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346A - 오버레이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오버레이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346A
KR20070036346A KR1020050091269A KR20050091269A KR20070036346A KR 20070036346 A KR20070036346 A KR 20070036346A KR 1020050091269 A KR1020050091269 A KR 1020050091269A KR 20050091269 A KR20050091269 A KR 20050091269A KR 20070036346 A KR20070036346 A KR 2007003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overlay
shot
correction method
alignment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6346A/ko
Publication of KR2007003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33Overlay, i.e. relative alignment between patterns printed by separate exposures in different layers, or in the same layer in multiple exposures or st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레이 측정 장비에서 측정된 정렬 오차를 이용하여 노광 장비에서 웨이퍼의 정렬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은 포토레지스트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노광 장비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노광 장비에서 상기 웨이퍼를 하나의 샷씩 정렬하여 노광하는 단계; 상기 웨이퍼를 현상하는 단계; 상기 웨이퍼의 모든 샷에 대하여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오버레이 측정 결과를 적용하여 다른 웨이퍼를 하나의 샷씩 정렬하여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웨이퍼를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웨이퍼 상의 모든 샷을 각각 별도로 정렬하여 각 샷의 정렬 오차를 최소화시켜서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정렬 오차에 의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오버레이, 정렬오차, 샷, 보정

Description

오버레이 보정 방법{Method of overlay correction }
도1은 반도체 제조 장비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2는 종래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따라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오버레이를 측정한 결과.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보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따라 현상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오버레이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은 오버레이(overlay)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레이 측정 장비에서 측정된 정렬 오차를 이용하여 노광 장비에서 웨이퍼의 정렬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은 반도체 기판에 포토레지스트의 도포, 노광 및 현상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증 가시키기 위하여 패턴이 미세화 됨에 따라 상기 패턴이 형성된 레이어(layer)의 개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상기 레이어는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된 패턴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리소그래피 공정과 식각공정으로 형성된 상기 패턴을 말한다. 반도체 소자는 레이어의 형성을 반복함으로서 그 복잡한 구조를 형성한다.
패턴의 미세화에 따라 충분히 집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레이어 사이의 정렬오차를 충분히 작게 유지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렇게 레이어 사이의 정렬오차를 관리하기 위하여 각 레이어를 형성할 때 적합한 측정패턴을 같이 형성하여 리소그래피 공정을 진행할 때 발생하는 정렬오차를 오버레이 측정 장비에서 측정하고 있다. 그런데, 오버레이 측정 장비에서 상기 레이어 사이의 정렬오차를 측정하는 경우 각 로트에 적당한 오버레이 측정 조건을 설정한 오버레이 측정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도1은 반도체 제조 장비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따라서 포토레지스트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노광 장비에 로딩한다. 웨이퍼에 포토레지스트 막을 도포하는 공정은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노광 장비에 로딩된 웨이퍼를 정렬하기 위하여 노광 장비에서 웨이퍼에 사전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 이전 레이어(layer)들의 정렬 마크를 감지하고, 웨이퍼 상의 정해진 샷에 대한 상기 정렬 마크의 위치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웨이퍼 정 렬 데이터를 결정한다. 이렇게 정해진 웨이퍼 정렬 데이터를 이용하여 웨이퍼의 모든 샷(shot)에 대하여 공통의 웨이퍼 정렬 데이터로 한꺼번에 정렬하면서 노광을 실시한다.
다음 노광된 웨이퍼를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이퍼 상의 정해진 샷을 선택하여 오버레이를 측정한다. 이때 오버레이는 예를 들어 KLA사의 오버레이 측정 장비 등을 이용하여 계측한다.
도2는 종래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따라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오버레이를 측정한 결과로서, 예를 들어 29개의 샷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측정한 정렬 오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측정된 결과는 오버레이 측정 장비에 저장되어 노광 장비에 전달된다. 측정된 오버레이 측정 결과를 통계적으로 계산하여 정렬 오차를 최소화시키는 보정치를 결정한 다음에 이 보정치를 이용하여 다른 웨이퍼를 정렬하면서 보정치를 적용하여 노광을 실시한다.
그런데 종래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 웨이퍼 상의 모든 샷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동일한 보정치를 적용하기 때문에 노광 장비의 특성이나 웨이퍼의 특성에 따라 특정한 샷의 정렬 오차를 보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정렬 오차가 규격을 벗어나서 수율이 저하되어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웨이퍼 상의 각 샷에 따라 달라지는 정렬 오차를 최소화시켜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버레이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보정 방법은 포토레지스트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노광 장비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노광 장비에서 상기 웨이퍼를 하나의 샷씩 정렬하여 노광하는 단계; 상기 웨이퍼를 현상하는 단계; 상기 웨이퍼의 모든 샷에 대하여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오버레이 측정 결과를 적용하여 다른 웨이퍼를 하나의 샷씩 정렬하여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웨이퍼를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보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형성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에 대한 오버레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따라서 포토레지스트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노광 장비에 로딩한다.
상기 웨이퍼에 포토레지스트 막을 도포하는 하는 공정은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로트 단위로 실시되고, 노광 장비에 웨이퍼를 로딩하는 것도 로트 단위로 실시하는 것이 생산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노광 장비에 로딩된 웨이퍼를 정렬하기 위하여 사전 공정에 의해서 웨이퍼에 형성된 이전 레이어(layer)들의 정렬 마크를 노광 장비가 감지하고, 정렬 마크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웨이퍼의 모든 샷(shot)에 대하여 하나씩 샷을 정렬하면서 노광을 실시한다.
다음 노광된 웨이퍼를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이퍼의 모든 샷에 대하여 오버레이를 측정한다. 이때 오버레이는 예를 들어 KLA사의 오버레이 측정 장비 등을 이용하여 계측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따라 현상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오버레이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 상의 샷의 위치에 따라 정렬 오차가 차이가 많은 것을 알 수가 있다. 특히 웨이퍼 중심부에 타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샷은 다른 샷의 정렬 오차와 경향이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종래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을 적용하여 정렬 오차를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보정할 수 없는 정렬 오차가 많이 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으로 측정된 결과는 오버레이 측정 장비에 저장되어 노광 장비에 전달된다. 각각의 샷에 대하여 측정된 오버레이 측정 결과를 적용하여 노광 장비에서 정렬하는 모든 샷에 대하여 정렬 오차를 최소화하는 보정을 실시한다.
각각의 샷에 대하여 결정되는 보정치는 예를 들어 offset, scal, rot, red, ort 등에 대한 보정치를 구하는 것이다.
이렇게 모든 샷에 대하여 정렬 오차를 최소화시키는 각각의 보정치를 결정한 다음에 이 보정치를 이용하여 다른 웨이퍼를 하나의 샷씩 정렬하면서 보정치를 적용하여 정렬을 보정하면서 노광을 실시한다.
노광된 상기 다른 웨이퍼를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다른 웨이퍼의 오버레이를 측정하여 정렬 오차가 감소된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웨이퍼의 오버레이 측정 결과가 오버레이 정확도의 규격을 벋어나면 이 웨이퍼를 재작업(rework)하고, 각각의 샷에 대하여 상기 보정치를 적용하여 정렬 노광을 실시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은 하나의 로트에서 뿐만 아니라 동일한 노광 장비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로트에서 측정된 보정치를 다른 로트에 계속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웨이퍼는 하나의 로트에서 선택된 웨이퍼이고, 상기 다른 웨이퍼는 다른 로트에서 공정을 진행하는 웨이퍼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버레이 보정 방법에 의해서 웨이퍼 상의 모든 샷을 각각 별도로 정렬하여 각 샷의 정렬 오차를 최소화시켜서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정렬 오차에 의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포토레지스트 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노광 장비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노광 장비에서 상기 웨이퍼를 하나의 샷씩 정렬하여 노광하는 단계;
    상기 웨이퍼를 현상하는 단계;
    상기 웨이퍼의 모든 샷에 대하여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오버레이 측정 결과를 적용하여 다른 웨이퍼를 하나의 샷씩 정렬하여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웨이퍼를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보정 방법.
KR1020050091269A 2005-09-29 2005-09-29 오버레이 보정 방법 KR20070036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69A KR20070036346A (ko) 2005-09-29 2005-09-29 오버레이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69A KR20070036346A (ko) 2005-09-29 2005-09-29 오버레이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346A true KR20070036346A (ko) 2007-04-03

