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848B1 -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848B1
KR101078848B1 KR1020090046066A KR20090046066A KR101078848B1 KR 101078848 B1 KR101078848 B1 KR 101078848B1 KR 1020090046066 A KR1020090046066 A KR 1020090046066A KR 20090046066 A KR20090046066 A KR 20090046066A KR 101078848 B1 KR101078848 B1 KR 10107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eneration
called terminal
called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570A (ko
Inventor
손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4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8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기초로, 착신 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 받고, 상기 착신번호 전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를 파악하여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 2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2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및 3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3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46066
번호이동, 메시지

Description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TO CONTROL MESS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은 CDMA방식과 GSM방식의 2세대(2G) 기술에서 WCDMA방식과 CDMA2000방식과 같은 3세대(3G) 기술로 진행되어 가고 있다. 또한, 2004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번호이동 서비스(Mobile Number Portability)"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개인의 취향(요금제 및 부가서비스 등)에 따라 기존의 단말번호를 유지하며 통신사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2G 가입자와 3G 가입자의 혼재 및 2G 가입자와 3G 가입자 간의 번호이동으로 인하여, 메시지 처리는 더 많은 시스템을 경유하고, 이로 인한 시스템 부하 증가, 착신이 지연되는 품질 저하, 시스템 간 불일치로 인한 호 유실 가능성 등이 커졌다.
도 1은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발신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 단문메시지서비 스센터(SMSC)는, 번호이동성처리장치(FNPS)로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를 문의하고, 번호이동성처리장치(FNPS)로부터 번호이동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는 수신한 번호이동 정보를 기초로 메시지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착신단말이 자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는 착신단말의 2G/3G 정보에 따라 2G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G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착신단말의 위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2G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G 홈위치등록기(3G HLR)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기초로 착신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는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타사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 방식에 의하면,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는 번호이동성처리장치(FNPS)로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를 문의한 후, 다시 착신단말의 2G/3G 정보에 따라 2G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G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착신단말의 위치를 요청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메시지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가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발신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기초로,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기초로,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 또는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을 이용하여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가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a)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부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 요청 받고, 상기 착신단말이 자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착신단말이 자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로 판단된 경우, 착신번호 전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기초로,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기초로,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 고,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 받고, 상기 착신번호 전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를 파악하여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 2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2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및 3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3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소화될 절차에 의한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2세대 통신망(100), 3세대 통신망(200),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 및 번호이동성처리장치(320)를 포함한다.
2세대 통신망(100)은 2세대 단말(110), 2세대 기지국(120), 2세대 이동전화교환국(130) 및 2세대 홈위치등록기(140)를 포함하며, 2세대 통신기술을 기초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2세대 기지국(120)은 2세대 단말(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2세대 이동전화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다른 네크워크와의 연동 기능, 메시지 서비스를 음성 호와 구별하여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라우팅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2세대 홈위치등록기(140)(2G HLR)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 서비스 정보 및 2세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3세대(3G) 통신망(200)은 3세대 단말(210), 3세대 기지국(220), 3세대 이동전화교환국(230) 및 3세대 홈위치등록기(240)를 포함하며, 3세대 통신기술을 기초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3세대 기지국(220)은 3세대 단말(2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3세대 이동전화교환국(2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다른 네크워크와의 연동 기능,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음성 호와 구별하여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라우팅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3세대 홈위치등록기(240)(3G HLR)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 서비스 정보 및 3세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는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착신번호 국번(prefix, PFX)을 기초로, 1차적으로 착신번호에 대한 단말이 2세대 통신기술의 이용하는 단말인지 3세대 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이후,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파악된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에 맞추어 번호이동 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번호이동성처리장치(320)로 요청한다.
또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번호이동성처리장치(320)로부터 수신한 번호이동 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메시지를 처리한다.
번호이동성처리장치(320)(Flexible Number Portability Server, FNPS)는 2세대 통신망(100)과 3세대 통신망(200) 사이에서 번호이동성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 망과의 번호이동성 서비스도 수행한다.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부터 번호이동 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 받고,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착신번호에 대한 단말의 번호이동 정보를 파악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발신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요청을 받은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S301),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의 국번(PFX)을 기초로,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한다(S302).
이때, 발신단말은 2세대 단말(110)이거나 3세대 단말(210)일 수 있다. 또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에서 수행되는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의 판단은, 착신번호의 국번을 기초로 임시적으로 행하는 판단으로, 실제 착신단말이 이용하는 통신기술은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착신번호의 국번(PFX)을 기초로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로 판단되는 경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MR]을 이용하여 번호이 동성 처리 장치(320)로 착신번호의 번호이동 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303).
착신번호의 번호이동 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 받은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를 파악하고,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S304),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를 전송한다(S305).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로부터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정보를 수신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타사 통신망으로 전송한다(S306).
반면, 착신단말이 자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파악된 경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착신단말이 실제로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착신번호 전체를 기초로 확인한다(S307).
착신단말이 2세대로 확인된 경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MR]을 이용하여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140)로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308).
이후,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140)는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전송한다(S309).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착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310). 이때,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는 착신단말의 이동전화교환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에서 착신단말이 3세대로 확인된 경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부터 수신한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MR]을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RI For SM]으로 변환하여(S311)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240)로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312).
이후,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240)는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로 전송한다(S313).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RI For SM]을다시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MR]으로 변환하여(S314),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전송한다(S315). 이후,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착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316).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에서 착신번호의 국번(PFX)을 기초로 착신단말이 3세대 단말로 1차적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3b를 참고하면,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RI For SM]을 이용하여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로 착신번호의 번호이동 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317).
착신번호의 번호이동 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 받은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를 파악하고,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S318),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를 전송한다(S319).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로부터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정보를 수신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타사 통신망으로 전송한다(S320).
반면, 착신단말이 자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파악된 경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착신단말이 실제로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착신번호 전체를 기초로 확인한다(S321).
착신단말이 2세대로 확인된 경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부터 수신한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RI For SM]을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MR]으로 변환하여(S322),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140)로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323).
이후,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140)는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로 전송한다(S324).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MR]을 다시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RI For SM]으로 변환하여(S325),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전송한다(S326). 이후,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착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327).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에서 착신단말이 3세대로 확인된 경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는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RI For SM]을 이용하여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240)로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328).
이후,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240)는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전송한다(S329).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는 착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이때, 단계 S329에서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240)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전송되는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SRI For SM]은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형식[SRI For SM]을 나타낸 도면이다.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SRI For SM](40)는 착신단말의 교환기 정보(41),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유무(42) 및 착신단말의 2G/3G 여부(43)에 대한 필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240)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착신단말의 교환기 정보 만을 포함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는 착신단말의 교환기 정보뿐만 아니라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유무, 착신단말의 2G/3G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가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로 착신단말의 번호이동여부를 문의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다시 착신단말의 교환기정보를 2G 홈위치등록기(2G HLR)(140) 또는 3G 홈위치등록기(3G HLR)(240)로 문의할 필요 없이,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310)가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320)로 착신단말의 번호 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착신단말의 교환기 정보,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유무 및 착신단말의 2G/3G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한번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효율적이며 단순화된 방식으로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번호이동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형식[SRI For SM]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9)

