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445A -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함유 리포솜 제제 - Google Patents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함유 리포솜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445A
KR20070037445A KR1020067026550A KR20067026550A KR20070037445A KR 20070037445 A KR20070037445 A KR 20070037445A KR 1020067026550 A KR1020067026550 A KR 1020067026550A KR 20067026550 A KR20067026550 A KR 20067026550A KR 20070037445 A KR20070037445 A KR 2007003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liposome preparation
drug
lipid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626B1 (ko
Inventor
게이스께 요시노
시게노리 노자와
요시따까 오가따
야스오 구로사끼
세이고 사와다
이꾸오 가또
다께시 마쯔자끼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2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with substantial amounts of non-phosphatidyl, i.e. non-acylglycerophosphate, surfactants as bilayer-forming substances, e.g. cationic 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5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henantr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혈중에서의 α-히드록시락톤환의 가수분해가 억제되어,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이 항종양 활성의 약제로서 유효한 개환되지 않는 구조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약제의 리포솜으로부터의 역이탈성이 개선되어, 투여 후의 혈장 중 약제 농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혈중 체류성이 우수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리포솜 제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에 기재한 리포솜 제제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솜 제제는, 막을 형성하는 지질 성분으로서 인지질과 함께 지방산을 포함하며, 약제로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이다.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 리포솜 제제, 혈중 체류성, 인지질, 지방산

Description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함유 리포솜 제제{LIPOSOME PREPARATION CONTAINING SLIGHTLY WATER-SOLUBLE CAMPTOTHECIN}
본 발명은, 약제로서 특히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약제를 안전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목적 병소 부위에 송달ㆍ분포시키는 드러그 딜리버리 시스템(DDS)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그 방법의 하나로서 리포솜을 약제의 운반 도구(담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리포솜은 인지질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막으로 형성되는 폐쇄 소포의 수성 분산액이며, 소포의 중심실 내는 수성 환경(내수상)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약제의 리포솜화가 연구되고 있다. 약제의 리포솜화에서, 수용성 약제는 주로 수성 환경의 중심실 내에 유지되며, 한편 수난용성 약제는 주로 유성 환경인 지질막층에 담지되어 유지된다. 리포솜막의 연구도 행해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리포솜 소포 내에 봉입된 우로키나아제 등의 수용성 약제의 유지율을 개선하기 위해, 막 성분으로서 고급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올레산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암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의 카테고리 중 하나로 토포이소메라제 조 해제가 있으며, 이외에 캄프토테신(camptothecin)이 있다. 캄프토테신은, 1966년에 미국의 월(Wall) 등에 의해 중국 원산 식물: 희수(Camptotheca acuminata)로부터 추출ㆍ단리된 5환상 알칼로이드이며, 높은 항종양 활성과 넓은 항종양 스펙트럼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비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암 화학 요법제가 II형 토포이소메라제 저해에 의해 항종양 활성을 발현하는데 비해, 캄프토테신은 I형 토포이소메라제를 저해함으로써, DNA의 복제, 수복(修復), 유전자 재조합 및 전사에서 역할을 행하는 토포이소메라제 효소의 작용을 저해한다.
항종양 활성을 갖는 캄프토테신 유연 화합물도 몇 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캄프토테신(후술하는 화학식 1 참조)의 7-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캄프토테신 유도체, 예를 들면 7-(β-트리메틸실릴)에틸캄프토테신(특허 문헌 2 참조), 7-(t-부톡시)이미노메틸캄프토테신(특허 문헌 3 참조), 이리노테칸(CPT-11)의 카르복시에스테라제에 의한 활성 대사물(활성 본체)인 7-에틸-10-히드록시캄프토테신(SN-38)이 알려져 있다. 그 자체가 항종양 활성종인 이들 캄프토테신 유연 화합물은, 수용성 프로드러그의 이리노테칸과 상이하며,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이다. 그러나, 이들이 분자 내에 갖는 α-히드록시락톤환은 수성 환경에 감수성이 있기 때문에, 혈액 중 등의 pH가 높은 수성 환경에서는 가수분해를 받아 개환한다. 캄프토테신 및 그의 유연 화합물은, α-히드록시락톤환이 개환하면, 본래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비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여, 캄프토테신, 수불용 또는 난용성의 유연 화합물(이하, 이들을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로 총칭하는 경우도 있음)을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병소 부위에 송달하고, 목적 병소 부위에서 항종양 활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하나의 접근으로서, 상기 리포솜화가 생각된다.
캄프토테신의 리포솜화도 몇 개의 보고가 있으며, 캄프토테신을 리포솜에 함유시킴으로써 α-히드록시락톤환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3 내지 4, 특허 문헌 4 등 참조).
캄프토테신의 리포솜화에서 수성 환경에 친화성이 없는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질막층에 담지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항종양 활성종의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친유성 또는 지용성임에도 불구하고, 지질막에 대한 친화성이 불충분하고, 막 중에서 안정화되는 것이 곤란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이 리포솜 제제는 약제의 유지성이 저하되어, 혈중 체류성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다. 이러한 리포솜 제제를 혈중 투여하면,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리포솜으로부터 빠르게 이탈하여 혈류 중에 방출될 뿐만 아니라, 혈관벽에 부착되는 등에 의해 혈중으로부터 빠르게 소실되기 때문에, 혈장 중 농도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캄프토테신의 리포솜화예로서, N-글루타릴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N-glutaryl phosphatidyl ethanolamine)을 첨가하여 리피드 컴플렉스화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특허 문헌 5, 비특허 문헌 5 참조), 그에 따르면 지질막에 대한 친화성이 불충분한 캄프토테신을 고담지화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리피드 컴플렉스의 마우스에 대한 투여에 의한 혈중으로부터의 소실 속도가 빠르다.
