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239A - A furniture kit - Google Patents

A furniture 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239A
KR20070036239A KR1020050091010A KR20050091010A KR20070036239A KR 20070036239 A KR20070036239 A KR 20070036239A KR 1020050091010 A KR1020050091010 A KR 1020050091010A KR 20050091010 A KR20050091010 A KR 20050091010A KR 20070036239 A KR20070036239 A KR 20070036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attress
support
bas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9315B1 (en
Inventor
추적공
Original Assignee
추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적공 filed Critical 추적공
Priority to KR102005009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315B1/en
Publication of KR2007003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가구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면만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의 유아용 침대를 조립하게 하는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일반 침대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유아용 침대 혹은 일반 침대로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아이들이 유아때 이외에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kit tha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ssembly of the general bed from each component to assemble the infant box of the rectangular box shape with only the upper surface open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a baby bed or a general bed so that children can be us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infant.

유아용 침대, 일반 침대, 매트리스 Crib, general bed, mattress

Description

가구용 키트{A Furniture Kit}Furniture Kit {A Furniture Kit}

도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키트로부터 조립된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ib assembled from a furniture assembly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한 유아용 침대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baby bed shown in FIG.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단부 조립체 및 받침용 발을 도시한 도면,Figure 3a shows the end assembly and the feet for the furniture k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제1및 제2 직립재를 도시한 도면,3b shows a first and a second upright in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베이스 및 지지 레일을 도시한 도면,Figure 3c shows a base and a support rail in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3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들과 조립된 지지레일 및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Figure 3d shows a support rail and a base assembled with the mattress support end members in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및 지지 레일을 포함하고 있는 조립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3e shows an assembled base comprising an end material for supporting a mattress and a support rail in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된 침대에서 매트리스 지지체를 나타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mattress support in a bed assembl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rib assembled from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tress is placed,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Figure 7 shows the parts which make it possible to assemble a crib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8a-도8j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Figure 8a-8j is an assembly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rib from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assembl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mattress seated therein;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FIG. 10 shows the parts allowing assembly of a b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도11a-도11f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11A-11F are assembl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b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단부 조립체 11:단판들10: end assembly 11: end plates

12a,12b:굴곡부재 20:제1직립재12a, 12b: bending member 20: first upright material

30:제2직립재 40:지지 레일30: second upright material 40: support rail

50:베이스 60: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50: base 60: end material for coat mattress support

70:받침용 발 80:유아용 침대70: support foot 80: infant bed

90:일반 침대90: Regular bed

본 발명은 가구 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용 침대(cot) 혹은 보통 침대(standard bed)로도 조립이 가능한 범용적인 가구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k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versal furniture kit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cot or a standard bed.

일반적으로 유아용 침대(cot)는 보통 2살 까지 이용되고, 이렇게 이용된 유아용 침대를 물려줄 형제나 친구가 없을 경우 그 침대는 쓸모가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결과적으로는 국가적으로 경제적인 손실을 입게 되는 폐단도 있다. 또한 계속하여 유아용 침대로만 재활용 하는 것도 유아들에게는 건강상과 안전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In general, a cot is usually used up to two years old, and it is common for a bed to become useless if there is no sibling or friend to hand it over. There is also a feeling of being worn. In addition, continuing to recycle only as a baby crib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health and safety problems for infa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용 침대 혹은 일반 침대로 조립이 가능한 구성요소들을 공급하여 아이들이 유아때 이외에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해주는 가구용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kit that can be used for long-term use in addition to infants by supplying components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crib or a general bed to solve the above drawback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로 배열된 단판들과 그 단판들의 좌우 양 끝단에 설치되어 그 단판들을 지지하는 ㄷ자형의 굴곡부재로 이루어지되 1쌍을 이루어, 상기 굴곡부재의 내면이 상호 대향하도록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되어 유아용 침대의 수직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굴곡부재가 바닥으로 입설되는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침대의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부 조립체; 창살 모양의 정방형상을 이루어,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된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상기 유아용 침대의 고정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 상태를 이루는 어느 1개의 단부 조립체의 일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제1직립재(直立材); 상기 제1직립재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는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직 설치되어 상기 유아용 침대의 이동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 및 정방형상을 이루어, 상기 제1및 제2직립재와 상기 단부 조립체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평이 되게 설치되어 유아용 매트리스를 안치시키기 위한 상기 유아용 침대의 바닥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이 되게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부 조립체와 함께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지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nd plates arranged in a plurality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nd plates made of a c-shaped bent member for supporting the end plates made of a pair,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member An end assembly placed vertically from the floo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ace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forming a vertical surface of the infant bed,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state in which the bending member is entered into the floor to form a mattress support of the bed; A grate-shaped square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end assemblies vertically placed from the bottom to form a fixed surface of the crib, and is set up from one end of any one end assembly which is horizontal from the bottom. A first upstanding material forming the head of the bed; A second upright material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pright material so as to be vertically slidably moved between the end assemblies facing the first upright material so as to vertically move to form a moving surface of the baby bed; And a square, installed horizontally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uprights and the end assembly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crib for seating the baby mattress and horizontally from the fl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ttress support material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end assemblie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o form the mattress support for the bed with the end assembly.

