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364A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364A
KR20070037364A KR1020060095020A KR20060095020A KR20070037364A KR 20070037364 A KR20070037364 A KR 20070037364A KR 1020060095020 A KR1020060095020 A KR 1020060095020A KR 20060095020 A KR20060095020 A KR 20060095020A KR 20070037364 A KR20070037364 A KR 20070037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user
integrated
unit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129B1 (ko
Inventor
배익수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3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체제 하에서, 외부 사이트들에 산재해 있는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예컨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등)을 통합하여 수집·저장한 후, 수집된 저작물을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독립 계정) 내에서 게시 및 관리하고, 나아가, 수집된 저작물을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타 사이트, 타 메일계정 등) 측에 선별 배포할 수 있는 전산모듈들을 긴밀하게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각 사용자들이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통합 수집/저장 및 게시효과, 자가 저작물의 효율적인 저작권 보호효과,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배포/유통효과, 자가 저작물의 재활용 효율성 향상효과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The Literary contents integrated operation system on-line network in b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통합 관리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의 상세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의 상세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모듈의 상세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모듈의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생성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의 상세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의 저작물 저장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의 상세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의 저작물 변환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여,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온라인 체제 하에서, 외부 사이트들에 산재해 있는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예컨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등)을 통합하여 수집·저장한 후, 수집된 저작물을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독립 계정) 내에서 게시 및 관리하고, 나아가, 수집된 저작물을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타 사이트, 타 메일계정 등) 측에 선별 배포할 수 있는 전산모듈들을 긴밀하게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각 사용자들이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통합 수집/저장 및 게시효과, 자가 저작물의 효율적인 저작권 보호효과,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배포/유통효과, 자가 저작물의 재활용 효율성 향상효과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망(예컨대, 인터넷망)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각 온라인 사이트(예컨대, 포털 사이트, 블로그, 미니홈피, 커뮤니티 사이트, 상품판매 사이트, 채팅 사이트, 게임 사이트 등)에 게시되는 각 사용자별 자가 저작물(예컨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등)의 양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저작물의 게시량 증가 추세에 비례하여, 저작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관련된 사안은 각 사용자들에게 있어,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대부분의 온라인 사이트들은 서로 간의 유기적인 정보교환 없이, 자가 사이트의 자체적인 시스템 운용 방침에 따라,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을 임의로 개별 저장·관리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사용자들은 여러 사이트들에 분산되어 있는 자가 저작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예컨대, 종래의 저작물 분산 관리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사용자들은 여러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는 자가 저작물을 체계적으로 통합 수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하나의 사이트에 일목 요연하게 통합 게시할 수도 없게 되며, 나아가, 자가 저작물의 저작 권한을 용이하게 주장·활용 및 보호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저작물 분산 관리 체제 하에서, 각 사용자들은 자가 저작물을 자신이 원하는 타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배포·유통시키는 절차를 전혀 진행시킬 수 없게 되며, 결국, 그 여파로, 자가 저작물의 효과적인 재활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체제 하에서, 외부 사이트들에 산재해 있는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예컨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등)을 통합하여 수집·저장한 후, 수집된 저작물을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독립 계정) 내에서 게시 및 관리하고, 나아가, 수집된 저작물을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타 사이트, 타 메일계정 등) 측에 선별 배포할 수 있는 전산모듈들을 긴밀하게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각 사용자들이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통합 수집/저장 및 게시효과, 자가 저작물의 효율적인 저작권 