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481A -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481A
KR20070035481A KR1020067018992A KR20067018992A KR20070035481A KR 20070035481 A KR20070035481 A KR 20070035481A KR 1020067018992 A KR1020067018992 A KR 1020067018992A KR 20067018992 A KR20067018992 A KR 20067018992A KR 20070035481 A KR20070035481 A KR 2007003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sotropic diffusion
diffusion medium
light
predetermined direc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사쿠 히가시
마코토 무라타
유키오 야마구치
다카후미 우에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to KR102006701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481A/ko
Publication of KR2007003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8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having an axis of symme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에 있어서, 수지층의 내부에,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형성시키고, 이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모두 소정의 방향 P에 대해 평행하게 뻗고, 이방성 확산 매체의 한쪽측의 임의의 점에서의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의 각 입사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직선 투과광량을, 이방성 확산 매체의 다른쪽측 공간의 상기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출사점을 기점으로 하여 출사 방향으로 벡터 표시한 경우에, 이들 벡터의 끝을 연결해 얻어지는 곡면을, 소정의 방향 P에 대칭축을 갖는 종 형상 곡면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ANISOTROPIC DIFFUSING MEDIU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직선 투과 광량이 크게 변화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입사 각도에 따라 투과광의 확산 특성이 변화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및 이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확산성을 갖는 부재는, 옛부터 조명 기구나 건축재에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의 디스플레이. 특히 LCD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부재의 광 확산 발현 기구로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한 산란(표면 산란), 매트릭스 수지와 그 안에 분산된 필러간의 굴절율차에 의한 산란(내부 산란) 및 표면 산란과 내부 산란의 양쪽에 의한 것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광 확산 부재는, 일반적으로 그 확산 성능이 등방적이고, 입사 각도를 조금 변화시켜도, 그 투과광의 확산 특성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특정 각도로부터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할 수 있는 광 제어판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77001호 공보 참조). 이 광 제어판인 특수한 광 확산 부재는, 각각의 굴절율에 차이가 있는 분자내에 1개 이상의 광 중합성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복수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특정 방향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플래스틱 시트로, 이 시트에 대해 특정한 각도를 이루는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시키는 것이다.
이 광 제어판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로는, 상술의 「각각의 굴절율에 차이가 있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광 중합성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복수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외에도,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47405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1-14740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2-54201호 공보 참조). 또한,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A와, 이 A와의 굴절율차가 0.01이상인 중합성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가지지 않는 화합물 B와의 조합이나,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2중 결합을 복수개 가지고, 그 경화 전후의 굴절율차가 0.01 이상인 화합물이 열거되어 있고(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3-109501호 공보 참조), 또한, 라디칼(radical) 중합성 화합물과 비닐에테르를 관능기에 갖는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과의 조합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6-9714호 공보 참조).
또한, 이 광 제어판의 제조 방법으로는, 각도 특성이 다른 광 제어판을 적층하여 복수의 각도의 선택 산란을 생성시키는 방법(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309902호 공보 참조), 분할한 복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선상(線狀) 광 조사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다른 영역에는 별도의 각도로부터 선상 광 조사원이나 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여, 산란하는 각도 범위가 다른 다양한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40903호 공보 참조), 서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선상 조사 광원으로부터 동시에 광을 조사하는 방법(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40905호 공보 참조), 또한, 광 중합성 조성물의 막상(膜狀)체의 폭 방향으로 선상 광원을 배치하여 이 막상체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한 연속 생산 방법(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67501호 공보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광 제어판이 도시하는, 특정한 각도로부터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할 수 있는 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은, 일본국 특개평 1-147405호 공보의 도면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광 제어판 제작 시에 그 상공에 배치한 선상 광원을 광 제어판 표면에 투영한 선을 중심으로 하여 광 제어판을 회전시킨 경우에 관찰되는 것이다. 즉, 선상 광원의 투영선과 직교하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한 경우는, 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이 거의 보이지 않거나, 앞의 선상 광원의 투영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경우와는 크게 다른 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종래의 광 제어판의 모식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종래의 광 제어판은, 시트형상 기체 내에, 굴절율이 다른 판상의 영역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a)에, B-B선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b)에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종래의 광 제어판은, A-A선 단면에서 본 경우에는 굴절율이 다른 영역이 교대로 나타나는데, B-B선 단면에서 본 경우에는 굴절율의 변화가 없고, 균질하다. 즉, A-A선 단면 내에서는 입사각 의존성을 볼 수 있는데, B-B선 단면내에서는 입사각 의존성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들 광 제어판 형성의 원리는, 반드시 명백하지 않지만, 「굴절율이 다른 영역이 있는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경화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므 로(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51101호 공보 참조), 광 중합성 조성물의 광 중합 과정에서, 공간적으로 불균일하게 반응이 진행되어 굴절율이 다른 미소 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특정한 각도로부터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할 수 있는 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굴절율이 다른 영역이 규칙성을 가지는 방향으로 배향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선상 광원에 의한 광 조사가 필수이다. 즉, 면 광원이나 확산 광원 조사에서는 미소 구조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투명해지고, 점 광원이나 평행광 조사에서는 미소 구조는 형성되지만 규칙성이 없기 때문에 방향성이 없는 광 산란을 부여할 뿐이라고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4090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1-40906호 공보 및 특개평 3-87701호 공보 참조).
이상 설명한 광 제어판은, 특이한 광 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인데, 상술과 같이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밖에 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특정 방향의 시각을 제한하기 위한 건축재 용도로 사용될 뿐이다.
