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062A - 개선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062A
KR20070035062A KR1020077002744A KR20077002744A KR20070035062A KR 20070035062 A KR20070035062 A KR 20070035062A KR 1020077002744 A KR1020077002744 A KR 1020077002744A KR 20077002744 A KR20077002744 A KR 20077002744A KR 20070035062 A KR20070035062 A KR 20070035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s
window
information
downloa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524B1 (ko
Inventor
믹코 케이. 매켈래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3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다수의 비동기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태스크들의 진행은 정보 창에서 목록으로 표시된다. 상기 목록의 내용 및 가시성은 상기 태스크들 중 한 태스크가 소정의 완료 단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상호작용의 유형을 결정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Improve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본 발명은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동시적인 다운로드들, 업로드들 또는 프린트 작업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서버들로부터 다수의 동시적인 다운로드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로의 다운로드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들, 예를 들어 이동 전화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PDA) 등은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또는 개인용 컴퓨터(PC)와 대부분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단말기들로 개발되었다. 이들 이동 단말기들은 오피스 애플리케이션들, 인터넷 브라우저들 및 게임 플랫폼들 등을 포함한다.
현재 가장 진보된 많은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워크스테이션들 및 PC들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닮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동작된다. 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일반적으로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가 결여되어 있고 컴퓨터 워크스테이션들 및 PC들보다 훨씬 더 작은 이용가능한 디스플 레이 영역을 지닌다.
활성 창들 간의 적당한 네비게이션은 때때로 포인팅 장치들없이 사용가능한 방식으로 제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동 통신 단말기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비동기, 동시적으로 실행되는 태스크들에 대해 다수의 활성 창들을 가지는 경우, 하지만 단말기가 동시에 다수의 창들을 적당하게 표시할만큼 충분한 스크린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심지어 이들 창들을 버튼들로서 표시할 아무런 영역도 없는 경우. 이들 환경하에서 사용자들은 때때로 그들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태스크들의 개요를 놓치게 되는데, 이것은 아마도 제어의 결여의 느낌을 초래한다.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과 관련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3G, EDGE, WLAN) 진보된 이동 단말기 장치들상에서 사용자는 다수의 비교적 큰 파일들, 예를 들어 앨범의 모든 노래들을 포함하는 음악 파일들의 동시적인 다운로드를 용이하게 개시할 수 있다. 이들 파일들에 필요한 총 공간은 상기 단말기상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다운로드될 파일들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비용에 대해 지불한 것을 헛되게 끝낼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들 중 어떤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할 때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개별 확인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들 중 어떤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닌 창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 가시적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을 때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닌 창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다이얼로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비동기 동시적인 다운로드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진행중인 다운로드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정보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비동기 동시적인 다운로드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로의 하나 이상의 서버들로부터의 다운로드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운로드를 개시하기 전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검사하는 단계,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에서 이전에 시작된 다운로드들에 필요한 공간을 빼는 단계,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거나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상기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다운로드를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닌 목록을 가지고 있는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할 때 상기 목록이 하나보다 많은 태스크에 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목록이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진행내내 가시적이지 않은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다이얼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의 본 설명의 상세한 부분에서, 본 발명이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사용하기 위한 무선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 정면도 및 배 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전화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전화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마이크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 내지 도 3f는 마이크로 브라우저에 의해 표시된 웹페이지들의 스크린샷들이다.
도 4a는 다운로드 절차들의 시작 및 진행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흐름도의 단계의 스크린샷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의 서브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다운로드들 중 하나의 다운로드의 완료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다운로드들 중 하나의 다운로드의 완료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크린샷이다.
도 9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크린샷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은 공중 교환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이터 네트워크 및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운반하도록 증강된 관용적인 무선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에서 구현 될 수 있다. 회선 교환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는 패킷 교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기반 구조의 예는 범용 이동 전화 시스템(UMTS), 전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에 기반한 3세대 무선 시스템을 포함한다. GSM은 무선 회선 음성 네트워크에 GSM 패킷 무선 서비스(GPRS)로서 알려져 있는 패킷 네트워크 오버레이를 부가한다.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및/또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들에 기반하는 관용적인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능력을 지닌다.
HTML, XHTML, WML 또는 WAP을 제공하는 다수의 서버들(A, B, C, D, E)은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서버들은 페이지상에 표시될 수 있는 콘텐트에 부가하여, 이미지들, 사운드 파일들, 애플리케이션들 등과 같은, 다른 다운로드가능한 아이템들을 제공한다.
핸드 포터블 전화 형태의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바람직하기로는 셀룰러/이동 전화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와 같은 어떤 다른 컴퓨터 단말기를 가지고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전화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 전화(1)는 하우징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 디스플레이(3), 온/오프 버튼(4), 스피커(5)(개구분만 도시됨), 및 마이크로폰(6)(개구부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화(1)는 GSM 900/1800 MHz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지만, (예를 들어 WLAN, WIMAX 또는 유사한 것을 통한) 가능한 VoIP-네트워크를 커버하기 위하여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또는 TCP/IP-기반 네트워크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키패드는 문자숫자 키들로서 키들(8)의 제1 그룹(7)을 구비하고, 그것에 의해 사용자는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텍스트 메시지(SMS)를 작성하며, (전화 번호와 관련된) 이름 등을 쓸 수 있다. 12개의 문자숫자 키들(8) 각각에는 각각 숫자 "0-9" 또는 부호 "#" 또는 "*"가 제공된다. 문자 모드에서 각 키는 텍스트 편집시 사용되는 다수의 문자들 및 특정 부호들과 관련된다.