보호효과,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배포/유통효과, 자가 저작물의 재활용 효율성 향상효과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사용자 클라이언들 및 외부 컨텐츠 서버들과 선택적으로 신호 연결되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의해 개별 관리되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통합 수집한 후, 상기 저작물의 게시 및 배포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와, 상기 저작물 통합 관 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 측에 산재되어 있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통합하여 수집하는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과, 상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의 게시를 위한 개개의 저작물 게시계정을 각 사용자별로 생성·운용하면서,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된 상기 저작물을 상기 사용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저작물 게시계정을 통해 게시·운용하는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과, 상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된 상기 저작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로 전송·배포하는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온라인망(2), 예컨대, 인터넷망 상에 개설된 저작물 통합관리 서버(10)와, 이 저작물 통합관리 서버(10)에 의해 총괄 관리되는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20),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모듈(40),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60),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5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를 포함한 각 전산모듈들은 인터페이스 모듈(11), 온라인망(2) 등을 매개로 하여, 다수의 사용자 클라이언트(1), 외부 컨 텐츠 서버(4:블로그 서비스 제공 서버, 미니홈피 서비스 제공서버,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 등) 등과 선택적인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앞의 사용자 클라이언트(1)로는 예컨대,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DMB 장치, IP TV, 웹 TV, 인터넷방송 장치 등이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외부 컨텐츠 서버(4)들에 의해 개별 관리되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예컨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등)을 통합 수집한 후, 이 저작물의 게시 및 배포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해당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외부 컨텐츠 서버들(4)의 데이터 저장영역(5) 측에 온라인 접속한 후, 이에 산재되어 저장되어 있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L)을 통합하여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 모듈(60)은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에 의해 통합 수집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L)을 시스템(100) 측 데이터 저장체계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한 후, D/B 관리모듈(13:도 1에 도시됨)을 매개로 D/B 블록(14)의 저작물 관련 D/B(16)와 교신을 취하여, 가공 완료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저작물 관련 D/B(16) 내에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20)은 D/B 관리모듈(13)을 매개로, 계정운영 D/B(15)와 교신을 취하여, 저작물의 게시를 위한 개개의 저작물 게시계정(K)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를 각 사용자별로 생성·운용하면서,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에 의해 통합 수집된 저작물(L)을 계정운영 D/B(15)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저작물 게시계정(K), 온라인 페이지(201) 등을 통해 게시·운용하고, 추후, 타 사용자에 의한 해당 저작물의 재활용(예컨대, 타 사용자에 의한 다운로드 등) 시, 해당 타 사용자가 저작물에 상응하는 대가(예컨대, 포인트 결제, 사이버 머니 결제, 무통장입금 결제, 신용카드 결제 등)를 지불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모듈(40)은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에 의해 수집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L)을 토대로, 외부 컨텐츠 서버(4) 측의 데이터 저장체계를 분석하여, 해당 분석결과가 반영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D/B 관리모듈(13)을 매개로, 외부 데이터구조 관련 D/B(17)와 교신을 취하여, 생성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외부 데이터구조 관련 D/B(17) 내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추후,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50) 등이 외부 컨텐츠 서버(4)의 개별 특성을 미리 파악한 상태로, 좀더 용이하게, 저작물 수집 프로세스, 저작물 배포 프로세스 등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50)은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저작물 관련 D/B(16)와 교신을 취하여,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60)에 의해, 저작물 관련 D/B(16) 내에서 저장 관리되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외부 데이터구조 관련 D/B(17)의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참조하면서, 추출 완료된 저작물(L:또는, 이 저작물을 토대로 생성된 저작물 파일)을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 예컨대, 타 사용자가 이용하는 외부 컨텐츠 서버(6)의 데이터 영역(7), 타 사용자의 메일계정(3) 등으로 전송·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각 전산모듈들의 체계적인 연동 작용 하에서, 외부 사이트들(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산재해 있던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들(L:예컨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등)은 