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990A - 해양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 - Google Patents

해양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990A
KR20070034990A KR1020067023326A KR20067023326A KR20070034990A KR 20070034990 A KR20070034990 A KR 20070034990A KR 1020067023326 A KR1020067023326 A KR 1020067023326A KR 20067023326 A KR20067023326 A KR 20067023326A KR 20070034990 A KR20070034990 A KR 20070034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
support body
offshore platform
attach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더 서드 호튼
Original Assignee
딥워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딥워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딥워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05Equipment to decrease ship's vibrations produced externally to the ship, e.g. wave-induced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4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with hull extending principal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2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by means of tension legs
    • B63B2021/504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by means of tension legs comprising suppressors for vortex induced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유형 해양플랫폼(100)의 기다란 환상 부양본체가 조류에 의한 와류유발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부양본체의 외주연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나선형인 세그먼트형 스트레이크(10)를 포함한다. 부양본체는 단일의 환상 부양본체 또는 다수의 평행하게 인접한 부양본체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스트레이크(10)는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다수의 세그먼트(12)를 포함한다. 각 세그먼트(12)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프레임(20)을 지지하는 한쌍의 간격을 둔 방사상 지주(14)를 포함하고 프레임에는 판넬(22)이 부착된다. 판넬(22)은 그 방사상 폭이 부양본체의 유효직경에 대하여 약 13 % 이다. 세그먼트(12)는 부양본체의 평균흘수선 아래 약 35 피트(11.7 m)의 지점으로부터 그 최하측단부까지 부양본체의 주연둘레에 연장되는 불연속형의 나선형 밴드형태를 이루도록 단부와 단부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해양플랫폼, 부양본체, 스트레이크.

Description

해양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 {OFFSHORE PLATFORM STABILIZING STRAK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석유/가스의 시추와 생산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유형의 심해해양 석유/가스 시추생산플랫폼을 안정화하는데 유용한 개선된 형태의 나선형 스트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해양 석유/가스 시추 및 생산을 위한 작업은 시추, 생산 및 저장장비와 작업자거주설비가 배치되는 것으로 때로는 "리그(rig)"로 불리는 선체 또는 플랫폼이 준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랫폼은 "고정형" 플랫폼과 "부유형" 플렛폼의 두 종류중 하나가 이용된다.
고정형 플랫폼은 해저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지지각에 의하여 지지되는 장비데크로 구성된다. 이들은 비교적 안정된 반면에, "볼드페이트(Baldpate)" 타워라고도 불리는 소위 "컴플라이언트 파일드 타워(compliant piled tower: CPT)"가 1648 피트(약 500 m)의 깊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고는 하나 전형적으로 이들은 비교적 얕은 수심, 즉 약 500 피트(약 152 m)의 깊이에 제한적으로 설치된다.
