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348A -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 Google Patents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348A
KR20070042348A KR1020050098176A KR20050098176A KR20070042348A KR 20070042348 A KR20070042348 A KR 20070042348A KR 1020050098176 A KR1020050098176 A KR 1020050098176A KR 20050098176 A KR20050098176 A KR 20050098176A KR 20070042348 A KR20070042348 A KR 20070042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key
dmb
switching
composi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식
김영집
박준호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2348A/ko
Priority to US11/523,506 priority patent/US20070085899A1/en
Priority to EP06021872A priority patent/EP1777828A2/en
Priority to CNA2006101355444A priority patent/CN1953557A/zh
Publication of KR2007004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출력 장치와 비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서로 충돌이 생기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출력부와 비디오 출력부의 자원을 서로 다른 모드에 할당하여 서로 다른 모드의 동작이 모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수행 중인 각각의 모드 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모드(A)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다른 모드(B)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된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여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 경우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된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여 모드 전환을 위한 키가 아닌 경우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 종료 후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 경우, 현재 모드(A)에서의 오디오 서비스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 종료를 하지 않고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 경우, 현재 모드(A)에서의 비디오 서비스를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서비스 등에 이용됨.
지상파 DMB, 모드 전환, 즉시 실행

Description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Mode Change UI Method in T-DMB Multi-Purpose Terminal}
도 1 은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하드웨어 기능 블럭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
도 3 은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모드 간의 출력 장치의 할당을 가능하게 하는 출력 장치 관리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현재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비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전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오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전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비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오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Phone 모드 종료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출력 장치와 비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서로 충돌이 생기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지상파 DMB 단말기로서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 단말기로서, 하나의 오디오 출력 장치와 하나의 비디오 출력 장치를 가지고 각각의 기능이 이를 공유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도 1(a)와 같은 통상의 대기화면에서 DMB 시작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지상파 DMB를 시작한다. 지상파 DMB를 시작하면, 도 1 (b)와 같은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는 메뉴를 통해 원하는 비디오 서비스(혹은 오디오 서비스 내지 데이터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를 통해 도 1(c)와 같이 원하는 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한다. 그리고 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하는 중에 착신호가 있으면, 이를 도 1(d)와 같이 이벤트로써 표시한다. 그리고 이벤트로 표시된 착신호에 대한 연결을 시도하면(즉, 통화 키를 누르면) 도 1(e)와 같이 DMB 서비스는 종료되고 통화 연결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비디오 서비스를 수신중에 있을 때, 전화가 걸려오면 발신자 정보 표시도 없이 진동이나 벨 소리로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걸려온 전화가 중요한 전화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종료키를 눌러 지상파 DMB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시키고 Phone 모드로 이동하여 걸려온 전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전화 수신을 하기 위해서 통화키를 누르고 통화를 하며, 통화를 끝낸 후 다시 지상파 DMB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도 1(a) 내지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파 DMB 소프트웨어를 재실행하고, 비디오 서비스 목록으로 이동한 후,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재실행시켜야 한다.
따라서, 기존 방식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DMB 서비스를 이용 중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발신정보 확인 및 전화 수신 등의 전화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DMB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Phone 서비스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Phone 모드 종료 후에 다시 DMB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새롭게 DMB와 관련된 설정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는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하드웨어 기능 블럭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전체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1), Phone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Phone 모듈(22), DMB 방송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DMB 모듈(23), Phone 모듈(22)과 DMB 모듈(23)에 연결되어 오디오 비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A/V 출력 관리자(24), A/V 출력 관리자(24)의 관리에 따라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5) 및 A/V 출력 관리자(24)의 관리에 따라 비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26)를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능 블럭에 있어서도 도 2의 하드웨어 기능 블럭과 같이 각각의 독립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 구조 및 소프트웨어 구조상에서 두 모듈은 독립적으로 기능 수행이 가능하지만 지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를 적절히 활용하고 있고 못하고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도 3 과 같다.