또한, 일정각 범위의 입사광만을 투과하고, 그 이외의 입사광은 차광하는 성질을 갖는, 라이트 컨트롤 필름 또는 루버 필름이라고 불리는 광학 필름도 알려져 있고, 예전에는 계기반의 배면 조명이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시각 제어, 즉 엿보기 방지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는 투명 플래스틱층과 착색 플래스틱층을 교대로 다수 적층 압착하여 제작한 블록을, 상기 플래스틱층에 대해 직각 내지 소정의 각도로 평평하게 깍아내 얻어지는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0-92751호 공보 및 특허 제3043069호 참조). 이 루버 필름은, 그 필름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로 착색 루버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조이므로, 루버의 방향에 거의 평행한 광선은 투과하지만, 인접하는 복수의 루버를 통과하는 각도로 입사하는 광에 대해서는, 루버에서 흡수되어 투과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루버 필름도, 특정한 각도로부터의 입사광만을 투과한다고 하는 이방성은 나타내지만, 앞의 광 제어판과 마찬가지로 루버가 설치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필름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광 투과성에 변화를 볼 수 있고, 루버와 직교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필름을 회전시켜도 투과광의 입사 각도 의존성은 볼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이상의 종래 기술에 의거해 이방성 확산 매체의 개량을 목표로 하여, 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이 이방성 확산 매체 내의 특정한 직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 경우에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임의의 직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 산란도 조정할 수 있는 매체를 개발하기 위해, 첨의한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방법으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이방성 확산 매체의 표면에 요철을 자기 조직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로서, 수지층의 내부에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모두 소정의 방향 P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는 구조를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를, 대면적으로 연속적으로 제조 가능한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1 실시 형태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로서, 수지층 내부에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모두 소정의 방향 P에 대해 평행하게 뻗고, 이방성 확산 매체의 한쪽 측의 임의의 점에서의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의 각 입사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직선 투과 광량을, 이방성 확산 매체의 다른쪽측 공간의 상기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출사점을 기점으로 하여 출사 방향으로 벡터를 표시한 경우에, 이들 벡터의 끝을 연결해 얻어지는 곡면이, 소정의 방향 P에 대칭축을 갖는 종 형상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방성 확산 매체에 의하면, 굴절율이 다르고 또한 소정의 방향 P에 평행하게 뻗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가 이방성 확산 매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방향 P로부터의 입사광에 대응하는 직선 투과 광량이 소정의 방향 P 또는 그 근방에 최소치를 나타내고, 소정의 방향 P에서 경사진 각도로부터의 입사광에 대응하는 직선 투과 광량은, 이 경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증가하고, 어느 각도 이상에서는 증가가 멈추어 포화치를 나타낸다. 즉, 직선 투과 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은, 소정의 방향 P를 포함하는 임의의 입사면에서 동일한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임의의 점 O에 입사하는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응하는 투과광의 직선 투과 광량을 벡터로 표시한 경우에, 이들 벡터의 끝을 연결해 얻어지는 곡면은, 도 3에 도시하는 종 형상을 가지는 곡면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은,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형성하고, 소정의 방향 P에 배치된 점상(點狀) 광원으로부터 시트에 대해 평행 광선을 조사하고, 조성물을 경화시켜, 시트 내에 소정의 방향 P에 평행하게 뻗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방향 P에 배치된 점상 광원으로부터 서로 평행 광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소정의 방향 P에 대해 평행하게 뻗는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수지 중에 갖는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2 실시 형태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로서, 수지층의 내부에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모두 소정의 방향 P에 대해 평행하게 뻗고, 또한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이 표면 요철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 및 요철의 최대 높이 Ry가 하기 식(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5㎛≤Ra≤1.0㎛ (1)
1.0㎛≤Ry≤5.0㎛ (2)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방향 P에 따라 뻗는 직선이 법선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또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이방성 확산층을 투명 기체 상에 적층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이에 직선 P의 방향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고,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세하게는, 직선 P의 방향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여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 조성물에 있어서의 평행 광선의 출사측의 면을 대기 중에 노출하거나, 또는 가요성(flexibility)의 시트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수지층은, 그 적어도 한쪽 표면이 요철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표면 거칠기를 가지고 있다. 이 요철은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제작할 때에 자기 조직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은,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소정의 방향 P에 배치된 점상 광원으로부터 시트에 대해 평행 자외선을 조사하고, 조성물을 경화시켜, 시트 내에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시트형상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이 입사하는 측에서 경화를 시작하고, 그 기구는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소정의 방향 P에 평행한 방향으로 봉 형상 경화 영역을 형성하면서 경화가 진행되어 간다. 또한, 이 경화가 자외선의 입사측과 반대측까지 이르렀을 시에, 시트형상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접하는 기체의 재질이 굴곡성을 갖는 경우에,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성장점이 돌출하는 형으로 이면에 요철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서는, 시트 내에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는 특별한 내부 구조에 기인하는 이방성 확산 기능과, 그 봉 형상 경화 영역에 대응하는 표면 요철 형상에 기인하는 등방성 확산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형성되는 표면 요철은, JIS B 0601-1994에 준거한 표면 거칠기로 표현한 경우, 다음 범위 내인 것이 필요하다.