상기 매트리스 지지재는 창살 모양의 정방형상을 이루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좌우 양측에 측설되어 그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과, 그 지지 레일과 베이스가 형성하는 상하단에 설치되는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중 어느 1개는 상기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게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의 끝단에 입설됨이 바람직하다.The mattress support material is a base forming a grate shape, a support rail staked on both sides of the base to support the base, and an end material for supporting the mattress of the court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formed by the support rail and the base.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end mattress support end material is placed at the end of the mattress support facing the first upright material forming the head portion of the bed.

또, 상기 단부 조립체의 굴곡부재 하부에는 바닥과 대면하는 받침용 발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foot is further installed below the bent member of the end assembly facing the bottom.

또, 상기 단부 조립체에는 상기 유아용 침대에서 상기 매트리 지지재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지지하는 브라켓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 assembl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racket for supporting while enab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ttress support material in the baby bed.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dvantages and other featur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원 발명에 따른 가구조립용 키트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ore preferred embodiment for a kit for temporary rib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키트로부터 조립된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유아용 침대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ib assembled from a furniture assembly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crib shown in FIG.

유아용 침대(80)는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설치된 다수개의 단판들(end board)(11)을 갖는 단부 조립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 조립체(10)는 다수개의 단판(end board)(11) 상호간을 서로 지지하면서 가로지르는 ㄷ자형의 굴곡부재(12a)(12b)를 갖고 있다. 상기 굴곡부재들(12a,12b)은 안쪽 면을 마주 보는 상태로서 대향 설치되어 있다.The crib 80 has an end assembly 10 having a plurality of end boards 11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The end assembly 10 has a c-shaped bend member 12a, 12b that traverses while supporting a plurality of end boards 11 with each other. The bending members 12a and 12b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ir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단부 조립체(10)의 하단부에는 받침용 발(70)이 설치되어 유아용 침대(80)의 안전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단부 조립체(10)의 사이 즉 ㄷ자형 굴곡 부재(12a)(12b)의 사이에는 유아용 침대(80)의 제1고정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직립재(2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직립재(20)와의 반대쪽인 단부 조립체(10)의 사이인 ㄷ자형 굴곡 부재(12a)(12b)의 사이에는 유아용 침대(80)의 제2측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30)가 설치되어 있고, 제2직립재(30)는 유아용 침대(80)에서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Supporting feet 70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end assembly 10 to help the safety of the baby bed (80). In addition, a first upright material 20 for forming a first fixed surface of the baby crib 80 is provided between the end assembly 10, that is, between the c-shaped bent members 12a and 12b. A second upright material 30 forming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crib 80 is between the c-shaped bent members 12a and 12b between the end assemblies 10 opposite to the upright material 20. Is installed,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is moved up and down so as to move to a high position and a low position in the baby bed (80).

제1직립재(20)에 평행한 단판(11)과 단부 조립체(10)의 특정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2직립재(30)의 사이에는 지지 레일(40)이 신장된다. 지지 레일(40)은 장착되어 베이스(50)를 지지한다(도3d 참조).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는 베이스(50)와 장착된다(도3e 참조).The support rail 40 extends between the end plate 11 parallel to the first upright material 20 and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positioned at a specific height of the end assembly 10. The support rail 40 is mounted to support the base 50 (see FIG. 3D). The coat mattress support end member 60 is mounted with the base 50 (see FIG. 3E).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단부 조립체 및 받침용 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제1및 제2 직립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베이스 및 지지 레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들과 조립된 지지레일 및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에서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및 지지 레일을 포함하고 있는 조립된 베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3a is a view of the end assembly and the support foot in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uprights in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c is a view of the invention Figure 3d is a view showing a base and a support rail in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Figure 3d is a view showing a support rail and a base assembled with the mattress support end members in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e Is a drawing showing an assembled base comprising an end material for supporting a mattress and a support rail in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drawings.

