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338A -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338A
KR20070032338A KR1020077001402A KR20077001402A KR20070032338A KR 20070032338 A KR20070032338 A KR 20070032338A KR 1020077001402 A KR1020077001402 A KR 1020077001402A KR 20077001402 A KR20077001402 A KR 20077001402A KR 20070032338 A KR20070032338 A KR 20070032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urfactant
sulfosuccinate
sulfosuccinic aci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메이 팬
에스더 김
토드 엠. 크루즈
티루케라이 바라한 바수데반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to KR102007700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338A/ko
Publication of KR2007003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3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23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e.g. sulfosucc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Abstract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모발 및 피부를 세정하기 위한, 순하지만 사용시 특성 및 경제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수성 조성물의 보관시 본질적인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4%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의 사용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세정 조성물, 샴푸, 계면활성제, 술포숙신산, 보관안정성

Description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MILD, MOISTURIZING CLEANSING COMPOSITIONS}
본 발명은 비누 거품과 같이 사용시 바람직한 특성을 갖고, 모발과 피부에 우수한 보습 및 컨디셔닝(conditioning) 이점을 제공하며, 보관시 안정한 순한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과 피부에 순하고, 소비자가 건강하고 보습된 모발 및 피부를 연상시키는 감각적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세정 조성물이 최근에 점차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세정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다양한 순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지만,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순함과 풍부하고 많은 비누 거품을 일으키는 그의 능력 사이에는 상충관계가 있다. 따라서, 순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배합자는 이러한 비누 거품 부족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종 총 계면활성제 함량을 증가시킨다. 이는 조성물의 경제적인 면에 불리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순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모발 및 피부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계면활성제의 능력은 다른 인자 외에 총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또한, 고농도의 계면활성제는 또한 보습 샴푸 조성물에 도입하기에 바람직한 불용성 모발 및 피부 컨디셔닝제의 효율적인 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발 및 피부에 순하면서도 조성물내 계면활성제의 수준을 과량으로 사용할 필요없이 풍부하고 많은 비누 거품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고, 불용성 모발 컨디셔닝제와 매우 상용성인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여전히 필요하다.
다양한 순한 세정 조성물을 연구하는 동안, 임의의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2원 혼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추가로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 및 기타 계면활성제와 함께, 매우 효율적이고 순한 샴푸 및 피부 세정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베이스는 보관안정성이 매우 가변적이고 예상불가능하였다. 일부 혼합물은 매우 점성으로 되었고, 심지어 보관하는 동안 겔화하였고, 소비자들의 마음에 들지 않게 된 반면, 동일한 "명목의" 조성을 갖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혼합물은 그렇지 않았다.
광범위한 연구 및 화학적 분석 결과, 보관시 변칙적인 증점의 원인은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가수분해 생성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놀랍게도 조성물에 존재하는 술포숙신산 또는 그의 단순염의 수준은, 특히 고온 보관 조건하의 보관안정성에 뚜렷하고 중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하는 실제 샴푸 및 피부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 이 혼합물은 비누 거품을 손상하지 않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면서, 모발 및 피부 컨디셔닝제와 매우 상용성인 매우 순한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 특허 및 특허 공개공보가 고려되었다.