종래와 달리, 예컨대,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독립 계정) 측으로 일괄 수집·저장되는 절차>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독립 계정) 내에서 게시 및 관리되는 절차>,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타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이트, 타 사용자의 메일계정 등) 측에 선별적으로 배포되는 절차> 등을 자연스럽게 겪을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각 사용자들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통합 수집/저장 및 게시효과>, <자가 저작물의 효율적인 저 작권 보호효과>,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배포/유통효과>, <자가 저작물의 재활용 효율성 향상효과>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20)은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와, 이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저작물 게시계정 운영부(23),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 운용부(24), 계정 운용정보 추출부(23a), 저작물 리스트 생성/게시부(28), 저작물 게시부(26), 저작물 권한 운용부(22), 저작물 관련 설정정보 관리부(27)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는 정보교환 게이트(21a)를 매개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 계정운영 D/B(15), 저작물 관련 D/B(16) 등과 선택적인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저작물 게시계정(K) 및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운영절차, 저작물(L)의 게시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게시계정 운용부(23)는 정보교환 게이트(21a)를 매개로, 각 사용자 클라이언트(1), 계정운영 D/B(15) 등과 교신을 취하면서, 예컨대, 일정 용량의 저작물 게시계정(K)을 각 사용자별로 배당하는 프로세스,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 게시계정(K) 생성을 가이드 하는 프로세스,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 게시계정(K) 로그인 절차를 가이드 하는 프로세스,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 게시계정(K) 접속 및 끊김 상태를 체크하는 프로세스, 각 사용자들의 설정 내역을 수신/관리하는 프로세스 등의 진행을 통해, 저작물 게시계정(K)을 체계적으로 운영 관리함으로써, 각 사용자가 외부 컨텐츠 서 버(4)들 측에 산재되어 있던 자가 저작 저작물들(L)을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즉, 저작물 게시계정) 내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계정운영 D/B(15)는 저작물 게시계정(K)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 예컨대, 저작물 게시계정의 목록, 저작물 게시계정에 설정된 옵션 리스트, 각 저작물 게시계정의 사이즈 정보, 저작물 게시계정에 설정된 설정정보, 각 사용자가 지정한 저작물 배포 대상자의 메일계정 정보, 각 사용자가 지정한 저작물 배포 대상자의 주 이용 외부 컨텐츠 서버 정보, 온라인 페이지를 운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정보, 온라인 페이지를 운용하기 위한 링크정보, 각 사용자의 시스템 로그인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저작물 게시계정 운용부(23)에 의한 일련의 저작물 게시계정 유지·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 운용부(24)는 각 사용자들이 사용자 클라이언트(1)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배당된 저작물 게시계정(K)에 로그인 하는 경우(또는, 타 사용자들이 자가 클라이언트를 활용하여,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 게시계정에 접속하는 경우),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의 설정내역이 반영된 일련의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를 정보교환 게이트(21a), 인터페이스 모듈(11) 등을 매개로, 각 사용자 클라이언트(1:또는 타 사용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게시 상황에서, 각 사용자들은 이에 포함된 각 항목들(202,203,204)을 선택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예컨대, 외부에 산재되어 있는 자가 저작물(L)을 수집하는 프로세스, 저작물 리스트(205)를 통해, 자가 저작물의 현황을 일목 요연하게 확인하는 프로세스, 자신이 원하는 타인에게 자가 저작물(L)을 배포하는 프로세스, 자신이 원하는 각종 설정정보(예컨대, 자가 저작물을 관리하는 외부 컨텐츠 서버의 주소, 각 외부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로그인 정보, 타 사용자의 메일계정 정보, 타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외부 컨텐츠 서버 정보 등)를 입력하는 프로세스 등을 융통성 있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술한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게시 상황에서, 타 사용자들은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 게시계정(K)을 방문하여, 각 사용자들에 의해 저작된 저작물(L)을 일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되며, 상황에 따라, 특정 저작물(L)을 재활용(예를 들어, 특정 저작물을 다운로드, 또는, 특정 저작물을 실행)할 수도 있게 된다(물론, 이 상황에서, 각 사용자들은 타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저작 역량을 자연스럽게 PR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권한 운용부(22)는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를 통해 게시·운용되는 저작물(L)의 재활용 상황을 모니터링 하면서, 해당 저작물(L)이 타 사용자에 의해 재활용(예컨대, 다운로드, 실행)되는 시점에서,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 운용부(24), 계정운영 D/B(15), 저작물 관련 D/B(16) 등과의 교신을 통해, 사용자 측 설정내역을 체크하여, 예컨대, 일련의 경고 메시지 출력절차, 저작물 다운로드 블록킹 절차, 저작물 실행 블록킹 절차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저작물(L)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타 사용자가 반드시 저작물에 부여된 대가를 치르도록(예컨대, 일련의 포인트 또는 사이버 머니를 지불하도록)(다른 예로, 무통장입금 결제 또는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물론, 이 상황에서, 원 저작 사용자들은 자가 저작물의 저작권이 자연스럽게 