도 3 은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은 오디오 방송 또는 비디오 방송의 DMB 방송을 수신하는 중(31) Phone 모듈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면(예컨대 SMS 문자 메시지 또는 착신 호)(32), 수신 중인 DMB 방송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33) Phone 모듈에 따른 동작을 할 것인지 DMB 모듈에 따른 동작을 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만약, DMB 방송을 종료하지 않는다면(33), 발생한 Phone 모듈 관련된 이벤트는 무시하고 DMB 방송을 계속 수신한다(36).
한편, DMB 방송을 종료하면(33), Phone 모드로 전환하고(34) Phone 모드에 따른 동작을 계속 해서 수행한다(35)(예컨대 SMS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착신 호에 대한 호 연결을 통해 통화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Phone 모드의 SMS 문자 서비스는 비디오 출력만이 필요하고, 통화 연결의 경우는 오디오 출력만이 필요하다. 반면, DMB 방송의 경우는 비디오 서비스의 경우는 오디오 출력과 비디오 출력이 모두 필요하고, 오디오 서비스의 경우는 오디오 출력만 필요하다.
따라서 각각의 서비스 조합에 따라 두가지 모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지만 종 래의 방법으로는 이와 같이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상파 DMB 서비스의 비디오 서비스 이용 중 통화 연결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통화 연결을 위해 오디오 출력부에 대해서만 Phone 모드에 할당하여 사용자의 통화를 지원할 수 있고 비디오 출력부는 DMB 서비스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서는 오디오 리소스와 비디오 리소스 등의 모든 리소스를 Phone 모드로 할당함으로써 DMB 서비스를 모두 종료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상파 DMB 서비스의 비디오 서비스 이용 중 SMS 수신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SMS 수신을 위해 비디오 출력부에 대해서만 Phone 모드에 할당하여 사용자의 SMS 확인을 지원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부는 DMB 서비스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서는 오디오 리소스와 비디오 리소스 등의 모든 리소스를 Phone 모드로 할당함으로써 DMB 서비스를 모두 종료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출력부와 비디오 출력부의 자원을 서로 다른 모드에 할당하여 서로 다른 모드의 동작이 모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수행 중인 각각의 모드 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모드(A)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다른 모드(B)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된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여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 경우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된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여 모드 전환을 위한 키가 아닌 경우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 종료 후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 경우, 현재 모드(A)에서의 오디오 서비스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 종료를 하지 않고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 경우, 현재 모드(A)에서의 비디오 서비스를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크게 Phone 모드와 DMB 모드로 구분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말기에서는 두 모드 사이의 전환을 위한 모드 전환키가 존재한다는 전제하에서 기술한다. 이러한 모드 전환키는 기존 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구현하거나, 새로운 키를 생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모드 간의 출력 장치의 할당을 가능하게 하는 출력 장치 관리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모드 간의 출력 장치의 할당을 가능하게 하는 출력 장치 관리부는 외부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마이크 입력부(41), Phone 모드 혹은 DMB 모드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하는 오디오 선택부(42), Phone 모드 혹은 DMB 모드에 따른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하는 비디오 선택부(43) 및 다수의 오디오 비디오 입출력부(401 내지 405)를 포함한다.
그리고 오디오 선택부(42)와 비디오 선택부(43)의 동작을 위해 오디오 출력 선택 신호 및 비디오 출력 선택 신호를 각각의 입력으로 하여 선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표 1>은 이와 같은 오디오 출력 선택 신호 및 비디오 출력 선택 신호에 따른 오디오 선택부(42)와 비디오 선택부(43)의 동작을 예시한다.