산술 평균 거칠기 : 0.15≤Ra≤1.0 (㎛)
최대 높이 : 1.0≤Ry≤5.0 (㎛)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15㎛ 미만, 또는 최대 높이 Ry가 1.0㎛ 미만에서는,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해져, 본 발명의 특징인 표면 요철에 기인하는 등방성 확산 기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Ra가 1.0㎛보다 크거나, 또는 Ry가 5.0㎛보다 큰 경우는, 표면 요철에 기인하는 등방성 산란 기능이 주가 되어 내부 구조에 기인하는 이방성 확산 기능이 거의 발현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의 다른 양태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이 시트에 소정 방향 P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여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시트 내부에 방향 P에 평행하게 뻗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형성시키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선상 광원과 시트와의 사이에, 방향 P에 평행하게 배치한 통 형상물의 집합을 개재시키고, 이 통 형상물을 통해서 광조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및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선상 광원과 시트형상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의 사이에, 방향 P에 평행하게 배치한 통 형상물의 집합을 개재시키고, 이 통을 통해서 광 조사를 행한다. 따라서, 선상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는 가려지고, 이 통 형상물에 평행한 방향의 광만이 통 형상물을 통과하여 피경화물에 조사되기 때문에, 시트형상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임의의 1점에 있어서의 조사 조건은, 종래의 점상 광원으로부터 광 조사를 받은 것과 동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점상 광원에 의한 조사로 제작된 이방성 확산 매체와 동일한 내부 구조 및 광학 특성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를 대면적으로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광 제어판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종래의 광 확산 매체에 있어서의 A-A선 단면(선상 광원의 방향과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2(b)는, 도 1의 종래의 광 확산 매체에 있어서의 B-B선 단면(선상 광원의 방향과 평행한 단면)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투과하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이방성 확산 매체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직선 L만을 회전축으로 한 경우).
도 7은 이방성 확산 매체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에 있어서의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도 8의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있어서의 A-A선 단면을 도시하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9(b)는, 도 8의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있어서의 B-B선 단면(A-A선 단면에 직교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도 8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투과하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투과하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3은 이방성 확산 매체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직선 L 및 M을 회전축으로 한 경우).
도 14는 종래의 광확산 매체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에 있어서의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소정의 직선 P 방향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여 제작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있어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설명하는 모식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에 있어서의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표면 요철부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표면 요철부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표면 요철부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 : 이방성 확산 매체 2 : 봉 형상 경화 영역
3 : 수광부 4 : 선상 광원
5 : 통 형상 공동(空洞) 6 : 통 형상물의 집합체
7 : 볼록부 8 : 오목부
9 : (투명) 기체 10 : 필름 기체
I : 입사광 T : 투과광
P : 입사 방향 P1, P2 : 입사면
S : 이방성 확산 매체 표면의 법선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서는, 그 확산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이, 매체 표면에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직선 P를 포함하는 임의의 입사면 내에서 거의 동일하고, 직선 P를 중심으로 대칭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확산 특성으로는, JIS-K7105이나 JIS-K7136로 표시되는 확산 투과율이나 평행 광선 투과율, 헤이즈로 표현되는데, 이들은 적분구에 샘플을 밀착시켜 광 누설이 없는 조건에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측정되는 것으로, 입사 각도를 임의로 바꾸는 측정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즉, 이방성 확산 매체의 확산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을 평가하기 위한 공적으로 인정된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시하지 않은 광원과 수광기(3)와의 사이에 샘플을 배치하고, 샘플 표면의 직선 L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샘플을 직진 투과하여 수광기(3)에 들어가는 광량을 측정하는 측정 원리에 의해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를 행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장치로는, 시판의 헤이즈메타나 변각 광도계, 분광 광도계에 있어서, 광원과 수광부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샘플 홀더를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지는 광량의 값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것인데, 직선 투과광량의 각도 의존성으로서 도 7에서 도시되 는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 직선 광선 투과량에 의해 산란 특성의 각도 의존성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헤이즈메타로 측정되는 확산 투과율이나 평행 광선 투과율, 헤이즈 등의 값을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을 한다.
도 8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이방성 확산 매체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 이방성 확산 매체(1)의 내부에는, 미소한 봉 형상 경화 영역(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봉 형상 경화 영역(2)은, 이방성 확산 매체(1)의 법선 S방향에 배치된 점상 광원으로부터 서로 평행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들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모두 법선 S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일례에 있어서의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다. 이들은 도 8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란, 도 8에 모식적으로 나타냈지만, 도 9에 도시하는 전자 현미경 사진에 의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봉 형상이란 조사 광원으로부터 추정하여 도 8에서는 원주상으로 모식적으로 기재했는데, 두께 방향으로 봉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원 형상, 다각 형상, 부정 형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를 투과하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 2는 봉 형상 경화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법선 S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이방성 확산 매체의 윗쪽으로부터 광이 입사하고, 아랫쪽으로 출사하는 경우, 법선 S방향, 즉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입사광 I0는, 이방성 확산 매체를 통과할 때에 강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그 대응하는 직선 투과광량은 작다. 도 10에서는, 이를 I0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고, 직선 투과광량에 비례한 크기를 가지는 투과광 벡터 T0로 표시한다. 다음에, 이 입사광 I0로부터 일정한 각도만큼 경사진 입사광 I1에 대해서는, 이에 대응하는 직선 투과광량이 증가하므로, 그 투과광 벡터 T1는 T0보다 커진다. 또한, 입사광 I1보다도 깊은 각도로부터의 입사광 I2에서는, 그 대응하는 투과광 벡터 T2는 T1보다도 더욱 커진다.