부유형 플랫폼은 전형적으로 약 500 피트(약 152 m) 이상의 수심에 사용되며, 해저면에 고정된 계류라인에 의하여, 또는 플랫폼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 동력스러스터에 의하여 유정지(well site)상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비록 부유형 플랫폼은 바람이나 해양조건에 따르는 이들의 움직임 때문에 설치하는 것이 복잡하기는 하여도 실질적으로 이들이 고정형 플랫폼에 비하여 더 깊은 수심에 설치될 수 있으며 더욱이 이동가능하여 다른 유정지로 이동하기 쉽다는 잇점을 가진다. 종래의 부유형 플랫폼에는 소위 "시추선(drill ship)", "텐션-레그형 플랫폼(tension-leg platform: TLP)", "반잠수형 플랫폼" 및 "스파(spar)형 플랫폼"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스파형 플랫폼은 직립되어 부유된 상태에 있을 때 상측부분이 해수면의 상부로 연장되고 하측부분이 해수면의 아래로 잠수되는 컬럼 또는 스파의 형태로 보이는 길고 가느다란 부양본체로 구성된다. 이들의 비교적 가늘고 기다란 형상 때문에, 이들은 다른 형태의 플랫폼에 비하여 보다 깊은 흘수를 가지므로서 실질적으로 양호한 "히브(heave)"특성, 예를 들어 히브에서 매우 긴 고유주기를 갖는 것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석유/가스의 탐사, 시추, 생산, 저장 및 가스소각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스파형 부유플랫폼의 예는 미국특허 제6,213,045호(Gaber), 제5,443,330호(Copple), 제5,197,826호 및 제4,740,109호(Horton), 제4,702,321호(Horton), 제4,630,968호(Berthet 외), 제4,234,270호(Gjerde 외), 제3,510,892호(Monnereau 외)와, 제3,360,810호(Busking)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 소개된 기술들은 상대적으로 성공적이기는 하였으나, 스파형 플랫폼은 일부 개선할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의 길고 가느다란 형상 때문에 이들은 어떠한 조건하에서 해양설치과정중에 이들의 균형과 안정상의 제어면에 서 다른 형태의 플랫폼에 비하여 다루기가 비교적 복잡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의 길고 가느다란 형상 때문에, 스파형 플랫폼은 특히 플랫폼의 부양본체에 작용하는 강한 조류에 의한 와류유발진동("VIV")을 일으키기 쉽다. 와류파괴 또는 와류진동제어를 위한 장치를 기다란 부양본체에 구비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6,148,751호 및 제6,349,664호(Brown 외)에는 기다란 부양본체에서 진동과 항력을 줄이기 위한 유체역학적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6,244,785호(Richter 외)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스파형 부양본체에 배치된 기다란 나선형 "스트레이크(strake)"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나선형 스트레이크는 전형적으로 드라이 도크에서 제작되어 부양본체에 용접으로 부착되어야 하는 매우 무거운 나선형의 변부지지형 판체로 구성된다.
스파형 부양본체의 VIV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이러한 종래기술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 문제점이 해결되었으나, 이들은 아직까지 비교적 복잡하여 이를 실현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고, 또한 무거우며, 부양본체에 효과적으로 조립하여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심해해양플랫폼의 부양본체에 작용하는 와류유발진동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적될 수 있으며 경량이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효율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해양석유/가스 시추 및 생산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기다랗고 반잠수형인 환상 부양본체를 포함하는 형태인 부유형 플랫폼의 부양본체에 작용하는 조류로부터의 와류유발진동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모듈화된 나선형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이들 각 스트레이크는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와 단부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부양본체의 하부주연 둘레에 불연속형의 나선형 밴드의 형태로 연장되는 다수의 사각형 세그먼트 또는 모듈로 구성된다.
스트레이크의 각 세그먼트 또는 모듈은 내측단부가 부양본체에 부착되고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일정한 간격을 둔 지주(stanchion)로 구성된다. 다수의 기다란 주연부재가 지주에 연결되고, 두 지주에 방사상으로 지지되는 사각형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다수의 방사상 부재가 주연부재 사이에 연결된다. 프레임에는 동일한 형태의 판넬이 부착되며, 이 프레임은 부가적으로 세그먼트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앵글형 니브레이스(knee brace)에 의하여 보강된다. 각 니브레이스는 내측단부가 부양본체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각 지주의 외측단부에 연결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지주와 니브레이스의 내측단부는 부양본체의 내부 링브레이스(ring brace)에 인접하여 부양본체에 부착되고, 부가적인 보강을 위하여, 보강판에 의하여 부양본체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한 우선실시형태에서, 각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의 판넬은 방사상 폭이 부양본체의 직경에 대하여 13~14%이며, 스트레이크는 부양본체의 하이-루프 조류영역에 설치된다. 즉, 이들은 부양본체가 해상에 부유되어 있을 때 이들의 각 상측단부가 부양본체의 평균흘수선 아래 약 35 피트(11.7 m )에 배치되고 이들의 각 하측단부는 부양본체의 최하측 둘레에 연장된다. 따라서, 어느 한 특정의 예시 실시형태에서, 부양본체에는 3개의 스트레이크가 배치되고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의 판넬은 각각 약 13 피트의 방사상 폭을 가지고 약 28~34 피트의 주연방향 길이를 갖는다.