도3a-도3e에는 유아용 침대(Cot)의 조립에 사용되는 키트의 구성 요소들이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몇개의 구성 요소들은 하기 침대(90)를 구성하는데 다시 이용된다.3A-3E,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kit used to assemble a baby bed (Cot) is shown, some of which are again used to construct the bed 90 below.

먼저 유아용 침대(80)의 구성요소들로는 유아용침대의 양 단부를 구성하는 한쌍으로 구성된 단부 조립체(端部 組立體)(10), 상기 단부 조립체(10)를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단판들(端板)(11), 및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여 침대 구조에서 침대의 다리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한쌍의 ㄷ자형 굴곡부재(12a)(12b)들로 구성되며(도3a 참조), 각각의 말단에 위치한 단판(11)의 제 1측면에 위치하거나 혹은 부착된 굴곡부재(12a)들 사이에서 고정가능하고 헤드판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제1직립재(20)(도3b 참조), 각각 단판(11)의 제2측면에 위치하거나 부착된 굴곡부재(12b)에 부착할 수 있는 상하 이동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30)(도3b 참조), 한 쌍의 지지 레일(40)(도3c 참조), 베이스(50)(도1c 참조), 한쌍의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60)(도 3d 참조) 및 받침용 발(feet)(70)(도3a 참조)을 포함한다.First of all, the components of the infant bed 80 include a pair of end assemblies 10 which constitute both ends of the infant bed, and a plurality of end plates integrally connecting the end assemblies 10. Iii) 11, and a pair of c-shaped bent members 12a, 12b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suitable for forming the legs of the bed in the bed structure (see Fig. 3a), and end plates positioned at their respective ends. A first upright material 20 (see FIG. 3B), which is fixable between the bent members 12a positioned on or attached to the first side of the 11, and adapted to form a head plate, respectively, of the end plate 11; A second upright material 30 (see FIG. 3B), a pair of support rails 40 (see FIG. 3C), and a base, which form a vertically movable surfac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flexure member 12b positioned or attached to two sides 50 (see FIG. 1C), a pair of coat mattress support end members 60 (see FIG. 3D), and feet 70 (see FIG. 3A). ).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된 침대에서 매트리스 지지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assembl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mattress support in a bed assembl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직립재(20)는 침대(90)의 일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침대(90)의 헤드부 역할을 한다. 상기 단부 조립체(10)는 침대(90)의 좌우 양 끝단에 위치하여 바닥으로부터 침대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단부로 사용된다. 상기 단부 조립체(10)는 상기 굴곡부재(12a)와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굴곡부재(12b)는 침대(90)를 바닥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리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용 발(70)은 상기 굴곡부재(12a,12b)의 하부에 위치하여 바닥과 직접적으로 대면함으로써 침대(90)의 안전을 보조한다. 상기 단판들(11)은 침대(90)에서 매트리스 지지 부분을 형성하다. 상기 지지 레일(40)과 베이스(50)는 상기 단판들(11)이 형성한 매트리스 지지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판들(11)과 함께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상기 단판들(11)과 지지 레일(40) 및 베이스(50)는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상기 굴곡부재(12a,12b)의 지지를 받는다. 이와 같이 상기 단판들(11)과 지지 레일(40) 및 베이스(50)는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데, 상기 지지 레일(40)은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의 중간 좌우 양측에 그 지지체의 길이를 따라 수평이 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50)가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게 그 베이스(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유아용 침대(80)에서 그 침대(80)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는 상기 단부 조립체(10)와 대향하는 침대(90)의 단부에 입설되어 매트리스가 침대(90) 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The first upright 20 is placed from one end of the bed 90 serves as a head of the bed (90). The end assembly 10 is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ed 90 to serve as an end for supporting the bed mattress from the floor. The end assembly 10 is disposed in a state coupled with the bending member 12a, and the bending member 12b serves as a leg for stably supporting the bed 90 from the floor. The supporting foot 70 is positioned below the bent members 12a and 12b to directly face the floor to assist the safety of the bed 90. The end plates 11 form a mattress support portion in the bed 90. The support rail 40 and the base 50 are disposed between the mattress support portions formed by the end plates 11 to support the mattress together with the end plates 11, and the end plates 11 and the support rails. The 40 and the base 50 are supported by the bending members 12a and 12b which are set up from the bottom. As such, the end plates 11, the support rails 40, and the base 50 form a mattress support, and the support rails 40 are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of the suppor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ttress support. It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serves to support the base 50 so that the base 50 can form the mattress support. This is made possible by rotating the baby bed 80 in the direction of the bed 80 by 90 degrees. The coat mattress support end member 6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ed 90 facing the end assembly 10 and serves to prevent the mattress from slipping from the bed 90.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8a-도8j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유아용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rib assembled from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mattress is placed,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parts that enable to assemble a baby crib from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Figure 8j is an assembl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crib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유아용 침대(80)의 내부에 매트리스를 안치하여 완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유아용 침대(80)는 상기된 바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재들(A-F,21,31)을 통해 유기적으로 조립됨으로서 완성된다. 도7에서 표시 A는 유아용 침대(80)에서 상기 제2직립재(3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볼트부재이고, 표시 B는 표시 C-F에 나열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볼트부재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목핀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21,31)는 제1 및 제2직립재(20,30)의 상단에 추가 결합되는 제1 및 제2덧댐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51)는 베이스(50) 지지용 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ttress is placed in an interior of a crib 80 assembled as shown in FIG. 1, and the crib 80 is illustrated in FIG. It is completed by organically assembling through the members AF, 21 and 31 as shown. In FIG. 7, the mark A is a bolt member which enabl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in the crib 80, and the mark B is capable of connecting bolt members having different lengths listed in the mark CF. It shows a mock pin. 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s 21 and 31 show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members that ar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uprights 20 and 30. Also, reference numeral 51 denotes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base 50.

