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745A -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 Google Patents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745A
KR20070038745A KR1020050094000A KR20050094000A KR20070038745A KR 20070038745 A KR20070038745 A KR 20070038745A KR 1020050094000 A KR1020050094000 A KR 1020050094000A KR 20050094000 A KR20050094000 A KR 20050094000A KR 20070038745 A KR20070038745 A KR 2007003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haft
button
fixed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8745A/ko
Publication of KR2007003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측으로 축이 고정설치되며, 하우징의 공간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도록 상기 버튼의 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축의 하부에 삽입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공간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축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영구자석과 대응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또 다른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택트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기기에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정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감촉이, 서로 다른 전자장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조작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전방에 대한 시야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버튼, 조작력, 가변, 탄성부재, 영구자석, 전자석, 척력

Description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Repelling Power Variable Switch Mishandling Pre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튼 11 : 축
12 : 영구자석 20 : 지지구
30 : 탄성부재 40 : 기판
50 : 전자석 60 : 입력부
70 : 제어부 80 : 조정부
본 발명은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상기 스위 치를 조작하는 감촉이, 서로 다른 전자장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조작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전방에 대한 시야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이하, 차량과 혼용함)라 함은 원동기를 사용하여 궤조 또는 가선에 의하지 않고 운전되는 운송기계로서, 그 구성으로는 엔진, 연료공급장치, 동력전달장치, 현가 및 조향장치, 제동장치, 배출장치, 공조장치, 냉각 및 윤활장치 등이 있으며, 주로 승객이나 화물의 운송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을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며,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장치 및 전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실내에 다수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자신이 원하는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해당 스위치를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주행 중에 운전자가 상기와 같은 스위치를 조작하게 될 경우, 운전자의 손이 핸들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한정된 공간에 서로 다른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직접 스위치를 확인하여 동작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원하는 전자장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아닌 다른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고자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게 될 경우, 특히 운전자의 경우에는 직접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함으로 인해 전방을 충분히 주시하지 못하게 되어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감촉이, 서로 다른 전자장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조작감을 갖도록 한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는, 하측으로 축이 고정설치되며, 하우징의 공간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도록 상기 버튼의 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축의 하부에 삽입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공간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축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영구자석과 대응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또 다른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택트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기기에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스위치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전방에 대한 시야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의 구성도로서, 버튼(10), 지지구(20), 탄성부재(30), 영구자석(12), 기판(40), 택트스위치(41), 전자석(50), 입력부(60), 제어부(70), 조정부(80)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10)은 하측으로 기둥형의 축(11)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90)의 공간부(9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90)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내장재 등의 프레임을 말한다.
상기 지지구(20)는 상기 공간부(9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간부(91)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지지구(20)와 버튼(10) 사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30)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기 버튼(10)의 축(11)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영구자석(12)은 상기 축(11)의 하부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축(11)의 하부측으로 어느 한 극성(N극 또는 S극)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기판(40)은 상기 공간부(91)의 다른 일측, 예를 들어 상기 공간부(91)에 설치된 지지구(20)의 하측으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버튼(10)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판(40)에 형성된 회로도 및 설치되는 소자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 택트스위치(41)는 상기 축(11)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4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10)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축(11)의 하부면이 상기 택트스위치(41)를 누르게 된다.
상기 전자석(50)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자력을 방출하는 것으로, 상기 영구자석(12)과 대응되도록 상기 공간부(91)의 또 다른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영구자석(12)의 하부 극성(N극 또는 S극)과 동일한 극성을 상부에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영구자석(12)과 전자석(50)은 동일한 극성을 마주보며 방출함으로써, 서로에 대하여 척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입력부(60)는 상기 택트스위치(41)의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상기 택트스위치(41)의 조작여부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입력부(60)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기기에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의 종류 등에 따라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제어신호를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정부(80)는 상기 제어부(7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50)의 세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7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5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1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91)의 또 다른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12)와 대응되도록 걸림홈(9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10)이 공간부(9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특정 기기, 예를 들어 전방 우측의 도어글래스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버튼(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10)의 축(11)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기판(40)에 설치된 택트스위치(41)를 누르게 된다.
상기 택트스위치(41)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택트스위치(41)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상기 입력부(60)로 전송된다.
상기 입력부(60)는 상기 택트스위치(41)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우측의 도어글래스가 조작됨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알려주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입력부(6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전방 우측의 도어글래스가 작동됨을 인식하고, 상기 전방 우측의 도어글래스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우측의 도어글래스가 작동됨을 인식하는 것은, 별도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별도의 키버튼에 의해 조작하고자 하는 전자장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70)가 해당 전자장치가 작동됨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상기 조정부(80)로 전송되며, 상기 조정부(8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상기 전자석(50)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자석(50)은 상기 조정부(80)로부터 전송된 전압에 해당되는 자력을 방출하게 되며, 상기 전자석(50)에서 방출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12)과 전자석(50) 사이의 척력의 크기가 결정되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10)을 누름에 있어, 상기 영구자석(12)과 전자석(50) 사이의 척력에 해당하는 조작력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전자장치를 제어하게 되면, 상기 전자석(5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버튼(10)을 누름에 있어, 다른 조작력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로 다른 조작력을 감지하여, 현재 제어되는 전자장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감촉이, 서로 다른 전자장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조작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전방에 대한 시야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장치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실내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하측으로 축(11)이 고정설치되며, 하우징(90)의 공간부(9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버튼(10)과,
    상기 공간부(9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구(20)와,
    상기 지지구(20)에 지지되도록 상기 버튼(10)의 축(11)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축(11)의 하부에 삽입설치되는 영구자석(12)과,
    상기 공간부(91)의 다른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기판(40)과,
    상기 축(11)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4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택트스위치(41)와,
    상기 영구자석(12)과 대응되도록 상기 공간부(91)의 또 다른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전자석(50)과,
    상기 택트스위치(41)의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60)와,
    상기 입력부(60)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기기에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 및
    상기 제어부(7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50)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정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2)와,
    상기 공간부(91)의 또 다른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12)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걸림홈(9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KR1020050094000A 2005-10-06 2005-10-06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KR20070038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00A KR20070038745A (ko) 2005-10-06 2005-10-06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00A KR20070038745A (ko) 2005-10-06 2005-10-06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745A true KR20070038745A (ko) 2007-04-11