또한 이리노테칸의 활성 본체인 상기 SN-38의 리포솜화제에 대한 혈중 체류 성이 보고되어 있다. 마우스의 예로서, SN-38 리포솜 투여 직후로부터 혈중에서의 SN-38 농도는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혈장 중 SN-38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보고가 있다(비특허 문헌 6 참조).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SN-38의 혈장 중 농도의 정량 분석에 의해, 개에 대하여 SN-38의 혈장 중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을 보고한 예도 있다(비특허 문헌 7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60-15510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1180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3912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표 (평)9-504517호 공보
특허 문헌 5: 미국 특허 제5834012호 명세서
비특허 문헌 1: Hans-Georg Lerchen, Drugs Fut, 27(9), 2002, 869-878
비특허 문헌 2: Am. Chem. Soc., 94, 1966, 388
비특허 문헌 3: Tomas G. Burke외, J. Am. Chem. Soc. 114, 1992, 8318-8319
비특허 문헌 4: Tomas G. Burke외, Biochemistry, 32, 1993, 5352-5364
비특허 문헌 5: Cancer Chem. Pharm. 37, 1996, 531-538
비특허 문헌 6: Joshua Williams외,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91, 2003, 167-172
비특허 문헌 7: W. Guo외, Journal of Chromatography B, 791, 2003, 85-92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혈중에서의 α-히드록시락톤환의 가수분해가 억제되어,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이 항종양 활성의 약제로서 유효한 개환되지 않는 구조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약제의 리포솜으로부터의 역이탈성이 개선되어, 투여 후의 혈장 중 약제 농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혈중 체류성이 우수한 리포솜 제제가 요망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약제로서 특히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포솜 제제의 약제 유지성 및 혈중 체류성에 대하여 검토하는 중, 리포솜에 지방산을 포함시킴으로써,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의 유지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약제의 서방성(徐放性)이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이 지방산이 혈중에서 혈중 단백질에 의한 방출 작용을 받음으로써,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의 방출을 경합 저해시키는 결과로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의 유지성이 크게 개선된다고 생각된다. 리포솜 제제 중의 상기 지방산량이 약제보다 다량이면, 경합 저해 효과는 보다 현저하다. 또한, 지방산을 함유함으로써 막에 유연성이 부여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되며, 이에 따라 본래 지질막에 대한 안정성이 저하되는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의 막에 대한 안정화가 달성되어, 유지성이 향상되었다고 추정된다.
또한, 이 리포솜 제제에서 친수성 고분자쇄, 특히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의한 막 표면의 수식(修飾)은, 혈중 체류성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지견도 얻어졌다. 또한, 종래 리포솜의 혈중 동태를 개선하여 혈중 체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특히 리포솜에 함유시키는 약제가 본질적으로 소포 내에 유지되는 수용성 약제에서, 친수성 고분자쇄에 의한 막 표면의 수식이 알려져 있다. 수난용성 약제에 대해서도 지질막과의 친화성이 있으며, 혈중에서도 약제가 리포솜에 유지되어 있는 약제이면, 혈중 체류성 향상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예를 들면 수난용성 약제 파클리탁셀(Paclitaxel)의 리포솜 제제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G-PE)의 막 수식에 의해, 혈중 체류성이 비약적(약 5배)으로 향상되었다는 보고가 있다[J. of Controlled Release 63, 2000, 19-30]. 그러나,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의 리포솜화에서, 지방산을 포함시키지 않는 통상적인 막을 포함하는 리포솜에서의 PEG-PE 막 수식에 의한 혈중 체류성의 향상은, 비교예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저한 것이 아니며, 그것만으로는 제제 실시화상, 충분하다고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포솜 제제를 소직경화하는 경우, 리포솜 정립(整粒)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막 통과법을 적용하면, 담지시킨 약제가 막 통과시에 지질막으로부터 이탈하기 쉬우며, 특히 압출기의 공경이 300 ㎚ 정도 이하인 소직경에서는, 정립시에 약제가 이탈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하여, 약제가 특히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인 리포솜 제제의 경우에는, 고압 제트류화한 리포솜 제제(분산액)끼리의 액-액충돌(전단)에 의한, 높은 유화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는 정립화법이 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소립 직경의 리포솜 제제를 얻는 데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로부터,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본 발명이 제공된다.
(1) 막을 형성하는 지질 성분으로서 인지질과 함께 지방산을 포함하며, 약제로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
상기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20(S)-캄프토테신 또는 그의 7-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수난용성 유도체이다. 구체적으로 하기 (2)에 예시된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이 20(S)-캄프토테신, 7-에틸-10-히드록시캄프토테신(SN-38), 7-(β-트리메틸실릴)에틸캄프토테신 또는 7-(t-부톡시)이미노메틸캄프토테신인 리포솜 제제.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포화 지방산인 리포솜 제제.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의 알킬쇄 길이가 14 내지 18인 리포솜 제제.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지방산은 스테아르산이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이 수소 첨가 인지질인 리포솜 제제.
상기 인지질로서 스핑고인지질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질 성분으로서 인지질 및 지방산과 함께, 하나 이상의 다른 지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리포솜 제제.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다른 지질이 콜레스테롤인 리포솜 제제.
본 발명에서 막을 구성하는 지질 성분의 바람직한 조성예로서, 인지질이 수소 첨가 인지질이며, 상기 수소 첨가 인지질 및 지방산과 함께 추가로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실시양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막이 수식기를 갖는 리포솜 제제.
(9) 상기 (8)에 있어서, 상기 수식기가 친수성 고분자쇄 및/또는 카르복실산인 리포솜 제제.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쇄가 폴리에틸렌글리콜쇄인 리포솜 제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쇄는, 통상적으로 500 내지 10000 달톤 정도이다.
