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680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680A
KR20070034680A KR1020050089130A KR20050089130A KR20070034680A KR 20070034680 A KR20070034680 A KR 20070034680A KR 1020050089130 A KR1020050089130 A KR 1020050089130A KR 20050089130 A KR20050089130 A KR 20050089130A KR 20070034680 A KR20070034680 A KR 2007003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torage unit
duc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훈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4680A/en
Publication of KR2007003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6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 마련된 얼음저장부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서 수취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얼음저장부 및 상기 디스펜서부를 향하여 개구된 아이스덕트와; 상기 아이스덕트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서 토출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얼음배출통로에 쌓인 얼음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얼음이 배출통로에 축적되어 얼음배출을 방해하거나 토출마개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reezer compartment,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and a dispenser unit provided in the door to receiv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from the outside. An ice duc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ce duct and opened at both ends toward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dispenser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uide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guides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to the dispenser unit. As a result,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 discharge passage can be easily removed, and ice can accumulate in the discharge passage to prevent ice discharge or prevent the discharge plug from being completely close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냉동실측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측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sid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가이드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2 : 냉동실 1: body 2: freezer

3 : 도어 30 : 토출가이드3: door 30: discharge guide

31 : 가이드부 33 : 지지부 31: guide portion 33: support portion

35 : 손잡이부 40 : 얼음저장부 35: handle portion 40: ice storage

41 : 저장용기 43 : 회전체 41: storage container 43: the rotating body

45 : 구동모터 47 : 칼날카트리지45: drive motor 47: blade cartridge

50 : 디스펜서부 51 : 아이스디스펜서 50: dispenser 51: ice dispenser

53 : 아이스덕트 55 : 토출마개53: ice duct 55: discharge cap

70 : 제빙실 71 : 제빙트레이 70: ice tray 71: ice tray

73 : 만빙감지레버 75 : 이빙모터 73: ice detection lever 75: ice motor

77 : 빙삭부 78 : 구동부 77: ice cutting part 78: drive part

본 발명에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얼음배출통로에 축적된 얼음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removing ice accumulated in an ice discharge passage.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서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각종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고기, 생선 등과 같이 결빙온도 이하의 냉동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과, 과일, 야채와 같이 결빙온도 이상의 냉장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로 구획되어 마련된다. The refrigerator is an apparatus for keeping fresh various foods for a long time by using cold air generated in a refrigeration cycle. In general, the refrigerator is divided into a freezer compartment for storing frozen foods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such as meat and fish, and a cold compartment for storing refrigerated foods above the freezing temperature,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정에서 쉽게 얼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빙장치를 구한 냉장고가 보급되고 있다. 제빙장치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트레이(171)와, 제빙트레이(171)에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140)를 포함하며, 냉동실(102)을 개폐하는 도어(103)에는 얼음저장부(140) 저장된 얼음을 도어(103)을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수취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부(15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73은 얼음저장부(140)의 만빙여부를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173)이고, 175는 제빙트레이(171)를 회동시켜 이빙하게 하는 이빙모터(175)이다. Recently, as illustrated in FIG. 1, refrigerators having obtained an ice making device so that a user can easily use ice at home have been popularized. The ice making apparatus includes an ice making tray 171 for making ice by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an ice storage unit 140 in which ice iced in the ice making tray 171 is stored,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102 ( 103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unit 150 to receive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140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door 103. Here, reference numeral 173 denotes an ice detection lever 173 that detects whether the ice storage unit 140 is full of ice, and 175 is an ice motor 175 which rotates the ice making tray 171 to make ice.