이와 같이 부재들(A-F,21,31)이 마련되면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단에 상기 목핀(B)이 삽설되고, 그 목핀(B)에 상기 제1덧댐부재(21)가 삽설됨으로써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단에 상기 제1덧댐부재(21)가 설치되는데, 그 제1덧댐부재(21)는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단 하면으로부터 위를 향해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E)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직립재(20)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직립재(30)에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 식으로 제2덧댐부재(31)가 설치된다.When the members AF, 21, and 31 are provid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8A, first, the neck pin B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upright material 20, and the neck pin B When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is inserted,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upright member 20, and the first attachment member 21 is the first upright member 20. 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first upright material 20 by being coupled with the bolt member (E) which is coupl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As shown in FIG. 8B, the second upright member 31 is also installed in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또한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핀(B)은 상기 베이스(50)의 길이단을 형성하는 좌우 양 측단에 삽설되는데, 그 목핀(B)을 통해서 상기 지지 레일(40)이 상기 베이스(50)의 양 측단에 삽설된다. 상기 지지 레일(40)은 상기 베이스(50)의 양 측단 내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E)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50)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는 상기 베이스(50)의 상하단에 상기 목핀(B)을 통해서 설치되고, 그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결합되는 볼트부재(F)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50)에 탈착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c, the neck pin (B) is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forming the length end of the base 50, the support rail 40 through the neck pin (B) is the base ( 50) are inserted at both ends. The support rail 4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50 by being coupled with the bolt member E coupled to the outside from both side end inner surfaces of the base 50. The coat mattress support end member 60 i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se 50 through the neck pin B,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50 through a bolt member F coupl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t is installed.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용 발(70)은 상기 볼트부재(F)를 통해서 상기 굴곡부재(12a 또는 12b)의 하부에 탈착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D, the supporting foot 70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nding member 12a or 12b through the bolt member F. As shown in FIG.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마련된 제1직립재(20)는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며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굴곡부재들(12a)의 사이에 상기 볼트부재(F)를 통해서 탈착되게 설치되어 유아용 침대(80)의 고정면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8E, the first uprights 2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ol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bending members 12a of the end assembly 10 which are set up from the bottom. Detachable through (F) is installed to form a fixed surface of the baby bed (80).