모드 비디오출력 선택 오디오 출력 선택 출력
0 0 0 비디오 1 오디오 1
1 0 1 비디오 1 오디오 2
2 1 0 비디오 2 오디오 1
3 1 1 비디오 2 오디오 2
즉, <표 1>에서 비디오 1과 오디오 1은 Phone 모드에 따른 것이고, 비디오 2와 오디오 2는 DMB 모드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비디오 출력과 오디오 출력은 각각 DMB 모드에 따라 출력되거나 Phone 모드에 따라 출력될 뿐만 아니라, 비디오 출력은 Phone 모드로 하고 오디오 출력은 DMB 모드로 하여 출력하거나 비디오 출력은 DMB 모드로 하고 오디오 출력은 Phone 모드로 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현재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현재 모드와 전환을 위한 모드를 표시한다.
즉, 도 5의 Phone 모드 메뉴(51)와 DMB 모드 메뉴(52)를 통해 현재 수행 중인 모드를 표시한다. 따라서 DMB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키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키 입력이 DMB 모드에서 동작을 위한 키 입력으로 처리되며, Phone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키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키 입력이 Phone 모드에서 동작을 위한 키 입력으로 처리된다.
도 5에 도시된 화면의 구성은 메뉴와 메뉴를 캐스캐이드(cascade) 형식으로 구성하여 두 모드(메뉴) 사이의 전환을 창의 변환으로 나타낸다. 각 창은 상단에 해당되는 모드(51, 52)를 표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간의 전환 및 기능 수행은 두가지로 나뉘어 처리할 수 있다.
그 하나는 모드 전환을 통해 모드를 전환한 후, 해당 모드의 동작을 위한 키 입력을 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현재 모드에서 다른 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한 단축키를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살펴 보기로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현재 서비스 중인 모드를 활성화한 상태에서(61) 다른 모드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62)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현재 서비스 중인 모드(A)를 활성화한 상태에서(61) 다른 모드(B)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62)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입력되는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여(63)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 경우 해당 모드(B)로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모드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64).
한편, 입력되는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가 아닌 경우(63)에는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한다(65).
이 경우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를 종료시키는 동작의 즉시 실행인 경우(66) 오디오를 종료하고 해당 모드의 오디오를 활성화한다(67). 즉, 이 경우에는 비디오는 여전히 DMB 모드의 비디오 정보가 출력된다. 이러한 키 입력은 DMB 모드에서 Phone 모드의 통화 연결을 위한 즉시 실행 키를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통화 연결의 경우에는 오디오를 통한 연결만 있으면 족하기 때문에 비디오 정보에 대해서는 DMB 모드를 유지하고 오디오 연결에 대해서만 모드를 전환한다.
그리고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를 종료시키는 동작의 즉시 실행이 아닌 경우(66) 비디오를 종료하고 해당 모드의 비디오를 활성화한다(68). 즉, 이 경우에는 오디오는 여전히 DMB 모드의 오디오 정보가 출력된다. 이러한 키 입력은 DMB 모드에서 Phone 모드의 SMS 문자 메시지 확인을 위한 즉시 실행 키를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SMS 문자 메시지 확인의 경우에는 비디오를 통한 연결만 있으면 족하기 때문에 오디오 정보에 대해서는 DMB 모드를 유지하고 비디오 연결에 대해서만 모드를 전환한다.
그리고 즉시 실행을 위한 키도 아닌 경우에는 발생한 이벤트를 무시하고 현재의 모드를 유지한다(69).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이하의 도 7 내지 도 10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위한 키 입력예는 다음 <표 2>와 같다.
Figure 112005058854942-PAT00001
<표 2>를 살펴보면, DMB 키를 이용하여 DMB 모드와 Phone 모드 사이의 모드 전환을 한다. 그리고 DMB 모드에서 Phone 모드의 이벤트 발생시 아래의 세 가지 형태의 모드 전환을 제공한다.
