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210A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210A
KR20070039210A KR20050094260A KR20050094260A KR20070039210A KR 20070039210 A KR20070039210 A KR 20070039210A KR 20050094260 A KR20050094260 A KR 20050094260A KR 20050094260 A KR20050094260 A KR 20050094260A KR 20070039210 A KR20070039210 A KR 2007003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terminal
floor
user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05009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9210A/ko
Publication of KR2007003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21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와 이와 연동되어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엘레베이터 서버로 이루어진 엘레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존으로 진입을 하면, 상기 엘레베이터 서버에서 이를 인식하고, 엘레베이터의 층을 선택할 수 있는 층 선택 화면 메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층 선택 화면 메뉴를 수신한 단말기 사용자가 이 중에서 특정 층을 선택하면, 엘레베이터 서버는 해당 엘레베이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미리 엘레베이터 서버에 등록하여두고 상기 서버에 등록된 단말기 사용자가 엘레베이터 존에 접근하게 되면 이를 인식하여 단말기로 엘레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수신한 화면에서 층을 선택하여 엘레베이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엘레베이터, 제어, 단말기, 엘레베이터 존, 이동경로, 히스토리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using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서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로 특정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단말기에서 목적지 층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안 층이 있는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이동통신단말기 - 100 엘레베이터 구동장치 - 130
기지국 - 110 엘레베이터 - 140
엘레베이터 서버 - 120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엘레베이터 존에 접근하여 엘레베이터 서버로 출입을 원하는 층에 대하여 미리 등록을 해 두고, 다음에 엘레베이터 존에 접근하였을 경우에 등록되어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엘레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서비스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 세계적인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은 활발한 연구활동의 결과로 그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단말기의 외형에 있어서는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단말기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으며, 단말기의 내적 기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 무선 데이터 통신, 전자수첩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한편, 엘레베이터는 고층 아파트, 고층 상가 등과 같은 각종 건물 등에 주로 설치되며 탑승자를 건물 내의 각각의 층으로 운반하는 운송장치로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힘들게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의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는 대신 엘레베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상하 이동방향 버튼, 층수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편리하게 원하는 층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사용자가 엘레베이터를 이용할 경우에 출근시간 또는 귀가 시간과 같이 엘레베이터 안에 사람이 붐비는 때는 바쁘게 이동해야하는 경우에 엘레베이터에 가까이 다가갔음에도 불구하고 버튼을 누르지 못하여 엘레베이터에 탑승하지 못하게 되거나, 탑승 후에 사람이 너무 많아서 버튼까지 손이 닿지 않아서 원하는 층에서 내리지 못하는 불편한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말기를 엘레베이터 모드로 전환하고 GPS를 이용한 현재 위치와 도보 속도를 이용해 엘레베이터 도착 시간을 예측하고 타이머를 돌려 엘레베이터를 대기시키는 발명과, 단말기를 엘레베이터 모드로 전환한 뒤 엘레베이터의 고유 번호를 입력하고 현재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를 보내면 그 신호를 판단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발명이 제안되었다. 상기의 발명들은 엘레베이터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게 하였지만, 엘레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서 엘레베이터 모드로 전환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소요되며 불편한 단점이 있었으며, 오히려 현재 엘레베이터를 이용하는 것보다 오히려 더 많은 키 조작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같은 엘레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엘레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시 엘레베이터 모드로 전환하여 엘레베이터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으며, 보안구역과 같은 특정 층에 대한 별다른 보안 장치를 해놓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나 해당 층에 진입하여 보안상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미리 엘레베이터 서버에 등록하여두고 상기 서버에 등록된 단말기 사용자가 엘레베이터 존에 접근하게 되면 이를 인식하여 단말기로 엘레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수신한 화면에서 층을 선택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가 엘레베이터에서 내리거나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다음번에 단말기 사용자가 같은 존으로 진입하면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엘레베이터의 제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엘레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층에 관한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를 저장하여두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층이 보안구역으로 등록된 층일 경우에 상기 선택한 층의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에 대해서만 엘레베이터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안의 역할까지 담당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와 이와 연동되어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엘레베이터 서버로 이루어진 엘레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존으로 진입을 하면, 상기 엘레베이터 서버에서 이를 인식하고, 엘레베이터의 층을 선택할 수 있는 층 선택 화면 메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층이 선택되면, 해당 엘레베이터를 제어한다. 상기 엘레베이터의 제어는 엘레베이터 서버에 기 등록된 단말기 사용자에게만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등록과정은 단말기로부터의 엘레베이터 진입이 있으면 이를 인식하고, 해당 단말기가 등록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해당 단말기가 기 등록된 단말기가 아니면, 해당 엘레베이터 존의 엘레베이터 층 정보 입력 요구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해당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층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서버로 다시 전송하면,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등록한다.