  1. 삭제
  2.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가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의 국번에 기초하여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 경우, 2세대 통신 기술의 메시지 형식을 이용하여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착신단말이 3세대 단말인 경우, 3세대 통신 기술의 메시지 형식을 이용하여 상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타사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착신단말의 교환기 정보,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유무 및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형식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4.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가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부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 요청 받고, 상기 착신단말이 자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착신단말이 자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로 판단된 경우, 착신번호 전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기초로,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부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 요청의 형식은,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에서 상기 착신번호의 국번을 기초로 파악된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 경우, 2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을 이용하여 상기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로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이 3세대 단말인 경우, 3세대 통신기술의 메시지 형식을 이용하여 상기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상기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 형식이 상기 (a) 단계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 요청의 형식과 상이할 경우, 메시지 형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9.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의 국번을 기초로 판단한 결과, 착신 단말이 2세대 단말인 경우, 2세대 메시지 형식으로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3세대 단말인 경우, 3세대 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의 번호이동 정보 및 위치정보를 요청받고, 상기 착신번호 전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이 2세대 단말인지 3세대 단말인지를 파악하여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또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로 상기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
    2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2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2세대 홈위치등록기(2G HLR); 및
    3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3세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3세대 홈위치등록기(3G HLR)를 포함하고,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는,
    상기 번호이동성 처리 장치(FNPS)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타사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타사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KR1020090046066A 2009-05-26 2009-05-26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7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66A KR101078848B1 (ko) 2009-05-26 2009-05-26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66A KR101078848B1 (ko) 2009-05-26 2009-05-26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70A KR20100127570A (ko) 2010-12-06
KR101078848B1 true KR101078848B1 (ko) 2011-11-01

Family

ID=4350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066A KR101078848B1 (ko) 2009-05-26 2009-05-26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8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70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16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Mobile Phone Number
KR100270216B1 (ko) Cdma 시스템에서 무선가상 사설망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JP4056971B2 (ja) 相互接続契約判定システム、相互接続契約判定装置、及び、相互接続契約判定方法
US8792424B2 (en)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an intelligent network and a home location register/home subscriber server
EP2341721A1 (en) Call screening method and system
KR20060100754A (ko) 국제 로밍시 호 설정 방법
KR101078848B1 (ko)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27337B1 (ko) 발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정보서비스 이용 방법
KR980007063A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CN100505900C (zh) 发送短信的系统及方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024281B1 (ko) 스팸호 차단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94480A1 (en) Communication system, internal line managing apparatus, internal phone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20110032165A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3041A (ko) 유선통신 사업자와 이동통신 사업자 사이의 번호 이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97392B1 (ko) 착신 전환을 이용한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968538A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20070042623A (ko)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KR100629143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마케팅정보 서비스 방법
KR20130040345A (ko) 국제 로밍 호의 라우팅 방법
KR101012852B1 (ko) 음성-영상 전환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착신과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41578B1 (ko) 해외 로밍시 선불 과금 처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홈 위치 등록기
KR101755659B1 (ko) 분실 단말의 즉시 호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5000514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