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391A - 도어 열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열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391A
KR20070038391A KR1020060020582A KR20060020582A KR20070038391A KR 20070038391 A KR20070038391 A KR 20070038391A KR 1020060020582 A KR1020060020582 A KR 1020060020582A KR 20060020582 A KR20060020582 A KR 20060020582A KR 20070038391 A KR20070038391 A KR 20070038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oor
shaft
time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529B1 (ko
Inventor
정성우
Original Assignee
정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우 filed Critical 정성우
Publication of KR2007003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여닫이형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정회전, 역회전하는 모터(111)를 형성하고 모터(111)에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 하강하는 샤프트(114)의 하단부에 지지구(115)를 형성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모터(111)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변환스위치(122)를 형성하고 모터(111)를 작동시키는 누름스위치(121)를 형성한 조작부(120)와, 상기 구동부(110)의 모터(111)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31)를 형성하며 타이머(131)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모터(111)에 전원을 연결하는 릴레이(132)를 구비한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람이 선 자세에서 누름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에 결합된 샤프트가 하측방으로 하강하게 되어 지지구가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타이머, 모터, 스톱기어박스, 샤프트

Description

도어 열림 고정장치{Holding device for do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별도의 케이스에 수용되어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11: 외부패널,
12: 내부패널 13: 공간부
100: 고정장치 110: 구동부
111: 모터 112: 콘덴서
113: 스톱기어박스 114: 샤프트
114a: 랙 기어 114c: 단턱
115: 지지구 116: 수용홈
116a: 걸림턱 117: 미끄럼방지구
118: 완충스프링 120: 조작부
121: 누름스위치 122: 변환스위치
130: 제어부 131: 타이머
131a: 다이얼 스위치 132: 릴레이
140: 케이스
본 발명은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여닫이형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어의 출입자가 선 자세에서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도어의 소정 위치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열림 상태를 고정하는 지지구가 결합된 샤프트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도어 열림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사무실의 도어는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어를 통해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거나 또는 그 도어를 장시간 열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목재 또는 신문으로 임시로 만든 고정구를 도어의 하부와 바닥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임시적이고 그 사용이 불편하며, 또한 도어를 열린 상태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어 도어가 불시에 폐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출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명 "노루발"이라 칭하는 도어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도어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도어(D)의 하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장착편(1)과, 연결편(2)에 의해 장착편(1)에 회동 가능하게 강제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3)를 구비한다. 물론, 지지대(3)에는 사용자가 발로 그 지지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발판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3)의 끝 부분에는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접촉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패킹(4)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도어(D)를 열린 상태로 고정 및 유지시키려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D)를 연 상태에서 손으로 지지대(3)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패킹(4)이 바닥에 접하도록 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지지대(3)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패킹(4)이 바닥에 접촉 고정함으로써 도어를 연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도어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손으로 지지대(3)를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도어가 자유롭게 되어 이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어 사람이 손으로 작동시키는 경우보다 발로 작동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도어를 열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지지대를 발로 내려 지면에 고정시키고, 다 시 발을 이용하여 고정된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들어올려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어 열림 고정장치는 도어의 하단에 도어를 대각선방향으로 지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지지수단이 길이가 짧아 발을 이용하여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지지대를 하방으로 내리고 사용한 후 다시 위로 올리려면 일정한 힘을 