보호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의 운용 상황에서,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리스트 생성/게시부(28)는 정보교환 게이트(21a)를 매개로 저작물 관련 D/B(16)와 교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저작물 리스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저작물 리스트를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 운용부(24)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일부에 사용자의 저작물 리스트(205)가 일목 요연하게 포함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추출부(25)는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운용 상황에서, 사용자(또는 타 사용자)가 저작물 리스트(205)의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정보교환 게이트(21a)를 매개로, 저작물 관련 D/B(16)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저작물(L)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저작물 통합 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게시부(26)는 저작물 추출부(25)의 기능 수행에 의해, 각 사용자별 저작물(L)이 추출되는 경우,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 운용부(24)와 교신을 취하여, 해당 저작물(L)을 저작물 게시계정(K) 측 온라인 페이지(201)를 통해 선택적으로 게시·운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관련 설정정보 관리부(27)는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운용 상황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환경설정 항목(204)을 선택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각종 절차, 예컨대, 가이드 페이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 설정내역을 계정운영 D/B(15)에 저장하는 절차 등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각종 설정정보(예컨대, 자가 저작물을 관리하는 외부 컨텐츠 서버의 주소, 각 외부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로그인 정보, 타 사용자의 메일계정 정보, 타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외부 컨텐츠 서버 정보 등)를 좀더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21)에 의해 제어되는 계정운용정보 추출부(23a)는 정보교환 게이트(21a)를 매개로, 계정운영 D/B(15)와 교신을 취하면서, 저작물 게시계정 운용부(23),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 운용부(24) 등의 프로세스 진행 상황에 따라, 계정운영 D/B(15)에 저장되어 있던 계정운영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저작물 게시계정 운용부(23),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 운용부(24) 등에 의한 일련의 프로세스 진행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 는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은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와, 이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저작물 수집엔진(33), 외부서버 접속정보 취득부(36),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체크부(38), 저작물 저장버퍼(34), 저작물 전달부(35),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37), 지정 저작물 검색엔진(3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는 정보교환 게이트(32)를 매개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 외부 컨텐츠 서버(4), 저작물 관련 D/B(16),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련 D/B(17)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의 통합 수집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수집엔진(33)은 예컨대, 사용자가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저작물 수집항목(202)을 선택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부터 일련의 저작물 수집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그 즉시, 정보교환 게이트(32)를 매개로, 외부 컨텐츠 서버들(4)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각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저작물들(L)을 각 사용자별로 실질 수집한 후, 수집 완료된 저작물들(L)을 저작물 저장버퍼(34)에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저작물 수집엔진(33)은 텍스트기반 검색엔진(33a)을 포함한다. 텍스트기반 검색엔진(33a)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키워드 또는 자연어)가 입력되면 해당 검색어가 외부 컨텐츠 서버들(4)에 저장된 저작물, 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음원, 동영상 등의 저작물에 포함되었는지를 검색하고, 해당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 저작물 을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텍스트기반 검색엔진(33a)은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의 사이즈, 등록시간, 종류 등의 속성정보(properties menu) 및 파일제목, 파일설명 등의 임의등록 정보에 해당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해당 저작물을 수집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저작물 수집엔진(33)은 이미지, 음원, 동영상의 검색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내용기반 검색엔진(33b)을 더 포함한다. 내용기반 검색엔진(33b)은 사용자로부터 검색내용이 입력되면 해당 검색내용이 외부 컨텐츠 서버들(4)에 저장된 저작물에 포함되었는지를 검색하고, 해당 검색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저작물을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용기반 검색엔진(33b)은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캡쳐화면 또는 첨부형태로 입력되면 해당 이미지의 데이터값을 추출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해당 패턴이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해당 저작물을 수집한다.