스파형 플랫폼에서, 부양본체는 단일의 환상부양본체, 또는 다수의 환상 부양본체, 즉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셀(cell)"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양본체는 반잠수형 해양플랫폼의 지지컬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직립부유상태로 심해중에 계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형의 나선형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안정화 스트레이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인 해양 스파 플랫폼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새로운 스트레이크의 사각형 프레임을 보인 도 1의 스파형 플랫폼의 부양본체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하나의 스트레이크에서 한 세그먼트의 측면을 보인 것으로 도 1에서 보인 부양본체 일부의 부분정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 방향에서 본 도 3의 부양본체 일부와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의 평단면도.
도 5는 니브레이스가 부착된 구성을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스트레이크의 니브레이스 부분에서 부양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부양본체 일부와 스트레이크의 부분사시도.
도 6은 도 3의 6-6선 방향에서 본 도 3의 부양본체 일부와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의 평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의 스파형 부양본체에 작용하는 조류유발 후류와류를 보인 평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보인 종래기술의 부양본체에 작용하는 조류유발 후류와류이 본 발명의 스트레이크에 의하여 제거됨는 것을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형의 나선형 스트레이크가 결합된 스파형 부양본체의 평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형태인 세그먼트형의 나선형 안정화 스트레이크(10)가 결합된 스파형 해양석유/가스 시추 및 생산 플랫폼(100)이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플랫폼은 심해중에 직립상태로 부유되고 있으며 다수의 계류라인(102)에 의하여 해저면(도시하지 않았음)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스파형 플랫폼은 선택된 깊이, 예를 들어 약 500 피트(152 m)의 깊이의 해수면(106) 아래에 잠수되는 하측부와, 선택된 높이, 예를 들어 50 피트(15 m)의 높이의 해수면 상부에 연장된 상측부를 단일환상의 부양본체(104)로 구성된다. 특별히 예시적으로 도시된 부양본체는 직경이 50~170 피트(15~50 m)이고 무게가 8,000~30,000 톤(7,256~27,210 MT)이며, 내부에 275,000~1,100,000 배럴의 석유를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된 스파형 플랫폼(100)은 예를 들어 데릭 또는 크레인(110)과 같은 시추 및/또는 생산장비가 설치되는 장비플랫폼(108)과, 부양본체(104)의 상부에 배치된 작업자의 생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포함한다. 플랫폼의 중심(重心)이 그 부력중심의 하측에 놓이도록 하여 파도주기 이상으로 그 고유주기를 증가시킴으로서 플랫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양본체이 하측부에 고정형 또는 가변형 밸러스트(도시하지 않았음)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부양본체의 히브운동을 완화시키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 "히브 플레이트"의 형태인 강판재(112)가 부양본체의 하측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서 보인 스파형 플랫폼(100)에서, 부양본체(104)가 단일의 환상 잠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이러한 수직형 환상 부양본체, 또는 "셀(cell)"이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부양본체는 공지된 형태로서 흘수가 깊은 반잠수형의 해양 플랫폼의 지지컬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나 이들 부양본체가 비교적 가늘고 기다란 형상을 가짐으로서, 이러한 부양본체는 안정상의 제어면에서 다른 형태의 플랫폼 보다 해양작업중에 관리가 비교적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이들의 가늘고 기다란 형상 때문에, 이러한 부양본체는 특히 플랫폼의 부양본체에 작용하는 강한 조류에 의한 와류유발진동("VIV")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황은 종래기술의 스파형 부양본체, 즉 반잠수형 지지플랫폼(104)의 평단면을 보인 도 7에서 설명되는 바, 여기에서는 비교적 일정한 조류장(120)이 화살표 방향으로 부양본체를 지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류는 조류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부양본체의 후측에 와류열(122)이 부양본체의 양측에서 교대로 분리되어 나타나도록 유도하고,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은 방향으로 부양본체에 대 하여 일련의 교번력(124)이 가하여짐으로서 VIV를 유발한다. 부양본체는 도 1에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계류라인(102)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이들 계류라인은 상당한 탄성을 가지고 부양본체에 연결되어 조류장에서 완충용 스프링 시스템을 구성하며, 특정 조류가 가하여지는 경우 고조파 공진주파수의 측방향 진동을 일으켜 이러한 계류라인은 잠재적으로 파단될 수 있고 플랫폼의 계류상태가 풀릴 수 있다.