우선, DMB 키를 짧게 누르는 경우, Phone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비디오 출력 및 오디오 출력에 대해서 모두 Phone 모드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통화키를 짧게 누르는 경우는 즉시 실행키의 입력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도, 현재의 모드는 Phone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비디오 출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DMB 모드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통화키를 길게 누르는 경우는 즉시 실행키의 입력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도, 현재의 모드는 Phone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오디오 출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DMB 모드에서 관리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비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전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와 같이 현재 DMB 모드를 통해 DMB 비디오 서비스를 수신 중, 도 7(b)와 같이 전화 수신 이벤트가 발행하면 화면에 전화 수신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즉시 실행 동작, 모드 전환 후의 실행 및 이벤트 무시의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7(c)는 즉시 실행 동작을 통한 모드 전환을 예시한다. 여기서 즉시 실행은 오디오 동작을 종료시키면서 즉시 실행을 한 것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비디오 서비스는 여전히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c)에서 통화를 종료하면 현재의 활성화된 모드가 Phone 모드이지만 실질적인 동작이 없기 때문에 다른 모드, 즉 DMB 모드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DMB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DMB 미들웨어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도 7(d)와 같이 DMB 모드로 전환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오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전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와 같이 현재 DMB 모드를 통해 DMB 오디오 서비스를 수신 중, 도 8(b)와 같이 전화 수신 이벤트가 발행하면 화면에 전화 수신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즉시 실행 동작, 모드 전환 후의 실행 및 이벤트 무시의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8(c)는 일반 키를 입력함으로써 이벤트를 무시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8(d)는 즉시 실행 동작을 통한 모드 전환을 예시한다. 여기서 즉시 실행은 오디오 동작을 종료시키지 않으면서 즉시 실행을 한 것으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오디오 서비스는 여전히 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8(e)에서 통화를 종료하면 현재의 활성화된 모드가 Phone 모드이지만 실질적인 동작이 없기 때문에 다른 모드, 즉 DMB 모드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DMB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DMB 미들웨어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도 8(e)와 같이 DMB 모드로 전환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비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a)와 같이 현재 DMB 모드를 통해 DMB 비디오 서비스를 수신 중, 도 9(b)와 같이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행하면 화면에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즉시 실행 동작, 모드 전환 후의 실행 및 이벤트 무시의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9(c)는 즉시 실행 동작을 통한 모드 전환을 예시한다. 여기서 즉시 실행은 오디오 동작을 종료시키지 않으면서 즉시 실행을 한 것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오디오 서비스는 여전히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9(c)에서 통화를 종료하면 현재의 활성화된 모드가 Phone 모드이지만 실질적인 동작이 없기 때문에 다른 모드, 즉 DMB 모드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DMB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DMB 미들웨어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도 9(d)와 같이 DMB 모드로 전환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DMB 오디오 서비스 수신 중의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a)와 같이 현재 DMB 모드를 통해 DMB 오디오 서비스를 수신 중, 도 10(b)와 같이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행하면 화면에 SMS 문자 메시지 수신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즉시 실행 동작, 모드 전환 후의 실행 및 이벤트 무시의 3가지 동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10(c)는 일반 키를 입력함으로써 이벤트를 무시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10(d)는 즉시 실행 동작을 통한 모드 전환을 예시한다. 여기서 즉시 실행은 오디오 동작을 종료시키지 않으면서 즉시 실행을 한 것으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오디오 서비스는 여전히 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0(e)에서 통화를 종료하면 현재의 활성화된 모드가 Phone 모드이지만 실질적인 동작이 없기 때문에 다른 모드, 즉 DMB 모드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DMB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DMB 미들웨어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도 10(e)와 같이 DMB 모드로 전환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Phone 모드 종료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중 Phone 모드 종료에 따른 모드 전환 과정은 우선 Phone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1101)에서 모드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1102).