상기 키패드(2)는 부가적으로 2개의 소프트-키들(9), 두개의 호 처리 키들(12) 및 5-방향 네비게이션 키(10)(위, 아래, 왼쪽, 오른쪽 그리고 가운데: 선택/활성화)를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키들의 기능은 상기 전화의 상태에 의존하고 메뉴에서의 네비게이션은 네비게이션-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소프트키들(9)의 현재의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3)에서 개별 필드들(소프트 라벨들)에 표시되는데, 키들(9) 바로 위에 표시된다. 상기 두개의 호 처리 키들(12)은 호 또는 회의 호를 설정하거나, 호를 종료하거나 착신 호를 거절하는데 사용된다. 이 키 레이아웃은 예를 들어 노키아 6610(상표명임) 전화에 대해 특징적이다.
화살표 키(10)는 커서 이동, 스크롤링 및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5-방향 키이고 상기 디스플레이(3)와 문자숫자 키들(7)의 그룹 사이에 상기 전화의 전면 중앙에 배치된다. 해제가능한 후면 커버(14)는 상기 전화의 배면에서 상기 이동 전화의 전기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전화는 전형적으로 컬러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는 TFT 매트릭스와 같은, 선택적인 백 라이팅을 지닌 LCD로 형성된 평판 디스플레이(3)를 구비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이동 전화(1)의 일반적인 구조를 블록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18)는 송신기/수신기 회로(19) 및 내부 안테나(20)를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폰(6)은 사용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것에 의해 형성된 아날로그 신호들은 상기 음성이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14)(DSP)에서 부호화되기 전에 A/D 변환기(미도시)에서 A/D 변환된다. 상기 부호화된 음성 신호는 예를 들어 GSM 단말기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프로세서(18)로 전송된다. 상기 프로세서(18)는 또한 (데이터, 전원 등 뿐만 아니라) 램 메모리(17a)와 플래시 롬 메모리(17b), SIM 카드(16), 디스플레이(3), IrDA 제어기(35), 블루투스 제어기(25), 외부 램(27) 및 키패드(2)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의 주변 유닛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 유닛(14)은, D/A 변환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8)로부터 상기 스피커(5)로 전송되는, 신호를 음성-복호화한다.
도 3b는 상기 이동 전화(1)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조는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심비안(Symbian: 상표명임) 7.0 OS를 포함한다. 상기 고유 소프트웨어는 몇몇이 언급될 수 있는 다수의 고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사 용자 인터페이스, KVM 지원, 호 처리, 전화번호부, 메시지 처리 및 미들릿(MIDlet) 데이터베이스. 하지만, 상기 열거된 고유 애플리케이션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더 적은 고유 애플리케이션들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고유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한적 접속 장치 구성(CLDC: 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은 자바(상표명)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런타임 환경을 제공한다. CLDC는 자바에 이용가능한 이동 전화들에 대한 가장 적합한 구성들 중 하나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160-512 KB 메모리, 배터리 구동, 느린, 아마도 간헐적인 접속을 지닌 장치들에 적합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CLDC는 K 자바 가상 머신(KVM) 및 한 세트의 라이브러리들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들(APIs)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브러리들 및 API들은 상기 CLDC의 상부에 있는 이동 정보 장치 프로파일(MIDP: Mobile Information Device Profile)에 명시되어 있다. 상기 MIDP는 CLDC의 수직 확장이다. 함께 그들은 관련된 이동 전화상에서 자바 애플리케이션들 및 미들릿들(MIDlets: 이동 정보 장치 프로파일(MIDP)을 위해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런타임 환경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바 XHTML 마이크로 브라우저 애플릿은 OEM에 의해 설치되었다. 상기 마이크로 브라우저는 WAP 및 WLM 문서들 뿐만 아니라 XML 및 HTML XHTML을 지원한다.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에 언급된 포맷들로 웹페이지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표시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브라우저는 심비안 OS를 위해 구현된 시리즈 60 애플리케이션이다.
