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739A - 치과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739A
KR20070033739A KR1020050088228A KR20050088228A KR20070033739A KR 20070033739 A KR20070033739 A KR 20070033739A KR 1020050088228 A KR1020050088228 A KR 1020050088228A KR 20050088228 A KR20050088228 A KR 20050088228A KR 20070033739 A KR20070033739 A KR 20070033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dental
housing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6901B1 (ko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Priority to KR1020050088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9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3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providing two or more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regulating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부를 조명하는 제 1 광원과, 치아를 미백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하는 집광경과, 상기 집광경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이 고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 1 광원은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은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조명할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과 광중합 조성물의 경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과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치과, 조명, 발광다이오드, 치아 미백, 광중합

Description

치과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dent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가 장착된 치과용 의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 중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의 제 1 광원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의 제 2 광원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치과용 조명장치 110 : 회전판
112 : 손잡이 114 : 홈
120 : 집광경 122 : 관통공
130 : 하우징 132 : 방열용 홀
134 : PCB기판 140 : 제 1 광원
150 : 제 2 광원 160 : 냉각팬
170 : 반사경 172 : 연결암
174 : 차광층 200 : 암
본 발명은 치과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치아를 치료하기 위하여 구강 내부를 조명할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과 광중합 조성물의 경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과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치아를 치료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조명하는 치과용 조명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치과용 조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의자에 부착되어 환자의 머리 위에서부터 구강 근처로 강한 빛을 조사하는 치과용 조명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램프에는 통상 1,500 내지 2,500 럭스(lux)에 이르는 강한 조도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할로겐램프 또는 할로겐-텅스텐램프 등이 사용된다.
한편, 치과 시술 중 치아 미백치료가 있는데, 이는 약제를 사용하여 치아를 백색으로 만드는 시술로 최근 들어 사람들의 관심이 증대된 치과 시술의 하나이다. 이러한 치아 미백치료에는, 치아의 내부에 약제를 넣어 시술하는 실활치 미백치료와, 치아에 끼는 마우스 트레이 내부에 약제를 넣어 시술하는 실리콘틀 미백치료 및 광선을 이용한 미백치료가 있다.
이 중 광선을 이용한 치아 미백치료는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치아의 표면에 도포한 뒤 조명장치의 빛과 열을 그 도포부위에 조사하여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으로, 그 치료기간은 짧게는 3주에서 길게는 6주 정도이며 주 1회 실시한다. 이때,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램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한 조도의 빛과 열을 조사할 수 있는 할로겐램프 또는 할로겐-텅스텐램프 등이 사용된다.
다른 한편, 치과 시술 중 충치의 충전 및 복원치료에는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개시제 및 무기 충전제로 된 치과용 광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가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중합을 야기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은 사용 및 시술이 용이하므로 그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광중합성 조성물로는 미국 Dentsply Caulk사의 surefil(등록상표), 3M 사의 Z100(등록상표) 및 Bisco, Inc의 Aelite Flo(등록상표) 등이 있다.
이러한 광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300㎚ 내지 1000㎚ 범위의 특정 파장의 빛을 광중합성 조성물에 조사하는 치과용 조명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램프에는 300㎚ 내지 1000㎚ 범위의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할로겐램프 또는 할로겐-텅스텐램프 등이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종류의 치과용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할로겐램프 또는 할로겐-텅스텐램프는 수명이 짧고, 자연광에 비해 황색빛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치아의 색조를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할로겐램프 또는 할로겐-텅스텐램프는 빛을 발생함에 있어서 강한 전자파와 소음을 함께 발생시키므로 환자 및 의사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의사의 경우 여러 환자를 치료하는 동안 장시간에 걸쳐 전자파와 소음에 노출되므로 더욱 심각하다.
뿐만 아니라 치아의 미백치료와 충전 및 복원치료에 사용되는 조명장치는 치과용 의자와 별도로 구비되는 바, 사용할 때마다 치과용 의자에 장착하거나 치과용 의장의 주변으로 이동시켜 사용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하나의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조명할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과 광중합 조성물의 경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과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는, 구강 내부를 조명하는 제 1 광원과, 치아를 미백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하는 집광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집광경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이 고정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광원은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은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 중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100)는 암(Arm, 200)을 통해 치과용 의자(미도시)에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치과용 조명장치(100)는 암(2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암(200)은 상기 치과용 의자에 대해 상하 및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암(200)의 일단부, 즉 치과용 의자와 연결되지 않은 일단부에는 오목하게 만곡진 회전판(110)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110)은 오목부가 하향하도록 형성되어 그 하부에 집광경(120)이 결합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암(2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양단부에는 집광경(1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110)의 하부에는 집광경(120)이 삽입 가능하도록 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홈(114)의 바닥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하우징(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10)의 홈(114)에 삽입되는 집광경(120)은 상기 하우징(13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관통공(122)이 형성되며, 반사면이 하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30)은 육각기둥 형상으로 그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10)과 하우징(130)의 결합방법은 나사결합이 바람직하며, 회전판(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30)이 집광경(120)을 고정하도록 하우징(130)의 둘레가 상기 관통공(112)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하우징(130)의 형상을 육각기둥 형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통형상 및 그 외의 형상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30)의 하면과 둘레에는 각각 제 1 광원(140)과 제 2 광원(150)이 마련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160)이 마련되며, 그 표면에는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방열용 홀(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6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CB기판(134)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냉각팬(160)은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의 상부에 위치되는 바, 상기 방열용 홀(132)은 상기 하우징(13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하우징(130)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30)의 방열을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으로는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되는데, 광원으로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소비전력이 낮고 수명이 길기 때문이다. 또한, 직류 및 교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충격에 강하고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다. 뿐만 아니라 전자파와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환자나 의사에게 유해하지 않다.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되어지되 제 1 광원(140)으로는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제 2 광원(150)으로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광원(140)의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30)의 하면에 위치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므로 자연광에 가까운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고휘도의 백색 발광다이오드가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제 2 광원(150)의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30)의 둘레에 위치되어 치아 미백용으로 사용되거나 광중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바, 특정 파장영역을 조사할 수 있는 다이오드로서 청색 발광다이오드가 적합하다. 이때, 상기 청색 발광다이오드는 300 ~ 1000㎚의 파장영역을 가져야 하되, 특히 치아 미백치료를 위해서는 380 ~ 490㎚의 파장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80 ~ 490㎚의 파장영역이 300 ~ 1000㎚의 파장영역 내에 포함되지만 치아 미백 효과는 380 ~ 490㎚의 파장영역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이 두 파장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380 ~ 490㎚의 파장영역을 갖는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300 ~ 1000㎚의 파장영역을 갖는 청색 발광다이오드 모두 구비한 후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전원을 제어하면 각각의 파장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30)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반사경(170)이 마련된다. 상기 반사경(170)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집광경(120)으로 반사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암(172)에 의해 상기 하우징(13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반사경(170)의 하면에는 차광층(174)이 구비되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140, 150)으로부터 조사된 빛에 의한 환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의 제 1 광원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의 제 2 광원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아를 진료하기 위해서는 구강 내부를 조명해야 하는 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ON하면, PCB기판(134)을 통해 제 1 광원(140)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이 공급된 제 1 광원(140)은 빛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빛은 반사경(170)으로 조사된다. 반사경(170)으로 조사된 빛은 다시 집광경(120)으로 조사되며 집광경(120)에 의해 일정 위치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10)의 손잡이(112)를 이용하면 빛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구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환자의 치아를 미백치료하거나 충치의 충전 및 복원치료 시 스위치를 ON하면, PCB기판(134)을 통해 제 2 광원(150)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 2 광원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구강 내부를 조명할 때와 동일한 과정으로 조사된다. 이때, 만곡된 양이 서로 다른 집광경(120)을 사용하면 집광경(120)을 통해 집광되는 빛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치료하고자 하는 치아가 치아의 일부 또는 전체일 경우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특히 치아의 일부만 치료하는 경우 다른 치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조명장치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하나의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조명할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과 광중합 조성물의 경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료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영역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므로 그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원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므로 종래 광원에서 발생되던 유해환경요소인 전자파와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그 빛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무방하다.