입사광 I0로부터 경사지는 모든 입사광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투과광량을 벡터로 표현하고, 그 벡터 선단부를 연결하면, 도 10에 파선으로 표시하는 대칭성을 가지는 곡선이 얻어진다. 또한, 입사광 I0를 포함하는 다른 단면에 대해서 동일한 검토를 행한 경우도, 모든 단면에 대해서 도 10과 동일한 파선의 곡선이 얻어진다. 즉, 모든 방향에 대해서 얻어지는 투과광 벡터의 선단을 연결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법선 S방향으로 축을 갖는 종 형상 곡면이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법선 S방향으로부터 임의의 각도 경사진 방향 P를 대칭축으로 한 입사광 각도 의존성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를 투과하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 2는 봉 형상 경화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이방성 확산 매체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검토를 하면,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연장 방향인 P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 I0, 이에 대해 경사지는 입사광 I1, I2의 각각에 대응하는 투과광 벡터 T0, T1, T2의 선단을 연결하면, 도 12에 파선으로 표시한 곡선이 얻어지고, 또한, 입사광 I0를 포함하는 모든 단면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투과광 벡터의 선단을 연결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방향 P에 대칭축을 갖는 종 형상 곡면이 얻어진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 1-77001호 공보 등에 의거해 제작된 광 제어판도, 도 7과 동일한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특정한 직선 L을 중심으로 샘플을 회전시킨 경우만이고, 샘플면 내의 직선 L과 직교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경우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전혀 다른 양상을 나타내게 된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직선 L과 동일한 방향의 선상 광원으로부터 광 조사를 하여 제작한 광 제어판에 대해, 직선 L을 중심으로 광 제어판을 회전시킨 경우의 직선 투과광량의 각도 의존성은 도 14의 실선으로 표시되는데, 직선 L과 직행하는 직선 M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경우는, 파선과 같이 전혀 다른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직선 P의 방향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고,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작되는 것으로, 이 직선 P를 포함하는 모든 입사면 내에서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이 거의 동일하고, 그 형상은 직선 P를 중심으로 대칭성을 나타낸다. 도 15에,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대해, 이를 제작할 때에 조사한 평행 광선의 입사 방향을 대표하여 직선 P로 표시한다. 직선 P의 이방성 확산 매체와의 교점을 O로 하여, 이방성 확산 매체의 법선 S와 직선 P로 만드는 입사면 P1이 정의되고, 또한 이 입사면 P1과 수직으로 직선 P를 포함하는 입사면 P2도 정의된다. 이 2개의 입사면 P1과 P2에 있어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도 16에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는 직선 P의 방향을 입사각 0°로 하고 있는데, 양 입사면에 대해서 입사각 의존성은 거의 동일하고, 그 형상도 직선 P를 중심으로 대칭성을 나타내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는 직선 P를 포함하는 모든 입사면에 대해서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측정하여 입체화하면, 직선 P를 중심으로 한 종 형상의 회전체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직선 P를 포함하는 모든 입사면 내에서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이 거의 동일하다고 기술했는데, 이 「거의 동일」에 대해서 설명한다.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은 도 7에 도시되는 것처럼, 특정한 입사 각도 범위에서 직선 투과광량이 저하하여 골짜기 형태를 나타내고, 여기서 반치폭을 이방성 확산 특성의 입사 각도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입사면에서 입사 각도 범위의 차가 15°이내인 것에 대해서 「거의 동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형상이 소정의 방향 P를 중심으로 대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했는데, 여기서 말하는 대칭성이란, 도 7에 있어서 방향 P를 가리키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0°로 하고, 입사각이 플러스측의 영역에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R, 마찬가지로 마이너스측의 차를 △L로 표시하여, 0.5≤(△R/△L)≤ 2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직선 P의 방향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고,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제작되는데, 이 직선 P의 방향으로는, 매체의 법선으로부터의 경사가 45°이내인 것이 요구되고, 30°이내가 바람직하고, 15°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직선 P가 법선과 일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45°이상의 깊은 경사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 조사광의 흡수 효율이 나빠 제조상 불리하고, 또한 본 발명에 표시되는 직선 P를 포함하는 임의의 입사면 내에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동일성을 보유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도 12로부터도 명백하듯이, 방향 P의 법선에 대한 경사가 큰 경우, 방향 P에 대해 동일한 각도만큼 경사진 입사광 I2끼리도, 이방성 확산 매체 중의 광로 길이가 각각 현저하게 달라져, 투과광 T2의 광량에 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는, 이상 설명한 내부 구조와 이에 기인하는 광학 특성 이외, 표면 요철을 갖는 것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표 면 요철부(7) 및 (8)는 봉 형상 경화 영역(2)에 대응하므로, 그 볼록부(7)의 간격은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직경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는 광 경화성 화합물이나 광 개시제의 종류나 배합량, 자외선 조사 방법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7) 및 (8)의 높이에 대해서도, 기체(9)의 종류나 두께를 선택함으로써 조정이 가능하고, 유리나 금속과 같은 경도가 높은 기체 상에서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제작한 경우에는, 표면 요철은 거의 얻어지지 않지만, PET 필름과 같은 가요성이 높은 기체를 사용한 경우, 상술의 내부 구조에 대응한 표면 요철이 형성된다. 즉, 기체의 가요성이 높을수록 요철의 높이가 커지므로, 기체의 재질과 두께를 선택함으로써, 요철 높이의 조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형태로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이방성 확산층 단독, 상기 이방성 확산층을 투명 기체상에 적층한 구성, 이방성 확산층의 양측에 투명 기체를 적층한 구성이 제공 가능하다. 여기서 투명 기체로는, 투명성이 높은 것일수록 양호하고, 전 광선 투과율(JIS K 7361-1)이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 또한, 헤이즈값(JIS K 7136)이 3.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투명한 플래스틱 필름이나 유리판 등이 사용가능한데, 얇고, 가볍고, 잘 깨지지 않고,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래스틱 필름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PI), 방향족폴리아미드, 폴리술폰(PS), 폴리 에테르술폰(PES), 셀로판,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콜(PVA), 시클로올레핀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단독 또는 혼합, 나아가 적층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두께는, 용도나 생산성을 고려하면 1㎛∼5㎜, 바람직하게는 1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형성하는 기체로서, 상기 이외에, 목재 펄프로 형성되는 종이 및 합성지 등이 사용가능하다. 목재 펄프를 주원료로 한 종이로는, LBKP 단독 또는 NBKP과 LBKP를 혼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NBKP와 LBKP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종이질을 고려하면, NBKP의 배합비가 50% 이하가 되는 비율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지(原紙)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이면, 고지(古紙)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원지로서 이용되는 목재 펄프지의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지력(紙力) 증강제를 안에 첨가할 수도 있다. 지력 증강제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크롤히드린 수지, 카티온화 전분, 아세틸화 전분 등의 변성 전분,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CMC, 구아감, 변성 구아감,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민계 수지, 에폭시 변성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종 합성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무기 충전제 및 다른 첨가제를 추가해 용융 혼련하고, 시트형상으로 압출, 2축 연신법에 의해서 막을 제조하고, 지화함으로써 천연지가 가지는 다양한 성질을 부여한 종래의 합성지가 사용가능하다. 주원료의 합성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지는 천연지와 비교해 강도, 내수성, 치수 안정성, 내후성 (대기 환경에 견디는 성질), 무먼지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다.