WO 93/25650호에는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및 무기 및 유기 전해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효량의 점도조절제를 포함하는 고도로 농축된(30 내지 90%) 계면활성제 농축물이 개시되어 있다. 유기 전해질로서 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이 언급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668,422호에는 임의의 소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기재로 하는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증점제, 즉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서 염화나트륨 및 염화암모늄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839,098호에는 본질적으로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액체 식기 세제가 개시되어 있다. 점도조절제로서 염화암모늄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165,454호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불용성 실리콘 및 아크릴성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모발 관리 제품의 저에너지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306,805호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가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점에 대한 개선을 모색한다. 역점을 두어 다루는 하나 이상의 문제들중 하나로 보관불안정성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모발 및 피부에 순하고, 우수한 비누 거품을 생성하고, 비교적 낮은 함량의 총 계면활성제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특히, 모발 및 피부를 세정하기에 매우 적합한 순한 수성 조성물은 i)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 약 1 내지 약 20%, ii) 양쪽성 계면활성제 약 1 내지 약 20%, 및 iii)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을 포함하고, 이때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은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4%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2원 술포숙시네이트/양쪽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추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과 추가로 혼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인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 또는 중량%는 논의될 조성물 또는 성분의 총중량에 대한 성분의 중량%를 가리킨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외한 경우, 또는 달리 명확하게 나타낸 경우에, 물질의 양 또는 반응 조건, 물질의 물성 및(또는) 용도를 나타내는 본 명세서내의 모든 숫자는 "약"이라는 말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양은 최종 조성물의 중량 기준이다.
농도의 임의의 범위를 나타냄에 있어서, 임의의 특정 상한 농도는 임의의 특정 하한 농도와 관련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불확실함을 피하기 위하여,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포함"의 뜻을 나타내지만, 반드시 "구성되는" 또는 "이루어지는"의 뜻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달리 말하자면, 기재된 단계 또는 선택 사항이 총망라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인체 모발 및 피부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순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시스템, 술포숙신산 또는 그의 염 및 다양한 임의의 모발 및(또는) 피부 관리 첨가제, 및 보조제를 포함한다. 이들 성분을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한다.
계면활성제 시스템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2가지 필수 유형의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술포숙시네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다른 하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다.
술포숙시네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반에스테르이다:
Figure 112007005684015-PCT00001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0 내지 2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X는 평균 에톡실화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0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약 4,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5이고,
M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가 양이온이다.
바람직한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이온(예: 나트륨 또는 칼륨), 암모늄 이온, 또는 알칸올암모늄 이온(예: 모노에탄올암모늄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 이온)이다.
바람직한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로는 C10-C14 술포숙시네이트, 및 C10-C14 에톡시 (1-5) 술포숙시네이트가 있다. 라우레트-3 술포숙시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한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이다.
본 조성물에 존재하는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수준은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7중량%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제2의 필수 성분은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다.
특히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베타인 계면활성제이다:
Figure 112007005684015-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알킬 또는 알킬 아미도알킬 기이다.
어느 경우에서나 알킬 기는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6,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4의 분지형 또는 선형 알킬 기일 수 있다. 입수가능한 베타인으로는 올레일 베타인, 카프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이소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코코 이미도아졸리늄 베타인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베타인은 라우릴 또는 코코 베타인, 및 라우릴 또는 코코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라우릴"이란 용어는 주로 C12 쇄 길이의 지방산을 가리키고, 코코는 C12 및 C14 쇄 길이의 지방산의 혼합물을 가리킨다.
또 하나의 유형의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3급 아민과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비술파이트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되는 히드록시술타인(히드록시프로필 술포네이트 기를 갖는 술포베타인의 CTFA명)이다. 그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05684015-PC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알킬 또는 알킬 아미도알킬 기이다.
어느 경우에서나 알킬 기는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6,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4의 분지형 또는 선형 알킬 기일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술타인으로는 라우릴 히드록시 술타인, 탈로우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 술타인, 에루크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 술타인, 및 알킬에테르 히드록시프로필 술타인이 있다.
바람직한 히드록시술타인은 코코 및 라우릴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 술타인, 및 코코 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술타인이다.
다른 부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이미다졸린과 클로로아세트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이 부류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지방 암포아세테이트 및 지방 암포디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물질은 정식으로 각각 암포글리시네이트 및 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로 공지되어 있다:
Figure 112007005684015-PCT00004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0 내지 16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쇄이고,
R2는 H 또는 -CH2-COOH이다.
바람직한 암포아세테이트는 코코 및 라우로 암포아세테이트이고, 바람직한 암포디아세테이트는 라우로 및 코코 암포디아세테이트이다.
