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553A -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553A
KR20070037553A KR1020050092691A KR20050092691A KR20070037553A KR 20070037553 A KR20070037553 A KR 20070037553A KR 1020050092691 A KR1020050092691 A KR 1020050092691A KR 20050092691 A KR20050092691 A KR 20050092691A KR 20070037553 A KR20070037553 A KR 2007003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mobile phone
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608B1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608B1/ko
Priority to CN2006101418782A priority patent/CN1960540B/zh
Publication of KR2007003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표시부에 메모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메모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이 완료한 후 상기 메모창 크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과, (a) 메모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b) 메모 전송 대상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터치 스크린상의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결정된 메모 전송 대상자에게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과, 이들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편리하고 재미있게 간단한 메모를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성되는 메모를 실시간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 단말기, 휴대폰, 메모, 근거리 무선통신

Description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Mobile Terminal With Drawing And Transferring Memo And Method of Drawing And Transferring Memo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모를 작성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전송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메모를 전송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재미있게 간단한 메모를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성되는 메모를 실시간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 즉 휴대폰 혹은 PDA 등에는, 간단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서는, 키 패드를 이용하거나 혹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메모를 작성한 후, 이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디스플레이하여 메모의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간단한 메모를 빨리 작성하여 저장하고 싶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메모 작성 기능은,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메모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도 메모 리스트만을 단조롭게 디스플레이하는 한계가 있어 사용자에게 재미적인 요소와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이나 적외선 무선통신(IrDA) 방식 등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서 작성한 메모를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여, 작성된 메모를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로의 동적 변화가 가능한 메모창을 이용함으 로써 편리하고 재미있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작성한 메모를 외부 단말기와 실시간을 공유할 수 있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은, (a) 표시부에 메모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메모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이 완료한 후 상기 메모창 크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a) 메모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b) 메모 전송 대상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결정된 메모 전송 대상자에게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모 전송 대상자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적외선 무선통신(IrDA) 방식, UWB(Ultra Wide Band)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표시부; 키패드 및/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에 메모창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달받은 메모 내용을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메모창을 소정의 크기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표시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미리 결정된 메모 전송 대상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작성 및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 제어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및 키 패드(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외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까지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휴대폰으로 명칭하기로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에 있는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 적외선 무선통신(IrDA)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 UWB(Ultra Wide Band)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 지그비(Zigbee)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상기 네 개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중 두 개 이상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 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터치 스크린(1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13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키 패드(140)는, 각종 숫자키 등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121) 및 상기 키 패드(1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모를 작성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작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을 상기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하여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00].
상기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 선택은, 상기 터치 스크린(121)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키 패드(1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창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크기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메모창의 크기 설정은, 상기 터치 스크린(121) 상에서 상기 메모창이 드래그(drag)되어 이루어지거나, 상기 키 패드(140) 중 메모창 크기 설정 기능이 할당된 키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에 별도로 구비된 조그 셔틀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a)는,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300)이 활성화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310)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21) 상에서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300)을 드래그(drag)하여 상기 메모창(300)을 원하는 크기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21) 상의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즉 입력되는 메모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10].
한편, 상기 메모 입력은,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21)상에 입력하거나, 상기 키 패드(14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b)는, 사용자가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300)에 스타일러스 펜(310)을 이용하여 메모를 작성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창(300)은, 상기 표시부(120)의 특정 위치에서 임의의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창(300)은, 상기 터치 스크린(121) 상에서 드래그(drag)되어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310)을 이용하여 도 3(b)에 도시 된 메모창(300)의 특정 영역(330)을 터치한 후 상기 터치 스크린(121) 상에서 임의의 위치로 드래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창(300)은, 상기 터치 스크린(121) 상에서 상기 메모창(300)이 위치한 지점과 다른 지점이 터치된 경우, 상기 터치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창을 소정의 크기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20].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메모창에 구비된 종료 버튼이 선택된 경우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료 버튼 선택은, 상기 터치 스크린(121)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키 패드(1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사용자의 메모 입력이 없는 상태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메모 기능 외의 별도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310)을 이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메모창(300)에 구비된 버튼(320)을 터치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창이 축소되어 상기 표시부(120)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창이 축소되는 경우,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된 메모가 동시에 동일한 비율로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메모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입력된 메모를 이미지화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S230].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메모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메모가 복수 개인 경우, 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모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메모를 전송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을 상기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하여 활성화시킨다[S400]. 상기 메모창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크기 설정이 가능하다.