또한, 내용기반 검색엔진(33b)은 동영상(음원 포함) 파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첨부형태로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의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고, 해당 패턴이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해당 저작물을 수집한다. 동영상(음원 포함) 파일의 경우에는 그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검색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시간조건을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동영상에서 검색을 원하는 시간정보(35min ~ 40min)가 추가되면 상기 내용기반 엔진은 첨부된 동영상의 해당 시간에 대해서만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고, 그 패턴에 대해서만 검색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자신이 만든 이미지, 음원, 동영상 등의 저작물을 파일제목이나 데이터 일부만을 제3자가 수정하여 게시하는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들이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통합 수집/저장 및 효율적인 저작권 보호효과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전달부(35)는 저작물 수집엔진(33)의 기능 수행에 의해 저작물(L)의 수집이 완료되는 경우, 그 즉시, 저작물 저장버퍼(34)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저작물(L)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저작물을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60) 측으로 저장함으로써, 해당 저작물이 예컨대, 저작물 관련 D/B(17)에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37)은 정보교환 게이트(32)를 매개로, 계정운영 D/B(15)와 교신을 취하여, 사용자별 설정내역을 추출한 후, 이에 기재된 일정 주기에 따라, 외부 컨텐츠 서버들(4)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신규 저작물의 등재여부를 각 사용자별로 검색하고, 그 결과를 저작물 수집엔진(33)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저작물 관련 D/B(16)에 저장되는 저작물 정보가 항상 새로운 수집/저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지정 저작물 검색엔진(39)은 앞의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37)과 달리, 사용자가 앞의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를 통해, 특정 저작물의 지정·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외부 컨텐 츠 서버들(4)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해당 지정 저작물의 등재여부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저작물 수집엔진(33)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저작물이 신속하게 수집/저장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접속정보 취득부(36)는 상술한 저작물 수집엔진(33),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37), 지정 저작물 검색엔진(39) 등의 외부 접속 시점에서, 정보교환 게이트(32)를 매개로, 계정운영 D/B(15)와 교신을 취하여, 사용자별 설정내역을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외부 컨텐츠 서버들(4)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서버 접속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외부서버 접속정보를 저작물 수집엔진(33),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37), 지정 저작물 검색엔진(39) 등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들이 외부 컨텐츠 서버들(4)에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체크부(38)는 상술한 저작물 수집엔진(33),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37), 지정 저작물 검색엔진(39) 등의 외부 컨텐츠 서버(4) 접속 시점에서, 정보교환 게이트(32)를 매개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D/B(17)와 교신을 취하여,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저작물 수집엔진(33),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37), 지정 저작물 검색엔진(39) 등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들이 외부 컨텐츠 서버(4)의 개별 특성을 미리 파악한 상태로, 일련의 저작물 수집절차, 저작물 검색절차를 좀더 용이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모듈(40)은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와, 이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저작물 수취부(43),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석부(44),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류부(47),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생성부(45),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저장부(46)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는 정보교환 게이트(42)를 매개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련 D/B(17) 등과 선택적인 신호교환관계를 형성하면서, 외부 컨텐츠 서버(4) 측 데이터 저장체계의 분석절차,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의 생성 및 저장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수취부(43)는 상술한 저작물 수집엔진(33)의 저작물 수집 시점에서, 정보교환 게이트(42)를 매개로, 저작물 저장버퍼(34)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저작물을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저작물(L)을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석부(44)는 저작물 수취부(43)와의 교신 하에,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에 의해 수집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확보한 후, 이를 토대로 하여, 상술한 외부 컨텐츠 서버(4) 측이 가지는 데이터 저장체계(예컨대, 게시판 운영체제, D/B 저장 형식, 디렉토리 형성체제 등)의 특징을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 하게 된다.