친수성 수식기가 도입된 지질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연결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G-PE)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연결한 콜레스테롤(Chol-PEG)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솜 제제에서, 특히 약제와 막을 구성하는 지질 성분과의 양비(量比) 및 지질 성분 중의 지방산의 양비는 이하가 바람직하다.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 제제의 약제/지질 몰비가 0.001 내지 0.1 이하인 리포솜 제제.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을 상기 지질 성분의 합계 몰 중에 1 내지 30 몰%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몰%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몰% 이상이다. 또한 그의 상한은, 26 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리포솜 제제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 ㎚이다.
특히 평균 입경은 1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 제제가 글리세린 존재하의 동결에 의한 투과형 전자 현미경 관찰에서, 비구형의 이형 입자인 리포솜 제제.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 제제가 상기 지질 성분과 상기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교반하여 제조한 리포솜 분산액에, 고압 액류화된 상기 리포솜 분산액끼리 충돌함으로써 정립화 처리가 실시된 것인 리포솜 제제.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 제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17) 예방 및/또는 치료 유효량의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 제제를 숙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18)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 제제를 숙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약제 및/또는 그의 염을 숙주 내에서 방출하는 방법.
(19)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 제제를 숙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약제 및/또는 그의 염을 표적 부위에 노출시키는 방법.
[도 1] 본 발명의 SN-38 함유 리포솜(HSPC:Chol:SA=7:7:5)을, 동결 할단 레플리카법을 이용한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촬상(撮像)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비교예 1에서 제조된 SN-38 함유 리포솜(HSPC:Chol:SA=7:7:0)을, 동결 할단 레플리카법을 이용한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촬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마우스에서의 SN-38 함유 리포솜의 정맥 주사 후의 경과 시간과 혈장 중의 SN-38 농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의 SN-38 함유 리포솜(HSPC:Chol:SA=7:7:5)에 대하여, 2주간의 제제 가속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막을 형성하는 지질 성분으로서 인지질과 함께 지방산을 포함하며, 약제로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이다.
리포솜은 인지질 이중막을 포함하며, 지질의 소수성기와 친수성기의 극성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막에 의해 외계(外界)로부터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폐쇄 소포의 수성 분산액이다. 막을 이격한 폐쇄 소포 내외의 수상은, 각각 내수상 및 외수상으로 불린다. 리포솜 제제는 리포솜을 담체로 하며, 이것에 약제를 담지시킨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리포솜에 약제로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담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리포솜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물에 불용 또는 난용인 캄프토테신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0(S)-캄프토테신 또는 그의 7-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수난용성의 유도체, 그 중에서도 친유성 또는 지용성을 나타내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7-에틸-10-히드록시캄프토테신(SN-38로 칭함),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7-(β-트리메틸실릴)에틸캄프토테신(BNP-1350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음)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7-(t-부톡시)이미노메틸캄프토테신(기마테칸(Gimatecan) 또는 ST-1481로 칭하는 경우도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93173913-PCT00001
Figure 112006093173913-PCT00002
Figure 112006093173913-PCT00003
Figure 112006093173913-PCT00004
이들 화합물은, 그 자체가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약제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2 내지 3 및 비특허 문헌 2 등에 기재된 친유성 또는 지용성의 캄프토테신 유도체를 본 발명의 약제로서 들 수도 있다.
각 화합물 그 자체는, 상기 특허 문헌의 기재를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한 것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7-에틸-10-히드록시캄프토테신(SN-38)이 바람직하다. SN-38 은, 야구르트혼샤(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하,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약제로 대신하여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약제를 담지하는 리포솜의 막 기재인 인지질은 생체막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분자 내에 장쇄 알킬기로 구성되는 소수성기와 인산기로 구성되는 친수성기의 군을 갖는 양친매성 물질이다. 인지질로서는, 포스파티딜콜린(레시틴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음),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인지질, 카르디오리핀 등의 천연 또는 합성의 인지질 또는 이들의 유도체, 당류를 결합시킨 유도체(당지질) 및 이들을 통상법에 따라 수소 첨가한 수소 첨가 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소 첨가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등의 수소 첨가 인지질 및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SM) 등이 바람직하다.
막 기재로서 단일종의 인지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종의 인지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리포솜은 막 지질 성분으로서 상기 인지질과 함께, 특히 지방산을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이 지방산은, 탄소수 10 내지 20의 고급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헵타데실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칸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아라퀴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포화 지방산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특히 알킬쇄 길이가 14 내지 18인 포화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테아르 산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은 단일종일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탄소수가 28을 초과하면 생체에 대한 적합성 저하가 염려되기 때문에, 지방산의 탄소수는 28개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의 함유율은 지질 성분의 합계(총 지질) 몰 중에 통상적으로 1 내지 30 몰%이다.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의 막 중에 대한 안정화 유지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지방산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5 몰%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몰% 이상이다. 리포솜막의 안정성의 면에서, 함유율의 상한은 26 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총 지질"이란, 리포솜이 이하에 나타내는 다른 지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도 그 중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지질 및 지방산과 함께, 상기 막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리포솜에 포함시킬 수 있는 다른 막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막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 내에 장쇄 알킬기 등으로 구성되는 소수성기를 가지며, 인산기를 분자 내에 포함하지 않는 지질, 예를 들면 글리세로당지질, 스핑고당지질 및 콜레스테롤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막 성분은 1종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종 포함할 수도 있다.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시클로펜타노히드로페난트렌환을 갖는 스테롤류이며, 예를 들면 콜레스타놀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콜레스테롤은 막 안정화 효과가 있으며, 콜레스테롤량에 따라 리포솜 제제의 혈장 중에서의 약제 방출률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 때문에 콜레스테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질 성분의 합계(총 지질) 몰 중에 통상적으로 50 몰% 정도까지의 양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롤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 몰%이다.