그 후, 메모 전송 대상자가 결정된다[S410].
상기 메모 전송 대상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외부 단말기 중에서, 본 발명에 따라 작성되는 메모를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 전송 대상자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외부 단말기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 전송 대상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외부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21)상의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즉 입력되는 메모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을 통해 상기 결정된 메모 전송 대상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42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500)의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121) 상의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에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메모를 입력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 단말기(510)에 상기 입력되는 메모가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500)의 메모창에 메모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입력되고 있는 메모가 상기 외부 단말기(51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메모 실시간 전송은, 친구 간의 간단한 메모의 전송이나 그룹 회의에서 메모의 작성 및 공유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작성되는 메모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서도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메시지시스템(Multimedia Message System: MMS) 등에 의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로의 동적 변화가 가능한 메모창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재미있는 메모 작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 작성한 메모를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무선통신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실시간을 공유할 수 있는 메모 전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9)

  1. (a) 표시부에 메모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메모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이 완료한 후 상기 메모창 크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을 디스플레이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 선택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메모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 선택은,
    휴대폰에 구비된 키 패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크기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설정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메모창이 드래그(drag)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설정은,
    휴대폰에 구비된 조그 셔틀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설정은,
    휴대폰에 구비된, 메모창 크기 설정 기능이 할당된 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휴대폰에 구비된 키 패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창이 축소될 때,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된 메모가 동시에 동일한 비율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창을,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메모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창에 구비된 종료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버튼 선택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버튼 선택은,
    휴대폰에 구비된 키 패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의 메모 입력이 없는 상태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 기능 외의 별도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입력된 메모를 이미지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메모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은,
    상기 표시부가 구비한 터치 스크린상에서 임의의 위치로 드래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은,
    상기 표시부가 구비한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메모창이 위치한 지점과 다른 지점이 터치된 경우, 상기 터치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메모 작성 방법.
  2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메모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b) 메모 전송 대상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상기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결정된 메모 전송 대상자에게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을 디스플 레이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작성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모 전송 대상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외부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외부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외부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27.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28.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적외선 무선통신(IrDA)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29.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UWB(Ultra Wide Band)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30.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지그비(Zigbee)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메모 전송 방법.
  31. 표시부;
    키패드 및/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에 메모창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달받은 메모 내용을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와,
    상기 메모창을 소정의 크기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여 활성화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 선택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메모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 선택은,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크기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설정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메모창이 드래그(drag)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설정은,
    상기 키 패드 중 메모창 크기 설정 기능이 할당된 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설정은,
    휴대폰에 별도로 구비된 조그 셔틀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은,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1.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메모창에 구비된 종료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버튼 선택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버튼 선택은,
    상기 키 패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사용자의 메모 입력이 없는 상태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출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메모 기능 외의 별도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6. 제 4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메모창이 축소될 때,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된 메모를 동시에 동일한 비율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7. 제 4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메모창을,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메모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입력된 메모를 이미지화하여 휴대폰이 구비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메모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50. 제 3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임의의 위치로 드래그(drag)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51. 제 3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메모창이 위치한 지점과 다른 지점이 터치된 경우, 상기 터치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작성 기능을 갖는 휴대폰.