이제 도 3c를 참조하여 상기 시리즈 60 마이크로 브라우저의 구조가 설명된다. 상기 자바 브라우저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상기 시리즈 60 브라우저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브라우저 UI는 문서의 형성을 제외한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상들을 담당하는데, 예를 들어 옵션 메뉴 기능들이 상기 계층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브라우저 엔진 API는 상기 브라우저 UI와 저레벨 구현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시스템 라이브러리 적용은 운영 체제와 브라우저 간의 통신을 처리한다. 파서는 (X)HTML 마크업을 읽고, 그것을 상기 브라우저가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포맷으로 처리한다. 렌더링 엔진은 스크린상에 페이지들을 그린다(렌더링한다). 플러그-인 API는 상기 브라우저와 페이지에 내장된 플러그-인 객체들(예를 들어 페이지상의 매크로미디어 플래시(등록상표명임) 콘텐트)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스크립팅은 페이지상의 ECMA/JavaScript를 처리하고 HTTP 프레임워크 및 HTTP 필터들과 함께 로더는 페이지의 다운로딩을 담당한다. 상기 로더와 함께, 다운로드 핸들러는 페이지상에 표시될 수 없는 파일들의 다운로딩을 담당한다. 상기 다운로드 핸들러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전화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도 3d는 상기 마이크로 브라우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3)상에 렌더링된 웹페이지의 스크린샷을 도시한 것이다. 상부 바(51)는 GPRS 접속의 로고(52)와 상기 웹페이지의 URL(53)을 나타낸다. 웹페이지가 다운로드되고 있는 중일 때 회전하는 지구(54)가 상부 바(51)에 표시된다. 주 영역(55)에서, 텍스트, 그래픽 및 하이퍼링크들(56)이 표시된다(단지 하이퍼링크들만이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 이퍼링크들(56)중 하나가 강조된다(상기 페이지상의 제1 링크가 디폴트로 강조된다).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은 하이퍼링크들(56)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강조될 네비게이션 패드(10)를 누름으로써 하이퍼링크로부터 하이퍼링크로 점프할 수 있다. 상기 강조된 하이퍼링크(56)는 상기 네비게이션 패드(10) 위의 가운데를 누름으로써 또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소프트키 "옵션들(Options)"을 누름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는데, 이것은 아이템 "열기(Open)"를 포함하여,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61)을 초래한다. 상기 강조된 하이퍼링크는 활성화되고 대응하는 웹페이지가 다운로드된다. 도 3f는 다운로드될 파일, 즉 상기 브라우저에서 페이지상에 표시될 수 없는 유형의 파일에 대한 링크(56)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의 스크린샷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페이지상에 표시될 수 없는 파일들의 다운로드 절차들이 설명된다. 브라우저를 통해 원격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는 다운로드를 활성화하는 하이퍼링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다운로드를 개시할 수 있다(단계 4.1). 상기 마이크로 브라우저는 파일 상세/이름이 다음에 오는 확인 문의(Confirmation query)(29) "다운로드(Download)?"로 응답한다(단계 4.2). 사용자가 좌측 소프트키 "예"를 누름으로써 상기 문의(29)를 확인하는 경우 메모리 공간이 충분한지를 검사하기 위한 서브루틴이 시작된다. 상기 서브루틴은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다운로드에 이용가능한 충분한 메모리 공간이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서브루틴이 확인하는 경우, 다운로드가 시작되고 정보 창(30)이 팝업된다(단계 4.3).
상기 정보 창(30)은 (상기 브라우저 또는 상기 다운로드 핸들러를 사용하는 몇몇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진행중이거나 현재 브라우저 인스턴스에서 정지되거나 완료된 모든 다운로드들을 지닌 목록을 표시한다. 상기 목록은 3개의 컬럼들을 포함하고 각 열거된 다운로드에 대해 (이제까지 상기 정보는 이용가능하다) 표시한다:
첫번째 컬럼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셸 아이콘(31);
가운데 컬럼에 표시된, 다운로드되고 있는 파일의 이름(32);
상기 파일의 이름 아래에 가운데 컬럼에서 괄호안에 표시되어 있는, 퍼센트로 표시된 다운로드 진행 상태(33);
상기 파일의 이름(32) 아래에 가운데 컬럼들에 표시된, 다운로드된 데이터의 양(34);
마지막 컬럼에 표시된, 외부 메모리 아이콘(35).
다운로드시 상기 파일의 이름은 상기 파일 다운로드가 개시된 문서로부터 또는 상기 다운로드된 파일의 서술자로부터 취해진다.