합성지의 제조법으로는, 2축 연신법 이외에도, 스플릿 화이버(split fiber)를 적층하여 지화(紙化)를 행하는 방법, 미소 발포의 필름으로부터 지화를 행하는 방법, 각종 합성 섬유를 짧게 절단하여 종래의 습식 초지법(抄紙法)으로 합성 섬유지를 얻는 방법, 합성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혼합하여 반합성 섬유지를 얻는 방법, 또한 종래의 습식법에 의하지 않고서 건식으로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지화를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목재 펄프지나 합성지에 대해, 상술한 각종 플래스틱 필름의 박막을 적층한 라미네이트지를 본 발명의 기체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라미네이트 방법으로는, 가열하여 필름을 융착시키는 핫 라미네이트법이나, 상온으로 접착하는 필름을 적층하는 콜드 라미네이트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한 이방성 확산층을 포함하는데, 이 조성물로는 다음과 같은 조합이 사용 가능하다.
(1) 후술하는 단독의 광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
(2) 후술하는 복수의 광 중합성 화합물을 혼합 사용하는 것
(3) 단독 또는 복수의 광 중합성 화합물과, 광 중합성을 가지지 않는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
어떠한 조합에 있어서도, 광 조사에 의해 이방성 확산층 내에, 굴절율이 다른 미크론 오더의 미세한 구조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나타나는 특이한 이방성 확산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 (1)에서는 광 중합의 전후에 있어서의 굴절율 변화가 큰 쪽이 바람직하고, 또한 (2)(3)에서는 굴절율이 다른 복수의 재료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굴절율 변화나, 굴절율의 차이란, 구체적으로 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의 변화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층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재료인 광 경화성 화합물은, 라디컬 중합성 또는 카티온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머, 올리고머,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광 중합성 화합물과 광 개시제로 구성되고, 자외선 및 가시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중합·고화되는 재료이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주로 분자중에 1개 이상의 불포화 2중 결합을 함유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의 명칭으로 불리는 아크릴올리고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퍼릴아크릴레이트, 이소노르보닐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록시프탈산,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EO 부가물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 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메타크릴레이트도 사용가능한데, 일반적으로는 메타크릴레이트보다도 아크릴레이트쪽이 광 중합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나 비닐에테르기, 옥세탄기를 1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2-에틸헥실디글리콜글리시딜에테르, 비페닐의 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물 첨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AD, 비스페놀 S, 테트라메틸비스페놀 A, 테트라메틸비스페놀 F, 테트라클로로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등의 비스페놀류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류, 페놀노보락, 글레졸노보락, 브롬화페놀노보락, 오르토크레졸노보락 등의 노보락 수지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 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 A의 EO 부가물, 비스페놀 A의 PO 부가물 등의 알킬렌글리콜류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류, 헥사하이드로프탈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나 다이머산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글리시딜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또한, 3, 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 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2-(3,4-에폭시시클로헥실-5, 5-스피로-3, 4-에폭시) 시클로헥산-메타-디옥산, 디(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디(3, 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3, 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3’, 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 르복시레이트, 메틸렌비스(3, 4-에폭시시클로헥산), 디시클로펜타디엔디에폭시드, 에틸렌글리콜의 디(3, 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에틸렌비스(3, 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락톤 변성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 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테트라(3, 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디(3, 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4, 5-에폭시테트라하이드로프탈레이트 등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 헥산디올디비닐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프로페닐에테르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닐에테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는 카티온 중합성이지만, 아크릴레이트와 조합함으로써 라디칼 중합도 가능하다.