한편, 얼음저장부(140)와 디스펜서부(150) 사이에는 얼음저장부(140)에서 토출되는 얼음을 디스펜서부(150)로 안내하도록 아이스덕트(153)가 마련되어 있다. Meanwhile, an ice duct 153 is provided between the ice storage unit 140 and the dispenser unit 150 to guid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140 to the dispenser unit 150.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얼음저장부(140)에서 토출되는 얼음의 일부가 디스펜서부(150)로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아이스덕트(153)의 내부에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루얼음과 같이 가벼운 얼음의 경우에는 빙삭부(미도시)에서 만들어진 가루얼음의 일부가 아이스덕트(153)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쌓여 배출통로를 막거나, 심한 경우에는 쌓인 얼음에 의해 디스펜서부(150)측 토출마개(155)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게 되어 외부의 더운 공기가 아이스덕트(53) 내부로 유입하여 쌓인 얼음을 녹여 디스펜서부(50) 측으로 물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a part of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140 is accumulated in the ice duct 153 without being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dispenser 150. Particularly, in the case of light ice such as powdered ice, a portion of the powdered ice produced in the ice cutting unit (not shown) is continuously accumulated in the ice duct 153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or in extreme cases, the dispenser unit The discharge cap 155 on the side of 150 may not be completely closed, and external hot air may flow into the ice duct 53 to melt the accumulated ice, and water may flow down to the dispenser unit 50.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이스덕트(153)에 히터를 마련하여 축적된 얼음을 가열하여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손을 아이스덕트(153) 내부로 밀어넣어 제거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related art, a heater is provided in the ice duct 153 to heat and remove accumulated ice, or a user directly removes the ice by pushing the hand into the ice duct 153.

그러나, 히터를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 생산원가의 상승과 더불어 소모전력이 증가하게 되며 히터를 아이스덕트와 함께 발포해야 하는 등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직접 쌓인 얼음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좁은 배출통로 때문에 제거작업 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쌓인 얼음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heater,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cost,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such as the foaming of the heater with the ice duct, and the user removes the accumulated 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oval operation itself is not easy because of the narrow discharge passag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accumulated ice complete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배출통로에 축적되는 얼음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remove ice accumulated in the ice discharge passage.

상기 목적은,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 마련된 얼음저장부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 서 수취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얼음저장부 및 상기 디스펜서부를 향하여 개구된 아이스덕트와; 상기 아이스덕트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서 토출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reezer compartment,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 do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and a dispenser unit provided in the door to receiv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from outside. An ice duct provided at the door and open at both ends toward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dispenser unit; It is achieved by a refrigerator including a discharge guide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to guid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to the dispenser.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아이스덕트에 수용되어 얼음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아이스덕트에 수용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charge guide may include a guide part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to guide ice, and a support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part to support the guide part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아이스덕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e duct.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rovided in any one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support.

상기 토출가이드는 금속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charge gui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material and a plastic material.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 마련된 얼음저장부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서 수취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받아 가루얼음을 만드는 빙삭부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얼음저장부 및 상기 디스펜서부를 향하여 개구된 아이스덕트와; 상기 아이스덕트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얼음저장부 및 상기 빙삭부에서 토출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eezer compartment,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er compartment, a dispenser unit for receiv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door from the outside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cutting unit provided in front of the ice storage unit and receiving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to make powdered ice; An ice duct provided at the door and open at both ends toward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dispenser unit; It is also achieved by a refrigerator including a discharge guide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and guides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ice cutting unit to the dispenser un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side-by-side refrigerator (Side by Side) as an example, it is no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측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1)와, 본체(1)에 형성된 냉동실(2)과, 냉동실(2)에 마련된 얼음저장부(40)와, 냉동실(2)을 개폐하는 도어(3)와, 도어(3)에 마련되어 얼음저장부(40)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서 수취하기 위한 디스펜서부(50)와, 도어(3)에 마련되며 양단이 얼음저장부(40) 및 디스펜서부(50)를 향하여 개구된 아이스덕트(53)와, 아이스덕트(53)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얼음저장부(40)에서 토출된 얼음을 디스펜서부(50)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30)를 포함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sid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1, the freezer compartment 2 formed in the main body 1, the ice storage unit 40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2, and the freezer compartment 2 The door 3, the dispenser 50 provided in the door 3 to receive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40 from the outside, the door 3 is provided at both ends and the ice storage unit 40 and Discharge guide 30 for receiving the ice duct 53 opened toward the dispenser unit 50 and the ice duct 53 detachably housed in the ice duct 53 to guid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to the dispenser unit 50. ).