상기 목록에서 다운로드들 중 하나의 다운로드(디폴트는 첫번째 열거된 다운로드임)가 강조된다. "위" 및 "아래" 네비게이션 키(10)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강조된 다운로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창이 최상단 창인 경우,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옵션들(Options)" 및 "숨김(Hide)"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창(30)은 상기 디스플레이(3)의 주요 부분을 덮는다. 우측 소프트키 "숨김(Hide)"을 누르는 것은 상기 정보 창(30)을 백그라운드로 보내고 사용자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즉 이전에 다운로드된 이미지의 뷰어를 보고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좌측 소프트키 "옵션들(Options)"을 누르는 것은 (단계 4.4) 아이템들 "정지/재개(Pause/Resume)" 및 "다운로드 취소(Cancel download)"를 포함하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을 지닌 팝업 창을 호출한다(단계 4.5).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OK" 및 "취소(Cancel)"로 변경되었다. 상기 네비게이션 키(10)로 "정지/재개(Pause/Resume)"를 선택하고 상기 좌측 소프트키(9) "OK"를 누르는 것은 상기 강조된 다운로드가 이미 정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강조된 다운로드를 정지시키고 상기 강조된 다운로드가 이미 정지된 경우 상기 강조된 다운로드를 재개한다. "취소(Cancel)"를 누르는 것은 상기 팝업 창을 닫는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 창(30)이 백그라운드에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창(30)을 재호출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좌측 소프트키(9) "옵션들(Options)"을 선택하는데, 이것은 "도구들(Tools)"을 포함하여 표시되고 있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을 초래한다. "도구들(Tools)"을 선택하고 좌측 소프트키(9) "선택(Select)"을 누르는 것은 아이템 "다운로드들(Downloads)"을 포함하여 선택가능한 메뉴 아이템들을 지닌 다른 목록을 초래한다. "다운로드들(Downloads)"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정보 창(30)을 다시 전면으로 호출한다(단계 4.5).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검사하기 위한 서브루틴이 설명된다. 단계 5.1에서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요청한 파일이 이미 다운로드들의 목록에 있는지가 검사된다. 상기 파일이 이미 상기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이미 다운 로드 목록에 있는 파일임, 새로운 다운로드 시도가 취소됨"이라는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단계 5.2).
파일이 이미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전에 시작된 다운로드에 필요한 공간이 계산된다(단계 5.3).
아직 다운로드되지 않은 관련된 다운로드의 부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각각의 이전에 시작된 다운로드에 필요한 공간이 계산된다. 단계 5.4에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결정되는데, 우선 내부 램(17a) 그리고 다음에 외부 램(27)에 대해 계산된다.
단계 5.5에서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획득하기 위하여, 이전에 시작된 다운로드들에 필요한 총 공간은 이 순간에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에서 빼진다.
단계 5.6에서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가 서버로부터 문의된다. 서버가 상기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100kB 또는 이용가능한 메모리의 10%와 같이, 어떤 디폴트 값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파일 크기가 추정된다.
단계 5.7에서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보다 작은지 여부가 계산된다.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루틴은 B에서 도 4의 흐름도로 복귀한다.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에러 노트가 표시된다(단계 5.8):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충분하지 않음, 다운로드 시도가 취소됨".
도 6을 참조하여 다운로드의 완료시 상기 절차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된다. 단계 6.1에서 다운로드들 중 하나의 다운로드가 종료된다. 단계 6.2에서 상기 정보 창(30)에서 다운로드들의 목록이 현재 가시적인지가 결정된다. 상기 정보 창(30)이 최상단 창인 경우 상기 가시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목록이 정말로 가시적인 경우, 다운로드된 파일은 보기 위하여 문서 핸들러로 전달된다(단계 6.3).
상기 목록이 가시적이지 않은 경우, 확인 문의(48) ""파일명" 다운로드됨"이 표시된다(단계 6.4). 동시에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열기(Open)" 및 "저장(Save)"으로 변경된다. 좌측 소프트키(9) "열기(Open)"를 누르는 것은 보기 위하여 상기 파일이 문서 핸들러로 전달되게 한다(단계 6.3). 우측 소프트키(9) "저장(Save)"을 누르는 것은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이 문서 핸들러로 전달되게 한다(단계 6.5).
상기 절차는 사용자가 그 때 한 아이템을 방금 다운로드하고 전체 다운로드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경우에 단순하고 용이한 사용자 상호작용을 보장한다. 다운로드들의 목록이 가시적이기 때문에,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이해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안전하다.
다운로드가 완료될 때 상기 다운로드들의 목록이 가시적이지 않은 경우 (상기 목록은 브라우저에서 백그라운드에 있을 수 있거나 사용자는 이전의 다운로드를 위한 뷰어와 같은 어떤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에게는 완료된 다운로드에 대한 확인 다이얼로그가 제공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다운로딩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을 보장해서, 그(녀)는 그것에 대한 이유의 설 명없이 뷰어 애플리케이션에 취해지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여 다운로드의 완료시 상기 절차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단계 7.1에서 상기 다운로드들 중 하나의 다운로드가 종료된다. 단계 7.2에서 상기 정보 창(30)에서의 다운로드들의 목록이 다운로드 전반적으로 가시적이었는지가 결정된다. 상기 정보 창(30)이 완전한 다운로드동안 최상단 창이었던 경우 상기 가시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목록이 정말로 시종 가시적이었다면, 종료된 다운로드가 정보 창(30)에서의 다운로드들의 목록에 있는 유일한 아이템이었는지가 단계 7.3에서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상기 다운로드된 파일은 보기 위하여 문서 핸들러로 전달된다(단계 7.4).
