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623A -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623A
KR20070042623A KR1020050098456A KR20050098456A KR20070042623A KR 20070042623 A KR20070042623 A KR 20070042623A KR 1020050098456 A KR1020050098456 A KR 1020050098456A KR 20050098456 A KR20050098456 A KR 20050098456A KR 20070042623 A KR20070042623 A KR 20070042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alled
call forwarding
forw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2623A/ko
Publication of KR2007004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신 전환 서비스에 의거하여 발신 단말기와 착신 전환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중에 착신 전환 내역을 포함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와, 착신 전환 내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전환 연결 중인 호에 대해 착신 단말기로 연결 받고자 하는 가로채기 통화가 요청되면 착신 전환 연결 중인 발신 단말기와 착신 전환 단말기와의 호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착신 전환 호의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 접속을 통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교환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서비스 중이라 할지라도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착신 전환 서비스의 이용자가 실수로 착신 전환 설정 상태를 해제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높은 편의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착신 전환, 자동 연결, 가로채기

Description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CALL FORWARDING SERVICE METHOD FOR EXCHANGE SYSTEM}
도 1은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 통신 단말기 120 : 무선 접속망
121 : 기지국 전송기 123 : 기지국 제어기
130 : 이동 교환국 140 : 홈 위치 등록기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환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서비스 중에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로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방식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들에게 음성 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던 전형적인 형태에서 가입자들에게 편리한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의 한 예로 착신 전환 서비스(Call Forwarding Service, 자동 연결 서비스)가 있다.
도 1은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음성 통화 등을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호를 발생한다.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120)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Hand over)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기지국 전송기(121) 및 기지국 제어기(1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40)는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40)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가입된 이동 통신 서비스 정보,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 등을 말한다.
이동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 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 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아울러, 호 처리 중에 착신측 가입자가 착신 전환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호를 설정된 착신 전환 정보에 의거하여 통화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착신 전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선택되어 호 시도(S201)가 발생하면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발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송되며, 발신 이동 교환국(130)은 현재 호 시도된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MIN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프로파일을 추출한다. 홈 위치 등록기(140)는 추출된 해당 프로파일에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호 시도된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경로 정보를 요청(S203)하여 착신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착신 위치 정보를 발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제공한다.
그런데, 홈 위치 등록기(140)에서 추출된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에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가 존재할 경우(S205)에는, 발신 이동 교환국(130)에게 해당 호를 직접 처리할 것을 요청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발신 이동 교환국 (130)으로 제공한다(S207). 그리고, 착신 전환 내역을 알 수 있도록 한 단문메시지(SMS)를 생성하여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발신한다(S209).
그러면, 발신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211).
다음으로,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으로 경로 정보를 요청하여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며, 발신 이동 교환국(130)에게 착신 전환 위치 정보를 응답한다(S213).
발신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전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에게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의 호 접속을 요청한다(S215).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은 호 접속 요청에 따라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 이동 교환국(130)을 통해 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링백톤을 송출한다.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페이징 응답 신호를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송하며, 이때 페이징 응답 신호는 발신 이동 교환국(130)까지 전송되어 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 사이의 통화로가 연결된다(S217).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착신 전환 서비스는 착신 전환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착신 전환 중인 호에 대해 가로채기(Intercepting)하여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할 수 없었으며, 이는 착신 전환 서비스의 활성화에 있어서 제약이 되었다.
예로서, 착신 전환을 설정하여 둔 상태에서 착신 전환을 해제할 시기를 잊고서 착신 전환을 해제하지 못했다가 착신 전환 내역 단문메시지를 받고서야 인지하였을 경우에는 이미 착신 전환 중인 호에 대해서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로 통화를 하는 방안 이외에는 어떠한 방안도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교환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서비스 중이라 할지라도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은,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의 호가 시도될 때에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교환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착신 전환 서비스에 의거하여 발신 단말기와 착신 전환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중에 착신 전환 내역을 포함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와, 착신 전환 내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전환 연결 중인 호에 대해 착신 단말기로 연결 받고자 하는 가로채기 통화가 요청되면 착신 전환 연결 중인 발신 단말기와 착신 전환 단말기와의 호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착 신 전환 호의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 접속을 통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은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신 전환 서비스에 의거하여 발신 단말기와 착신 전환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중에 착신 전환 내역을 포함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S301∼S309)와, 착신 전환 내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전환 연결 중인 호에 대해 착신 단말기로 연결 받고자 하는 가로채기 통화가 요청되면 착신 전환 연결 중인 발신 단말기와 착신 전환 단말기와의 호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11, S315∼S317)와, 착신 전환 호의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 접속을 통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S319∼S323, S327)와, 착신 전환 호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이면 착신 전환 호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에게 발신하는 단계(S325)를 포함한다.
착신 전환 호의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일 때에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과정은, 착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319)와,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착신 이동 교환국으로 착신 전화번호의 경로 정보를 요청하여 착신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발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발신 교환국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응답하는 단계(S321)와, 발신 교환국이 응답 받은 착신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착신 교환국에게 착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S323)와, 착신 교환국이 호 접속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면서 발신 교환국을 통해 발신 단말기로 링백톤을 송출한 후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S32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이 도 1의 교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선택되어 호 시도(S301)가 발생하면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발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송되며, 발신 이동 교환국(130)은 현재 호 시도된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MIN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프로파일을 추출한다. 홈 위치 등록기(140)는 추출된 해당 프로파일에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호 시도된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경로 정보를 요청(S303)하여 착신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착신 위치 정보를 발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제공한다.