Family

ID=3815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69A KR20070036346A (ko) 2005-09-29 2005-09-29 오버레이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63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8848B2 (en) Overlay mark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alignment errors
US6420077B1 (en) Contact hole model-based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method
JP3100842B2 (ja) 半導体露光装置及び露光方法
JPH09148217A (ja) 位置合わせ方法
JPH09792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333173B2 (en) Method to simplify twin stage scanner OVL machine matching
US200500263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with overlay mark
KR20030039599A (ko) 공정 에러 측정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측정 방법 및 장치
JP2003017386A (ja) 位置合わせ方法、露光方法、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9283600A (ja) 露光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露光アライメント調整プログラム、及び露光装置
KR20070036346A (ko) 오버레이 보정 방법
JP2010103438A (ja) パターニング方法、露光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KR100598263B1 (ko) 노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샷 정렬 방법
KR20070005810A (ko) 웨이퍼 얼라인먼트 방법
JP2003037038A (ja) 投影露光方法
JP2000195770A (ja) 傾き補正方法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US9964866B2 (en) Method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KR100576425B1 (ko) 감광막 두께를 이용한 오버레이 측정 방법
KR20030016458A (ko) 오버레이 장비에서의 툴 인듀스 시프트 데이터 인터록 방법
KR100605178B1 (ko) 오버레이 계측 방법
KR20070077688A (ko) 노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0306812A (ja) アライメント方法
KR20080088027A (ko)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 및 이를 이용한 정렬마크 노광방법
JP2023163641A (ja) 基板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及び基板処理装置
JP2000150353A (ja) 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