이때 모드 전환키의 입력이 없으면 모드 전환키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모드 전환키의 입력이 있으면 현재 DMB 모드가 동작 중인지를 확인한다(110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MB 미들웨어의 실행 여부를 통해 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확인 결과(1103), 현재 DMB 모드가 동작 중이면 바로 DMB 모드로 전환하고(1104), 현재 DMB 모드가 동작 중이 아니면 DMB 서비스를 새롭게 실행한다(1105).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지상파 DMB 서비스의 일부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이용하면서 모드 전환을 하여 Phone 모드의 서비스 이용 및 이벤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DMB 서비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모드(A)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다른 모드(B)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된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여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 경우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된 키가 모드 전환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여 모드 전환을 위한 키가 아닌 경우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 종료 후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 경우, 현재 모드(A)에서의 오디오 서비스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즉시 실행을 위한 키가 오디오 종료를 하지 않고 즉시 실행을 위한 키인 경우, 현재 모드(A)에서의 비디오 서비스를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 따른 모드 전환의 경우, 상기 현재 모드(A)의 비디오 서비스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 따른 모드 전환의 경우, 상기 현재 모드(A)의 오디오 서비스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모드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현재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을 위한 키는, "DMB 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의 상기 오디오 서비스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여 진행되는 이벤트는 통화 연결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5 단계의 상기 오디오 서비스 종료 후 상기 다른 모드(B)로 모드 전환을 하여 진행되는 이벤트는 SMS 문자 확인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50098176A 2005-10-18 2005-10-18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20070042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176A KR20070042348A (ko) 2005-10-18 2005-10-18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US11/523,506 US20070085899A1 (en) 2005-10-18 2006-09-19 User interface method for switching modes in combined terrestrial DMB terminal
EP06021872A EP1777828A2 (en) 2005-10-18 2006-10-18 User interface method for switching modes in combined terrestrial DMB terminal
CNA2006101355444A CN1953557A (zh) 2005-10-18 2006-10-18 在组合陆地dmb终端中切换模式的用户接口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176A KR20070042348A (ko) 2005-10-18 2005-10-18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348A true KR20070042348A (ko) 2007-04-23

Family

ID=3744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176A KR20070042348A (ko) 2005-10-18 2005-10-18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85899A1 (ko)
EP (1) EP1777828A2 (ko)
KR (1) KR20070042348A (ko)
CN (1) CN1953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35B1 (ko) * 2005-10-12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단말 장치에서 pip 기능을 이용한 이종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4954B (zh) * 2008-07-24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互动管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9207A (en) * 1997-05-16 1999-12-07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a videophone in a cable television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35B1 (ko) * 2005-10-12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단말 장치에서 pip 기능을 이용한 이종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7828A2 (en) 2007-04-25
US20070085899A1 (en) 2007-04-19
CN1953557A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402B1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 기기에서 PoC연결을 개설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애플리케이션 및 단말기기
KR100799670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방송수신 중 화면분할 방법 및 장치
CN101552839B (zh) 使用其中的即时消息服务进行对话的终端及方法
US7536195B2 (en) Method for PTT servic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US80321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messages to multiple recipients
CN103124283A (zh) 可协同复数个行动装置进行协同编辑的电子装置与方法
JP2006014333A (ja) マルチメディア機能の実行中に通話機能を実行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90264113A1 (en) Mobile phone that automatically makes conference calls and method for same
US7266834B1 (en) Sharing functions between a television-based information appliance and remote control devices
US6259931B1 (en)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mode telecommunications signaling
KR1011795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패드 이용 방법
CN101431805A (zh) 一种电话与手机电视并发的处理方法和系统
JP2008271518A (ja) マルチモードのモバイル端末のための整合性のあ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CN101179761A (zh)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KR20070042348A (ko) 지상파 dmb 복합 단말기의 모드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EP1303101A2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70287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218556A (ja)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JP5055953B2 (ja) 情報処理装置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JP5162821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510383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KR101400762B1 (ko)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9031542B2 (en) Mobile terminal for multi-party call and multi-party call method
KR101002906B1 (ko) 동시 서비스시 이동 전화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