부양본체(104)의 상기 언급된 VIV는 하나 이상의 "모듈화"된 스트레이크(10)를 설치함으로서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스트레이크는 도 1과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불연속적이지만 부양본체의 하이-루프 조류영역인 하측부 주연에 연장된 나선형 밴드의 형태를 보이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부와 단부가 배열된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다수의 세그먼트(12)로 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8에서 보인 특정 실시형태에서, 이들 스트레이크(10)는 3개가 설치되며, 도 8에서는 조류장(120)에 대하여 부양본체의 안정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스트레이크(10)는 도 7의 후류와류(122)가 이들이 부양본체에서 형성되어 부양본체로부터 떠나기 전에 분쇄하도록 작용함으로서, 부양본체에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이고 파괴적인 진동(VIV)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도 6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스트레이크(10)는 "모듈화"된 형태, 즉 독립된 모듈, 또는 "세그먼트"(12)로 제작되어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독립하여 부양본체(104)에 부착될 수 있다. 스트레이크(10)의 각 세 그먼트(12)는 부양본체의 둘레에 내측단부가 나선형으로 부착되어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간격을 둔 지주(14)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주에는 다수의 기다란 주연부재(16)가 연결되고 다수의 기다란 방사상 부재(18)가 지주(14)상에 방사상으로 지지되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프레임(20)을 구성하도록 주연부재(16) 사이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평판 또는 강재로 제작되고 일반적으로 사각형 프레임(20)의 주연부와 일치하는 주연부를 갖는 판넬(22)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프레임의 주연에 부착되며, 프레임과 판넬은 내측단부가 부양본체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각 지주(14)의 외측단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니브레이스(24)에 의하여 부양본체(104)에 부가적으로 지지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형태에서,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의 지주와 주연부재(16)는 관상체이나 이러한 지주와 부연부재에 대하여 다른 형상의 기다란 소재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니브레이스는 세그먼트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기는 이들 지주와 니브레이스의 내측단부가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부양본체의 강도보강을 위한 내부의 "링 브레이스(ring brace)"(26)에 인접하여 부양본체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지주와 니브레이스의 내측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28)에 의하여 부양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20)과 판넬(22)에 대하여 사용된 "일반적으로 사각형"이라는 용어는 프레임의 각 주연부재(16)와 판넬의 해당 측변부가 이들의 중간지점이 부양본체에 만나는 점에서 연장한 접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형직경의 부양본체에서는 판넬과 프레임이 거의 사각형 형상을 이룰 것이나, 소형직경의 부양본체에서는 도 4에서 스트레이크 세그먼트(12)의 평면도로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과 판넬이 원호를 이루어 두 지주(14) 사이에 배치된 중앙부분에 대하여 부양본체를 향해 각각 경사진 선단변부와 후단변부를 갖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스트레이크(1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세그먼트(12)의 인접한 주연단부 사이의 간격은 약 1~2 인치(2.5~5 cm)이고, 세그먼트의 판넬(22)(도 2에서는 도면을 간명하게 보이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였음)은 방사상 폭이 부양본체(104)의 직경에 대하여 약 13~14 % 이며, 내측변부는 이들의 중간지점에서 부양본체로부터 약 1~2 인치(2.5~5 cm)의 간격을 두고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의 판넬의 측변부는 종래기술의 나선형 스트레이크와는 다르게 부양본체에 접촉하거나 부착되지 않으며 각 스트레이크의 세그먼트가 서로 연결되어 연속밴드이 형태를 이루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전체 유효직경이 약 100 피트인 멀티-셀형 부양본체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각 판넬은 전체 방사상 폭이 약 13 피트(약 4 m)이고, 사각형 프레임(20)의 측부를 지나 연장된 측변부는 약 6 인치(15 cm)이며, 주연방향 길이는 약 28 피트(8.5 m)와 34 피트(10.4 m) 사이이다.