상기 목록이 시종 가시적이지 않았던 경우, 또는 상기 목록상에 하나보다 많은 아이템이 존재한 경우, 확인 문의(48) ""파일명" 다운로드됨"이 표시된다(단계 7.5). 동시에,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열기(Open)" 및 "저장(Save)"으로 변경된다. 좌측 소프트키(9) "열기(Open)"를 누르는 것은 보기 위하여 상기 파일이 문서 핸들러로 전달되게 한다. 우측 소프트키(9) "저장(Save)"을 누르는 것은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이 문서 핸들러로 전달되게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확인 문의(48)를 표시하지 않기로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종료된 다운로드가 상기 목록상에서 첫번째 다운로드라는 사실일 수 있다. 확인 문의 또는 음성과 같은 어떤 다른 유형의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다른 기준은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광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1)에 있는 광 센서(미도시)는 예를 들어 직접적인 햇빛이 상기 스크린에 내려쬐이고 있는 것을 탐지할 수 있고 톤 또는 음성 메시지의 제공을 야기하여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초기 상태 정보가 가청 형태로 제공된다면, 상기 마이크로폰(6)에 의해 탐지된 이동 전화 주위의 노이즈 레벨이 주어진 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이동 전화(1)에서의 설정이 모든 가청 통지들을 동작불능시킨 경우, 상태 변경에 관한 개별 확인이 비-가청 형태로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크린샷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동시적인 태스크들은 프린트 작업들이다. 각 새로운 프린트 작업시 정보 창(70)이 표시된다. 상기 정보 창(70)은 타이틀 바(76), 현재 진행중이거나 정지되거나 완료된 모든 프린트 작업들을 지닌 목록을 포함한다. 상기 목록은 문서 이름 컬럼(71), 상태 컬럼(72), 페이지 컬럼(73) 및 파일 크기 컬럼(74)을 포함한다.
상기 목록내의 프린트 작업들 중 하나의 작업이 (디폴트는 첫번째 열거된 프린트 작업이다) 강조된다. "위" 및 "아래" 네비게이션 키(10)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강조된 프린트 작업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창(70)이 최상단 창인 경우,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옵션들(Options)" 및 "숨김(Hide)"이다. 상기 정보 창(70)은 상기 디스플레이(3)의 주요 부분을 덮는다. 우측 소프트키(9) "숨김(Hide)"을 누르는 것은 상기 정보 창(70)을 백그라운드로 보내고 사용자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즉 이전에 생성된 문서의 텍스트 편집기를 보고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좌측 소프트키 "옵션들(Options)"을 누르는 것은 아이템들 "정지/재 개(Pause/Resume)" 및 "프린트 취소(Cancel print)"를 포함하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을 지닌 팝업 창(미도시)을 호출한다.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OK" 및 "취소(Cancel)"로 변경되었다. 상기 네비게이션 키(10)로 "정지/재개(Pause/Resume)"를 선택하고 상기 좌측 소프트키(9) "OK"를 누르는 것은 상기 강조된 프린트 작업이 이미 정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강조된 프린트 작업을 정지시키고 상기 강조된 프린트 작업이 이미 정지된 경우 상기 강조된 프린트 작업을 재개한다. "취소(Cancel)"를 누르는 것은 상기 팝업 창을 닫는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 창(70)이 백그라운드에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창(70)을 재호출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좌측 소프트키(9) "옵션들(Options)"을 선택하는데, 이것은 "도구들(Tools)"을 포함하여 표시되고 있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을 초래한다. "도구들(Tools)"을 선택하고 좌측 소프트키(9) "선택(Select)"을 누르는 것은 아이템 "프린트 작업들(Print jobs)"을 포함하여 선택가능한 메뉴 아이템들을 지닌 다른 목록을 초래한다. "프린트 작업들(Print jobs)"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정보 창(70)을 다시 전면으로 호출한다.
프린트 작업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어 프린트 작업이 종료되거나 프린터 종이없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정보 창(70)이 가시적인지, 즉 현재 최상단 창인지가 검사된다.
정보 창(70)이 정말로 가시적인 경우, 아무런 추가 동작도 취해지지 않는다.
상기 정보 창(70)이 가시적이지 않은 경우(즉 최상단 창이 아닌 경우), 확인 문의 "파일명: 프린트 종료됨" 또는 "파일명: 에러, 종이없음"이 표시된다. 동시에 상기 좌측 소프트키(9)의 기능은 "숨김(Hide)"으로 변경된다. 상기 우측 소프트키는 이 상황에서 아무런 기능도 가지고 있지 않다. 상기 좌측 소프트키(9) "숨김(Hide)"을 누르는 것은 상기 확인 문의를 닫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크린샷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동시적인 태스크들은 업로드들이다. 각각의 새로운 업로드의 개시시 정보 창(80)이 표시된다. 상기 정보 창(80)은 타이틀 바(81) 및 현재 진행중이거나 정지되거나 완료된 모든 업로드들을 지닌 목록을 표시한다. 상기 목록은 2개의 컬럼들을 포함하고 각 열거된 업로드에 대해 (이제까지 상기 정보는 이용가능하다) 표시한다:
첫번째 컬럼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셸 아이콘(82);
가운데 컬럼에 표시된, 업로드되고 있는 파일의 이름(83);
상기 파일의 이름 아래에서 괄호안에 표시되어 있는, 퍼센트로 표시된 업로드 진행 상태(84);
상기 파일 이름(83) 아래의 업로드된 데이터의 양(85).