이후 도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직립재(20)의 대향면이 되는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굴곡부재들(12b)의 사이에 상기 제2직립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직립재(30)는 상기 굴곡부재들(12b)의 수직 단면 중간에 헤드부가 노출되게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A)의 그 헤드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직립재(30)는 그 좌우 양 측단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라인홈이 상기 볼트부재(A)의 헤드부에 끼워짐으로 써 유아용 침대(80)에 상하 이동면을 형성하게 한다. 상기 제2직립재(30)는 그 좌우 양 측단에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C)를 통해서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굴곡부재들(12b)의 사이에 고정되며, 그 볼트부재(C)가 제거되어야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8F,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is installed between the bending members 12b of the end assembly 10, which are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upright material 20.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up and down by being fitt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member A, which is coupled to expose the head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bending members 12b. That is,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is formed by moving the line grooves formed along the length at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thereof to the head of the bolt member A to form a vertical moving surface in the infant bed 80. Let's do it. The second upright material 30 is fixed between the bending members 12b of the end assembly 10 through the bolt members C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thereof, and the bolt members C are fixed. It must be removed to move up and down.

이어서 도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1)이 상기 단부 조립체(10)의 각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50)에 남아 있는 구멍은 상기 볼트부재(C)의 체결로 폐쇄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G, the brackets 51 are installed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end assembly 10. The hole remaining in the base 50 is closed by the fastening of the bolt member (C).

이어서 도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레일(40), 베이스(50) 및 코트 매트리스지지 단부재(60)로 이루어진 바닥체가 상기 브라켓(50)에 안치됨으로써 유아용 침대(80)의 바닥이 완성되며, 그 바닥체는 상기 베이스(50)를 관통하여 상기 굴곡부재(12a,12b)에 체결되는 볼트부재(F)를 통해서 고정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H, a bottom body of the support rail 40, the base 50, and the coat mattress support end material 60 is placed in the bracket 50, thereby completing the bottom of the infant bed 80. The bottom body is fixed through the bolt member (F) is fastened to the bending member (12a, 12b) through the base 50.

마지막으로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조립체(10)에 남아 있는 구멍에 볼트부재(C)가 결합되어 폐쇄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아용 침대(80)가 조립 완성되고, 상기 바닥체에 코트 매트리스를 깔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한 유아용 침대(80)가 완성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8I, when the bolt member C is coupled to the hole remaining in the end assembly 10 and closed, the infant bed 80 as shown in FIG. 1 is assembled and completed. Placing the coat mattress on the floor completes the complete baby crib 8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베이스(50)의 설치 높이는 상기 베이스(50)와 브라켓(51)을 분리할 때, 상기 브라켓(51)을 필요한 위치로 옮길 때, 유아용 침대(80)의 바닥체를 재조립할 때 등에 변경될 수 있다. 도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0)는 신생아를 위해서 바닥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아기가 걸어 다닐 수 있기 전까지는 그 높이를 낮게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브라켓(51) 의 설치 위치 조정으로 가능하다.Her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ase 50 is changed when the base 50 and the bracket 51 are separated, when the bracket 51 is moved to the required position, when reassembling the bottom of the baby bed 80, and the like. Can be. As shown in Fig. 8J, the base 50 is preferably positioned slightly above the floor for the newborn, and is preferably lowered until the baby can walk, which means that the bracket ( 51)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조립되어 매트리스가 안치된 상태의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11a-도11f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키트로부터 침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d assembl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mattress seated thereon; FIG. 10 is a view showing parts for assembling a bed from a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11F are FIGS. Assembly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ed from 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9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침대(90)에 매트리스를 깔아 완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침대(90)는 상기된 바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재들(B-H,22,23,61,62)을 통해 유기적으로 조립됨으로서 완성된다. 도10에서 표시 B는 핀부재를, 표시 C,D,E,F,H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볼트부재를, 표시 G는 마감용 볼트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22)는 침대(90)의 헤드부 상단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를, 도면부호(23)는 침대(90)의 헤드부의 좌우 양 측단을 형성하는 측단부재를, 도면부호(61)는 침대(90)의 헤드부와 대향하는 끝단을 형성하는 끝단부재를, 도면부호(62)는 상기 끝단부재(6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FIG. 9 shows the mattress in a bed 90 assembled as shown in FIG. 4, wherein the bed 90 includes members as shown in FIG. 10 with each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It is completed by organically assembling through (BH, 22, 23, 61, 62). In FIG. 10, the mark B shows the pin member, the marks C, D, E, F and H show bolt member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the mark G shows the finishing bolt member.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decorative member for decorating the upper end of the head portion of the bed 90,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side end member for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head portion of the bed 90, 61 ) Denotes an end member forming an end facing the head of the bed 90, and reference numeral 62 denot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nd member 61.