스트레이크(10)를 모듈화한 것은 이들의 제작과 부양본체(10)에 대한 조립에서 유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양본체는 스트레이크와는 별도로 조선소에서 제작되고 통상적인 근해조립장소로 옮겨진다. 요구되는 경우, 부양본체는 수중에 수평위치로 부양된 상태에서 에를 들어 크레인 등으로 그 종축선을 중심으 로 하여 회전되면서 스트레이크의 각 세그먼트(12)가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형의 형태로 그 부연부에 조립된다. 이는 부양본체가 드라이 도크에 배치된 상태에서 부양본체에 무거운 나선형의 변부지지형 판재를 비교적 정밀하게 부착하여야 하는 종래기술의 스트레이크 부착방법과는 상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개선된 스트레이크는 종래기술의 스트레이크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경량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한편 부양본체에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구조, 재질 및 제작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형태는 전형적인 판재와 관상체의 강재로 구성된 것을 보인 반면에, 이들 구조는 다른 물질, 예를 들어 보강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도록 수정되거나 부양본체가 예를 들어 다각형의 형태인 다른 단면형태를 갖도록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단순히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 예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나 이들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

Claims (16)

  1. 부유형 해양플랫폼의 부양본체에 작용하는 와류유발진동을 줄이기 위한 해양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에 있어서, 이 스트레이크가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부양본체의 하측부 주연둘레에 불연속형 나선밴드의 형태로 연장되도록 단부와 단부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스트레이크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각 스트레이크 세그먼트가 부양본체에 부착되는 내측단부를 가지고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간격을 둔 지주, 지주에 방사상으로 지지되고 사각형의 주연부를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기다란 주연 및 방사상 부재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부착되고 프레임의 주연부에 일치하는 주연부를 갖는 판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단부가 부양본체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각 지주의 외측단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니브레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각 니브레이스가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의 양측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크.
  4. 제1항에 있어서, 부양본체가 다수의 내부 링 브레이스를 포함하고, 각 지주의 내측단부가 내부 링 브레이스의 하나에 인접하여 부양본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크.
  5. 제1항에 있어서, 지주의 내측단부가 보강판에 의하여 부양본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크.
  6. 제1항에 있어서, 판넬의 방사상 폭이 부양본체의 직경에 대하여 약 13~14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크.
  7. 제1항에 있어서, 판넬의 내측변부가 부양본체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크.
  8. 제1항에 있어서,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중에서 중간의 세그먼트가 간격을 둔 인접한 주연단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크.
  9. 조류의 흐름에 의한 와류유발진동을 받는 잠수형의 기다란 부양본체를 포함하는 형태의 부유형 해양플랫폼에 있어서, 해양플랫폼이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부양본체의 하측부 주연둘레에 불연속형 나선밴드의 형태로 연장되도록 단부와 단부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스트레이크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스트레이크로 구성되고, 각 스트레이크 세그먼트가 부양본체에 부착되는 내측단부를 가지고 부양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간격을 둔 지주, 지주에 방사상으로 지지되고 사각형의 주연부를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기다란 주연 및 방사상 부재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부착되고 프레임의 주연부에 일치하는 주연부를 갖는 판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형 해양플랫폼.