상기 목록에서 업로드들 중 하나의 업로드(디폴트는 첫번째 열거된 업로드임)가 강조된다. "위" 및 "아래" 네비게이션 키(10)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강조된 업로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창(80)이 최상단 창인 경우,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옵션들(Options)" 및 "숨김(Hide)"이다. 상기 정보 창(80)은 상기 디스플레이(3)의 주요 부분을 덮는다. 우측 소프트키 "숨김(Hide)"을 누르는 것은 상기 정보 창(80)을 백그라운드로 보내고 사용자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즉 이전 에 생성된 문서의 텍스트 편집기를 보고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좌측 소프트키 "옵션들(Options)"을 누르는 것은 아이템들 "정지/재개(Pause/Resume)" 및 "업로드 취소(Cancel upload)"를 포함하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을 지닌 팝업 창(미도시)을 호출한다. 상기 소프트키들(9)의 기능은 "OK" 및 "취소(Cancel)"로 변경되었다. 상기 네비게이션 키(10)로 "정지/재개(Pause/Resume)"를 선택하고 상기 좌측 소프트키(9) "OK"를 누르는 것은 상기 강조된 업로드가 이미 정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강조된 업로드를 정지시키고 상기 강조된 업로드가 이미 정지된 경우 상기 강조된 업로드를 재개한다. "취소(Cancel)"를 누르는 것은 상기 팝업 창을 닫는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 창(80)이 백그라운드에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창(80)을 재호출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좌측 소프트키(9) "옵션들(Options)"을 선택하는데, 이것은 "도구들(Tools)"을 포함하여 표시되고 있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을 초래한다. "도구들(Tools)"을 선택하고 좌측 소프트키(9) "선택(Select)"을 누르는 것은 아이템 "업로드"를 포함하여 선택가능한 메뉴 아이템들을 지닌 다른 목록을 초래한다. "업로드들(Uploads)"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정보 창(80)을 다시 전면으로 호출한다.
업로드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어 업로드가 종료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정보 창(80)이 현재 최상단 창인지가 검사된다.
정보 창(80)이 정말로 가시적인 경우, 아무런 추가 동작도 취해지지 않는다.
상기 정보 창(80)이 가시적이지 않은 경우, (즉 최상단 창이 아닌 경우), 확 인 문의 "파일명: 업로드 완료됨" 또는 "파일명: 에러, 업로드 취소됨"이 표시된다. 동시에 상기 좌측 소프트키(9)의 기능은 "숨김(Hide)"으로 변경된다. 우측 소프트키는 이 상황에서 아무런 기능도 가지고 있지 않다. 상기 좌측 소프트키(9) "숨김(Hide)"을 누르는 것은 상기 확인 문의를 닫는다.
본 발명은 특정 유형의 태스크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 언급된 태스크들에 추가하여 메시지들의 송신 및 수신과 같은 다른 동시적인 태스크들 또는 컴퓨터 단말기상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태스크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증을 위해 상세히 설명되었을지라도, 이러한 상세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된다.

Claims (48)

  1.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들 중 어떤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할 때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개별 확인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창에 표시되고 상기 인지가능성의 결정은 상기 창이 최상단 창인 경우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 레이상에 표시되고 상기 인지가능성의 결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광 조건이 주어진 소정의 임계값내에 있는 경우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가청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인지가능성의 결정은 상기 단말기 주위의 주변 노이즈 레벨이 주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가청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인지가능성의 결정은 단말기 설정이 가청 통신을 동작불능시키는 경우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은 비동기 다운로드들, 업로드들, 프린트 작업들 또는 메시지 전송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들 중 어떤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관련된 태스크의 상 태에 관한 정보를 지닌 창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 가시적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을 때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닌 창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개별 확인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은 상기 단말기상에서 다수의 동시에 실행되는 태스크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백그라운드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을 송신할 가능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와의 선택가능한 간섭 옵션들을 지닌 목록을 포함하는 추가 팝업 다이얼로그를 보여줌으로써, 상기 열거된 태스크들 중 한 태스크를 선택하고 그것의 추가 진행과 간섭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팝업 다이얼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의 가시성 은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이 최상단 창인지를 검사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은 서버로부터의 다운로드들, 서버로의 업로드들 또는 프린트 작업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은 다운로드들, 업로드들 또는 진행중인 프린트 작업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은 다운로드, 업로드 또는 프린트 작업이 개시될 때마다 팝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에서의 목록은 다운로드되고 있거나 업로드되고 있거나 프린트되고 있는 파일 또는 파일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셸(shell)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이 문서인 경우 관련된 문서의 전용 문서 유형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에서의 목 록은 상기 파일로부터 또는 상기 다운로드된 파일의 서술자로부터 또는 상기 파일 다운로드, 업로드 또는 프린트가 개시된 상기 문서로부터 다운로드, 업로드 또는 프린트시 상기 파일의 이름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운로드를 개시하기 전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검사하는 단계, 에러 노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다운로드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일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려고 하는 경우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가 이미 다운로드들의 목록에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가 이미 상기 목록에 있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옵션들은,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정지 기능,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재개 기능,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취소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들 또는 업로드 들은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다수의 비동기 동시적인 다운로드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진행중인 다운로드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정보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다운로드되고 있는 파일 또는 파일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셸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창은 다운로드가 개시될 때마다 자동으로 팝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백그라운드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을 송신할 가능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관련된 태스 크의 진행과의 선택가능한 간섭 옵션들을 지닌 목록을 포함하는 추가 팝업 다이얼로그를 보여줌으로써, 상기 열거된 태스크들 중 한 태스크를 선택하고 그것의 추가 진행과의 간섭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팝업 다이얼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옵션들은, 다운로드 정지 기능, 다운로드 또는 재개 기능, 다운로드 취소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들은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정지된 다운로드들에 대한 