이와 같은 부재들(B-H,22,23,61,62)이 마련되면,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1직립재(20)의 상부에 상기 핀부재(b)를 통해서 상기 장식부재(22)를 설치하는데, 상기 제1직립재(20)와 장식부재(22)는 상기 볼트부재(E)의 나사 결합으로 서로 고정된다.When such members BH, 22, 23, 61, and 62 are provided, first, as shown in FIG. 11A, the decorative member may be formed through the pin member b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upright material 20. 22), the first upright material 20 and the decorative member 22 are fixed to each other by screwing the bolt member (E).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조립체(10)는 상기 굴곡부재(12a,12b)가 바닥으로부터 입설되어 침대(90)용 다리를 형성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수평이 되 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용 발(70)은 상기 볼트부재(D)를 통해서 상기 굴곡부재(12a,12b)의 하부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1B, the end assembly 10 is disposed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such that the flexure members 12a and 12b are placed from the bottom to form a leg for the bed 90, and the support foot 7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nding member (12a, 12b) through the bolt member (D).

이후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부 조립체(10)의 일단 좌우 양측에는 상기 볼트부재(E)를 통해서 상기 측단부재(23)가 입설되고, 그 측단부재(23)의 사이에 상기 볼트부재(E,F)를 통해서 상기 제1직립재(20)가 고정 설치됨으로써 침대(90)용 헤드부가 완성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1C, the side end member 23 is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one end assembly 10 through the bolt member E, and the bolt is interposed between the side end members 23. The head part for the bed 90 is completed by fixing the first upright material 20 through the members E and F.

이 상태에서 도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단부 조립체(10)와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다른 하나의 단부 조립체(10)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 레일(40)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그 지지 레일(40)의 상부에 상기 베이스(50)가 안착됨으로써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완성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1D, the support rail 40 is installed across the end assembly 10 between the one end assembly 10 and the other end assembly 1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upport 50 for supporting the mattress is completed by mounting the base 50 on the support rail 40.

마지막으로 도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90)의 헤드부와 대향하게 메트리스 지지체의 끝단에 지지부재(62)를 상기 볼트부재(E)를 사용하여 장착한 후, 그 지지부재(62) 위에 상기 볼트부재(F)를 사용하여 상기 끝단부재(61)을 입설시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침대(90)가 조립 완성되고, 도1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트리스 지지체에 매트리스를 깔면 완전한 침대(90)가 완성된다. 상기 침대(90)에 남아 있는 구멍들에는 상기 볼트부재(H)와 마감용 볼트부재(G)으로 폐쇄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11E, the support member 62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mattress supporter using the bolt member E so as to face the head of the bed 90, and then the support member 62. When the end member 61 is inserted using the bolt member F thereon, the bed 90 as shown in Fig. 4 is assembled and the mattress is laid on the mattress support as shown in Fig. 11F. The bed 90 is completed. Holes remaining in the bed 90 are closed by the bolt member (H) and the closing bolt member (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용 침대 혹은 일반 침대로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아이들이 유아때 이외에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a baby bed or a general bed so that children can be us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infant.

