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413A -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413A
KR20070036413A KR1020050091410A KR20050091410A KR20070036413A KR 20070036413 A KR20070036413 A KR 20070036413A KR 1020050091410 A KR1020050091410 A KR 1020050091410A KR 20050091410 A KR20050091410 A KR 20050091410A KR 20070036413 A KR20070036413 A KR 2007003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581B1 (ko
Inventor
남성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5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중 영상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외부의 영상을 입력받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영상 정보가 포함된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다중 화상 통신을 할 수 있다.
영상 통신, 단말 장치, 카메라, 다중 영상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camera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영상 입력부만을 활성화한 통신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들의 촬영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중 영상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3 세대(3rd Generation: 이하 '3G'라 칭함)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더 높은 비트율(bit rate)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특히, 비동기 또는 동기 방식의 3G 시스템의 단말기의 경우, 종전의 2G 단말기에 비해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래의 음성통화 목적에서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진화되고 있다. 특히, 시각적(visual) 요소에 민감한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여,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까지 구비한다.
전술한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 기술과 고 해상도의 카메라 모듈의 장착으로 인해, 상기 3G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서로의 영상을 송수신하여 각각의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1:1 화상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전의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는 1:1 영상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은 그 조영각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 적은 종래의 1:1 영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단말기와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 측에 충분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와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외부의 영상을 입력받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영상 정보가 포함된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외부의 영상을 입력받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가 포함된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는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갖는 것이며,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입력부를 갖는 것이며,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출력부를 갖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다중 화상 통 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단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영상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영상 정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외부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외부의 영상 정보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입력을 받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이고,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입력을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를 설명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무선 송수신부(120), 영상 입력부(130), 영상 제어부(140), 영상 표시부(150), 음성 입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송수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상기 영상 입력부(130)는 영상 입력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입력부(1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입력부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영 소자 이용한 카메라나, CMOS 촬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입력부(130)로 수신된 영상 정보 또는 무선 송수신(120)로 수신한 영상 정보 등을 편집, 제어한다. 상기 영상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부(150)는 원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영상 표시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액정(liquid crystal)을 사용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출력부(160)는 원하는 음성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고 외부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스피커와 마이크로 이루어진 모듈 등이 음성 입출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120), 영상 입력부(130), 영상 제어부(140), 영상 표시부(150), 음성 입출력부(160) 등의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 단말이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100)의 외부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는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제1 카메라(205)와 제2 카메라(20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폴더형 구조의 단말기이므로 단말기의 힌지(hinge) 에 카메라가 구비되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는바, 카메라의 위치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더 구비 여부, 가로 보기 지원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카메라의 위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카메라의 개수 역시 제한이 없는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외부 형상 등에 의해 카메라의 개수가 변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복수의 영상 입력부(205,206)를 구비하는바, 상기 영상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영상 입력부(205,206)로 수신된 복수의 영상 정보를 설정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표시부(150)는 150a 내지 150d의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영역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영상 입력부가 2개인 것이 바람직한바, 수신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영상 정보와 상기 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2개의 영상 정보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도록 4개의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영역은 고정되어 있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2개의 영상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는바,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둘 이상의 사람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입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제1 마이크(203)와 제2 마이크(204)를 구비하는바, 상기 복수의 마이크(203,204)를 통해 둘 이상의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둘 이상의 마이크는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동 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가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둘 이상의 외부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가 적어도 둘 이상의 마이크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음성 정보를 서로 구분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제1 스피커(201)와 제2 스피커(202)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음성 정보를 효율적으로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상이 제어부(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 정보 각각에 추가적인 식별자 정보를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구분된 음성정보가 수신 측으로 수신되면, 수신 측의 제어부(110)는 상기 둘 이상의 음성 정보를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구분한 다음,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각각의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입력받거나 상기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는 물론 화성 통화에 사용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부를 구비하는바 2:1 이상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를 구비하지만, 1:1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영상 입력부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영상 입력부만을 활성화한 통신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제2 카메라(206)는 비활성화되어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카메라의 활성화 여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만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영상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3은 1:1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바, 송신자와 수신자 2명의 영상 정보만을 상기 영상 표시부(15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활성화된 영상 입력부의 