정지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운로드들에 대한 외부 메모리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하나 이상의 서버들로부터 다수의 비동기 동시적인 다운로드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로의 다운로드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운로드를 개시하기 전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검사하는 단계,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에서 이전에 시작된 다운로드들에 필요한 공간을 빼는 단계,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거나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상기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다운로드를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될 파일을 위해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는 상기 다운로드를 개시하기 전에 상기 서버로부터 문의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될 파일의 크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를 지닌 이동 핸드헬드 단말기이고, 상기 내부 메모리 공간을 우선 검사하는 단계 및 그후 상기 외부 메모리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닌 목록을 가지고 있는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할 때 상기 목록이 하나보다 많은 태스크에 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목록이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진행내내 가시적이지 않은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다이얼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은 상기 단말기상에서 다수의 동시에 실행되는 태스크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백그라운드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을 송신할 가능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와의 선택가능한 간섭 옵션들을 지닌 목록을 포함하는 추가 팝업 다이얼로그를 보여줌으로써, 상기 열거된 태스크들 중 한 태스 크를 선택하고 그것의 추가 진행과의 간섭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팝업 다이얼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의 가시성은 상기 정보를 지닌 창이 최상단 창인지를 검사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5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은 서버로부터의 다운로드들, 서버로의 업로드들 또는 프린트 작업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단말기.
  42.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시적인 태스크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스크들 중 어떤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관 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할 때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개별 확인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창에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창이 최상단 창인 경우 상기 인지가능성을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광 조건이 주어진 소정의 임계값내에 있는 경우 상기 인지 가능성을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청 형태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주변 노이즈 레벨이 주어진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인지 가능성을 긍정적인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청 형태로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 설정이 가청 통신을 동작불능시키는 경우 상기 인지 가능성을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
  47.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구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48.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구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각각 하나 이상의 주어진 상태 변경을 경험할 수 있는 복수의 동시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태스크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태스크들 중 어떤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할 때 상기 관련된 태스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경우 상기 관련된 태스크가 상태를 변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개별 확인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KR1020077002744A 2004-08-06 2005-07-20 개선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885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2,968 2004-08-06
US10/912,968 US8832595B2 (en) 2004-08-06 2004-08-06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PCT/EP2005/007920 WO2006013007A2 (en) 2004-08-06 2005-07-20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062A true KR20070035062A (ko) 2007-03-29
KR100885524B1 KR100885524B1 (ko) 2009-02-26

Family

ID=3527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744A KR100885524B1 (ko) 2004-08-06 2005-07-20 개선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832595B2 (ko)
EP (1) EP1776631B1 (ko)
KR (1) KR100885524B1 (ko)
CN (1) CN101002166B (ko)
AT (1) ATE516532T1 (ko)
MX (1) MX2007000190A (ko)
WO (1) WO200601300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214B1 (ko) * 2011-06-02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67547B1 (ko) * 2007-04-16 201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커서 표시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8381B2 (en) * 2000-04-14 2016-08-16 Citigroup Credit Services, Inc. (USA)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customers of transaction opportunities
US8346677B1 (en) 2000-12-29 2013-01-01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ommerce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725632B2 (en) * 2000-01-13 2014-05-13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transactions using a wireless device
US8032453B2 (en) * 2000-04-14 2011-10-04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customers of transaction opportunities
CN100411341C (zh) * 2005-08-10 2008-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并行下载方法和终端
JP2007213772A (ja) * 2006-01-11 2007-08-23 Sony Corp 記録転送プログラム、記録転送装置及び記録転送方法
US20070220498A1 (en) * 2006-03-15 2007-09-20 Madsen Jens O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working via a card application toolkit
US8307307B2 (en) 2006-05-25 2012-11-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prompting user confirmation
ATE411557T1 (de) * 2006-05-25 2008-10-1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zur aufforderung einer benutzerbestätigung
US7814234B2 (en) * 2006-10-30 2010-10-12 Microsoft Corporation Offline execution of web based applications
US9858253B2 (en) * 2007-01-30 2018-01-0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Browser extension for web form capture
WO2010143669A1 (ja) * 2009-06-08 2010-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63297A (ko) 2009-12-02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56979B2 (en) 2009-12-02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CN103069383B (zh) * 2010-06-02 2016-09-28 艾伦智能科技公司 具有图形用户界面的装置及开发多媒体计算机应用程序的方法