또한, 막을 구성하는 지질의 물성을 변화시켜 막에 원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막이 수식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질막에 친화성이 있는 소수성 본체에 수식기가 연결된 유도체를 막 중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소수성 본체는 통상적으로 지질이다. 이 지질 부분은, 인지질 또는 인지질 이외의 지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떠한 것이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지질, 장쇄 지방족 알코올, 스테롤,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 또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식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친수성 고분자쇄, 하전성기, 수용성 다당류 등의 친수성기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친수성 고분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 피콜, 폴리비닐알코올,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교호 공중합체, 디비닐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교대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메틸옥사졸린, 폴리에틸옥사졸린, 폴리히드록시프로필옥사졸린, 폴리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 드,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아스팔트아미드 및 합성 폴리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혈중 체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PEG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500 내지 1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7,000 달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5,000 달톤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혈중 체류성"이란, 약제가 담지된 리포솜 제제를 투여한 숙주에서, 상기 리포솜 제제에 담지된 약제가 혈액 중에 존재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약제가 리포솜으로부터 방출되면 빠르게 혈중으로부터 소실되어, 약제가 노출된 부위에 작용한다. 혈중 체류성이 양호하면, 보다 적은 양의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막 수식에 의해 생체 내에서의 리포솜의 문제, 즉 혈액 중의 옵소닌 단백질 또는 혈장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흡착)에 의한 응집, 또는 간장 및 비장 등의 세망내피계 조직(RES)에서의 포착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혈중 안정성을 높여 표적으로 하는 조직 또는 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높은 송달이 가능해진다. 즉, 높은 혈중 체류성이 얻어진다. 이에 따라, 종양 조직의 혈관 투과성이 항진된 조직에 수동적으로 집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PEG에 의한 막 수식은, PEG를 포함하는 수식제의 사용, 또는 관능기를 갖게 한 막 구성 지질과 PEG의 반응에 의한 부가 등에 의해 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PEG를 포함하는 수식제, 예를 들면 PEG의 인지질 유도체 및/또는 콜레스테롤 유도체의 사용에 의한 도입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연결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G-PE)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연결한 콜레스테롤(Chol-PEG)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질 부분이 인지질일 때, 인지질의 아실쇄는 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실쇄의 길이는 C14-C20, 바람직하게는 C16-C18이다. 구체적으로는 디팔미토일, 디스테아로일 또는 팔미토일스테아로일이다.
이들 중에서도 PEG-PE는 범용 화합물이며, 입수 용이하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쇄에 의한 막 수식률은, 상기 친수성 고분자쇄를 포함하지 않는 총 지질에 대한 비율로, 통상적으로 0.1 내지 20 몰%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몰%이다.
하전성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및 구아디니노기 등의 염기성 관능기, 산성 관능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기를 포함하는 하전 물질로 도입할 수 있다.
염기성 관능기를 갖는 하전 물질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소)61-161246호 공보에 개시된 DOTMA, 일본 특허 공표 (평)5-508626호 공보에 개시된 DOTAP, 일본 특허 공개 (평)2-292246호 공보에 개시된 트랜스펙탐(Transfectam), 일본 특허 공개 (평)4-108391호 공보에 개시된 TMAG, 국제 공개 제97/42166호 공보에 개시된 3,5-디펜타데실옥시벤즈아미딘 염산염, DOSPA, TfxTM-50, DDAB, DC-CHOL 및 DMRIE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관능기를 갖는 하전 물질로서는, 강글리오시드 GM1 및 강글리오시드 GM3 등의 시알산을 갖는 강글리오시드류, N-아실-L-글루타민 등의 산성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전 물질이 지질에 염기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결합된 물질인 경우에는, 양이온화 지질로 칭한다. 양이온화 지질의 지질 부분은 리포솜의 지질 이중막 중에 안정화되며, 염기성 관능기 부분은 담체의 지질 이중층의 막 표면 위(외막 표면 위 및/또는 내막 표면 위)에 존재할 수 있다. 양이온화 지질로 막을 수식함으로써, 리포솜막과 세포의 접착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수용성 다당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글루쿠론산, 시알산, 덱스트란, 풀루란,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키토산, 만난, 시클로덱스트린, 펙틴 및 카라기난 등의 수용성 다당류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다당류의 유도체는 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전 물질 및 수용성 다당류에 의한 막 수식률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리포솜에 대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의 담지량, 즉 리포솜 제제의 약제/지질 몰비는,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이 리포솜막에 함유되기 때문에, 리포솜의 안정성 및 봉입 효율의 관점상, 통상적으로 0.1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3이다. 또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지방산 몰비가 1.0보다 작으면, 상술한 혈중 단백질에 의한 방출 작용에 기초 하는 경합 저해의 효과가 보다 명확해진다.
이 리포솜에 대한 약제 담지 또는 리포솜 제제의 약제 함유란, 리포솜 제제(분산액) 중 약제가 리포솜에 담지되고 유지되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리포솜에 유지되어 있지 않은 약제, 즉 분산액의 외수상 부분에, 리포솜과는 관계없이 자유롭게 존재하는 약제가 본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약제로 하는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에서는, 실질적으로 약제의 적어도 일부가 지질막 내에 포함되어 막에 담지되어 있다고 생각되지만,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외수상 부분에 자유로운 약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약제의 담지 상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약제를 막과 관계없이 내수상에 내포할 수도 있고, 막에 의한 담지/내포 양방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솜 제제는, 글리세린 존재하에 동결하여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 비구형의 이형 입자로서 관찰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는 리포솜(제제)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그대로인 구형으로 관찰된다.