Claims (11)

  1. 구강 내부를 조명하는 제 1 광원과;
    치아를 미백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하는 집광경;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은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원은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은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은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원은 380 ~ 490㎚의 파장영역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경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이 고정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은 하우징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광원은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하우징의 둘레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집광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의 하면에는 차광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냉각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방열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조명장치.
KR1020050088228A 2005-09-22 2005-09-22 치과용 조명장치 KR10074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228A KR100746901B1 (ko) 2005-09-22 2005-09-22 치과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228A KR100746901B1 (ko) 2005-09-22 2005-09-22 치과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739A true KR20070033739A (ko) 2007-03-27
KR100746901B1 KR100746901B1 (ko) 2007-08-07

Family

ID=4163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228A KR100746901B1 (ko) 2005-09-22 2005-09-22 치과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87B1 (ko) * 2007-07-20 2009-05-07 최상근 치아 미백 시술용 램프 및 블루 코팅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080B1 (ko) 2010-04-20 2011-12-26 메디럭스(주) 치과 진료의자의 조명장치
KR101554721B1 (ko) 2015-03-26 2015-09-21 주식회사 덴트화이트 구강용 광조사 장치
KR102057580B1 (ko) * 2018-02-02 2019-12-19 이준택 의료용 쉐이드 라이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668A (ko) * 2003-03-10 2004-09-16 정창권 치과용 다기능 조명장치
KR100643516B1 (ko) * 2003-05-06 2006-11-10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의료용 광조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87B1 (ko) * 2007-07-20 2009-05-07 최상근 치아 미백 시술용 램프 및 블루 코팅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901B1 (ko)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888B1 (en) Optical source and method
US20030133203A1 (en) Optical lens used to focus led light
US4840174A (en) Method of laser treatment of cancerization of the oral cavity
US8900282B2 (en)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US20050282102A1 (en) Kit for use by dental professionals
JP4056930B2 (ja) 医療用光照射装置
JP2020514001A (ja) 光硬化デンタルシステム
US20040101802A1 (en) Wide bandwidth led curing light
ATE245950T1 (de) Zahnärtzliches handstück mit beleuchtungsmittel
WO2018026892A1 (en) Intraoral appliance for multiple treatment applications
CA2512339A1 (en) Dental illumination device
WO2016066055A1 (zh) 一种激光口腔治疗用光纤设备
US6893258B1 (en) Dental material curing apparatus
KR100746901B1 (ko) 치과용 조명장치
KR20130034068A (ko) 치과용 의료기기에 탈 부착되는 구강용 조명장치
US20060033052A1 (en) Curing light with ramped or pulsed leds
JP3084178U (ja) 無影灯
RU2036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слизистую оболочку альвеолярного отростка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RU2381768C1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KR100375166B1 (ko) 광원이 환자 및 의사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치과용 광공급 장치
KR200214147Y1 (ko) 광원이 환자 및 의사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광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치과용 의자
KR200220361Y1 (ko) 광원이 환자 및 의사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치과용 광공급 장치
RU161072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тканей пародонта
KR20120119482A (ko) 치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
US20050205882A1 (en) LED-photo-c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