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993A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993A
KR20070035993A KR1020060094087A KR20060094087A KR20070035993A KR 20070035993 A KR20070035993 A KR 20070035993A KR 1020060094087 A KR1020060094087 A KR 1020060094087A KR 20060094087 A KR20060094087 A KR 20060094087A KR 20070035993 A KR20070035993 A KR 2007003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tion
node
message
relay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2930B1 (ko
Inventor
강현정
조재원
임형규
손영문
이성진
이미현
주판유
손중제
김영호
홍송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3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드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노드의 중계국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그널링 절차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릴레이 통신 시스템, 중계국, 중계국 기능 협상

Description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CAPABILITY NEGOTI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지국 서비스 영역 확대를 위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과의 릴레이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상위 중계국,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과의 릴레이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상위 중계국,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드(혹은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상위 중계국,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 칭함)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 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 이하 'LAN'이라 칭함)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 이하 'MAN'이라 칭함)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a 통신 시스템 및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a 통신 시스템 및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MAN 시스템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광대역(broadband) 전송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이라 칭함)/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OFDMA'이라 칭함)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a 통신 시스템은 현재 가입자 단말기(Subscriber Station : 이하 'SS'라 칭함)가 고정된 상태, 즉 상기 SS의 이동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 및 단일 셀 구조만을 고려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상기 IEEE 802.16a 통신 시스템에 상기 SS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시스템이며, 상기 이동성을 가지는 SS를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 이하 'MS'이라 칭함)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100)과 셀(150)을 가지며, 상기 셀(100)을 관장하는 기지국(Base Station : BS)(110)과, 상기 셀(150)을 관장하는 기지국(140)과, 다수의 MS들(111, 113, 130, 151, 1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들(110, 140)과 상기 MS들(111, 113, 130, 151, 153) 간의 신호 송수신은 상기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MS들(111, 113, 130, 151, 153) 중 상기 MS(130)는 상기 셀(100)과 상기 셀(150)의 경계 지역, 즉 핸드오버(handover) 영역에 존재한다. 즉, 상기 MS(130)이 상기 기지국(11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기지국(140)이 관장하는 셀(150)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MS(130)의 서빙 기지국(serving BS)은 상기 기지국(110)에서 상기 기지국(140)으로 변경된다.
상기 일반적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상기 도 1과 같이, 고정된 기지국과 MS 간에 직접 링크를 통해 시그널링 송수신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기지국과 MS 간에 신뢰도가 높은 무선 통신 링크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선망 구성에 있어서 유연성이 낮으며, 따라서,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 변화가 심한 무선 환경에서는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802.16e 통신 시스템과 같은 일반 셀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 고정된 중계국(relay station) 혹은 이동성을 갖는 중계국 혹은 일반 MS들을 이용하여 다중 홉 릴레이 형태의 데이터 전달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 무선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키고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과 MS 간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경우, 상기 기지국과 MS 사이에 중계국을 설치하여 상기 중계국을 통한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상기 MS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 지역에서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고,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200)과 셀(240)을 가지며, 상기 셀(200)을 관장하는 기지국(Base Station : BS)(210)과, 상기 셀(240)을 관장하는 기지국(250)과, 상기 셀(200) 영역 안에 위치하는 다수의 MS들(211, 213)과, 상기 기지국(210)이 관리하지만 상기 셀(200) 영역 밖의 영역(230)에 존재하는 다수의 MS들(221, 223)과, 상기 기지국(210)과 상기 영역(230)에 존재하는 MS(221, 223)들 간에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중계국(220)과, 상기 셀(240) 영역 안에 위치하는 다수의 MS들(251, 253, 255)과, 상기 기지국(250)이 관리하지만 상기 셀(240) 영역 밖의 영역(270)에 존재하는 다수의 MS들(261, 263)과, 상기 기지국(250)과 상기 영역(270) 에 존재하는 MS(261, 263)들 간에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중계국(2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들(210, 250)과 상기 중계국들(220, 260)및 상기 MS들(211, 213, 221, 223, 251, 253, 255, 261, 263) 간의 신호 송수신은 상기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셀(200)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MS들(211, 213)과 상기 중계국(220)은 상기 기지국(210)과 신호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지만, 상기 영역(230)에 존재하는 MS들(221, 223)은 상기 기지국(210)과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중계국(220)은 상기 영역(230)을 관장하며, 상기와 같이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지 못하는 상기 기지국(210)과 상기 MS들(221, 223) 간의 신호를 릴레이 하고, 상기 MS들(221, 223)은 상기 중계국(220)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21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240) 영역에 포함되는 MS들(251, 253, 255)과 상기 중계국(260)은 상기 기지국(250)과 신호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지만, 상기 영역(270)에 존재하는 MS들(261, 263)은 상기 기지국(250)과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중계국(260)은 상기 영역(270)을 관장하며, 상기와 같이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지 못하는 상기 기지국(250)과 상기 MS들(261, 263) 간의 신호를 릴레이 하고, 상기 MS들(261, 263)은 상기 중계국(260)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25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310)과 다수의 MS들(311, 313, 321, 323, 331, 333)과 상기 기지국과 상기 MS 간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중계국들(320, 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310)과 상기 중계국들(320,330) 및 상기 MS들(311, 313, 321, 323, 331, 333)간의 신호 송수신은 