리포솜의 지질 이중막 구조는, 단일 라멜라 소포(소형 단일 라멜라 소포(Small Unilamellar Vesicle, SUV), 대형 단일 라멜라 소포(Large Unilamellar Vesicle, LUV)) 및 복수매를 포함하는 다중 라멜라소포(Multilamellar Vesicle, MLV)의 막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지만, MLV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25% 글리세린 존재하에서의 동결 할단 레플리카법에 의한 전자 현미경 사진에 의한 관찰에서는 비구형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그의 크기는 광 산란 회절식 입도 분포계에 의해 전체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이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 ㎚이다. 특히 항종양 활성을 세포 내에서 발현시키기 위해 세포 내에 대한 약제 도입 효율을 고려하면, 평균 입경은 1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투여 경로 순서에서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안정화제 및/또는 산화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글리세롤 또는 수크로오스 등의 당류를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스코르브산, 요산 또는 토코페롤 동족체, 예를 들면 비타민 E 등을 들 수 있다. 토코페롤에는 α, β, γ 및 δ의 4개의 이성체가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투여 경로 순서에서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물의 예로서 물, 생리 식염수,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용매, 콜라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수용성 덱스트란,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펙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산탄검, 아라비아 고무, 카세인, 젤라틴, 한천,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바셀린, 파라핀, 스테아릴알코올, 인간 혈청 알부민(HSA), 만니톨, 소르비톨, 락토오스, PBS, 생체 내 분해성 중합체, 무혈청 배지, 의약 첨가물로서 허용되는 계면활성제 또는 생체 내에서 허용할 수 있는 생리적 pH의 완충 액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첨가물은, 제형에 따라 상기 중으로부터 적절하게 또는 조합하여 선택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첨가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의 리포솜 제제를 의약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0 내지 8 ℃에서의 냉장 또는 1 내지 30 ℃의 실온에서 보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리포솜 제제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담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공지된 리포솜 제제화 방법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분산 및 정립의 각 공정은, 모두 막 형성 지질의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리포솜 제제(분산액)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미리 약제와 지질의 혼합 재료를 제조하여, 리포솜 분산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산액은, 혼합 재료의 초음파 분산물 및 기계적 교반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제품명: 구레아 믹스 싱글 등의 균질기를 사용한 제트류 분산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평균 입경의 소직경화 또는 입경이 균질화를 원하는 경우, 상기한 리포솜 분산액의 제조(이하, 예비 분산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이어서, 상기 리포솜 제제(분산액)를 고압 균질기에 의해 액-액 전단을 가하면서 정립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포솜 분산액을 고압 토출하고, 고압류끼리의 충돌에 의해 습식 분쇄하는 고압 토출형 유화법(문헌 [데라다, 요시무라외 "생명 과학에서의 리포솜" 스프링거ㆍ페어레이크 도꾜, 1992]: 여기에 있는 설명을 인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으로 할 수 있음)이다. 고압 토출형 유화기, 예를 들면 제품명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마이크로 플루이덱스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압 토출형 유화기 이외에는, 제트류 유화기, 예를 들면 제품명 구레아 믹스 더블 모션(M 테크닉사 제조) 등의 고압 균질기를 사용할 수 있다.
평균 입경의 소망값이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의 소직경이 될수록, 상기 고압 균질기에 의한 정립화가 바람직하다.
리포솜 분산액의 정립화에 있어서 고압 균질기를 사용할 때에는 다음의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지질막과의 상호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이것을 확실하게 지질막에 봉쇄하여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유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높은 에너지를 인가할 수 없는 유화법, 예를 들면 리포솜의 정립화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압출기 등을 사용하는 막 유화법, 에테르 주입법, 역상 증발법에서는, 유화시에 약제가 침전하는 등, 효율적으로 지질막에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경향이 있다. 또한 리포솜 제제는, 통상적으로 정립화 처리된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소직경화 또는 균질화된 입경의 리포솜 제제를 얻는 경우에는, 높은 유화 에너지가 필요하다. 유화 에너지가 높은 방법으로서는, 고압 토출형 유화법 및 제트류 유화법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높은 전단력을 인가할 수 있는 유화ㆍ정립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그의 약제 성능으로부터, 리포솜에 담지되지 않는 약제를 외수상에 포함하지 않는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리포솜에 담지되지 않은 약제를 리포솜 제제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거쳐서 제공되며, 이 공정은 통상적으로 정립화 처리 후에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조한 리포솜 제제를 겔 여과, 투석, 막 분리 및 원심 분리 등의 정제 방법에 의해, 리포솜 제제에 담지되지 않은 약제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약제를 포함한 상태로 표적 부위까지 도달하며, 그 결과 그것이 포함하는 약제를 표적 부위까지 송달한다. 약제의 표적 부위에 대한 송달은, 리포솜 제제에 포함되는 약제를 표적 부위에 취입시킬 수도 있고, 표적 부위에 취입하지 않아도 약제의 영향을 표적 부위 또는 그의 근방에 미치게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표적 부위"란 리포솜 제제가 함유하는 약제가 방출되어 작용하는 특정한 부위이며, 부위마다 특정된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장기 및 이들의 내부를 의미한다.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장기 및 이들의 내부 등의 표적 부위는, 약제에 의한 치료의 대상이 되는 부위일 수 있으며, 방출된 약제가 노출됨으로써 그의 효과를 발휘한다. 표적 부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양을 들 수 있다.