그런데, 홈 위치 등록기(140)에서 추출된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에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가 존재할 경우(S305)에는, 발신 이동 교환국(130)에게 해당 호를 직접 처리할 것을 요청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발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제공한다(S307). 그리고, 착신 전환 내역을 알 수 있도록 한 단문메시지(SMS)를 생성하여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발신한다(S309).
여기서, 착신 전환 내역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가입자(단계 S301에서 호 시도된 착신 전화번호 가입자)가 착신 전환 서비스 중인 호에 대해 착신 전환하지 아니하고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로채기 통화를 요청한다. 가로채기 통화를 요청하는 방법은 기 약정된 FC(Feature Code)를 누르거나 단계 S309에서 수신한 착신 전환 내역 단문메시지의 콜백 넘버로 발신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가로채기 통화가 요청된 경우(S311)에,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이동 교환국(130)은 발신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이동 교환국(130)으로 가로채기 호 접속을 요청한다(S315).
그러면, 발신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전환 전화번호에 대한 호 접속이 완료되었는 가를 확인(S317)하며, 착신 전환 전화번호의 호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이미 착신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착신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이동 교환국(130)을 통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발신하고(S325), 착신 전환 전화번호의 호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착신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다시 요청한다(S319).
다음으로,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착신 전화번호의 경로 정보를 요청하여 착신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며, 발신 이동 교환국(130)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응답한다(S321).
발신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이동 교환국(130)에게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의 호 접속을 요청한다(S323).
착신 이동 교환국(130)은 호 접속 요청에 따라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 이동 교환국(130)을 통해 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링백톤을 송출한다.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페이징 응답 신호를 착신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송하며, 이때 페이징 응답 신호는 발신 이동 교환국(130)까지 전송되어 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 (110)와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 사이의 통화로가 연결된다(S327).
한편, 단계 S311에서 가로채기 통화가 요청되지 않은 경우에, 발신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313).
다음으로,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으로 경로 정보를 요청하여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며, 발신 이동 교환국(130)에게 착신 전환 위치 정보를 응답한다(S321).
발신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전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관장하는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에게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의 호 접속을 요청한다(S323).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은 호 접속 요청에 따라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 이동 교환국(130)을 통해 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링백톤을 송출한다.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페이징 응답 신호를 착신 전환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송하며, 이때 페이징 응답 신호는 발신 이동 교환국(130)까지 전송되어 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전환 이동 통신 단말기(110) 사이의 통화로가 연결된다(S327).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특히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전환 서비스가 무선 통신 환경에서 구현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유선 통신 환경에도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서비스 중이라 할지라도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착신 전환 서비스의 이용자가 실수로 착신 전환 설정 상태를 해제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원래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높은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착신 전환 서비스의 편의성 증대 효과는 착신 전환 서비스의 활성화에 있어서 높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의 호가 시도될 때에 착신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교환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착신 전환 서비스에 의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전환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중에 착신 전환 내역을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발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착신 전환 내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전환 연결 중인 호에 대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연결 받고자 하는 가로채기 통화가 요청되면 상기 착신 전환 연결 중인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전환 단말기와의 호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c) 상기 착신 전환 호의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 접속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방법은, (d) 상기 착신 전환 호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착신 전환 호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발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가로채기 통화의 요청은 상기 착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약정된 FC(Feature Code)를 누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착신 전환 내역 메시지는 콜백 넘버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이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가로채기 통화의 요청은 상기 콜백 넘버로 발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착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c2)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착신 이동 교환국으로 상기 착신 전화번호의 경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착신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발신 교환국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응답하는 단계와,
    (c3) 상기 발신 교환국이 상기 응답 받은 착신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를 관장하는 착신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c4) 상기 착신 교환국이 상기 호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면서 상기 발신 교환국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링백톤을 송출한 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KR1020050098456A 2005-10-19 2005-10-19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KR20070042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56A KR20070042623A (ko) 2005-10-19 2005-10-19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56A KR20070042623A (ko) 2005-10-19 2005-10-19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23A true KR20070042623A (ko) 2007-04-24

Family

ID=3817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456A KR20070042623A (ko) 2005-10-19 2005-10-19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26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23B1 (ko) * 2006-07-25 2008-05-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23B1 (ko) * 2006-07-25 2008-05-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880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980007063A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KR20060102669A (ko) 가상 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70042623A (ko)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KR100628935B1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20070091719A (ko)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381042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폐쇄사용자그룹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53219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133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 일반 착신번호와 착신전환에 의한 착신번호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100286751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 가입자 위치에 따른 이동 입 호거부 방법
KR20000018553A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응답메시지 전송방법
KR10095887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발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695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거부 해제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4271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제한 방법
KR20040025350A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1837540B1 (ko) 서비스 서버 그리고 그를 포함한 통화요구 알림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078848B1 (ko)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22855B1 (ko) 국제 로밍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KR101108687B1 (ko) 번호 이동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07974B1 (ko) 로밍 가입자 위치 관리 시스템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발신 방법
KR100775541B1 (ko) 위치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