Family

ID=3815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000A KR20070038745A (ko) 2005-10-06 2005-10-06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8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3539A1 (zh) * 2018-11-20 2020-05-28 东莞璟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力按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3539A1 (zh) * 2018-11-20 2020-05-28 东莞璟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力按键
US11410823B2 (en) 2018-11-20 2022-08-09 Dongguan Jingyang Electronics And Technology Co., Ltd. Variable force k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3447B (zh) 具有弹性支承的操纵元件和操作触觉功能的机动车操作设备
US6839050B2 (en) Tactile interface device
CN106537541B (zh) 用于操控机动车的功能单元的操纵设备和方法
EP1463077A1 (en) Two-step switch device
US11518215B2 (en) Air outlet apparatus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and system
US20130047776A1 (en) Drive pedal unit for motor vehicles
TW200720148A (en) Bicycle operating component with electrical shift control switch
JP5038422B2 (ja) 自動車のための制御モジュール
CN110582737A (zh) 包括摇杆元件的控制设备、具有控制设备的机动车辆部件、机动车辆和操作控制设备的方法
EP1400426A3 (en) Drive controller for a rail vehicle
KR20060026874A (ko) 작동요소
CA2846914A1 (en) Switch assembly and system
KR20120123833A (ko) 차량용 허드 장치
KR20070038745A (ko) 오조작 방지를 위한 조작력 가변 스위치
US20010026229A1 (en) Vehicle-mounted input device
CN111886193B (zh) 用于控制电梯轿厢的移位运动的维护面板和电梯控制器
JP4552429B2 (ja) 車載機器駆動用手動操作装置
KR101305602B1 (ko) 차량 스위치용 모션 인식장치
JP2009026513A (ja) 入力装置
CN214588559U (zh) 开关组件、汽车信息娱乐系统和车辆
KR20080045486A (ko) 자동차용 다기능 스위치 장치
KR101454215B1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BR0101214A (pt) Comutador eletrônico de espelho para a ativação de espelhos externos, e, espelho externo para veículos automotores
KR20100026889A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111138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버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