개수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120)로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송수신부(120)로부터 2명의 사용자의 영상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영상 입력부 중 하나의 영상 입력부 만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영역을 3개로 구분하여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를 구비하는바, 각 영상 입력부의 촬영각도가 서로 다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입력부가 상기 단말기의 측단에 구비된 고정축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각각의 영상 입력부는 서로 다른 각도의 고정 축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들의 촬영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1 카메라(205)는 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며 촬영할 수 있고, 상기 제2 카메라(206)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며 촬영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각도의 고정축을 구비하거나,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갖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더 넓은 촬영영역을 확보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일부 사용자가 이동하여도 전체 단말기를 움직일 필요 없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일부의 카메라만을 움직여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영역은 150a 내지 150d로 구분되어 있는바, 상기 영역의 개수는 전체 화상 통화에 참가하는 사용자의 인원 수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두 개의 카메라(205, 206)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촬영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카메라(205, 206)는 두 개의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S500). 상기 두 개의 카메라에 의해 두 개의 영상 정보가 수신되는 것은, 상기 영상 제어부(140) 또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인지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두 개의 영상 정보는 상기 영상 표시부(150)의 설정된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S510).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사익 두 개의 영상 정보를 상대방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두 개의 영상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되, 상기 두 개의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한번에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20). 상기 두 개의 영상 정보를 별개로 전송하는 경우 연결 설정에 따른 시간 지연과 통신 자원의 낭비가 문제되는바, 상기 두 개의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530). 상기 영상 정보를 결합하는 것은, 상기 두 개의 영상 정보가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한번에 전송되도록 상기 두 개의 영상 정보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결합되는 영상 정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상기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영상 입력부의 개수에 따라 결합되는 영상 정보의 개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S530 단계가 S52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바 상기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절차 흐름도이다. 상기 도 5의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통신 단말기는 두 개의 영상 정보가 결합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바. 수신측 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S610).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두 개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다(S620). 상기 S61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상기 데이터 신호는 두 개의 영상 정보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S620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 정보는 2개이므로, 상기 제어부(110) 또는 영상 제어부(140)는 상기 결합된 영상 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입력받은 2개의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150)에 상기 4개의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S630). 상기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개수는 상기 S610 단계 또는 S620 단계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10)는 상기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두 개의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40). 상술한 S610 내지 S640 동작이 반복수행되는 경우, 2:2 이상의 화상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상기 S640 단계는 상기 S630 단계 이후에 실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1 화상 통화 외에도 다수 대 다수의 화상 통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종전의 카메라의 촬영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좀더 넓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다수 대 다수의 화상 통화를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수행하므로, 통신 채널 등의 통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외부의 영상을 입력받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영상 정보가 포함된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출력하되, 상기 영상 정보 각각을 상기 영상 표시부의 설정된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된 영상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는, 서로 다른 촬영 각도로 외부 영상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는, 폴더형 단말기의 힌지(hinge) 축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
  8.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입력부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단위로 전송하기 위해 상 기 영상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영상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둘 이상의 영상 정보와 상기 입력된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영상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입력부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음성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둘 이상의 영상 정보를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050091410A 2005-09-29 2005-09-29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KR10074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10A KR100747581B1 (ko) 2005-09-29 2005-09-29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10A KR100747581B1 (ko) 2005-09-29 2005-09-29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413A true KR20070036413A (ko) 2007-04-03
KR100747581B1 KR100747581B1 (ko) 2007-08-08

Family

ID=3815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410A KR100747581B1 (ko) 2005-09-29 2005-09-29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852B1 (ko) * 2010-06-07 2012-03-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KR101432830B1 (ko) * 2008-06-25 2014-08-26 주식회사 케이티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33B1 (ko) * 2013-03-08 2019-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통화 단말기 및 그의 ui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28B1 (ko) * 2002-02-23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0039530A (ko) * 2002-11-02 2004-05-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830B1 (ko) * 2008-06-25 2014-08-26 주식회사 케이티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117852B1 (ko) * 2010-06-07 2012-03-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581B1 (ko)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3050B (zh) 在多个显示屏上显示信息的手持无线通信装置、操作该装置的方法和操作该装置的计算机程序产品
JP4016388B2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JP2001054084A (ja) テレビ電話装置
CN106027589A (zh) 视频与音频处理装置及其视频会议系统
JP2005237026A (ja) テレビ電話装置
US7737915B1 (en) Techniques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a computer display
JP2009218950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4289688A (ja) テレビ電話装置
KR100747581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JP3804766B2 (ja) 画像通信装置および携帯型電話機
KR100358166B1 (ko) 화상 휴대폰 장치
US20050088513A1 (en) Open-to-view video telephony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44021A1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KR100735415B1 (ko) 휴대단말기의 다자간 화상통화수행방법
US20050280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KR101432830B1 (ko)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록매체
JP2005151073A (ja) Tv電話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4440079B2 (ja) 通信端末
KR20060010089A (ko) 입체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JP201210013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
JP2010147939A (ja) 映像通信装置、映像通信方法及び映像通信システム
EP1081943A1 (en) Digital transceiver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