여기서, 얼음저장부(40)의 전방에 마련되어 얼음저장부(40)에 저장된 얼음을 받아 가루얼음을 만드는 빙삭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ce storage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n ice cutting unit 77 provided in front of the ice storage unit 40 to receive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40 to make powdered ice.

본체(1)는 격벽에 의해 2개 이상의 저장실로 구획되며,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장실(미도시)과, 상대적으로 저온인 냉동실(2)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저장실은 3개 이상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 may be partitioned into two or more storage compartments by partition walls, for example,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tor compartment (not shown) and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freezer compartment 2. Of course,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제빙실(70)은 얼음을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냉동실(2)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빙실(70)은 외부의 물공급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얼음을 만드는 제빙트레이(71)와, 제빙트레이(71)의 하부에 마련되어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40)와, 제빙트레이(71)를 회동시켜 얼음을 이빙하기 위한 이빙모터(75) 및 얼음저장부(40) 내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73)를 포함한다. The ice making chamber 7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eezing chamber 2 so that ice can be made and supplied. The ice making chamber 70 includes an ice making tray 71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making ice, and an ice storage unit 40 for storing iced ice provided under the ice making tray 71; It includes an ice motor 75 for rotating the ice tray 71 to ice the ice, and an ice detection lever 73 for detecting the amount of ice in the ice storage unit 40.

얼음저장부(40)는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용기(41)와, 저장용기(41) 내의 얼음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회전체(43) 및 회전체(4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45)를 포함한다. The ice storage unit 40 is a storage container 41 in which the iced ice is stored,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otating body 43 and the rotating body 43 for discharging the ice in the storage container 41 to the outside. Includes 45.

여기서, 얼음저장부(40)의 전방 토출부에 마련되어 저장용기(41)로부터 토출된 각얼음을 받아 가루얼음을 만드는 빙삭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ce storage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n ice cutting unit 77 provided at the front discharge portion of the ice container 40 to make ice cube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41.

도어(3)는 냉동실(2)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도어(3)의 일측에는 얼음저장부(40)의 얼음을 외부에서 수취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부(50)가 마련된다. The door 3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2, and a dispenser 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3 to receive ice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from the outside.

빙삭부(77)는 얼음저장부(40)의 전방에 마련되어 얼음저장부(40)에서 토출된 얼음을 받아 가루얼음을 만들어 배출한다. 빙삭부(77)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가루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저장부(40)에서 토출된 얼음이 수용되며 일측에 가루얼음배출부(미도시)가 형성된 고정접시와, 가루얼음배출부에 마련된 칼날(미도시)과, 상기 고정접시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고정접시 내의 얼음을 칼날을 향하여 이송가압하는 회전접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ce cutting unit 77 is provided in front of the ice storage unit 40 receives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to make and discharge powdered ice. The ice cutting unit 77 may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to manufacture powdered ice. For exampl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is accommodated and a fixed plate having a powder ice discharge unit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a blade (not shown) provided in the powder ice discharge unit, and the fixed plate It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not shown) which is rotatably provided to convey and pressurize ice in the fixed plate toward the blade.

한편, 빙삭부(77)의 후방에는 상기 회전접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78)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78)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78)와 빙삭부(77) 사이에는 구동부(78)의 구동력을 빙삭부(77)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driving unit 78 for driving the rotating plate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ce cutting unit 77. The driving unit 78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driving motor. In addition, a power transmission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unit 78 and the ice cutting unit 77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78 to the ice cutting unit 77.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디스펜서부(50) 및 아이스덕트(53)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펜서부(50)는 얼음저장부(40)의 얼음을 수취하기 위한 아이스디스펜서(51)와, 정수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워터디스펜서(미도시)와, 토출되는 얼음의 종류선택 또는 냉장관련 제어입력이 가능한 조작패널(미도시)을 포함한다.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enser 50 and the ice duct 53 of the refrigerator of FIG. 2.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penser 50 includes an ice dispenser 51 for receiving ice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a water dispenser (not shown) for receiving purified water, and a type of ice discharged.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capable of selecting or refrigeration-related control input is included.