상기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310)은 셀(300)을 관장하며, 상기 셀(300) 영역에 포함되는 MS들(311, 313, 321, 323, 331, 333)과 중계국들(320, 330)은 상기 기지국(310)과 신호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일부 MS들(321, 323, 331, 333)과 같이 상기 MS가 상기 셀(300) 가장자리 가까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기지국(310)과 상기 일부 MS들(321, 323, 331, 333) 간의 직접 링크의 수신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 이하 'SNR'이라 칭함)는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계국(320)은 상기 기지국(310)과 상기 MS들(321, 323)의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릴레이 하고, 상기 MS들(321, 323)은 상기 중계국(320)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310)과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국(330)은 상기 기지국(310)과 상기 MS들(331, 333)의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릴레이 하고, 상기 MS들(331, 333)은 상기 중계국(330)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310)과 유티캐스트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계국들(320, 330)은 상기 MS들(321, 323, 331, 333)에게 고속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MS들의 유효 전송률을 높이고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 2 혹은 도 3의 다중 홉 릴레이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계국들(220, 260, 320, 330)은 각 기지국들(210, 250, 310)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인프라 스트럭처(infrastructure) 중계국이거나, 상기 SS 혹은 MS와 같은 이동 단말기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client) 중계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국들(220, 260, 320, 330)은 이동성이 없는 고정 중계국이거나, 노매딕(nomadic)한 특성을 갖는 노매딕 중계국이거나, 상기 MS와 같은 이동성을 갖는 이동 중계국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릴레이를 지원할 수 있는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용량 증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등의 기준을 가지고 잠재 중계국을 중계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잠재 중계국과의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잠재 중계국을 인지하고 상기 잠재 중계국과의 중계국 기능 지원을 협상할 수 있는 방법 및 절차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 여부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잠재 중계국을 인지하고 상기 잠재 중계국과의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노드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노드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노드의 제 1 중계 능력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제 2 중계 능 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4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가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는,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노드와, 상기 노드로부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는,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고,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와, 상기 노드로부 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노드의 제 1 중계 능력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상기 상위 중계국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노드가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기 지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 혹은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노드의 제 1 중계 능력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노드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제 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포 워딩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포워딩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는,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와,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포워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포워딩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지시 메시지(INDICATE MSG)가 수신될 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의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상위 중계국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노드로부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포워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노드(node)가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과의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이라 칭함) 방식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OFDMA'이라 칭함)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은 상기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들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며, 다중 셀(multi-cell) 구조를 지원하여 MS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이하 설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이라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노드(400)는 411단계에서 파워 온 됨에 따라 기지국(410)을 서빙국(serving station)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지국(410)에서 전송하는 하향링크 프리앰블(preamble)을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노드(400)는 41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410)과의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고, 41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410)과 기본 능력 협상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410)으로 SBC-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BC-REQ 메시지는 상기 노드(400)가 상기 기지국(410)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는 기본 능력 정보, 예를 들어, 물리 계층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SBC-REQ 메시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드(400)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SBC-REQ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능력 정보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Name Type (1byte) Length (bytes) Value