또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생성부(45)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석부(44)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부 컨텐츠 서버(4) 측 데이터 저장체계의 특징이 반영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예컨대, 구조 특징 인덱스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류부(47)는 앞의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생성부(45)에 의해 생성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체크한 후, 해당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각 특징별(예컨대, 유사 컬럼별, 유사 카테고리별 등)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41)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저장부(46)는 정보교환 게이트(42)를 매개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련 D/B(17)와 교신을 취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가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류부(47)에 의해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련 D/B(17) 내에 저장 관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학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60)은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와, 이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저작물 수신부(63), 저작물 분리부(64), 저작물 분석부(67), 저작물 가공부(66), 저작물 저장부(65)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는 정보교환 게이트(62)를 매개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 저작물 관련 D/B(16) 등과 일련의 신호교환관계를 형성하면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의 가공절차, 각 사용자별 저작물의 저장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수신부는 상술한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의 저작물 수집 시점에서, 정보교환 게이트(62)를 매개로,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과 교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수집된 저작물을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저작물을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분리부(64)는 저작물 수신부(63)와의 교신 하에,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30)에 의해 수집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확보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저작물을 예컨대, 링크정보(L1) 및 실 컨텐츠(L2:예컨대, HTML 문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분석부(67)는 저작물 분리부(64)에 의해 저작물(L)이 링크정보(L1) 및 실 컨텐츠(L2)로 분리 완료되면, 앞의 실 컨텐츠(L1)를 태그 데이터(Tag data) 및 내용 데이터로 재차 분리한 후, 분리된 내역을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가공부(66)는 저작물 분리부(64)에 의해 분리된 실 컨텐츠(L2)를 앞의 저작물 분석부(67)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맞추어, 시스 템(100) 측 데이터 저장체계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6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저장부(65)는 정보교환 게이트(62)를 매개로, 저작물 관련 D/B(16)와 교신을 취하면서, 저작물 분리부(64)에 의해 분리된 링크정보(L1) 및 저작물 가공부(67)에 의해 가공된 실 컨텐츠(L2)를 데이터베이스 영역, 즉 저작물 관련 D/B(16)의 데이터 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추후,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20)에 의한 저작물 통합게시 절차,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50)에 의한 저작물 선별 배포절차 등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50)은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와, 이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배포요청 수신부(53), 저작물 추출부(54), 저작물 변환부(56b), 저작물 결합부(56a), 저작물 배포엔진(57), 배포관련 설정정보 확인부(55), 데이터 터미널 접속정보 확인부(59),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확인부(58)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는 정보교환 게이트(52)를 매개로,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10), 메시지 운용 서버(12:예컨대, 메일 운용 서버), 저작물 관련 D/B(16),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련 D/B(17),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20) 등과 일련의 신호교환관계를 형성하면서, 저작물의 선별적인 배포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배포요청 수신부(53)는 정보교환 게이트(32)를 매개로,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20)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술한 저작물 게시용 온라인 페이지(201)의 출력 상황 하에, 사용자가 저작물의 배포와 관련된 항목(203)을 선택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부터 일련의 저작물 배포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그 즉시 해당 이벤트 발생 상황을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추출부(54)는 앞의 배포요청 수신부(53)에 의해, 배포요청 이벤트의 발생사실이 확인되면, 그 즉시, 정보교환 게이트(52)를 매개로, 저작물 관련 D/B(16)와 교신을 취함으로써, 사용자별 설정내역(예컨대, 배포 가능한 저작물 목록, 배포 가능한 범위 등)에 따라, 저작물 관련 D/B(16)에 저장되어 있던(즉,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되어 있던) 저작물(L)이 선택적으로 추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배포관련 설정정보 확인부(55)는 정보교환 게이트(52)를 매개로, 계정운영 D/B(15)와 교신을 취하여, 사용자별 설정내역(예컨대, 배포 가능한 저작물 목록, 배포 가능한 범위 등)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설정정보를 저작물 추출부(54)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저작물 추출부(54)에 의한 일련의 저작물 추출절차가 좀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변환부(56b)는 저작물 추출부(54)에 의해 저작물의 추출이 완료되면, 그 즉시, 일련의 변환루틴을 가동시켜, 추출된 저작물(L)을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이 예컨대, 외부 컨텐츠 서버(6)인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물 변환부(56b)는 <저작물 추출부(54)에 의해 추출된 저작물의 실 컨텐츠(L2)를 해당 외부 컨텐츠 서버(6)의 데이터 저장영역(7)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한 후, 저작물 결합부(56a)와의 연동 하에, 실 컨텐츠(L2)와 링크정보(L2)가 결합된 배포용 저작물(L)을 완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이 예컨대, 메일계정(3)인 경우, 저작물 변환부(56b)는 <일련의 파일생성 프로세스를 진행시켜, 해당 저작물이 반영된 일련의 메일 첨부용 저작물 파일(F)을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변환 프로세스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확인부(58)는 정보교환 게이트(52)를 매개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련 D/B(17)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저작물 변환부(56b) 측으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저작물 변환부(56b)가 본격적인 변환절차 이전에, 외부 컨텐츠 서버(6)의 개별 특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작물 변환부(56b)에 의한 일련의 저작물 변환절차가 좀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 다.
