 (b)는 하단프레임에 장착된 조립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륨부모듈은 볼륨부 인쇄회로기판, 볼륨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하단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장착된다.
도14은 도6에 나타낸 우퍼스피커 박스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15는 도14에 나타낸 우퍼스피커 박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16는 도14에 나타낸 우퍼스피커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17은 도14의 우퍼스피커 박스가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우퍼스피커 박스는 우퍼스피커를 포함하고, 저음을 발생시켜 음향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우퍼 스피커가 벽면을 향하여 장착되고, 프리앰프, 파워앰프 및 트랜스포머가 장착된다. 또한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형성되고, 흡음재가 장착된다.
도18은 도3에 나타낸 스크린 시스템에서 측면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18의 (a)는 좌측프레임을 나타내고, 도18의 (b)는 우측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19은 도18에 나타낸 측면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우프레임에는 전방으로 스피커가 장착된다.
도20는 도19의 나타낸 측면프레임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그릴넷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20의 (a)는 그릴넷의 단면도이고, 도20의 (b)는 그릴넷이 좌측프레임에 장착된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그릴넷은 좌/우측프레임에 장착된 스피커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의 전방으로 장착된다.
도21은 도10도에 나타낸 상단프레임에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ㄷ"자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프레임의 브라켓 가이드에 삽입결합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이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은 벽면으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고, 우퍼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벽면을 타고 스크린의 전방으로 회절됨에 따라 저음이 보강되어 음향효과는 최대화된다.
도22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가능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22의 (a)는 정면도이고, 도22의 (b)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은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기 위해 하부로 이동수단이 구비된 스탠드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시스템이 장착되는 가로지지대가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케이블 통과구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닥구조물에는 바퀴가 장착되고, 테이블이 더 구비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스탠드에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장착함에 따라 장소 및 설치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되고 다양하게 구현가능한 이동식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전반사 스크린은 프로젝터로부터 작은 각도로 투사되는 투사광 또는 외광으로부터 스크린 표면에 닺는 큰 각도로 입사되는 광 모두 전반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프로젝터 원격제어기로부터 스크린면에 신호를 주었을 때 역시 해당 원격제어신호 역시 전반사하는 특성을 보인다.
결국 사용자가 스크린 표면을 향하여 원격신호를 입력한다면 스크린에 별도의 원격제어 송수신부와 프로젝터의 원격수신부를 통한 프로젝터 영상신호제어를 해야 하는 기존의 스크린을 본 발명의 스크린 소재의 전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판에 오목부, 안료코팅층 및 불소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스크린을 향해 리모컨으로 원격신호를 입력할 경우, 스크린 표면특성에 의해 전반사되어 프로젝터의 원격수신부에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별도의 원격송수신부를 구비하지 않고 무선으로 원격조정이 가능한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 전면으로 스피커 모듈을 장착하고, 배면으로 우퍼스피커 모듈을 장착하여 저음영역을 보강함에 따라 음향효과를 증대 및 최적화 시킬 수 있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존에 구비하고 있는 영상음향기기(TV, DVD, VTR, 컴퓨터, 컴퓨터), 응향기기(라디오, 카세트, CD플레이어, MP3) 등을 스크린의 입출력단자에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실행 및 제어가 가능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존에 구비하고 있는 각종 스피커를 스크리에 서치된 외부출력단자에 추가로 연결하여 음향효과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격조성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 전반사되는 투사스크린 기능 뿐만 아니라, 판서보드 기능을 갖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이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미사용시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원하는 공간으로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설치 및 철거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고, 공간활용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 스크린에 스피커 및 마이크 수신부가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프리젠테이션, 강의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간편하게 제어 가능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스크린판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면으로 안료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코팅층의 상부로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투사 및 판서보드가 가능한
    전반사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판은 알루미늄판이고,
    상기 안료코팅층은 회색코팅층이고,
    상기 수지는 투명테프콘 수지인
    전반사 스크린.
  3. 스크린판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면으로 안료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코팅층의 상부로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투사 및 판서보드가 가능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전원모듈, 볼륨조절부, 마이크 수신부, 스피커 모듈 을 포함하고,
    전반사 되는 스크린에 의해 프로젝터의 영상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해 상단프레임, 하단프레임,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런트 스피커; 및
    스크린의 배면으로 장착되고, 저음을 보강하기 위한 우퍼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외부입력단자가 형성되고, 영상음향기기 및 음향기기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스크린을 벽면에서 소정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외력 또는 이물질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스크린의 전면으로 위치되는 롤 스크린을 더 구비하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9. 스크린판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면으로 안료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코팅층의 상부로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투사 및 판서보드가 가능 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전원모듈, 볼륨조절부, 마이크 수신부,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전반사 되는 스크린에 의해 프로젝터의 영상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이 장착되고,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벽면으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위치되기 위한 브라켓을 구비하는 스텐드를 포함하는
    이동식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10. 모재인 스크린판에 스텐레스 볼을 판재에 충돌시켜 오목부를 형성시키는 오목부 형성단계;
    오목부가 형성된 스크린판에 안료를 착색하는 안료코팅단계; 및
    안료가 착색된 스크린판에 수지를 코팅하는 수지코팅단계를 포함하는
    전반사 스크린 제조방법.
KR1020050098763A 2005-10-19 2005-10-19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KR20070042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63A KR20070042796A (ko) 2005-10-19 2005-10-19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63A KR20070042796A (ko) 2005-10-19 2005-10-19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96A true KR20070042796A (ko) 2007-04-24

Family

ID=3817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763A KR20070042796A (ko) 2005-10-19 2005-10-19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27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5507A (zh) * 2019-05-08 2022-04-15 麦耶声音实验室股份有限公司 用于向观众空间中的观众递送全带宽声音的系统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5507A (zh) * 2019-05-08 2022-04-15 麦耶声音实验室股份有限公司 用于向观众空间中的观众递送全带宽声音的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5605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deforma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09473B2 (en) Audio driver and power supply unit architecture
US7559659B2 (en) Configurable projection device
US8955990B2 (en) Projector
US9503679B2 (en) Display Apparatus
US11376518B2 (en) Cinema light emitting screen and sound system
EP2610856A1 (en) Display device
WO2023179444A9 (zh) 显示设备
WO2009077952A1 (en) Loudspeaker cover
US20120008960A1 (en) Remote control receiver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KR20070042796A (ko) 전반사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원격조정 스크린 시스템
KR20220043000A (ko) 사운드박스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60149112A (ko) 차량용 휴대 스크린 장치
JP2014032600A (ja) 表示入力装置
US20080239164A1 (en) EZ home cinema
KR20180136548A (ko) 모듈식 tv 아키텍처
US20080036922A1 (en) Slim depth projection television console
JP4622302B2 (ja) 空間分割装置
CN205584354U (zh) 激光信息中心
KR100384424B1 (ko) 전자장치
KR201300777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791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5207892U (zh) 广告终端应用设备
US20230272877A1 (en)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CN106941595A (zh) 激光信息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