계속 주고 도어 고정장치를 끝까지 상단으로 접혀지도록 해야만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고정장치는 다소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도어를 연 상태에서 다시 고정장치를 해제시켜 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비위생적이고 또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신발이 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작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어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또한, 도어 고정장치를 장기간 또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우 장착편과 지지대 간의 접촉이 이완되거나 또는 연결핀의 고정력이 이완되어 지지대가 임의로 하방으로 회동 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종 몸을 구부려 손으로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목적은 출입자가 선 자세에서 도어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도어에 내장된 모터를 구동시키고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지지구가 결합된 샤프트가 도어 하측 방으로 하강하면서 돌출되어 바닥면에 지지구가 밀착되어 도어 닫힘을 방지하도록 한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샤프트의 하부 외주연에 완충 스프링을 형성하여 샤프트가 완충 스프링을 가압하고 완충 스프링은 탄성력에 의해 미끄럼방지구를 결합한 지지구를 바닥면에 지속적으로 밀착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는 도어의 하부에 부착되어 정회전, 역회전하는 모터를 형성하고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 하강하는 샤프트를 형성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변환스위치를 형성하고 모터를 구동시키는 누름스위치를 형성한 조작부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형성하며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릴레이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가 별도의 케이스에 수용되어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100)는 외부패널(11)과 내부패널(12)로 구성되어 적정의 공간부(13)를 갖는 도어(10)에 부착하여 도어(1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공간부(13) 하부측에 랙 기어(114a)를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하부외주연에 완충스프링(118)을 구비하며 완충스프링(118)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하측으로 지지되는 지지구(115)를 형성한 샤프트(114)를 구비하고 정회전, 역회전에 의해 샤프트(114)를 승, 하강시키는 모터(111)를 형성하고 샤프트(114)에 결합되어 모터(111) 정지시 샤프트(114)가 밀리지 않도록 하는 스톱기어박스(113)를 구비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모터(111)를 정회전, 역회전 시키는 변환스위치(122)를 내부패널(12)과 외부패널(11)중 어느 패널(12, 13) 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변환스위치(122)와 근접되게 모터(111)를 구동시키는 누름스위치(121)를 형성한 조작부(120)와, 상기 구동부(110)의 모터(111)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31)를 조작부(120)가 형성된 패널(12, 13) 면에 형성하며 타이머(131)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모터(111)에 전원을 연결하여 모터(111)를 구동시키는 릴레이(132)를 구비한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110)는 지지구(115)를 하측에 결합하고 승, 하강하는 샤프트(114)와, 상기 샤프트(114)를 정회전, 역회전에 의해 승, 하강 시키는 모터(111)와, 상기 샤프트(114)에 결합되어 모터(111) 정지 후 밀리지 않도록 하는 스톱기어박스(113)로 구성한다.
상기 구동부(110)의 샤프트(114)는 도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되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랙 기어(114a)를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샤프트(114)의 하부외주연 일부분을 상부 외주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 하측으로 단턱(114c)을 형성한다.
나아가, 하부측 단턱(114c)에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구(117)를 구비한 지지구(115)가 결합되며 여기서 미끄럼방지구(117)는 탄성고무로 형성하여 바닥면에 밀착시 밀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구(117)를 탄성고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지지구(115)는 단면의 중앙에 상면이 개방된 적정의 수용홈(116)을 형성시켜 샤프트(114)의 하부측 단턱(114c)을 수용홈(116)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단턱(114c)이 수용홈(116)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홈(116)의 상부 외주연에 걸림턱(116a)을 형성한다.
나아가, 샤프트(114)의 상부측 단턱(114c)과 지지구(115)의 걸림턱(116a)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스프링(118)을 형성하여 샤프트(114) 가압시 탄성 지지력에 의해 지지구(115)를 하측방으로 지속적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10)의 모터(111)는 기어를 구비한 구동축(미도시)이 형성되어 샤프트(114)의 랙 기어(114a)가 맞물려 결합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자의 선택에 의해 정회전, 역회전 되어 샤프트(114)를 승, 하강 시킨다.
여기서, 모터(111)의 회전운동이 샤프트(114)의 랙 기어(114a)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아울러, 모터(111)에는 직류전류를 차단하고 교류전류를 형성하여 모터(111)에 직접적인 전류의 유입을 막아 모터(111)를 보호하는 콘덴서(112)를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구동부(110)의 스톱기어박스(113)는 내부에 스톱기어를 복수로 형성하며 일측이 모터(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샤프트(114)에 결합되며 모터(111) 정지 후 샤프트(114)가 일측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정확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조작부(120)는 조작자의 선택에 의해 구동부(110)의 모터(111)를 정회전, 역회전 시키는 변환스위치(122)와, 상기 변환스위치(122)에 근접되어 모터(111)를 구동시키는 누름스위치(121)로 구성한다.