  10. 제9항에 있어서, 내측단부가 부양본체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각 지주의 외측단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니브레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랫폼.
  11. 제10항에 있어서, 각 니브레이스가 스트레이크 세그먼트의 양측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랫폼.
  12. 제9항에 있어서, 부양본체가 다수의 내부 링 브레이스를 포함하고, 각 지주의 내측단부가 내부 링 브레이스의 하나에 인접하여 부양본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랫폼.
  13. 제9항에 있어서, 지주의 내측단부가 보강판에 의하여 부양본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랫폼.
  14. 제9항에 있어서, 판넬의 방사상 폭이 부양본체의 직경에 대하여 약 13~14 %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랫폼.
  15. 제9항에 있어서, 부양본체가 수중에 직립하여 부유할 때 스트레이크의 상측단부가 부양본체의 평균흘수선 아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랫폼.
  16. 제15항에 있어서, 스트레이크의 상측단부가 부양본체의 하측단부 둘레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랫폼.
KR1020067023326A 2004-05-12 2005-05-11 해양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 KR20070034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44,264 2004-05-12
US10/844,264 US6953308B1 (en) 2004-05-12 2004-05-12 Offshore platform stabilizing strakes
PCT/US2005/016454 WO2005113329A1 (en) 2004-05-12 2005-05-11 Offshore platform stabilizing strak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990A true KR20070034990A (ko) 2007-03-29

Family

ID=3496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326A KR20070034990A (ko) 2004-05-12 2005-05-11 해양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53308B1 (ko)
KR (1) KR20070034990A (ko)
FI (1) FI123140B (ko)
WO (1) WO200511332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17B1 (ko) * 2012-07-05 2014-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1422235B1 (ko) * 2012-07-06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격납 장치
KR101466309B1 (ko) * 2013-10-04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정형 스트레이크
WO2022216001A1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7912B2 (en) * 2004-09-30 2008-12-23 Technip France Extendable draft platform with buoyancy column strakes
US8888411B2 (en) * 2005-01-03 2014-11-18 Krzysztof Jan Wajnikonis Catenary line dynamic motion suppression
ES2288066B1 (es) * 2005-04-05 2008-10-16 GAMESA INNOVATION & TECHNOLOGY, S.L. Util para evitar el efecto vortex.
US7559723B2 (en) * 2006-02-24 2009-07-14 Technip France Hull-to-caisson interface connection assembly for spar platform
GB2436012B (en) * 2006-03-07 2011-03-09 Mcdermott Sa J Ray Improved strakes
US8408154B2 (en) * 2006-03-07 2013-04-02 J. Ray Mcdermott, S.A. Strakes
GB2459423B (en) * 2007-04-13 2012-02-15 Shell Int Research Spar structures
US8579546B2 (en) * 2008-01-18 2013-11-12 VIV Supress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vortex-induced vibration
US20100192829A1 (en) * 2009-02-04 2010-08-05 Technip France Spar hull belly strake design and installation method
US8783198B2 (en) 2009-02-04 2014-07-22 Technip France Spar hull belly strake design and installation method
US8167514B2 (en) * 2009-08-21 2012-05-01 Seahorse Equipment Corporation Strake system for submerged or partially submerged structures
KR20120106817A (ko) * 2009-12-18 2012-09-26 지브이에이 컨설턴츠 에이비 웨브 프레임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
NO20100038A1 (no) 2010-01-11 2011-07-13 Sebastian Salvesen Adams Pressapnet emballasje med helletrakt
NO20110161A1 (no) * 2010-01-29 2011-08-01 Moss Maritime As Finne for en flytende struktur
NO332120B1 (no) 2010-04-15 2012-06-25 Aker Engineering & Technology Flytende understell
US8696291B2 (en) * 2010-12-14 2014-04-15 J. Ray Mcdermott, S.A. Spar hull load out method
US20140007523A1 (en) * 2012-07-06 2014-01-0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trakes for utility structures
MX345548B (es) 2012-09-17 2017-02-03 Technip France Amortiguación de vibración inducida por vórtice de viga de mástil con placas verticales.