  5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표시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메모 기능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모창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활성화된 메모창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창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미리 결정된 메모 전송 대상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전송 대상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전송 대상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검색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전송 대상자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외부 단말기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6. 제 52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7. 제 52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적외선 무선통신(IrDA)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8. 제 52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UWB(Ultra Wide Band)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9. 제 52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KR1020050092691A 2005-10-01 2005-10-01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 KR100739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91A KR100739608B1 (ko) 2005-10-01 2005-10-01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
CN2006101418782A CN1960540B (zh) 2005-10-01 2006-09-30 具有备忘录制作及传送功能的移动通信终端和备忘录制作及传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91A KR100739608B1 (ko) 2005-10-01 2005-10-01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553A true KR20070037553A (ko) 2007-04-05
KR100739608B1 KR100739608B1 (ko) 2007-07-16

Family

ID=3807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691A KR100739608B1 (ko) 2005-10-01 2005-10-01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9608B1 (ko)
CN (1) CN196054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12B1 (ko) * 2008-01-16 2009-10-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019019B1 (ko) * 2009-04-14 2011-03-04 한국과학기술원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메모장치
KR101494460B1 (ko) * 2008-07-09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기기 간 데이터 공유 장치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036A (ko) * 2013-07-10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모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5407220A (zh) * 2015-11-02 2016-03-16 深圳市汉普电子技术开发有限公司 备录文件生成方法及装置
CN105892835A (zh) * 2016-03-30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便签快速分享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9918A1 (fr) 2000-05-30 2001-12-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lecommande pour telephone mobile et telephone mobile pouvant etre commande par une telecommande
KR20020010760A (ko) * 2000-07-31 2002-02-06 조정남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의 전화 번호 저장 방법
KR100413274B1 (ko) * 2001-11-05 2004-01-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펜 마우스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345764A (ja) * 2002-05-27 2003-12-05 Hitachi Ltd 備忘録端末及び備忘録管理方法
KR100844320B1 (ko) * 2002-10-02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KR100465115B1 (ko) * 2003-01-24 200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창 이동 방식의 필기입력장치 및 입력창의 위치이동방법
CN100477674C (zh) * 2003-07-29 2009-04-08 京瓷株式会社 通信设备
KR100531882B1 (ko) * 2003-08-06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입력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0548788B1 (ko) * 2004-01-09 2006-02-02 (주)팜미디어 휴대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휴대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12B1 (ko) * 2008-01-16 2009-10-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494460B1 (ko) * 2008-07-09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기기 간 데이터 공유 장치및 방법
KR101019019B1 (ko) * 2009-04-14 2011-03-04 한국과학기술원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메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608B1 (ko) 2007-07-16
CN1960540B (zh) 2012-04-18
CN1960540A (zh)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302B2 (en)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CN105393205B (zh) 电子设备以及在电子设备中控制应用的方法
US11575636B2 (en) Method of managing processing progress of a message in a group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erminal
CN108958867B (zh) 一种应用的任务操作方法及装置
US6422775B1 (en) Digital messaging pen
US9507514B2 (en)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input devices for handwritten data and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for performing data sharing among dedicated devices using handwritten data
KR20140065075A (ko) 메시지 기반의 대화기능 운용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CN113325988B (zh) 多任务管理方法和终端设备
CN110007996B (zh) 应用程序管理方法及终端
KR20100078295A (ko) 이종의 터치영역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8133285A1 (zh) 显示方法及终端
KR100739608B1 (ko) 메모 작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모 작성 및 전송 방법
CN109976606B (zh) 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
CN110673770B (zh) 消息展示方法及终端设备
CN103581426A (zh) 用于在电子装置中发起呼叫的方法和设备
CN111414105A (zh) 信息提醒方法及电子设备
KR20120036897A (ko)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선택
CN103294371A (zh) 电子设备、控制该电子设备的方法
WO2019127439A1 (zh) 一种计算器的运行方法以及终端
US942394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CN11166598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10039095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147746B (zh) 一种k歌方法及终端
WO200200318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input device of a first computer system to wirelessly enter data into a second compu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