또한, 옥세탄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1, 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은, 각 단체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시킬 수 있는 광 개시제로는, 벤조페논, 벤질, 미히라즈케톤, 2-클로로티옥산톤, 2, 4-디에틸티옥산톤,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 2-디에톡시아세트페논, 벤질디메틸케 탈, 2, 2-디메톡시-1, 2-디페닐에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 -2-몰포리노프로파논-1, 1-[4-(2-하이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 6-디플루오로-3-(필-1-일)티타늄,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타논-1,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의 광 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서 산을 발생하고, 이 발생한 산에 의해 상술의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합물로, 일반적으로는, 오늄염, 메탈로센 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오늄염으로는, 디아조늄염, 술포늄염, 요드늄염, 포스포늄염, 셀레늄염 등이 사용되고, 이들 쌍 이온에는, BF4 -, PF6 -, AsF6 -, SbF6 - 등의 아니온이 이용된다. 구체예로는, 4-클로로벤젠디아조늄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풀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풀루오로안티모네이트,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파이드-비스-헥사플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4-(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파이드-비스-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4-메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풀루오로안티모네이트, (4-메톡시페닐)페닐요드늄헥사풀루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드늄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헥사풀루 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셀레늄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η5-이소프로필벤젠)(η5-시클로펜타디에닐)철(Ⅱ) 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광 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7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 정도 배합된다. 이는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광 경화성이 저하하고, 10 중량부를 넘어 배합한 경우에는, 표면만이 경화하여 내부의 경화성이 저하해 버리는 폐해가 나오기 때문이다. 이들 광 개시제는, 통상 분말체를 광 중합성 화합물 내에 직접 용해하여 사용되는데, 용해성이 나쁜 경우는 광 개시제를 미리 극소량의 용제에 고농도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용제로는 광 중합성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탄산프로필렌,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 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공지의 각종 염료나 증감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 중합성 화합물을 가열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는 열 경화 개시제를 광 개시제와 함께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광 경화후에 가열함으로써 광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 경화를 더욱 촉진하여 완전한 것으로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를 혼합한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방성 확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 경화성 화합물과 광 경화성을 가지지 않는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 명의 이방성 확산층을 형성가능하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스틸렌 수지, 스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산 비닐 수지 접착제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수지와 광 경화성 화합물은, 광 경화전은 충분한 상용성을 갖고 있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 상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종 유기 용제나 가소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경화성 화합물로서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고분자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상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는, 상술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이에 직선 P의 방향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고,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체상에 시트형상으로 설치하는 수법으로는, 통상의 도공 방식이나 인쇄 방식이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닥터코팅,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나이프 코팅, 리버스 코팅, 트랜스퍼 롤 코팅, 그라비아 롤 코팅, 키스 코팅, 캐스트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 오리피스 코팅, 캘린더 코팅, 댐 코팅, 딥 코팅, 다이 코팅 등의 코팅이나, 그라비아 인쇄 등의 오목판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공판(孔版) 인쇄 등의 인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이 저점도인 경우는, 기체의 주위에 일정한 높이의 둑을 설치하고, 이 둑으로 둘러싸인 내에 조성물을 캐스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형상으로 설치한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광 조사를 행하 기 위한 광원으로는, 통상은 숏 아크의 자외선 발생 광원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메타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봉 형상의 발광면을 갖는 광원은, 본 발명에서는 부적당하다. 이러한 봉 형상 광원을 사용하면, 판상의 경화 영역이 형성되고, 도 1, 도 2, 및 도 14에 도시하는 종래의 광 확산 매체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형상으로 형성된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소정의 방향(직선 P)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시킬 필요가 있어, 레지스트의 노광에 사용되는 노광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즈가 작은 것을 제작하는 경우는, 자외선 스폿 광원을 이용해 충분히 떨어진 거리로부터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한 것에 조사하는 광선은, 상기 광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 가능한 파장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고, 통상은 수은등의 365㎚을 중심으로 하는 파장의 광이 이용된다. 이 파장대를 사용해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층을 제작하는 경우, 조도로는 0.01∼100mW/㎠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mW/㎠의 범위이다. 조도가 0.01mW/㎠ 이하면 경화에 장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나빠지고, 100mW/㎠ 이상이면 광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가 너무 빨라 구조 형성이 생기지 않아, 원하는 이방성 확산 특성을 발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제작하기 위한, 기체의 선정과 광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하나는 가요성의 필름 기체(10) 상에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그 위를 필요에 따라 다른 투 명 기체로 덮고, 아래쪽에서부터 광 조사를 하는 예이다. 이 경우, 하부에 배치한 가요성 필름 기체측에 접하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된 표면에 요철이 생겨, 결과적으로 양자는 박리하기 쉬워지므로, 이 가요성 필름은 반드시 투명한 것이 아니어도 상관없다(도 17 참조). 또한 다른 예로는, 투명성이 높은 기체 상에, 동일한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설치한 후, 그 표면을 별도의 기체로 덮지않고, 투명 기체측으로부터 광 조사를 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투명 기체측에서 성장을 개시한 봉 형상 경화 영역은 그대로 미경화 성분이 소비될 때까지 성장하기 때문에, 동일한 조성물로 비교하면 가장 큰 표면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도 18 참조). 