여기서, 조작부(120)가 설치되는 위치는 사람이 선 자세로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부(120)의 변환스위치(122)와 누름스위치(121)는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조작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도어(10)의 외부패널(11)과 내부패널(12)중에 어느 패널(12, 13) 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120)의 변환스위치(122)를 하측방으로 내리게 되면 모터(111)의 정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상측 방으로 올리면 모터(111)의 역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구동부(110)의 모터(111)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31)와, 상기 타이머(131)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모터(111)에 전원을 연결하는 릴레이(132)로 구성한다.
여기서, 제어부(130)에 전원이 연결되어 모터(111)에 공급되어진다.
상기 제어부(130)의 타이머(131)는 구동부(110)의 모터(111)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다이얼 스위치(131a)를 전면에 형성한다.
여기서, 다이얼 스위치(131a)는 조작부(120)가 형성된 패널(12, 13)면에 외향 되게 설치하여 조작자가 도어(10)의 하단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모터(111) 구동시간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모터(111)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타이머(131)에는 전원 공급선이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30)의 릴레이(132)는 전원 공급선이 연결되며 타이머(131)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접점되어 구동부(110)의 모터(111)에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도어 열림 고정장치(100)를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140)에 수용되어 도어(10)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장치(100)의 전원은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교류전원이 공급될 수있으며 별도의 건전지를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여기서, 전원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 열림 고정장치(100)는 도어(10)의 공간부(13)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케이스(140)에 수용되어 도어(10)의 패널(12, 13) 면에 장착될 수 있다.
먼저, 도어(10)를 통해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 하고 또는 장시간 열린 상태로 고정하고자 할 때 닫힌 여닫이 도어(10)를 열고 출입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발생하도록 도어(10)을 일측 방으로 개방 시킨다.
다음으로, 도어(10)가 개방되면 도어(10)의 하부측면과 바닥면의 간격을 고려하여 타이머(131)의 다이얼 스위치(131a)를 조작하여 모터(111) 구동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전원은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구동부(110)의 모터(111)에 공급되고 있으나 제어부(130)의 릴레이(132)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상기, 모터(111) 구동시간이 설정되면 모터(111)의 정회전 신호가 출력되도록 중립 되어 있는 조작부(120)의 변환스위치(122)를 하측방으로 내려놓고 누름스위치(121)를 가압한다.
이때, 누름스위치(121)가 가압 되면 변환스위치(122)의 정회전 신호에 의해 릴레이(132)가 타이머(131)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모터(111)에 전원을 연결하여 정회전 시키며 정회전 되는 모터(111)의 구동축에 의해 샤프트(114)가 하측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샤프트(114)가 하강 되면서 지지구(115)의 미끄럼방지구(117)가 바 닥면에 접촉되고 이때 샤프트(114)의 단턱(114c)이 지지구(115)의 수용홈(116) 내부에서 하측방으로 하강되면서 상부측 단턱(114c)이 완충스프링(118)을 가압하게 되며 이때, 타이머(131)에서 설정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릴레이(132)가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111)의 구동이 정지되고 모터(111)의 정지됨과 동시에 스톱기어박스(113)에 의해 샤프트(114)가 하측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상기, 샤프트(114)가 완충스프링(118)을 가압하게 되고 완충스프링(118)은 지지구(115)를 가압하여 탄성 지지력에 의해 지지구(115)의 미끄럼방지구(117)가 지면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도어(D)의 열린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열린 도어(10)를 닫을 때는 모터(111)가 역회전 신호가 출력되도록 조작부(120)의 변환스위치(122)를 상측으로 올려놓고 누름스위치(121)를 가압한다.