RS capability TBD 1 Bit #0: RS support; if the bit is set to 0, the node does not support relay function. if the bit is set to 1, the node supports relay function. Bit #1: Fixed RS support Bit #2: Nomadic RS support Bit #3: Mobile RS support Bit #4: infrastructure RS support Bit #5: client RS support Bit #6-7: reserved; shall be set to zero notes: if bit #0 is set to zero, other bits shall be set to zero.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계 능력 인코딩 정보는 상기 인코딩의 이름(RS capability), 상기 인코딩의 타입(To be determined : 이하 'TBD'라 칭함), 상기 인코딩의 크기(1 바이트), 상기 인코딩 값을 포함한다. 상기 RS capability(중계국 능력)의 인코딩 값 중 Bit #0은 상기 노드(400)의 중계국 기능 지원 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Bit #0이 0인 경우에는 상기 노드(4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 경우,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의 나머지 7개 비트 값은 0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0이 1인 경우에는 상기 노드(4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1에서 Bit #5는 상기 노드(400)가 고정 중계국의 기능을 지원하는지 혹은 노매딕 중계국의 기능을 지원하는지 혹은 이동 중계국의 기능을 지원하는지 혹은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의 기능을 지원하는지 혹은 클라이언트 중계국의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기지국(410)은 상기 SBC-REQ 메시지를 수신하고, 417단계에서 상기 노드(400)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 선택에 필요한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410) 서비스 영역 확대 또는 시스템 용량 증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410)은 419단계에서 상기 SBC-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417단계의 결정 사항을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BC-RSP 메시지는 상기 SBC-REQ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410)이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EQ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기지국(410)은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SBC-RSP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Name Type (1byte) Length (bytes) Value
RS capability TBD 1 Bit #0: RS support confirm; if the bit is set to 0, the receiver node shall not support relay function. if the bit is set to 1, the receiver node supports relay function. Bit #1: Fixed RS support confirm Bit #2: Nomadic RS support confirm Bit #3: Mobile RS support confirm Bit #4: infrastructure RS support Bit #5: client RS support Bit #6-7: reserved; shall be set to zero notes: if bit #0 is set to zero, other bits shall be set to zero. notes: if each bit is set to 0 in 'RS capability' of [표 1], the corresponding bit in [표 2] shall not be set to 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계 능력 인코딩 정보는 상기 인코딩의 이름(RS capability), 상기 인코딩의 타입(TBD), 상기 인코딩의 크기(1 바이트), 상기 인코딩 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S capability(중계국 능력)의 인코딩 값 중 Bit #0은 상기 기지국(410)이 상기 노드(400)를 중계국으로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Bit #0이 0인 경우는 상기 기지국(410)이 상기 노드(400)의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나머지 7개 비트 값은 0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의 Bit #0이 1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410)이 상기 노드(400)의 중계국 기능을 허용함을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Bit #0이 1인 SBC-RS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400)는 중계국으로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410)이 수신한 SBC-REQ 메시지의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0이 1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노드(4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상기 기지국(410)은 상기 SBC-RSP 메시지의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0을 1로 설정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1에서 Bit #5는 상기 노드(400)의 고정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노매딕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이동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클라이언트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1에서 Bit #5는 상기 415단계에서 수신한 SBC-REQ 메시지의 RS capability 인코딩 정보에 상응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상기 노드(400)가 지원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상응하는 비트 값을 0으로 설정해야 한다.
한편, 상기 <표 1>의 SBC-REQ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표 2>의 SBC-RSP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능력 정보는 동일한 인코딩 타입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능력 정보의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두 개의 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다.
이후, 상기 415단계 내지 419단계를 통한 기본 기능 협상 절차를 완료한 상기 노드(400)와 상기 기지국(410)은 421단계에서 통신에 필요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415단계 내지 419단계에서 결정된 중계국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절차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노드(400)는 42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410)으로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과의 릴레이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상위 중계국,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노드(500)는 511단계에서 파워 온 됨에 따라 상위 중계국(540)을 서빙국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위 중계국(540)에서 전송하는 하향링크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노드(500)는 513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540)과의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고, 515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540)과 기본 능력 협상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SBC-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BC-REQ 메시지는 물리 계층 파라미터 등 상기 노드(500)가 지원할 수 있는 기본 능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상위 중계국(540)은 517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SBC-REQ 메시지로부터 상기 노드(500)의 중계국 기능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노드(5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상위 중계국(540)은 5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510)으로 상기 노드(500)의 중계 능력 정보를 알리기 위해 SBC-REQ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SBC-REQ 메시지는 상기 노드(5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와, 상기 515단계에서 수신한 SBC-REQ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노드(500)의 MAC 주소나 상기 노드에게 할당된 기본 연결 식별자(Basic CID)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510)은 상기 노드(500)의 중계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521단계에서 상기 노드(500)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결정한다. 상기 중계국 결정을 위한 기준은 상기 기지국(510)의 서비스 영역 확대 및 시스템 용량 증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510)은 5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521단계의 결정 사항을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를 상위 중계국(54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SBC-RSP 메시지는 상기 노드(500)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521단계의 결정 사항을 나타내는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SBC-RSP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에는 상기 노드(500)가 중계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가 표시된다.