아이스덕트(53)는 얼음저장부(40)와 디스펜서부(50) 사이에 마련되어 얼음저장부(40) 또는 빙삭부(77)에서 토출된 얼음을 디스펜서부(50)로 안내한다. 아이스덕트(53)는 예를 들어,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경우, 얼음저장부(40)를 향하는 일단은 얼음저장부(40) 또는 빙삭부(77)에서 토출되는 얼음의 수취가 용이하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으며, 아이스덕트(53)의 타단은 상기 일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출구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ice duct 53 is provided between the ice storage unit 40 and the dispenser unit 50 to guid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or the ice cutting unit 77 to the dispenser unit 50. The ice duct 53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In this case, one end toward the ice storage unit 40 may be provided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to facilitate the receipt of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or the ice cutting unit 77, the ice duct 53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narrow exit area than the one end.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가이드(3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토출가이드(30)는 아이스덕트(53)에 수용되어 얼음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1)와, 가이드부(3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아이스덕트(53)에 수용된 가이드부(3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3)를 포함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guid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charge guide 30 is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53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guide portion 31 for guiding the ice is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53, and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31 And a support part 33 for supporting the guide part 31.

가이드부(31)는 아이스덕트(53)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얼음저장부(40) 또는 빙삭부(77)에서 토출된 얼음을 디스펜서부(50)로 안내한다. 따라서, 가이드부(31)가 아이스덕트(53)내에 수용되면 토출되는 얼음은 가이드부(31)를 따라 안내될 뿐 아이스덕트(53)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The guide part 31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53 and guides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part 40 or the ice cutting part 77 to the dispenser part 50. Therefore, when the guide part 31 is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53, the discharged ice is guided along the guide part 31 bu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ice duct 53.

가이드부(31)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단이 얼음저장부(40) 및 디스펜서부(50)를 향하여 개구된 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 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부(40)를 향하는 입구면적이 디스펜서부(50)를 향하는 출구면적보다 넓은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31)는 아이스덕트(5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31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both ends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open toward the ice storage unit 40 and the dispenser unit 5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inlet area facing the ice storage unit 40 may be provided to have a funnel shape larger than the outlet area facing the dispenser unit 50. Meanwhile, the guide part 3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ce duct 53.

지지부(33)는 가이드부(3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아이스덕트(53)에 수용된 가이드부(31)를 지지한다. 지지부(33)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의 일단에서 절곡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가 아이스덕트(53)에 수용될 때, 아이스덕트(53)의 입구 측에 걸림되어 더이상 가이드부(31)가 아이스덕트(53) 내부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지지부(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의 일단 연부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지부(33)는 가이드부(31)의 타단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양단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part 33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guide part 31 to support the guide part 31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5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part 33 may be provided bent at one end of the guide part 3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when the guide part 31 is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53, the support part 33 is caught by the inlet side of the ice duct 53 so that the guide part 31 is no longer provided. It is prevented from sinking into the ice duct 53. Here,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part 33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edge of one end of the guide part 31 or may be provided only in a part.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33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ortion 31, it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손잡이부(35)는 토출가이드(30)를 아이스덕트(53)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가이드부(31) 및 지지부(33)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다. 손잡이부(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3)의 일측이 상향절곡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도 4참조), 가이드부(31)의 내벽 일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미도시)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handle part 35 is provided at any one of the guide part 31 and the support part 33 so as to easily separate the discharge guide 30 from the ice duct 53. The handle part 35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33 may be provided upwardly bent (see FIG. 4), or may be provided as a lock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art 31.

여기서, 토출가이드(30)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출성형이 용이하도록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Here, the discharge guide 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injection molding.