상기 엘레베이터의 제어는,단말기 사용자가 엘레베이터에서 내리거나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다음번에 단말기 사용자가 같은 존으로 진입하면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엘레베이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스토리를 화면에 보여주는 것은 사용자가 이전에 이동하였던 층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는 기지국이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특정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기 이전에 특정 층에 관한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를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등록이 되어있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층이 보안 구역으로 등록된 층인 경우, 상기 선택한 층의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에 대해서만 엘레베이터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한 층의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로 제어하려는 층이 보안 구역임을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로 특정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엘레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100)와 기지국(110), 엘레베이터 서버(120)와 엘레베이터 서버(120)에 연결되어있는 엘레베이터 구동 장치(130), 다수의 엘레베이터(140a~140n)로 구성된다.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100)에는 목적지 층을 갈 수 있는 목적지 층 선택 메뉴와 사용자가 이미 그 엘레베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 히스토리에 의하여 목적지 층을 빠르게 선택하여 갈 수 있는 목적지 선택 빠른 메뉴가 있다.
기지국(110)은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100)와 엘레베이터 서버(12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엘레베이터 서버(120)는 엘레베이터 구동장치(130)와 연결되어있으며, 단말 기의 명령에 따라 엘레베이터 구동장치(130)를 통하여 엘레베이터(140a~140n)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단말기(100)가 특정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면 이를 인식하고 해당 단말기(100)로 진입한 엘레베이터의 층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메뉴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층을 선택한 뒤 이를 엘레베이터 서버(120)로 전송하면, 엘레베이터 서버(120)는 이를 반영하여 엘레베이터(140)를 제어하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 엘레베이터 서버(120)는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층에서 목적지 층까지의 이동 경로와 엘레베이터(140a~140n)에서 내려 해당 엘레베이터존 안에서 이동했을 경우에 이동경로를 기억하여, 나중에 사용자가 같은 엘레베이터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이전에 이동하였던 층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이고 단말기(100)에 이전에 이동하였던 층으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엘레베이터 구동장치(130)는 상기 엘레베이터 서버(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엘레베이터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단말기에서 목적지 층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먼저 서버에 단말기가 특정 빌딩의 엘레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등록 과정을 가진다(단계 203). 즉,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진 사용자가, 처음 빌딩을 방문하여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면, 엘레베이터 서버는 이를 인식하고 해당 엘레베이터 서버가 기 등록되어있는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는 기지국을 통해서 인식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엘레베이터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단말기에도 역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칩이 구비되어 양자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서버에 기 등록되어있는 단말기가 아니면, 서버는 해당 엘레베이터 존에서 상기 단말기가 이용하고 싶은 층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메뉴를 단말기에 제공하고 단말기가 이용하고자 하는 층을 입력한 뒤 이를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해당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의 정보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고유의 ESN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서버에 기 등록되어있는 단말기이면, 재 등록을 할 필요가 없다. 즉, 서버가 해당 단말기가 지금 현재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206) 단말기의 진입이 인식되면(단계 206의 '예') 단말기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는 목적지 층 선택 메뉴를 단말기로 바로 전송하여(단계 212)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의 화면 303과 같이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가고자 하는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층을 선택한 뒤에 이를 전송하면(단계 215), 엘레베이터 서버는 이를 반영하여 엘레베이터의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218). 