이 상황에서,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저작물 배포엔진(57)은 저작물 변환부(56b)에 의한 변환절차가 마무리되면, 그 즉시, 정보교환 게이트(52), 인터페이스 모듈(11), 메시지 운용서버(12:예컨대, 메일 운용 서버) 등을 매개로,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예컨대, 타 사용자가 이용하는 외부 컨텐츠 서버(6)의 데이터 영역(7), 타 사용자의 메일계정(3))에 접속한 후, 해당 데이터 터미널 측으로 저작물 변환부(56b)에 의해 변환된 저작물(또는, 저작물 파일이 첨부된 메일)을 전송·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저작물 배포엔진(57)의 기능 수행 하에서, 각 사용자들에 의해 지정된 타 사용자들은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는 저작물 게시계정(K)을 일일이 방문하지 않고 서도,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저작물을 손쉽게 확보·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배포관련 설정정보 확인부(55)는 정보교환 게이트(52)를 매개로, 계정운영 D/B(15)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별 설정내역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설정정보(예컨대, 배포 대상 타 사용자 목록 등)를 저작물 배포엔진(57)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저작물 배포엔진(57)에 의한 저작물 배포절차가 좀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51)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 터미널 접속정보 확인부(59)는 정보교환 게이트(52)를 매개로, 계정운영 D/B(15)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 터 미널 접속정보(예컨대, 배포 대상 타 사용자의 메일 계정 어드레스, 배포 대상 타 사용자의 외부 컨텐츠 서버 어드레스 등)>를 취득한 후, 이를 저작물 배포엔진(57)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저작물 배포엔진(57)이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메일 계정(3), 외부 컨텐츠 서버(6) 등)에 좀더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체제 하에서, 외부 사이트들에 산재해 있는 각 사용자들의 저작물(예컨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등)을 통합하여 수집·저장한 후, 수집된 저작물을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독립 계정) 내에서 게시 및 관리하고, 나아가, 수집된 저작물을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타 사이트, 타 메일계정 등) 측에 선별 배포할 수 있는 전산모듈들을 긴밀하게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각 사용자들이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통합 수집/저장 및 게시효과, 자가 저작물의 효율적인 저작권 보호효과, 자가 저작물의 체계적인 배포/유통효과, 자가 저작물의 재활용 효율성 향상효과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외부 컨텐츠 서버들과 선택적으로 신호 연결되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의해 개별 관리되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통합 수집한 후, 상기 저작물의 게시 및 배포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와;
    상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 측에 산재되어 있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통합하여 수집하는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과;
    상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의 게시를 위한 개개의 저작물 게시계정을 각 사용자별로 생성·운용하면서,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된 상기 저작물을 상기 사용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저작물 게시계정을 통해 게시·운용하는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과;
    상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된 상기 저작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로 전송·배포하는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은 상기 각 사용자별 저작물의 통합 수집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와;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각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상기 저작물을 각 사용자별로 수집하는 저작물 수집엔진과;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일정 주기로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신규 저작물의 등재여부를 각 사용자별로 검색하는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과;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별 설정내역을 토대로,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서버 접속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저작물 수집엔진 및 신규 저작물 검색엔진이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외부서버 접속정보 취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은 상기 저작물 게시계정의 운영절차 및 상기 저작물의 게시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와;
    상기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 게시계정을 각 사용자별로 생성·배당 및 운용하여, 각 사용자가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 측 에 산재되어 있던 자가 저작 저작물들을 하나의 독립된 사이트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저작물 게시계정 운용부와;
    상기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수집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상기 저작물 게시계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게시·운용하는 저작물 게시부와;
    상기 저작물 통합게시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저작물 게시부를 통해 게시·운용되는 저작물의 재활용 상황을 모니터링 하며, 해당 저작물이 타 사용자에 의해 재활용되는 시점에서, 상기 사용자 설정내역을 체크하여, 상기 저작물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타 사용자가 상기 저작물에 부여된 대가를 치르도록 유도하는 저작물 권한 운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은 상기 저작물의 선별적인 배포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와;
    상기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된 상기 저작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저작물 추출부와;
    상기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저작물을 상기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저작물 변환부와;
    상기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에 접속하여, 상기 저작물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저작물을 해당 데이터 터미널 측으로 전송·배포하는 저작물 배포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선별배포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별 설정내역을 토대로, 상기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 터미널 접속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저작물 배포엔진이 상기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데이터 터미널 접속정보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시스템 측 데이터 저장체계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저장 관리하는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통합저장 관리모듈은 상기 각 사용자별 저작 물의 가공절차 및 저장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와;
    상기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을 링크정보 및 실 컨텐츠로 분리하는 저작물 분리부와;
    상기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실 컨텐츠를 상기 시스템 측 데이터 저장체계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하는 저작물 가공부와;