이후, 상기 상위 중계국(540)은 상기 SBC-RSP 메시지를 수신하고, 52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510)이 결정한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515단계의 SBC-REQ 메시지에 포함된 노드(500)의 다른 기본 기능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노드(500)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노드(500)가 상기 <표 2>의 RS capability 인코딩 값의 Bit #0이 1인 SBC-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노드(500)는 중계국으로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519단계와 523단계에서 상위 중계국(540)과 기지국(510)이 노드(500)의 중계 능력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SBC-REQ/RSP 메시지가 아닌 새로운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새로운 메시지는 노드(500)의 식별자와 상기 노드(500)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노드(500)의 중계국 기능이 허용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능력 정보 외에 상기 노드(500)의 프리앰블 정보가 상기 중계 능력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515단계 내지 525단계의 기본 기능 협상 절차를 완료한 상기 노드(500)와 상기 상위 중계국(540)과 상기 기지국(510)은 527단계에서 통신에 필요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기본 기능 협상 절차에서 결정된 상기 노드(500)의 중계국 기능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절차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노드(500)는 529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540)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510)으로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상위 중계국(540)이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의 Bit #0이 0으로 설정된 상기 515단계의 SBC-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상위 중계국(540)은 상기 노드(5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510)이 상기 노드(500)의 중계국 기능 설정을 결정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519단계와 523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도 4와 도 5에서는 노드가 초기 접속 절차 중 기본 능력 협상 절차에서 상기 SBC-REQ 메시지 및 SBC-RSP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중계국 기능 지원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 과정은 상기 기본 능력 협상 절차 외에 다른 초기 접속 절차 중에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하기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 과정을 등록 절차 중에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노드(600)는 611단계에서 파워 온 됨에 따라 기지국(610)을 서빙국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지국(610)에서 전송하는 하향링크 프리앰블(preamble)을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노드(600)는 61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610)과의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고, 61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610)과 SBC-REQ 메시지 및 SBC-RSP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기본 능력 협상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SBC-REQ 메시지 및 SBC-RSP 메시지는 상기 노드(600)가 상기 기지국(610)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는 기본 능력 정보, 예를 들어, 물리 계층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노드(600)는 6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610)과 통신에 필요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노드(600)는 61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610)으로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REG-REQ 메시지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노드(600)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610)은 상기 REG-REQ 메시지를 수신하고, 621단계에서 상기 노드(600)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 선택에 필요한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610) 서비스 영역 확대 및 시스템 용량 증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610)은 623단계에서 상기 RE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621단계의 결정 사항을 포함하는 REG-RSP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REG-RSP 메시지는 상기 REG-REQ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610)이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REG-REQ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즉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한 REG-RSP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상기 <표 2>의 RS capability(중계국 능력)의 인코딩 값 중 Bit #0이 1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610)이 상기 노드(600)의 중계국 기능을 허용함을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Bit #0이 1인 REG-RS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600)는 중계국으로서 동작하게 된다. 혹은, 상기 61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610)이 수신한 REG-REQ 메시지의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0이 1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노드(6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상기 기지국(610)은 상기 REG-RSP 메시지의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0을 1로 설정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1에서 Bit #5는 상기 노드(600)의 고정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노매딕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이동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혹은 클라이언트 중계국 기능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1에서 Bit #5는 상기 619단계에서 수신한 REG-REQ 메시지의 RS capability 인코딩 정보에 상응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상기 노드(600)가 지원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상응하는 비트 값을 0으로 설정해야 한다.