상기 누름스위치(121)를 가압하게 되면 타이머(131)의 설정된 시간만큼 릴레이(132)에서 모터(111)에 전원을 연결하여 역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111)가 역회전 되면 샤프트(114)가 상측 방으로 상승하고 이때 샤프트(114)의 단턱(114c)이 지지구(115)의 걸림턱(116a)에 밀착되면서 지지구(115)를 상측 방으로 끌어올리게 되며 타이머(131)의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릴레이(132)에서 모터(1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111)를 정지 시킨다.
아울러, 모터(111)의 정지됨과 동시에 스톱기어박스(113)에 의해 샤프트(114)가 상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구(115)가 상측 방으로 상승하게 되면 미끄럼방지구(117)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열린 도어가 닫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 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고정장치에 의하면, 사람이 선 자세에서 누름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에 결합된 샤프트가 하측방으로 하강하게 되어 미끄럼 방지구가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 시키는 변환스위치를 하측으로 위치시킨 다음 누름스위치를 조작하면 샤프트가 하측방으로 하강되면서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구가 밀착되어 도어의 열림 상태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변환스위치를 상측으로 위치시킨 다음 누름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샤프트가 상측 방으로 상승되면서 미끄럼 방지구가 바닥면과 이격되어 도어가 닫혀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어, 이러한 편리함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구매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누름스위치 조작 후 샤프트를 승, 하강 시키는 모터의 구동시간을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어 모터의 오작동과 더불어 타이머에 의 해 짧은 시간 동안 구동하기 때문에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절전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샤프트의 하단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구가 밀착성이 좋은 탄성재로 형성되어 밀착성이 향상되고 지지구의 수용홈에 샤프트의 하부단턱이 수용되어 지지구가 샤프트에 결합되며 샤프트와 지지구 사이에 완충 스프링이 형성되면서 완충 스프링의 완충력에 의해 샤프트의 하부 단턱이 지지구의 수용홈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아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모터 부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3)

  1. 외부패널(11)과 내부패널(12)로 구성되어 적정의 공간부(13)를 갖는 도어(10)에 부착하여 도어(10)의 개방 상태를 유지 시키는 도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공간부(13) 하부측에 랙 기어(114a)가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하부외주연에 완충스프링(118)이 구비되며 완충스프링(118)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하측으로 지지되는 지지구(115)를 형성한 샤프트(114)를 구비하고 정회전, 역회전에 의해 샤프트(114)를 승, 하강 시키는 모터(111)를 형성하고 샤프트(114)에 결합되어 모터(111) 정지시 샤프트(114)가 밀리지 않도록 하는 스톱기어박스(113)를 구비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모터(111)를 정회전, 역회전 시키는 변환스위치(122)를 내부패널(12)과 외부패널(11)중 어느 패널(12, 13) 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변환스위치(122)와 근접되게 모터(111)를 구동시키는 누름스위치(121)를 형성한 조작부(120)와,
    상기, 구동부(110)의 모터(111)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31)를 조작부(120)가 형성된 패널(12, 13) 면에 형성하며 타이머(131)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모터(111)에 전원을 연결하여 모터(111)를 작동시키는 릴레이(132)를 구비한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0)의 지지구(115)는 하측으로 미끄럼방지구(117)가 구비되고 지지구(115)의 단면 중앙에 상측면이 개방되어 걸림턱(116a)을 형성한 적정의 수용홈(116)이 구비되며 수용홈(116)에 샤프트(114)의 하부외주연을 상부외주연보다 직경을 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 하측으로 단턱(114c)을 형성하여 하부측 단턱(114c)이 지지구(115)의 수용홈(116)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샤프트(114) 하강시 미끄럼방지구(117)가 바닥면에 밀착되면 샤프트(114)의 하부측 단턱(114c)이 완충스프링(118)을 가압하고 완충스프링(118)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지지구(115)를 하측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하여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의 타이머(131)를 조작부(120)가 돌출 형성된 패널(12, 13)면에 외향되게 돌출시켜 출입자가 도어(10)의 하단면과 바닥면의 간격에 따라서 모터(111)의 구동시간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미끄럼방지구(117)가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고정장치.