또한,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2매의 투명한 가요성 필름으로 끼워 지지하고, 그 양측으로부터 광 조사하여, 양측에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9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점상 광원이 아니라, 도공 장치나 인쇄기에 많이 이용되는 선상 광원을 사용해 동일한 내부 구조와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을 제작하기 위해, 선상 광원과 시트형상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의 사이에, 방향 P에 평행하게 배치한 통 형상물의 집합을 개재시키고, 이 통을 통해서 광 조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통 형상물이란, 내부가 공동이고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소위 종이를 원통상으로 뭉친 것 같은것을 가리킨다. 이 통형상물을 같은 방향으로 다수 모으고, 선상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 통형상물을 통과시켜 피경화물에 조사함으로써, 시트형상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임의의 1점에 있어서의 조사 조건은, 종래의 점상 광 원으로부터 광 조사를 받은 것과 동등하게 되고, 따라서 이에 따라 얻어지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내부 구조도 종래의 점상 광원 조사로 제작된 것과 동일하게 되고, 그 광학 특성도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통형상물을 이용한 광조사의 모식도를, 도 4 및 도 5에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사용하는 통 형상물의 단면 형상은, 원이나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이들 조합 등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다. 통 형상물 1개의 크기는, 단면의 직경이 1∼100㎜, 길이는 10∼1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의 직경 D와, 그 길이 L과의 사이에는 (L/D)>5, 바람직하게는 (L/D)>10, 보다 바람직하게는 (L/D)>20이라는 관계가 요구된다. 통 형상물의 직경이 1㎜보다 작은 경우는, 통을 통과하는 광의 양이 너무 적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100㎜을 넘는 직경에서는, 광의 평행도가 불충분해 종래의 점상 광원과 동등한 조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통 형상물의 길이에 대해서도, 10㎜보다 짧은 경우는, 종래의 점상 광원과 동등하다는 조사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한편 1000㎜를 넘게 되면,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조사되는 광 강도가 작아져, 장시간의 노광이 필요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 형상물의 집합은, 그 일단은 선상 광원의 바로 근방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시트형상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근접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 한쪽 또는 양쪽이 떨어져 있는 경우, 시트형상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표면에 조사되는 광은, 원래의 선상 광원의 형을 반영하여 선상을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통 형상물로부터의 광이 혼합되어, 본래 바 람직한 점상 광원으로부터의 조사 조건을 재현할 수 없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통 형상물 및 그 집합체의 재질은, 특별히 제약되지 않고, 유리, 세라믹스, 금속, 플래스틱 등이 사용 가능한데, 선상 광원으로부터의 강한 광이나 열에 내구성이 있고, 물리적 강도도 강한 쪽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US나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및 합금류나, 내열성 고분자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광을 투과시키는 통의 내측은, 가능한한 광을 반사시키지 않도록, 검은 도장을 실시하거나, 금속의 흑화 처리를 행하거나, 또한 정전 식모(靜電 植毛)를 행하기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통 형상물의 집합은, 시트형상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방에 설치되는데, 이를 통해서 조사되는 광은 통 형상물의 단면에 의거하는 스폿 광의 집합이므로, 각각의 스폿 사이에는 조사 강도가 약한 부분이 생겨 버린다. 그래서, 통 형상물의 집합과 시트형상의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해 전체 조사 강도를 균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물의 집합을 그 방향 P를 고정한 상태에서 좌우로 왕복시키거나, 원형 궤도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속 생산을 하는 경우는,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척품(長尺品)을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 장척품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한 선상 광원과 통 형상물의 집합으로부터 광을 조사시키면 된다. 여기서 경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상 광원과 통 형상물의 집합을 복수개 직렬로 설치함으로 써 대응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폭 방향의 조사량을 보다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장척품의 흐름 방향에 대해, 통 형상물의 단면 형상인,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변의 방향이 같아지지 않도록 연구하거나, 통 형상물의 집합을 상술과 같이 좌우 왕복이나 원형으로 회전시키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유효하다.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광 조사를 하기 위한 광원으로, 본 발명에서는 봉 형상의 발광면을 갖는 광원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고압 수은 램프, 저압 수은 램프, 메타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플래시 램프 등이 사용가능하다. 이 봉 형상의 광원으로는, 직경 20∼50㎜, 발광 길이 100∼1500㎜ 정도의 것이 시판되고 있고, 제작할 이방성 확산 매체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1 실시 형태
실시예 1
76×26㎜ 사이즈의 슬라이드 유리의 가장자리부 전체 둘레에, 디스펜서를 사용해 경화성 수지로 높이 0.5㎜의 격벽을 형성했다. 이 안에 하기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떨어뜨리고, 별도의 슬라이드 유리로 커버했다.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共榮社 화학제, 상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TMP-6EO-3A) 100중량부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치바·스페셜티·케미컬제, 상품명: Darocurel173) 4중량부
이 양면을 슬라이드 유리로 끼워진 0.5㎜ 두께의 액막에 대해, UV 스폿 광원(하마마츠 호토닉스 제, 상품명: L2859-01)의 낙하 입사용 조사 유닛으로부터 수직으로, 조사 강도 30mW/㎠의 자외선을 1분간 조사했다. 그 후 양측의 슬라이드 유리를 빼내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와 동일한 슬라이드 유리에 끼워진 상태의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발광 길이 125㎜의 선상 UV 광원(일본 UV 머신 제, 상품명: 핸디 UV 장치 HUV-1000)으로부터, 실시예와 동일한 조사 강도의 자외선을 수직으로 조사했다. 그 후 양측의 슬라이드 유리를 빼내 이방성 확산 매체를 얻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선상 UV 광원의 길이 방향을 슬라이드 유리의 단변과 일치시켰다.
고니오포토메타(村上 색채 제, 상품명: GP-5)를 사용해, 광원으로부터의 직진광을 받는 위치에 수광부를 고정하고, 그 사이의 샘플 홀더에 실시예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이방성 확산 매체를 셋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샘플을 제작할 때에 사용한 슬라이드 유리의 단변 방향을 회전축(L)으로 하여 샘플을 회전시켜 각각의 입사각에 대응하는 직선 투과광량을 측정하고, 이를 「단변축 회전」이라고 명명했다. 다음에 샘플 홀더로부터 샘플을 일단 빼고, 이를 면 내에 90°회전시켜 다시 셋함으로써, 이번에는 슬라이드 유리의 장변을 회전축(M)으로 하는 직선 투과광량을 측정하여, 「장변축 회전」으로 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 대해서, 2개의 회전축에 대해 측정한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다. 실시예 1에서 는 단변축 회전과 장변축 회전의 양자 모두 입사각 0°로 작은 산을 포함하는 깊은 골짜기 형으로, 거의 좌우 대칭인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1의 이방성 확산 매체에서는, 단변축 회전과 장변축 회전에서, 크게 양상이 다르다. 즉, 단변축 회전에서는 실시예 1과 유사한 골자기형을 나타내는데, 장변축 회전에서는 입사각을 바꾸어도 직선 투과광량은 단변축 회전의 골짜기 크기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2. 제 2 실시형태
비교예 2
76×26㎜ 사이즈의 슬라이드 유리의 가장자리부 전체 둘레에, 디스펜서를 사용해 경화성 수지로 높이 0.5㎜의 격벽을 형성했다. 이 안에 하기의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을 떨어트리고, 별도의 슬라이드 유리로 커버했다.