한편, 상기 노드(600)가 상기 623단계에서 수신한 REG-RSP 메시지의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 중 Bit #0이 1인 경우 즉, 상기 기지국(610)이 상기 노드(600)의 중계국 기능을 허용한 경우에는 상기 노드(600)의 프리앰블 정보가 상기 REG-RSP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REG-RSP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국 기능이 허용된 노드의 프리앰블 정보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Name Type (1byte) Length (bytes) Value
RS preamble info TBD 1 information of RS preamble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리앰블 인코딩 정보는 상기 인코딩의 이름(RS preamble info), 상기 인코딩의 타입(TBD), 상기 인코딩의 크기(1 바이트), 상기 중계국 기능이 허용된 노드의 프리앰블 정보에 해당하는 인코딩 값을 포함한다. 상기 프리앰블 정보는 중계국 기능을 수행하게 된 상기 노드(600)가 상기 노드의 프리앰블 전송 영역에서 전송할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인덱스 혹은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623단계의 REG-RSP 메시지를 수신하여 중계국 기능 수행이 결정된 상기 노드(600)는 상기 <표 3>의 프리앰블 정보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노드(600)의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 구성 방법 및 프리앰블 전송 방법 등과 관련된 동작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REG-REQ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REG-RSP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는 동일한 인코딩 타입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능력 정보의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두 개의 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과의 릴레이 통신 수행 중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상위 중계국,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노드(700)는 711단계에서 파워 온 됨에 따라 상위 중계국(740)을 서빙국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위 중계국(740)에서 전송하는 하향링크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노드(700)는 713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740)과의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고, 715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740)과의 기본 능력 협상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SBC-REQ 메시지 및 SBC-RSP 메시지를 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SBC-REQ 메시지 및 SBC-RSP 메시지는 물리 계층 파라미터 등 상기 노드(700)가 지원할 수 있는 기본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노드(700)는 717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740) 및 상기 기지국(710)과의 통신에 필요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노드(700)는 상기 상위 중계국(740)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710)으로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719단계에서 상위 중계국(740)으로 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REG-REQ 메시지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드(700)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위 중계국(740)은 721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REG-REQ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700)의 중계국 기능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노드(7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상위 중계국(740)은 7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710)으로 상기 노드(700)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중계 능력 정보를 알리기 위해 REG-REQ 메시지를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REG-REQ 메시지는 상기 노드(7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와, 상기 719단계에서 수신한 REG-REQ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상기 노드(700)의 MAC 주소나 상기 노드(700)에게 할당된 기본 연결 식별자(Basic CID)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710)은 상기 노드(700)의 중계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725단계에서 상기 노드(700)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결정한다. 상기 중계국 결정을 위한 기준은 상기 기지국(710)의 서비스 영역 확대 및 시스템 용량 증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710)은 72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25단계의 결정 사항을 포함하는 REG-RSP 메시지를 상기 상위 중계국(74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REG-RSP 메시지는 상기 노드(700)의 식별자 정보와 상기 725단계의 결정 사항을 나타내는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REG-RSP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에는 상기 노드(700)가 중계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기지국(710)이 상기 노드(700)가 중계국 기능을 수행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72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710)이 상기 노드(700)로 전송하는 REG-RSP 메시지에 상기 <표 3>의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REG-RS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위 중계국(740)은 72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710)이 결정한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719단계의 상기 REG-REQ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노드(700)의 등록 절차에 필요한 다른 기능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EG-RSP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7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상위 중계국(740)이 상기 기지국(710)으로부터 상기 <표 2>의 RS capability 인코딩 값의 Bit #0이 1로 설정되고 상기 <표 3>에 해당하는 상기 노드(700)의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하는 REG-RSP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729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740)이 상기 노드(700)로 전송하는 REG-RSP 메시지에는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상기 노드(700)가 상기 <표 2>의 RS capability 인코딩 값의 Bit #0이 1인 RE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노드(700)는 중계국으로서 동작하게 되고, 상기 <표 3>의 프리앰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723단계와 727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740)이 상기 기지국(710)에게 상기 노드(700)의 중계 능력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REG-REQ/RSP 메시지가 아닌 새로운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노드(700)의 식별자와 상기 노드(700)의 중계 능력 정보 및 상기 노드(700)의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상위 중계국(740)이 상기 RS capability의 인코딩 값의 Bit #0이 0으로 설정된 상기 719단계의 REG-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상위 중계국(740)이 상기 노드(700)가 중계국 기능을 지원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지국(710)이 상기 노드(700)의 중계국 기능 설정을 결정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노드(700)의 중계국 기능 결정을 위한 상기 723단계와 727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 지원 협상을 위한 노드, 상위 중계국,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위 중계국은 노드와 기지국 간 주고받는 메시지 정보를 읽지 못하고 단순히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노드(900)는 911단계에서 상위 중계국(940)과의 동기를 획득한 뒤, 913단계에서 상기 상위 중계국(940)을 통한 기지국(910)과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REQ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94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노드(900)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중계 능력 정보(relay capability info)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위 중계국(940)은 915단계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910)에게 포워딩한다.