WO2014047619A2 (en) * 2012-09-24 2014-03-27 Chris Rorre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ving fluid using a strake
EP2851490B1 (en) * 2013-09-20 2017-03-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port of a tower of a wind turbine
US20180327053A1 (en) * 2015-11-10 2018-11-15 Seacaptaur Ip Ltd Spar
US10150541B2 (en) 2016-01-15 2018-12-1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Offshore drilling platform vibration compensation using an iterative learning method
US11359651B2 (en) * 2016-04-01 2022-06-14 Amog Technologies Pty Ltd Flow modification device having helical strakes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flow
CN107499468B (zh) * 2017-09-06 2024-02-06 大连理工大学 一种单柱型平台
US10562599B1 (en) 2018-09-06 2020-02-18 Active Inertia Offshore Rocket launch platform stabilization system
US11353153B2 (en) 2018-10-18 2022-06-07 Meyer Utility Structures Llc Helical strake attachment for tubular structural members
CN112145367B (zh) * 2019-06-28 2022-09-23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涡激振动抑制装置及抑制方法、海上风力发电机组
CN112793738B (zh) * 2020-12-02 2022-05-06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具有横纵荡板结构的spar平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785B1 (en) 1996-11-12 2001-06-12 H. B. Zachry Company Precast, modular spar system
US6148751A (en) 1998-12-16 2000-11-21 High Seas Engineering, Llc Vibration and drag reduction system for fluid-submersed hulls
EG21949A (en) * 1999-04-08 2000-04-30 Shell Int Research System for reducing vortex induced vibration of a marine element
US6371697B2 (en) * 1999-04-30 2002-04-16 Abb Lummus Global, Inc. Floating vessel for deep water drilling and production
BR0010345B1 (pt) * 1999-05-07 2008-11-18 estrutura cilÍndrica provida com um sistema de verdugo helicoidal parcial para suprimir vibraÇço induzida por vàrtice.
NL1021347C2 (nl) * 2002-08-28 2004-03-02 Lankhorst Special Mouldings B Suppressie-element voor wervelvibraties, bouwpakket, suppressiestelsel, inrichting voor het winnen van delfstoffen en een matrijs.
US6726407B1 (en) * 2002-10-30 2004-04-27 Spx Corporation Retractable radome strake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17B1 (ko) * 2012-07-05 2014-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1422235B1 (ko) * 2012-07-06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격납 장치
KR101466309B1 (ko) * 2013-10-04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정형 스트레이크
WO2022216001A1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60968A (fi) 2006-11-03
WO2005113329A1 (en) 2005-12-01
FI123140B (fi) 2012-11-30
US6953308B1 (en)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4990A (ko) 해양플랫폼안정화 스트레이크
EP2726362B1 (en)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EP1808369B1 (en) Truss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US6817309B2 (en) Cellular spar apparatus and method
US6899492B1 (en) Jacket frame floating structures with buoyancy capsules
KR20190119034A (ko) 부유 해양 플랫폼(floating offshore platform)
US7854570B2 (en) Pontoonless tension leg platform
US8707882B2 (en)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US7467912B2 (en) Extendable draft platform with buoyancy column strakes
US6012873A (en) Buoyant leg platform with retractable gravity base and method of anchoring and relocating the same
CN105035278B (zh) 低升沉半潜式海上结构
CN108473185B (zh) 低运动半潜式井台
WO2007097611A1 (en) Semi-submersible vessel, method for operating a semi-submersibl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submersible vessel
US6783302B2 (en) Buoyant leg structure with added tubular members for supporting a deep water platform
US8973514B2 (en) Floating support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US20020139286A1 (en) Heave-damped caisson vessel
AU686061B2 (en) Floating caisson for offshore drilling
GB2339730A (en) Floating caisson with lower section of reduced cross-sectional diameter
OA16697A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