·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共英社 화학사 제, 상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TMP-6EO-3A) 100중량부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치바·스페셜티·케미컬제, 상품명: Darocurel173) 1중량부
이 양면을 슬라이드 유리로 끼워진 0.5㎜ 두께의 액막에 대해, UV 스폿 광원(하마마츠 호토닉스 제, 상품명: L2859-01)의 낙하 입사용 조사 유닛으로부터 수직으로 거리 30㎝이고, 조사 강도 30mW/㎠의 자외선을 10분간 조사했다. 그 후 양측의 슬라이드 유리를 빼내 본 발명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얻었다.
실시예 2
2매의 슬라이드 유리 중의 1매를 두께 75㎛의 박리 PET 필름으로 바꾼 이외 의 조건은 모두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제작했다. 또한, 자외선은 슬라이드 유리판측에서 조사했다.
상기 비교예 2 및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이방성 확산 매체에 대해서,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표면 거칠기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112006066767844-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방성 확산 매체의 표면측은 경면 광택에 가까운 평활함을 갖지만, 이면쪽은 요철이 나타나 있다. 또한, 이면에 접촉해 있는 재질이 단단한 유리의 경우(비교예 2)보다도 부드러운 PET 필름쪽(실시예 2)이 그 표면 거칠기의 정도가 커지는 것도 나타나 있다.
계속해서, 고니오포토메타(村上색채사 제, 상품명: GP-5)를 사용해, 광원으로부터의 직진광을 받는 위치에 수광부를 고정했다. 그 사이의 샘플 홀더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이방성 확산 매체를 셋하고, 샘플을 회전시켜 각각의 입사각에 대응하는 직선 투과광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22에 도시한다.
비교예 2는 내부 구조에 기인하는 이방성 확산 특성이 현저하게 나타나 있고, 직선 투과광량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이가 매우 큰데 대해, 실시예 2는 내부 구조에 기인하는 이방성 확산 특성에 표면 요철의 영향이 가해졌으므로, 직선 투과광량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매우 작아지고, 또한 0°부근의 직선 투과광량의 피크가 현저하게 커진다.

Claims (12)

  1.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로서,
    상기 수지층의 내부에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모두 소정의 방향 P에 대해 평행하게 뻗고,
    상기 이방성 확산 매체의 한쪽측의 임의의 점에서의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의 각 입사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직선 투과 광량을, 상기 이방성 확산 매체의 다른쪽측 공간의 상기 임의의 점에 대응하는 출사점을 기점으로 하여 출사 방향으로 벡터를 표시한 경우에, 이들 벡터의 끝을 연결해 얻어지는 곡면이, 상기 소정의 방향 P에 대칭축을 갖는 종 형상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 P는, 상기 이방성 확산 매체 표면에 대한 법선 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3. 투명 기체 상에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이방성 확산 매체를 적층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4.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이방성 확산 매체의 양측에 투명 기체를 적층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5.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소정의 방향 P에 배치된 점상 광원으로부터 상기 시트에 대해 평행 광선을 조사하고,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상기 시트 내에 소정의 방향 P에 평행하게 뻗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
  6.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확산 매체로서, 상기 수지층의 내부에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은, 모두 소정의 방향 P에 대해 평행하게 뻗고, 또한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이 표면 요철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 및 상기 요철의 최대 높이 Ry가 하기 식(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0.15㎛≤Ra≤1.0㎛ (1)
    1.0㎛≤Ry≤5.0㎛ (2)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 P로 뻗는 직선이 법선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8.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의 이방성 확산층을, 투명 기체 상에 적층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
  9.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이에 상기 직선 P의 방향으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직선 P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평행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평행 광선의 출사측의 면을 대기중에 노출하거나, 또는 가요성의 시트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
  11. 광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형상으로 설치하고, 이 시트에 소정의 방향 P로부터 평행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상기 시트 내부에 상기 방향 P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복수의 봉 형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형성시키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선상 광원과 상기 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방향 P에 평행하게 배치한 통 형상물의 집합을 개재시키고, 이 통 형상물을 통해서 광 조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 P로 뻗는 직선이 법선에 일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
KR1020067018992A 2004-03-16 2005-03-15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35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992A KR20070035481A (ko) 2004-03-16 2005-03-15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4180 2004-03-16
JPJP-P-2004-00103351 2004-03-31
JPJP-P-2004-00103376 2004-03-31
KR1020067018992A KR20070035481A (ko) 2004-03-16 2005-03-15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481A true KR20070035481A (ko) 2007-03-30

Family

ID=4365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992A KR20070035481A (ko) 2004-03-16 2005-03-15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4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363A (ko) * 2012-06-15 2013-12-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40111647A (ko) * 2012-01-19 2014-09-1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광확산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647A (ko) * 2012-01-19 2014-09-1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광확산 필름
KR20130141363A (ko) * 2012-06-15 2013-12-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957A1 (en) Anisotropic diffusing mediu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316118B1 (ko) 이방성 광학 필름
CN110214286B (zh) 使用了各向异性光学膜的导光层叠体及使用了该导光层叠体的面状光源装置
KR102045391B1 (ko) 이방성 광학 필름
KR20070083713A (ko) 이방성 확산 매체
KR101286859B1 (ko) 광학 필름
CN110462456B (zh) 防眩性膜以及显示装置
JP2016194687A (ja) 異方性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095573B2 (ja) 異方性拡散媒体の製造方法
JP2005265915A (ja) 異方性拡散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0861B2 (ja) 異方性拡散媒体
JP2009116127A (ja) 異方性拡散媒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光源ユニット
JP4152341B2 (ja) 異方性拡散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35481A (ko) 이방성 확산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JP6542007B2 (ja) 異方性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86449A (ja) 異方性拡散媒体
JP2019179203A (ja) 異方性光学フィルム
WO2021200891A1 (ja) 異方性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JP2023130815A (ja) 液晶フォトマスク積層体及び露光装置
JP2015135496A (ja) 光学フィルム
TW202043809A (zh) 使用各向異性光學膜之反射型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