이후,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910)은 917단계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내용을 처리하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노드(900)의 중계 능력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노드(900)의 중계국 기능을 결정한 후, 9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노드(900)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RSP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940)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위 중계국(940)은 921단계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노드(900)에게 포워딩한다.
이때, 상기 919단계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위 중계국(940)으로 전송한 상기 기지국(910)은 923단계에서 상기 중계 능력 정보 및 상기 노드(900)와 상기 상위 중계국(940)이 통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940)에게 전송한다. 이후, 상기 상위 중계국(940)은 925단계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로부터 상기 노드(900)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중계 능력 정보 및 상기 노드와의 통신 수행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드, 상위 중계국(RS), 기지국(BS)의 블록 구성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인터페이스 모듈(통신모듈)을 갖는 상기 노드, 상위 중계국(RS) 및 기지국(BS)은 동일한 블록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하나의 장치를 가지고 노드, 상위 중계국 및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드(혹은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제어메시지 처리 위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노드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801)는 노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계국 기능 협상 관련 동작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801)는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메시지를 메시지처리부(803)로 제공하고, 상기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 전송할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로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는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메시지를 분해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801)로 통보한다. 본 발명에 따라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1)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중계국 기능 협상 정보 처리부(807)를 제어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는 상기 제어부(801)의 제어하에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에게 송신할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EQ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상기 제어부(801)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로 전달된다.
상기 중계국 기능 협상 정보 처리부(807)는 상기 제어부(801)의 제어 하에 상기 중계국 기능 정보 파라미터들에 상응하게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과의 필요한 통신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저장부(809)는 상기 노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저장부(809)는 일반적으로 노드가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은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RF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에어(air)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예를 들어, 광대역 무선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의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 및 채널 디코딩하여 원래의 정보데이터를 제어부(801)로 전달한다. 역으로, 상기 제어부(801)로부터의 데이터를 채널인코딩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하여 상기 RF처리부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상위 중계국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801)는 상위 중계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계국 기능 협상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801)는 노드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메시지를 메시지 처리부(803)로 제공하고, 상기 노드 혹은 기지국으로 전송할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로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는 노드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메시지를 분해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801)로 통보한다. 본 발명에 따라 노드로부터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EQ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 혹은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1)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는 상기 제어부(801)의 제어 하에 기지국에게 송신할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EQ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 혹은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노드에게 송신할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상기 제어부(801)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로 전달된다.
상기 중계국 기능 협상 정보 처리부(807)는 상기 제어부(801)의 제어 하에 상기 상위 중계국이 관리하는 노드에게 제공할 중계 능력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809)는 상위 중계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저장부(809)는 노드 혹은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은 노드 혹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RF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에어(air)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예를 들어, 광대역 무선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의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 및 채널 디코딩하여 원래의 정보데이터(트래픽 혹은 제어메시지)를 제어부(801)로 전달한다. 역으로, 상기 제어부(801)로부터의 정보데이터를 채널인코딩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하여 상기 RF처리부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기지국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801)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드의 중계국 기능 협상 절차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801)는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메시지를 메시지 처리부(803)로 제공하고, 상기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할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로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는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메시지를 분해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801)로 통보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EQ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 혹은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나, 노드로부터 상기 <표 1>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EQ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1)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는 상기 제어부(801)의 제어 하에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으로 송신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노드에게 송신할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혹은, 본 발명에 따라 상위 중계국에게 송신할 상기 <표 2>의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SBC-RSP 메시지 혹은 REG-RSP 메시지 혹은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801)로 제공한다. 혹은, 본 발명에 따라 중계국 기능을 수행하기로 결정된 노드의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하는 REG-RSP 메시지 혹은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819)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상기 제어부(801)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로 전달된다.
상기 중계국 기능 협상 정보 처리부(807)는 상기 제어부(801)의 제어 하에 중계국 기능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노드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계국 기능 협상 정보 처리부(807)는 상기 중계국 기능을 지원하는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하기 위한 결정 기능 및 상기 중계국 기능을 지원하기로 결정된 중계국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809)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저장부(809)는 일반적으로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811)은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RF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에어(air)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예를 들어, 광대역 무선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의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 및 채널 디코딩하여 원래의 정보데이터(트래픽 혹은 제어메시지)를 제어부(801)로 전달한다. 역으로, 상기 제어부(801)로부터의 정보데이터를 채널인코딩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하여 상기 RF처리부로 제공한다.