이때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같은 히스토리를 저장하여 두고(단계 221), 이후에 단말기 사용자가 같은 엘레베이터를 제어하기 원할 때에 빠른 목적지 선택 메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처음에 10, 21, 22 층을 선택하고 10 층에서 내렸을 경우에는 10층에서 21층으로 자주 가고, 21층에서 내렸을 경우에는 22층으로 자주 간다면 이렇게 사용자가 층간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저장하여둔다. 따라서 이후에 단말기 사용자가 같은 층에서 같은 엘레베이터를 이용할 경우에 있어서, 자기가 위치한 층마다 일일이 목적지 층에 관한 메뉴를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위치한 층에서 자주 가는 층으로 이동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3의 (b)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10층에 위치해 있고 10층에서 자주 이동했던 층이 21층이라고 가정한다면, 10층에서 엘레베이터 제어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주 이동했던 층인 21층으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를 화면 306과 같이 "21층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와 같이 묻고 사용자가 '예' 버튼만 누르면 빠르게 21층으로 이동하게끔 엘레베이터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 메시지에 대한 것은 층간 이동 히스토리 뿐만 아니라 층간 이동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편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엘레베이터 존 안에서는 언제든지 엘레베이터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층의 수를 편집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이 되어있는 구역에서의 엘레베이터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안 층이 있는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에 단말기가 빌딩의 엘레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특정 층에 대하여 권한 있는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가진다(단계 403). 즉,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진 사용자가, 처음 빌딩을 방문하여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면, 엘레베이터 서버는 이를 인식하고 해당 엘레베이터 서버가 기 등록되어있는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는 기지국을 통해서 인식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엘레베이터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단말기에도 역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칩이 구비되어 양자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인식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서버에 기 등록되어있는 단말기가 아니면, 서버는 해당 엘레베이터 존에서 상기 단말기가 이용하고 싶은 층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메뉴를 단말기에 제공한다. 단말기가 이용하고자 하는 층을 입력한 뒤 이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 상기 전송한 정보를 보고 상기 층에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의 단말기가 보안 구역에 접근할 없다면, 선택한 층 정보 중에 보안 구역으로 설정되어있는 층이 있을 경우에 보안 구역으로 설정되어있는 부분은 등록이 인정되지 않고, 해당 층을 제외한 다른 층만 인증을 수행하여 상 기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해당 정보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보안 구역에 접근할 수 없는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A, B, C층에 관하여 엘레베이터에 관한 제어를 하기 위하여 엘레베이터 제어의 등록 신청을 특정 층을 선택하여 이를 엘레베이터 서버로 전송하면, 엘레베이터 서버는 이 중에서 보안 구역으로 설정되어있는 층을 구별하여 낸다. 이때 A층이 보안구역으로 설정되어있는 층이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A층은 보안 구역으로 인증을 허용하지 않고, 이를 제외한 B층과 C층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증을 하여 엘레베이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가 보안 구역에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든 층을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의 정보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고유의 ESN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등록 과정을 마친 후에, 기 등록되어있는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존으로 접근하면 서버는 해당 단말기가 지금 현재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6). 단말기의 진입이 인식되면(단계 406의 '예') 단말기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는 목적지 층 선택 메뉴를 단말기로 전송하여(단계 412)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단계 415).
단말기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층을 선택하고 이를 엘레베이터 서버로 전송하면(단계 415), 엘레베이터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층이 보안 구역으로 설정되어있는 층인지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418), 보안 층이라면(단계 418의 '예') 해당 단말기가 보안 구역에 층의 출입 또는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 다(단계 421). 현재 단말기가 출입 또는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라면(단계 421의 '예') 단말기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에 따라 엘레베이터를 제어를 수행하고(단계 427) 만약 해당 단말기가 보안 구역에 출입 또는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가 아니면(단계 421의 '아니오'), 사용자가 선택한 층이 보안 구역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424).