치료의 대상이 되는 종양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형 종양이며, 구체적으로는 식도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직장암, 비장암, 간장암, 후두암, 폐암, 전립선암, 방광암, 유방암, 자궁암 또는 난소암을 들 수 있다. 표적 부위는 종양의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장기 및 이들의 내부 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질환이란 상기 종양을 의미하며, 약제는 이들에 대하여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노출"이란, 리포솜의 외부에 방출된 약제가 외부 환경에 작용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출된 약제는 표적 부위에 근접하여 접촉함으로써, 그의 작용인 항종양 효과를 발휘한다. 약제가 표적 부위에 작용함으로써, 표적 부위의 DNA 합성이 행해지고 있는 세포 주기에 있는 세포에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기대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리포솜 제제로부터의 약제의 방출률과 리포솜 제제의 혈중 체류성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방출"이란, 리포솜 제제에 포함되는 약제가 리포솜의 지질막을 통과함으로써, 또는 지질막의 일부의 구조가 변화됨으로써 리포솜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 중에 포함되는 약제는, 혈장 중에서 장시간 고농도로 표적 부위에 노출됨으로써 강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출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출률"이란, 약제를 담지한 리포솜으로부터 이탈하는 약제와, 리포솜에 담지된 상태의 약제의 비율(중량비 또는 몰비)을 말한다. "방출률이 낮다"란 단위 시간당 리포솜으로부터 이탈된 약제량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방출률은 본 발명의 담체를 원심으로 침강시켜, 상청(혈장)에 존재하는 약제의 양과 담체를 측정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소정 시간 내에서의 약제 방출률이 낮은 것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혈장 중의 약제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리포솜 제제는 혈액 중으로부터 빠르게 소실되기 때문에, 표적 부위에서의 노출 시간이 짧으며,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혈액 중으로부터의 빠른 소실은 대사 기관인 간장 및 비장 등의 장기에 대하여 약제를 고농도로 노출하게 되어, 해당 부위에서의 부작용에 연결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혈장 중의 약제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약제 투여량을 감소시켜 약제를 표적 부위에 장시간 노출할 수 있고,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투여 후 1 시간에서의 혈장 중의 약제 농도는 초기값의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이 "초기값"이란,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를 투여한 직후의 이론 농도이고, 일반적으로 숙주의 체중으로부터 산출한 전체 혈장량을 이용하여, 투여액량으로 희석되었다고 가정하여 산출된다. 또한, 각 시점의 혈장 중 농도는, 초기값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 of dose"로서 표기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표적 부위에 장시간 노출하기 위해 약제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숙주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유효량의 약제를 담지하는 리포솜 제제를 숙주에 투여함으로써, 숙주 내에서 유효량의 약제를 방출하고, 표적 부위에 장시간 고농도로 노출하기 위해 숙주(환자)에게 비경구적으로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 대상의 숙주로서는 포유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 원숭이, 쥐 및 가축 등을 들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의 경로로서는, 예를 들면 점적 등의 정맥내 주사(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복강내 주사 및 피하 주사를 선택할 수 있으며, 환자의 연령 및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투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담체는, 병을 이미 앓고 있는 환자에게 질환의 증상을 치유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지하기 위해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예를 들면, 담체에 봉입되는 약제의 유효 투여량은, 하루에 체중 1 ㎏당 0.01 ㎎ 내지 100 ㎎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담체는 이들의 투여량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투여 시기는 질환이 발생한 후 투여할 수도 있고, 또는 질환의 발증이 예측될 때 발증시의 증상 완화를 위해 예방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투여 기간은 환자의 연령 및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투여 방법으로서는, 의약 조성물을 실린지 또는 점적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를 환자 또는 숙주의 체내, 예를 들면 관강내, 예를 들면 혈관 내에 삽입하고, 그의 선단을 표적 부위 부근에 유도하여, 해당 카테터를 통해 원하는 표적 부위, 그의 근방 또는 표적 부위에 대한 혈류가 기대되는 부위로부터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3)
(1) 혼합 재료의 제조
수소 첨가 대두 포스파티딜콜린(리포이드사)(이하, HSPC), 콜레스테롤(솔베이사)(이하, Chol), 스테아르산(닛본 유시사)(이하, SA) 및 7-에틸-10-히드록시캄프토테신(SN-38, 야구르트혼샤)(이하, SN-38)을 표 1에 나타낸 소정 몰비가 되도록 칭량하고, 60 ℃로 가온한 t-부탄올(간또 가가꾸) 200 ㎖에 용해한 후, 빙냉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2) 분산
상기에서 얻어진 건조물에 생리 식염수를 200 ㎖를 첨가하고, 68 ℃에서 가온하면서 구레아 믹스 싱글(M테크닉사 제조)을 사용하여 예비 분산시킨 후,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마이크로 플루이덱스사 제조)를 사용하여 입경 제어를 행하였다.
(3) PEG-PE 도입
얻어진 리포솜 분산액 50 ㎖에,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5000)-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젠자임사)(이하, PEG-PE)의 36.74 ㎎/㎖ 생리 식염수 용액을 총 지질에 대한 PEG-PE 도입률이 약 2 몰%가 되도록 11.32 ㎖ 첨가하고, 60 ℃에서 30분 동안 가온한 후 빙냉하였다. PEG-PE 도입 후의 리포솜 분산액을, 생리 식염수로 충분히 치환한 겔 칼럼으로 외수상 치환함으로써, 미봉입 약제를 제거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SN-38 리포솜 제제의 막 조성, 약제 담지량(약제/지질비, 약제 농도) 및 입경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리포솜 제제에 대하여, 25% 글리세린 존재하에서의 동결 할단 레플리카법에 의한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1에 도시한다. 리포솜 제제가 비구형이며, 이형인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상기 공정 (1)에서 스테아르산(SA)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포솜 제제를 제조하였다. 즉, 표 1에 나타낸 칭량값의 HSPC, Chol 및 SN-38을 60 ℃의 t-부탄올(간또 가가꾸) 200 ㎖에 용해한 후, 빙냉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이어서, 생리 식염수를 200 ㎖ 첨가하고, 68 ℃에서 가온하면서 구레아 믹스로 예비 분산시킨 후,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를 사용하여 입경 제어를 행하였다.