상술한 노드, 상위 중계국, 기지국의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801)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 및 상기 중계국 기능 협상 정보 처리부(807)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1)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803)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805)와 상기 중계국 기능 협상 정보 처리부(807)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제어부(80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80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 특히, 기지국과 MS 간 직접 링크 채널 상황이 열악한 경우 상기 MS와 상기 기지국 간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중계국을 사용하는 다중 홉 릴레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지원하는 노드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서빙 기지국과의 중계국 기능 협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중계국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그널링 절차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계국을 통해 상기 MS에게 상기 기지국과 직접 링크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와 동일한 서비스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8)

  1.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구성 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고,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 수신 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과 인증 절차 및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구성 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고, 초기 레인징 절차와 기본 능력 협상 절차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결정한 경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중계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프리앰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시스템 용량 증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이동 단말기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중계국, 이동성이 없는 고정 중계국, 노매딕(nomadic)한 특성을 갖는 노매딕 중계국, 이동 중계국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노드의 제 1 중계 능력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4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가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구성 전, 상기 노드가 상기 상위 중계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고,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메시지 수신 후, 상기 노드가 상기 상위 중계국 및 상기 기지국과 인증 절차 및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구성 전, 상기 노드가 상기 상위 중계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고, 초기 레인징 절차 및 기본 능력 협상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상위 중계국 및 상기 기지국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결정한 경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3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중계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프리앰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시스템 용량 증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이동 단말기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중계국, 이동성이 없는 고정 중계국, 노매딕(nomadic)한 특성을 갖는 노매딕 중계국, 이동 중계국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노드와,
    상기 노드로부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이동 단말기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중계국, 이동성이 없는 고정 중계국, 노매딕(nomadic)한 특성을 갖는 노매딕 중계국, 이동 중계국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시스템 용량 증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한 경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고, 중계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프리앰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를 전송하는 상기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통신시스템에서 노드의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고,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 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와,
    상기 노드로부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노드의 제 1 중계 능력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상기 상위 중계국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시스템 용량 증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이동 단말기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중계국, 이동성이 없는 고정 중계국, 노매딕(nomadic)한 특성을 갖는 노매딕 중계국, 이동 중계국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한 경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3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3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상기 상위 중계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4 메시지가 수신될 시, 중계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프리앰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를 전송하는 상기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통신시스템에서 노드가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구성 전, 상기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고,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 수신 후, 상기 기지국과 인증 절차 및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구성 전, 상기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고, 초기 레인징 절차와 기본 능력 협상 절차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중계국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중계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프리앰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프리앰블 시퀀스(sequence)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 혹은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 혹은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시스템 용량 증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수신 전, 상기 노드와의 시스템 동기 획득 절차와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 전송 후, 상기 노드와의 인증 절차와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수신 전, 상기 노드와의 시스템 동기 획득 절차와 초기 레인징 절차와 기본 능력 협상 절차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하였을 시, 중계국 프리앰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통신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 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의 중계국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노드의 제 1 중계 능력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와 상기 노드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수신 전, 상기 노드와의 시스템 동기 획득 절차와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수신 전, 상기 노드와의 시스템 동기 획득 절차와 초기 레인징 절차와 기본 능력 협상 절차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가 상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제 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위 중계국이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포워딩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구성 전, 상기 노드가 상기 상위 중계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 전송 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시스템 용량 증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이동 단말기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중계국, 이동성이 없는 고정 중계국, 노매딕(nomadic)한 특성을 갖는 노매딕 중계국, 이동 중계국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위 중계국을 통한 기지국과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는 상기 노드와 상위 중계국이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에 따라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일반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와,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포워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포워딩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지시 메시지(INDICATE MSG)가 수신될 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의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상위 중계국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확대, 시스템 용량 증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중계국, 이동 단말기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중계국, 이동성이 없는 고정 중계국, 노매딕(nomadic)한 특성을 갖는 노매딕 중계국, 이동 중계국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위 중계국을 통한 기지국과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5.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는 상기 노드와 상위 중계국이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6. 통신시스템에서 상위 중계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로부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포워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5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지시 메시지(INDICATE MSG)가 수신될 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의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노드의 중계국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제 1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노드를 중계국으로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가 중계국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상위 중계국으 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중계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메시지(INDICATE MSG)를 상기 상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94087A 2005-09-28 2006-09-27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82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0701 2005-09-28