Claims (4)

다수개로 배열된 단판들과 그 단판들의 좌우 양 끝단에 설치되어 그 단판들을 지지하는 ㄷ자형의 굴곡부재로 이루어지되 1쌍을 이루어, 상기 굴곡부재의 내면이 상호 대향하도록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되어 침대의 수직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굴곡부재가 바닥으로 입설되는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침대의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부 조립체;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nd plate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nd plates and the c-shaped bent members supporting the end plates in a pair, forming a pair,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member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from the bottom An end assembly vertically placed to form a vertical surface of the bed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state in which the flex member is placed on the floor to form a mattress support of the bed; 창살 모양의 정방형상을 이루어, 바닥으로부터 수직 입설된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상기 침대의 고정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 상태를 이루는 어느 1개의 단부 조립체의 일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제1직립재(直立材);The bed has a square shape and is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end assemblies vertically placed from the bottom to form a fixed surface of the bed, and is placed from one end of any one end assembly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A first upright material for forming a head portion of the body; 상기 제1직립재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는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직 설치되어 상기 침대의 이동면을 형성하는 제2직립재; 및A second upright materia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pright material so as to be vertically slidably moved up and down between the end assemblies facing the first upright material to form a moving surface of the bed; And 정방형상을 이루어, 상기 제1및 제2직립재와 상기 단부 조립체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평이 되게 설치되어 매트리스를 안치시키기 위한 상기 침대의 바닥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수평이 되게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상기 단부 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부 조립체와 함께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지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In a square shape,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uprights and the end assembly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bed for seating the mattress, and to be horizontal to the floor. And a mattress support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end assemblies disposed at a distance to form the mattress support together with the end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재는 창살 모양의 정방형상을 이루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좌우 양측에 측설되어 그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과, 그 지지 레일과 베이스가 형성하는 상하단에 설치되는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트 매트리스 지지용 단부재 중 어느 1개는 상기 침대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직립재와 대향하게 상기 매트리스 지지체의 끝단에 입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The mattress support material of claim 1, wherein the mattress supporting material has a grate-shaped square base, support rails stak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to support the base, and coats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formed by the support rail and the base. And a mattress support end material, wherein any one of the coat mattress support end materials is placed at the end of the mattress support facing the first upright material forming the head portion of the b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조립체의 굴곡부재 하부에는 바닥과 대면하는 받침용 발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oot facing the bottom of the bending member of the end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조립체에는 상기 침대에서 상기 매트리 지지재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지지하는 브라켓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키트.The furniture k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assembly further includes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mattress supporting member in the bed while moving up and down.
KR1020050091010A 2005-09-29 2005-09-29 A Furniture Kit KR100719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010A KR100719315B1 (en) 2005-09-29 2005-09-29 A Furniture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010A KR100719315B1 (en) 2005-09-29 2005-09-29 A Furniture K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74U Division KR200417805Y1 (en) 2005-09-29 2005-09-29 A Furniture K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239A true KR20070036239A (en) 2007-04-03
KR100719315B1 KR100719315B1 (en) 2007-05-22

Family

ID=3815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010A KR100719315B1 (en) 2005-09-29 2005-09-29 A Furniture K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315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705A (en) * 1985-03-05 1986-11-18 Joubert Roger D Toddler bed construction utilizing crib converter kit
ZA947159B (en) * 1993-09-22 1995-05-16 Inntegra A G Furniture k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315B1 (en)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50B1 (en) Crib having movable and stationary sides, multiple bases, and a base connector
US7713175B2 (en) Infant activity systems
US9204733B2 (en) Child&#39;s walking and jumping device
EP2868235A1 (en) Changing carrier for a play yard
US5263424A (en) Utility/activity structure and activity board therefor
KR200456524Y1 (en) Multipurpose physical training
US2629110A (en) Playpen
KR100719315B1 (en) A Furniture Kit
KR200417805Y1 (en) A Furniture Kit
JP6116763B1 (en) Remodelable baby cot
KR200382312Y1 (en) Structure for fixing of bed frame
JP2002177054A (en) Plural kind of furniture having top board and leg for supporting top board
TWM550089U (en) Baby game crib with a liftable door
WO2017199377A1 (en) Knockdown bed
RU75286U1 (en) CHILDREN&#39;S GAME WALL
JP7430675B2 (en) bed equipment
JP3165098U (en) Climbing exercise equipment
US6269496B1 (en) Crib
CN201039866Y (en) Self-pacificating and self-acting device for baby
JP2006122397A (en) Recombination type bunk bed
JP3118391U (en) Bed frame
ES2292295A1 (en) Medical bedstead, has elevation system and inclination support, where two independent structures are interconnected by support to upload, download or tilt, each formed by arm and other internal foot or wheels
KR20220058981A (en) Whiteboard stand for closely on wall surface
KR20240003205A (en) A spring flxing device for playing equipment
KR101515941B1 (en) Bed frame with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