US20120005307A1 (en) * 2010-06-30 2012-01-05 Abhik Das Storage virtualization
CN103324517A (zh) * 2012-03-20 2013-09-25 华为终端有限公司 离线应用的生成及调用方法、终端及系统
USD722608S1 (en) * 2012-03-23 2015-02-1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U350580S (en) * 2013-02-22 2013-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icon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4243674B (zh) * 2013-06-19 2016-08-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及终端
CN104580298B (zh) * 2013-10-17 2018-05-08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文件上传处理方法及装置
KR101713114B1 (ko) * 2015-08-12 2017-03-08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모바일 환경에서의 리소스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US10958760B2 (en) * 2017-11-27 2021-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pre-emptive downloading
USD877190S1 (en) * 2018-01-03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7191S1 (en) * 2018-01-03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744A (en) 1991-04-02 1996-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JPH0743640B2 (ja) 1991-11-13 1995-05-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装置
US5706411A (en) 1992-11-09 1998-01-06 Microsoft Corporation Printer status user interface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JP3768598B2 (ja) * 1996-05-31 2006-04-19 山洋電気株式会社 発熱体冷却装置
US5892511A (en) 1996-09-30 1999-04-0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assisting window select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0190C (zh) * 1996-11-01 2003-05-28 国际商业机器公司 视频中热连接的指示方法
US6385596B1 (en) * 1998-02-06 2002-05-07 Liquid Audio, Inc. Secure online music distribution system
US6639687B1 (en) 1998-09-08 2003-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ess indicator for multiple actions
US6842877B2 (en) 1998-12-18 2005-01-11 Tangis Corporation Contextual responses based on automated learning techniques
CA2267549A1 (en) 1999-03-30 2000-09-30 Object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Loading and unloading of application components
US6927770B2 (en) 2000-01-05 2005-08-09 Apple Computer Inc. Interface providing continuous feedback on task progress in a computer operating system
AU2001242789A1 (en) 2000-03-27 2001-10-08 Sanyo Electric Co., Ltd. Data distribution terminal, menu server, and distribution reservation system using them
US20020049853A1 (en) * 2000-08-16 2002-04-25 Tan-Na Chu End-to-end secure file transfer method and system
US7272613B2 (en) * 2000-10-26 2007-09-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ed content and related metadata
CA2327632C (en) * 2000-12-05 2008-10-07 Mitchell J. Shnier Methods for creating and playing a customized program of a variety of sources
US20020186257A1 (en) * 2001-06-08 2002-12-12 Cadiz Jonathan J.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dynamic communication access and information awareness in an interactive peripheral display
US6990534B2 (en) * 2001-07-20 2006-01-24 Flowfinity Wireless, Inc. Method for a proactive browser system for implementing background frame maintenance and asynchronous frame submissions
US20040015610A1 (en) * 2002-07-18 2004-01-22 Sytex, Inc. Methodology and components for client/server messaging system
JP4184062B2 (ja) 2002-12-09 2008-11-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配信システム、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CN1729276A (zh) * 2002-12-19 2006-02-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网络下载音乐文件的方法和系统
KR100977967B1 (ko) 2003-08-21 2010-08-2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랙션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다양한 정보 아이템들로 또는 최소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050107073A1 (en) * 2003-11-13 2005-05-19 Michael Cheiky Multimedia data streaming in a single thread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environ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547B1 (ko) * 2007-04-16 201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커서 표시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KR101233214B1 (ko) * 2011-06-02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7000190A (es) 2007-03-15
KR100885524B1 (ko) 2009-02-26
ATE516532T1 (de) 2011-07-15
WO2006013007A3 (en) 2006-08-03
CN101002166B (zh) 2016-08-03
US20150180937A1 (en) 2015-06-25
US9876843B2 (en) 2018-01-23
EP1776631A2 (en) 2007-04-25
WO2006013007A2 (en) 2006-02-09
US8832595B2 (en) 2014-09-09
US20060031784A1 (en) 2006-02-09
CN101002166A (zh) 2007-07-18
EP1776631B1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524B1 (ko) 개선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188857B1 (ko)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US78605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communication from an arbitrary document
DK3094067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CA2484246C (en) Sequential multimodal input
EP1531607A2 (en) Voice navigation of displayed web pages on a mobile phone
US2012013150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060248447A1 (en) Indicating loading status of information from a computer network
JP2014194786A (ja) 移動通信装置及びそれによる文脈検索方法
US20100017406A1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CN102460359A (zh) 锁屏显示器
CN1454345A (zh) 在客户机-服务器系统中用作客户机的装置
US8150472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method, display mode determin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070040845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장치,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및 방법
JP2010268207A (ja) 携帯端末
CN113672290A (zh) 一种文件打开方法及设备
US10007736B2 (en) Methods performed by electronic devices that facilitate navigating a webpage
US20150271663A1 (en) Controlling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JP2013506174A (ja) Java(登録商標)ソフトウェアを携帯端末に統合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そして携帯端末
WO200709453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trieving for mobile terminal
CN113672289A (zh) 一种文件打开方法及设备
KR200700520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북마크 전송 및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