KR1020050090701 2005-09-28
KR20050103630 2005-11-01
KR1020050103630 2005-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993A true KR20070035993A (ko) 2007-04-02
KR100782930B1 KR100782930B1 (ko) 2007-12-07

Family

ID=3789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087A KR100782930B1 (ko) 2005-09-28 2006-09-27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70929A1 (ko)
KR (1) KR1007829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416B1 (ko) * 2007-10-29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150013286A (ko) * 2012-05-21 2015-02-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단말기, 및 코어 네트워크 기기
WO2016163735A1 (en) * 2015-04-08 2016-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support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75471A1 (ko) * 2015-04-30 2016-11-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메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6704B2 (en) * 2007-06-29 2011-03-2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communication scheduling in a multihop network
CN101588582B (zh) * 2008-05-22 2012-10-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识别中继的方法和装置
US8630262B2 (en) * 2008-09-11 2014-0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Signaling exchange for handover control for wireless networks
WO2010099705A1 (zh) * 2009-03-06 2010-09-1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中继节点网络接入的方法、系统及网络设备
CN101883359A (zh) * 2009-05-04 201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继站入网的方法及装置
KR101552757B1 (ko) * 2009-06-19 2015-09-11 블랙베리 리미티드 타입 ⅱ 중계 노드 초기화 프로시저들
CN101932120B (zh) * 2009-06-22 2013-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中继节点与网络节点连接建立方法及装置
JP5251776B2 (ja) * 2009-07-27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基地局、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および中継装置
CA2792762C (en) * 2010-04-14 2016-0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a search space for a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BR112012032065B1 (pt) * 2010-06-22 2021-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Nó de retransmissão para uma rede de acesso por rádio, nó de rede para uma rede de acesso por rádio ou uma rede núcleo e método para operação de um nó de retransmissão em uma rede de acesso por rádio
EP2664213A1 (en) * 2011-01-14 2013-11-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apability reporting for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US9191098B2 (en) 2011-01-14 2015-1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apability reporting for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GB201201915D0 (en) 2012-02-03 2012-03-21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system
US20150124647A1 (en) * 2013-11-01 2015-05-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ate updates in a mesh network
CN111328080B (zh) * 2018-12-17 2023-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的方法和通信装置
US11223411B2 (en) * 2019-11-01 2022-01-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joint beam sweep configuration in 5G networks
US11690015B2 (en) * 2021-03-26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listen mode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vice
US11757579B2 (en) * 2021-05-12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acknowledgment by relay nod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0006B2 (ja) 1999-11-01 2002-11-25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リピーター機能搭載携帯電話
KR100424722B1 (ko) * 2001-07-27 2004-03-27 김면식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통신방법 및 그 장치
JP2004297640A (ja) 2003-03-28 2004-10-21 Hitachi Ltd 移動体間通信中継システム
JP2004320370A (ja) 2003-04-15 2004-11-1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システム
JP4367906B2 (ja) 2003-07-23 2009-11-18 庸美 徳原 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移動通信機
KR20050035025A (ko) * 2003-10-11 2005-04-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중계 장치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416B1 (ko) * 2007-10-29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150013286A (ko) * 2012-05-21 2015-02-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단말기, 및 코어 네트워크 기기
WO2016163735A1 (en) * 2015-04-08 2016-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support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83014B2 (en) 2015-04-08 2019-08-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support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75471A1 (ko) * 2015-04-30 2016-11-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메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930B1 (ko) 2007-12-07
US20070070929A1 (en)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930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84336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요청에 의한 단말 핸드오버 지원 장치및 방법
KR100883790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61743B1 (ko)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24239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이동 중계국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4876104B2 (ja) 多重ホップ中継方式を使用する広帯域無線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中継局により構成されたブロードキャストメッセージの送信情報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70038657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 교섭 장치 및 방법
US77693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 identifiers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0872413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및 인접 중계국 정보 획득 방법
KR100872419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노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72421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최적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0891295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타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871338B1 (ko)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90357B2 (ja) 多重ホップ中継方式を使用する広帯域無線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間リンク領域の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US86493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reamble change of relay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KR101567896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화된 기지국 내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0974193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해제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91571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종료 시그널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700726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station typ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78322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중계국 정보 처리 장치 및방법
KR20070110766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간 경로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542519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프리앰블 변경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80082774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이동 중계국의 프리앰블 변경을 처리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20080037976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프레임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인코딩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