얻어진 리포솜 분산액 50 ㎖에, PEG-PE의 36.74 ㎎/㎖ 생리 식염수 용액을 11.32 ㎖ 첨가하고, 60 ℃에서 30분 동안 가온한 후 빙냉하였다. PEG-PE 도입 후의 리포솜 분산액을 생리 식염수로 충분히 치환한 겔 칼럼으로 외수상 치환함으로써, 미봉 입약제를 제거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SN-38 리포솜 제제의 막 조성, 약제 담지량(약제/지질 몰비, 약제 농도) 및 입경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리포솜 제제의 25% 글리세린 존재하에서의 동결 할단 레플리카법에 의한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도시한다. 리포솜 제제가 구형인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 내지 3)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스테아르산(SA)을 사용하지 않고, 막 조성(지질비 및 PEG-PE 도입률) 및 약제 담지량이 상이한 리포솜 제제를 제조하였다. 즉, 표 1에 나타낸 칭량값의 HSPC, Chol 및 SN-38을 60 ℃의 t-부탄올(간또 가가꾸) 200 ㎖에 용해한 후, 빙냉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이어서, 생리 식염수를 300 ㎖ 첨가하고, 68 ℃에서 가온하면서 구레아 믹스로 예비 분산시킨 후,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를 사용하여 입경 제어를 행하였다.
얻어진 리포솜 분산액 50 ㎖에, PEG-PE의 36.74 ㎎/㎖ 생리 식염수 용액을 2.916 ㎖(PEG-PE 도입률: 약 0.75 몰%) 또는 7.776 ㎖(PEG-PE 도입률: 약 2 몰%) 첨가하고, 60 ℃에서 30분 동안 가온한 후 빙냉하였다. PEG-PE 도입 후의 리포솜 분산액을 생리 식염수로 충분히 치환한 겔 칼럼으로 외수상 치환함으로써, 미봉입 약제를 제거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SN-38 리포솜 제제의 막 조성, 약제 담지량(약제/지질비, 약제 농도) 및 입경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93173913-PCT00005
*약제: SN-38
표 중, "지질"은 SA 및 PEG-PE의 PE 부분도 포함시킨 혼합 지질(HSPC+Chol+SA+PE)을 말한다.
SA 함유율은, 혼합 지질의 합계(총 지질)량 중 SA량을 몰%로 나타낸다.
PEG-PE 도입률은, 혼합 지질 합계량에 대한 PEG-PE량의 비율을 몰%로 나타낸다.
제제의 약제 담지량:약제/지질 몰비는 SN-38:혼합 지질의 몰비이며, 약제 농도는 리포솜 제제/㎖ 당 SN-38/㎍량이다.
제제 중 또는 혈장 중의 약제 농도는, 분광 형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SN-38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을 메탄올로 10배 희석하고, 이 희석액 20 ㎕에 메탄올 2 ㎖를 첨가한 용액에 대하여, 여기 파장: 380 ㎚, 형광 파장: 430 ㎚에서의 형광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입경은 리포솜 제제를 광 산란 회절식 입도 분포계(쿨터 LS23O, 베크만 쿨터)로 측정한 값이며, 평균 입경을 의미한다.
(시험예 1)
혈중 체류성
상기에서 제조된 SN-38 리포솜 제제를, SN-38량으로서 0.4 ㎎/㎏량 각 마우스(BALB/c, ♀, 5주령, 닛본 구레아)에 미정맥(尾靜脈) 주사하였다. 주사 후, 1, 6 및 24 시간 경과시에 채혈하고, 원심 분리(3,000 rpm, 10분, 4 ℃)하여 혈장을 채취하였다. 혈장은 다음의 형광 강도 측정시까지 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각 혈장 중의 SN-38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 성분 중에 S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SA를 포함하지 않는 리포솜 제제에 비해, 혈장 중의 SN-38 농도가 1 시간에 약 3 내지 4배, 24 시간에 약 2 내지 3배의 값이 되었다. 또한, "% of dose"로 표기하면, S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혈장 중 SN-38 농도가 1 시간에 약 19 내지 21%인데 비해, SA를 포함하지 않는 리포솜 제제는 약 4 내지 6%이기 때문에, S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리포솜 제제는, 혈장 중 SN-38 농도를 장시간 고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N-38을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에서, PEG-PE의 도입률의 증가에 따라 혈중 체류성의 개선이 관찰되지만, PEG-PE의 도입만으로는 혈중 체류성이 여전히 낮았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별도 로트로서 실시예 3을 반복하였다. 칭량값, 얻어진 SN-38 리포솜 제제의 막 조성, 약제 담지량(약제/지질 몰비, 약제 농도) 및 입경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93173913-PCT00006
(시험예 2)
보존 안정성
상기에서 제조된 SN-38 리포솜 제제(HSPC:Chol:SA=7:7:5)에 대하여, 25 ℃에서 제제 가속 안정성 시험을 행하여, 제제 중의 SN-38의 함량을 분광 형광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N-38의 함량은 2주간 저하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SN-38 리포솜 제제는 제제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솜 제제는, 리포솜 제제에 함유시킨 활성종 형태의 약제(항종양 활성제)인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리포솜 제제는 혈중 체류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약제의 서방성이 우수하고, 투여 후에 α-히드록시락톤환의 가수분해를 억제하여, 즉 약제활성이 있는 구조 상태로 혈액 중에 장기간 존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투여 후에 장시간 혈장 중 약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막을 형성하는 지질 성분으로서 인지질과 함께 지방산을 포함하며, 약제로서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이 20(S)-캄프토테신, 7-에틸-10-히드록시캄프토테신(SN-38), 7-(β-트리메틸실릴)에틸캄프토테신 또는 7-(t-부톡시)이미노메틸캄프토테신인 리포솜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포화 지방산인 리포솜 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의 알킬쇄 길이가 14 내지 18인 리포솜 제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이 수소 첨가 인지질인 리포솜 제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성분으로서, 상기 인지질 및 지방산과 함께 하나 이상의 다른 지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리포솜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지질이 콜레스테롤인 리포솜 제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 수식기(修飾基)를 갖는 리포솜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기가 친수성 고분자쇄인 리포솜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쇄가 폴리에틸렌글리콜쇄인 리포솜 제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 제제의 약제/지질 몰비가 0.001 내지 0.1인 리포솜 제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을 상기 지질 성분의 합계 몰 중에 1 내지 30 몰% 함유하는 리포솜 제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 제제의 평균 입경이 50 내지 300 ㎚인 리포솜 제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 제제가 상기 지질 성분과 상기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화합물을 교반하여 제조한 리포솜 분산액에, 고속 액류화된 상기 리포솜 분산액끼리의 충돌에 의한 정립화(整粒化) 처리가 실시된 것인 리포솜 제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포솜 제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20067026550A 2004-06-18 2005-06-17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함유 리포솜 제제 KR100847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1408 2004-06-18