KR1020060020582A 2005-10-05 2006-03-03 도어 열림 고정장치 KR100810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227 2005-10-05
KR20050093227 2005-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391A true KR20070038391A (ko) 2007-04-10
KR100810529B1 KR100810529B1 (ko) 2008-03-10

Family

ID=3815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582A KR100810529B1 (ko) 2005-10-05 2006-03-03 도어 열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5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21A2 (ko) * 2011-02-15 2012-08-23 정례화 방화문의 도어 스톱 장치
KR101439996B1 (ko) * 2013-02-06 2014-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CN105569472A (zh) * 2014-06-22 2016-05-11 石光明 一种全自动门吸
CN108952381A (zh) * 2018-07-16 2018-12-07 佛山市远阳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门用自动支撑脚
KR102254176B1 (ko) * 2020-12-01 2021-05-21 이규민 마그네틱을 갖는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양 방향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7570D0 (en) 1992-04-07 1992-05-20 Purssey Neil K W Remotely released door holder
KR200200338Y1 (ko) 2000-05-03 2000-10-16 하정선 창문 잠금장치
KR200223981Y1 (ko) 2000-12-02 2001-05-15 이종천 문의 방범용 보조 잠굼장치
KR200350510Y1 (ko) 2004-02-11 2004-05-17 주식회사 모아텍 전자식 도어 닫힘 방지 장치
KR100538464B1 (ko) 2005-09-13 2005-12-22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21A2 (ko) * 2011-02-15 2012-08-23 정례화 방화문의 도어 스톱 장치
WO2012111921A3 (ko) * 2011-02-15 2012-10-11 정례화 방화문의 도어 스톱 장치
KR101439996B1 (ko) * 2013-02-06 2014-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CN105569472A (zh) * 2014-06-22 2016-05-11 石光明 一种全自动门吸
CN105569472B (zh) * 2014-06-22 2017-06-16 石光明 一种全自动门吸
CN108952381A (zh) * 2018-07-16 2018-12-07 佛山市远阳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门用自动支撑脚
KR102254176B1 (ko) * 2020-12-01 2021-05-21 이규민 마그네틱을 갖는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양 방향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529B1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529B1 (ko) 도어 열림 고정장치
US20020109446A1 (en) Retractable step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US20220160126A1 (en) Built-in electronically movable waste receptacles
US6886661B1 (en) Motorized access ladder for elevated areas
KR2009002545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소변기
ES2342372T3 (es) Taburete retractil de peldaños plegables.
KR20180010742A (ko) 자동인출 수납장치
EP2218354A2 (en) Movable kitchen with adaptable accessibility
KR20100006589U (ko) 컴퓨터 책상
JP5682690B1 (ja) 衛生洗浄装置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JP2007321507A (ja) ロック機構
CN113086884A (zh) 电动升降机构及应用该电动升降机构的电子坐便器
KR100538464B1 (ko)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US5374797A (en) Switch cover with extension
JPH0445550Y2 (ko)
CN215048381U (zh) 电动升降机构及应用该电动升降机构的电子坐便器
KR200310947Y1 (ko) 승강식 도어스토퍼
CN204049474U (zh) 可起降的烘手机
KR200318564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아트월
KR100577842B1 (ko) 도어가 좌우로 개폐되는 페달 휴지통
KR19980022618U (ko) 여닫이문의 고정장치
US4559658A (en) Positioning assembly for a furniture panel or like component
KR102294931B1 (ko) 높이 조절형 수납장
KR20100067768A (ko) 전동식 컴퓨터용 모니터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