이때에도 역시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할 때마다 사용자의 이동경로 히스토리를 저장하여 두고(단계 430) 이후에 단말기 사용자가 같은 엘레베이터를 제어하기 원할 때에 빠른 목적지 선택 메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미리 엘레베이터 서버에 등록하여두고 상기 서버에 등록된 단말기 사용자가 엘레베이터 존에 접근하게 되면 이를 인식하여 단말기로 엘레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수신한 화면에서 층을 선택하여 엘레베이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 자가 엘레베이터에서 내리거나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다음번에 단말기 사용자가 같은 존으로 진입하면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엘레베이터의 제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엘레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층에 관한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를 저장하여두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층이 보안구역으로 등록된 층일 경우에 상기 선택한 층의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에 대해서만 엘레베이터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안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와 이와 연동되어 엘레베이터 제어가 가능한 엘레베이터 서버로 이루어진 엘레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엘레베이터 존으로 진입을 하면, 상기 엘레베이터 서버에서 이를 인식하고, 엘레베이터의 층을 선택할 수 있는 층 선택 화면 메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단계;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층이 선택되면, 해당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제 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베이터의 제어는 상기 엘레베이터 서버에 기 등록된 단말기 사용자에게만 허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과정은 단말기로부터의 엘레베이터 진입이 있으면 이를 인식하고, 해당 단말기가 등록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단말기가 기 등록된 단말기가 아니면, 해당 엘레베이터 존의 엘레베이터 층 정보 입력 요구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층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 2단계의 상기 엘레베이터의 제어는,
    단말기 사용자가 엘레베이터에서 내리거나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다음번에 단말기 사용자가 같은 존으로 진입하면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엘레베이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를 화면에 보여주는 것은 사용자가 이전에 이동하였던 층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을 보여주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는 기지국을 통하여 인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엘레베이터 존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 이전에, 특정 층에 관한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단계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층이 보안 구역으로 등록된 층인 경우, 상기 선택한 층의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에 대해서만 엘레베이터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한 층의 제어 권한이 허용된 단말기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로 제어하려는 층이 보안 구역임을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KR20050094260A 2005-10-07 2005-10-0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KR20070039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4260A KR20070039210A (ko) 2005-10-07 2005-10-0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4260A KR20070039210A (ko) 2005-10-07 2005-10-0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210A true KR20070039210A (ko) 2007-04-11

Family

ID=3816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4260A KR20070039210A (ko) 2005-10-07 2005-10-0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92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739B1 (ko) * 2011-03-02 2012-05-16 이관우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KR20200039944A (ko) * 2018-10-08 2020-04-1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강기의 호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739B1 (ko) * 2011-03-02 2012-05-16 이관우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KR20200039944A (ko) * 2018-10-08 2020-04-1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강기의 호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272B2 (en) User guidance with mobile electronic devices
JP556030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20524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0116945B (zh) 电梯系统
JP5237832B2 (ja) 通信システム
RU2438960C2 (ru) Способ направл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к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е
EP3011521B1 (en) Mobile application based dispatching
JP6072624B2 (ja) エレベーター操作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WO2014116182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ft acces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lift access
JP574051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6109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19154Y1 (ko) 주차장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주차장승강기 호출시스템
JPWO2019038882A1 (ja)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エレベータ、セキュリティゲート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520162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8199539A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131434A (ja)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3921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KR20150073440A (ko) 휴대폰의 nfc를 이용한 승강기 호출 등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0143106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1257729B1 (ko)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탑승 내역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JP689782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21138521A (ja) 呼び登録装置、呼び登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3795857B2 (ja) エレベータ運転システム
JP2005096945A (j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6950822B2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