한편, 토출가이드(30)가 도어(3)의 회동시 또는 얼음토출시 아이스덕트(53) 로부터 이탈되거나, 상대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guide 3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moving away from the ice duct 53 or relative movement during the rotation of the door (3) or ice discharge.

전술한 구조를 갖는 냉장고에서의 토출가이드의 착탈 및 얼음토출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etachment and ice discharge process of the discharge guide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토출가이드(30)를 도어(3)의 내측에서 아이스덕트(53)의 내부로 삽입한다. 가이드부(31)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면 지지부(33)가 아이스덕트(53)의 입구측에 걸림되어 더이상 가이드부(31)가 아이스덕트(53)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가이드부(31)가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지지부(33)가 없는 경우에도 가이드부(31)의 형상에 의해 일정 깊이 만큼만 삽입될 수도 있다. First, the discharge guid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ce duct 53 from the inside of the door 3. When the guide part 31 is inserted to a certain depth, the support part 33 is locked to the inlet side of the ice duct 53 so that the guide part 31 is no longer inserted into the ice duct 53. Of course, when the guide part 31 has a funnel shape, even when the support part 33 is not present, the guide part 31 may be inserted only by a predetermined depth by the shape of the guide part 31.

상기와 같이, 토출가이드(30)가 아이스덕트(53) 내부에 수용된 후에는 얼음저장부(40) 또는 빙삭부(77)에서 디스펜서부(50)로 토출되는 얼음이 아이스덕트(53)에 접촉되지 않고 토출가이드(30)를 따라 안내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discharge guide 30 is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53,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40 or the ice cutting unit 77 to the dispenser unit 50 contacts the ice duct 53. It is not guided along the discharge guide (30).

가루얼음이 토출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하여 가루얼음을 선택하면, 구동모터(45)가 구동되고 구동모터(45)에 결합된 회전체(43)가 회전하면서 저장용기(41) 내의 얼음을 개구부를 향하여 이송시킨다. 개구부로 배출된 얼음은 칼날카트리지(47)에 의해 회전이송되어 빙삭부(77)로 유입된다. 고정접시에 수용된 얼음은 구동부(78)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접시에 의해 칼날을 향해 이송가압되며, 빙삭된 가루얼음이 가루얼음배출부로 배출된다. 빙삭부(77)에서 배출된 가루얼음은 가루얼음배출부의 하부에 마련된 아 이스덕트(53)로 유입된다. 따라서, 가루얼음은 아이스덕트(53)의 내부에 장착된 토출가이드(30)에 안내되어 디스펜서부(50)로 토출된다. A process of discharging powdered 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hen the user selects the powder ice through the operation panel, the drive motor 45 is driven and the rotating body 43 coupled to the drive motor 45 rotates to transfer ice in the storage container 41 toward the opening. Ic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is rotated by the blade cartridge 47 and flows into the ice cutting unit 77. The ice contained in the fixed plate is conveyed and pressed toward the blade by a rotating plate that rotates in combination with the drive unit 78, and the iced powder ice is discharged to the powder ice discharge unit. The powder ice discharged from the ice cutting unit 77 flows into the ice duct 53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owder ice discharge unit. Therefore, the powdered ice is guided to the discharge guide 30 mounted inside the ice duct 53 and discharged to the dispenser unit 50.

토출가이드(30)의 가이드부(31)에 가루얼음이 쌓여 이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토출가이드(30)를 삽입할 때의 반대순서로 토출가이드(30)를 아이스덕트(53)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손잡이부(35)를 이용하면 토출가이드(3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When the powder ice accumulates on the guide part 31 of the discharge guide 30 and is to be removed, the discharge guide 30 is separated from the ice duct 53 in the reverse order when the discharge guide 30 is inserted. At this time, by using the handle 35, the discharge guide 30 can be easily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하면, 얼음배출통로에 얼음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토출가이드를 아이스덕트에서 분리하여 얼음을 제거하면 되므로 얼음제거작업이 간편해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discharge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ce is accumulated in the ice discharge passage, the discharge guide may be removed from the ice duct to remove the ice, thereby simplifying the ice removing operation.