JP2004181408 2004-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445A true KR20070037445A (ko) 2007-04-04
KR100847626B1 KR100847626B1 (ko) 2008-07-21

Family

ID=3550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550A KR100847626B1 (ko) 2004-06-18 2005-06-17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함유 리포솜 제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193509A1 (ko)
EP (1) EP1759699B1 (ko)
JP (1) JP4874097B2 (ko)
KR (1) KR100847626B1 (ko)
CN (1) CN1980671B (ko)
AU (1) AU2005253852B2 (ko)
CA (1) CA2570329C (ko)
ES (1) ES2562052T3 (ko)
WO (1) WO2005123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5075B2 (ja) * 2007-01-18 2014-06-11 国立大学法人 千葉大学 微粒子製剤
US20100166843A1 (en) * 2007-02-01 2010-07-01 Sigma-Tau Industrie Farmaceutiche Riunite S.P.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ampothecin derivative
CH702736B1 (de) * 2008-12-31 2012-12-14 Obschestvo S Organichennoi Otvetstvennostju Scient Company Flamena Phospholipid-Emulsion, die Dihydroquerzetin beinhaltet.
WO2011119995A2 (en) 2010-03-26 2011-09-29 Cerulean Pharma Inc.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CA2850955C (en) 2011-11-03 2019-11-19 Taiwan Liposome Company,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hydrophobic camptothecin derivatives
US10980798B2 (en) 2011-11-03 2021-04-20 Taiwan Liposome Company,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hydrophobic camptothecin derivatives
CN104031080B (zh) * 2014-06-20 2016-07-13 东北林业大学 负载有10-羟基喜树碱的硅质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5109A (ja) * 1984-01-23 1985-08-15 Terumo Corp リポソ−ム製剤
JPH09504517A (ja) * 1993-09-27 1997-05-06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カンプトテシン処方物
US5834012A (en) * 1995-05-03 1998-11-10 Roman Perez-Soler Lipid complexed topoisomerase I inhibitors
ATE238039T1 (de) * 1998-09-16 2003-05-15 Alza Corp In liposomen eingeschlossene topoisomerase inhibitoren
ATE430556T1 (de) * 1999-06-25 2009-05-15 Terumo Corp Liposome
MXPA03004095A (es) * 2000-11-09 2004-09-10 Neopharm Inc Complejos de sn-38 con lipidos y sus metodos de us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123078A1 (ja) 2008-04-10
JP4874097B2 (ja) 2012-02-08
CA2570329C (en) 2009-09-01
AU2005253852A1 (en) 2005-12-29
AU2005253852B2 (en) 2008-05-29
US20080193509A1 (en) 2008-08-14
KR100847626B1 (ko) 2008-07-21
CN1980671B (zh) 2011-10-19
CN1980671A (zh) 2007-06-13
WO2005123078A1 (ja) 2005-12-29
EP1759699B1 (en) 2016-01-20
EP1759699A4 (en) 2012-05-30
CA2570329A1 (en) 2005-12-29
EP1759699A1 (en) 2007-03-07
ES2562052T3 (es)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139B1 (ko) 이리노테칸 제제
Jia et al. A novel dexamethasone-loaded liposome alleviates rheumatoid arthritis in rats
KR101495951B1 (ko) 리포솜 조성물
KR100847626B1 (ko)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함유 리포솜 제제
WO2014076709A1 (en) Liposomes for in-vivo delivery
JP2003530362A (ja) 診断剤をターゲッティングするための脂質ベースの系
Elbialy et al. Ehrlich tumor inhibition using doxorubicin containing liposomes
Holsæter et al. How docetaxel entrapment, vesicle size, zeta potential and stability change with liposome composition–A formulation screening study
JP2003522193A (ja) ホスホリパーゼa2で分解可能な脂質誘導体を含有する脂質をベースとした薬物送達系、および治療におけるその使用
EP2384743A1 (en) Siosomal formulation for intracellular delivery and targeting of therapeutic agents
Hao et al. In-vitro cytotoxicity, in-vivo biodistribution and anti-tumour effect of PEGylated liposomal topotecan
US20070148250A1 (en) Loading of a camptothecin drug into colloidal nanoparticles
JPWO2005021012A1 (ja) ゲムシタビン封入薬剤担体
WO2000009071A2 (en) A novel liposomal formulation useful in treatment of cancer and other proliferation diseases
WO2011037252A1 (ja) スピカマイシン誘導体を含有するリポソーム製剤
US20220296514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for Lipid Formulations Comprising Charged Lipids
WO2022153211A1 (en) Liposomal composition of a camptothecin deriva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