    상기 저작물 통합저장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링크정보 및 저작물 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 영역에 저장하는 저작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수집된 상기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토대로,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 측의 데이터 저장체계를 분석하여,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모듈은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 측 데이터 저장체계의 분석절차,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의 생성 및 저장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와;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수집된 상기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토대로,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 측이 가지는 데이터 저장체계의 특징을 분석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석부와;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석부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 측 데이터 저장체계의 특징이 반영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생성부와;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각 특징별로 분류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류부와;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외부서버 데이터구조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은 텍스트기반 검색엔진 및 내용기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 측에 산재되어 있던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통합하여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11. 외부 컨텐츠 서버들로부터 저작물을 수집하여 통합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 측에 산재된 각 사용자별 저작물을 수집하는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과;
    상기 저작물의 게시를 위한 개개의 저작물 게시계정을 각 사용자별로 생성하고,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수집된 상기 저작물을 상기 저작물 게시계정에 통합하여 게시하는 저작물 통합게시 관리모듈과;
    상기 사용자별 설정내역에 따라,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에 의해 통합 수집된 상기 저작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타 사용자 측 데이터 터미널로 전송하는 저작물 선별배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통합수집 관리모듈은,
    검색어가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수집하는 텍스트기반 검색엔진; 및
    검색내용이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수집하는 내용기반 검색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반 검색엔진은 검색 데이터 형식의 검색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검색 데이터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패턴이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반 검색엔진은 검색파일 형식의 검색내용 및 시간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검색파일의 데이터 중 시간조건에 맞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패턴이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기반 검색엔진은 키워드 또는 자연어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 컨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저작물의 속성정보 및 임의등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내에 해당 키워드 또는 자연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060095020A 2005-09-30 2006-09-28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833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2126 2005-09-30
KR1020050092126 200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364A true KR20070037364A (ko) 2007-04-04
KR100833129B1 KR100833129B1 (ko) 2008-05-28

Family

ID=3815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020A KR100833129B1 (ko) 2005-09-30 2006-09-28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0A1 (ko) * 2014-02-14 2015-08-20 (주)엠더블유스토리 디지털콘텐츠의 무결성 보장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9592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텐원더스 인플루언서 채널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924B1 (ko) * 1998-07-02 2003-08-1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저작권 관리 장치, 전자 저작물 판매 장치, 전자 서적표시 장치, 키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들을 통신 회선으로접속한 전자 저작물 유통 관리 시스템
KR20020032906A (ko) * 2000-10-28 2002-05-04 김지한, 김재형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보호 및 침해방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0A1 (ko) * 2014-02-14 2015-08-20 (주)엠더블유스토리 디지털콘텐츠의 무결성 보장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9592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텐원더스 인플루언서 채널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129B1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9597B (zh) 转换搜索引擎查询
US7257768B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US201001221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teractive systems with social networks and media playback devices
CN101568921A (zh) 数字内容的动态定价模型
WO2008049360A1 (fr) Procede et systeme correspondant de fourniture de service provenant d&#39;une tierce partie
KR20040025445A (ko)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JP2010044462A (ja) コンテンツ評価サーバ、コンテンツ評価方法及びコンテンツ評価プログラム
JP2002202931A (ja) サーバ及び記録媒体
JP4840914B2 (ja) システム、端末、サーバ、及び、動的情報提供方法
JP2013008208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0833129B1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GB2365560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secondary information
CN104737121B (zh) 在浏览器中对视频播放进行复用和解复用
JP3361509B2 (ja) サーバ、情報提供支援方法、プログラム
JP2005209020A (ja) 属性情報提供システム,属性情報管理装置,利用者端末,属性情報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66768B2 (ja) 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KR20090022780A (ko) 사용자지정 데이터가 반영된 특화 광고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080028031A (ko) 키워드 및 키워드에 관련된 각종 콘텐츠를 자동으로추출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63886A (ko)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컨텐츠 공급 방법 및 시스템
KR101259971B1 (ko) 저작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9998A (ko) 책에 구비된 코드를 이용한 독자 의견 수집과 이의 활용방법 및 장치
KR101087732B1 (ko)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
JP4825261B2 (ja) 画像情報収集装置、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811129B1 (ko) 콘도(또는 펜션) 분양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콘도(또는 펜션) 분양 장치, 기록매체
WO2005006191A1 (ja) 複数種類の情報を登録する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