또한, 간편한 얼음제거작업에 의해 얼음배출통로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얼음이 배출통로를 막아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토출마개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밀폐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ce discharge passage can be kept clean by a simple ice removal operation, the ice blocks the discharge passage and prevents the ice from being discharged, or prevents the sealing failure caused by the discharge plug not being completely closed.

또한 얼음배출통로에 쌓인 얼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히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히터 가동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heater to remove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 discharge passag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i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heater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얼음배출통로에 쌓인 얼음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며, 얼음이 배출통로에 축적되어 얼음배출을 방해하거나 토출마개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remove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 discharge passag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ce from accumulating in the discharge passage to prevent ice discharge or to close the discharge stopper completely.

Claims (6)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 마련된 얼음저장부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서 수취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reezing compartment,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a dispenser unit provided in the door to receiv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from the outside.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얼음저장부 및 상기 디스펜서부를 향하여 개구된 아이스덕트와; An ice duct provided at the door and open at both ends toward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dispenser unit; 상기 아이스덕트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서 토출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a discharge guide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and guiding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to the dispenser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아이스덕트에 수용되어 얼음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아이스덕트에 수용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discharge guide includes a guide part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to guide the ice, and a support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part to support the guide part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아이스덕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the guide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e duct.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 handle provided in any one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출가이드는 금속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discharge guid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metal material and a plastic material.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 마련된 얼음저장부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서 수취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reezing compartment,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a dispenser unit provided in the door to receiv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from the outside. 상기 얼음저장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받아 가루얼음을 만드는 빙삭부와; An ice cutting part provided in front of the ice storage part to receiv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part and to make powdered ice;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얼음저장부 및 상기 디스펜서부를 향하여 개구된 아이스덕트와; An ice duct provided at the door and open at both ends toward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dispenser unit; 상기 아이스덕트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얼음저장부 및 상기 빙삭부에서 토출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a discharge guide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ice duct to guid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ice cutting unit to the dispenser unit.
KR1020050089130A 2005-09-26 2005-09-26 Refrigerator KR200700346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30A KR20070034680A (en) 2005-09-26 2005-09-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30A KR20070034680A (en) 2005-09-26 2005-09-26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680A true KR20070034680A (en) 2007-03-29

Family

ID=4929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130A KR20070034680A (en) 2005-09-26 2005-09-2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468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933A (en) * 2011-12-20 2013-06-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er
US9829236B2 (en) 2015-06-17 2017-11-28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capable of making ice p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ice particles
WO2024080538A1 (en) * 2022-10-13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933A (en) * 2011-12-20 2013-06-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er
US9829236B2 (en) 2015-06-17 2017-11-28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capable of making ice p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ice particles
WO2024080538A1 (en) * 2022-10-13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4356B1 (en) Refrigerator
KR101392596B1 (en) Refrigerator
EP3059526A1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163108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997259B1 (en) Refrigerator
US8572999B2 (en) Refrigerator
US8677775B2 (en) Refrigerator having an in the door ice maker and ice container arrangement
KR20070034680A (en) Refrigerator
KR20100027955A (en) Refrigerator
JP4493458B2 (en)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er refrigerator equipped with automatic ice maker
EP2097695B1 (en) Refrigerator
KR10151987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07120853A (en) Storage comprising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20110072435A (en) Refrigerator
JP4097642B2 (en)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er refrigerator equipped with automatic ice maker
JP4093315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JP2007120819A (en) Storage box with automatic ice-making machine
JP4141429B2 (en)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er refrigerator equipped with automatic ice maker
JP4108046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JP4121469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KR200157105Y1 (en)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a refrigerator
JP2005114198A (en) Ice tray an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100565615B1 (en) ice-maker in the refrigerator
JP4090441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JP2005180908A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