기타 덜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C10-C16 지방 암포카르복시 프로피오네이트 및 C10-C16 지방 암포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다른 부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와 같은 지방 아민 옥사이드이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되었다. N-옥사이드 기는 pKb가 약 9인 약염기이다. 따라서, pH 5에서 분자의 약 50%는 양으로 하전된 N+-OH 종으로서 존재하지만, pH 6.5에서는 겨우 3%만이 양으로 하전된 종으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 아민 옥사이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분류된다.
조성물에 존재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수준은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5중량%일 수 있다.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 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2:1 내지 약 1:2,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1 내지 약 1:1.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1 내지 약 1:1이다.
인체 모발 및 피부를 세정하는데 적합한 다양한 임의의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순함을 지나치게 손상시키지 않는다면, 조성물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들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 지방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타우레이트 및 다양한 아미노산계 아미도 카르복실레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예: 알콜 에톡실레이트, 지방 아미드, 알킬(폴리)사카라이드, 및 알킬 글루카미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예: 장쇄 지방 아민 및 장쇄 지방 에톡실레이트화 아민)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임의의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의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이다:
Figure 112007005684015-PCT00005
상기 식에서, R3은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쇄를 갖는 알킬 기이다.
알킬 기는 탄소수가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일 수 있다. "X"는 계면활성제 분자당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을 나타내고, 주로 약 0.5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5일 수 있다.
"M"은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1가 양이온,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암모늄 또는 알칸올암모늄 이온을 나타낸다.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는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5%,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8%의 양으로 조성물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계면활성제 함량은 약 1 내지 약 30중량%일 수 있다. 그러나, 조성물은 소비자가 농축물로서가 아니라 최종적으로 모발과 피부를 세정하는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계면활성제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이다.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시네이트 염
놀랍게도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알칸올암모늄 염은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조성물의 장기간 안정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술포숙신산의 중량은 편리하게는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총중량에 대한 술포숙신산(또는 그의 염의 경우에서는 화학양론적 등가량의 술포숙신산)의 비 곱하기 100으로서 표현된다. 이 값은 술포숙신산 계면활성제의 총중량에 대한 술포숙신산의 "%"(또는 "백분율")로서 나타낸다. 술포숙신산 %는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약 4%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 이상일 것이다.
본 조성물에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그의 염을 첨가하면 조성물의 초기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약간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그의 염이 보관 후, 특히 승온에서 보관 후의 조성물의 점도 증가 방지에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술포숙시네이트는 보관안정제로서 작용하고 조성물의 점도를 거의 그의 보관전 초기 값으로 유지시킨다. "점도를 그의 초기 값으로 유지시킨다"라는 용어는, 보관 후의 조성물의 점도가 조성물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훈련되지 않은 관찰자가 보기에 명백하게 상이하지 않음을 뜻한다. 이러한 수준의 점도 "유지"를 달성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보관후의 점도가 초기 값의 약 75%보다 많이 변하지 않아야 하고(즉, 증가하지 않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초기 값의 약 65% 이내이다. 따라서, 술포숙신산의 수준은 이러한 점도 유지를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수준은 사용되는 특정 조성물에 따라 다르지만,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약 4%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초기 점도"란 용어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실온(약 25 내지 27℃)에서 평형을 이루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보관한 후의 조성물의 점도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샘플을 밤새(15-24시간) 평형화시킨 후, 초기 점도를 기록한다.
널리 공지되어 있듯이, 장기간 보관안정성의 하나의 지표로서, 시험 조성물을 더 높은 온도에 노출시키는 가속 보관 시험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명세서에서, 조성물은 49℃에서 최소 약 4주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11주동안 보관한 후에도 그의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의로부터, 술포숙신산 또는 염이 보관하지 않는 동안에도 조성물의 점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들이 본 발명의 혼합된 술포숙시네이트-양쪽성 조성물에서 통상의 점도조절제로서 작용하지 않음이 분명하다.
술포숙신산(또는 술포숙신산 염)의 도입에는 2가지의 주요 경로가 있다. 첫번째는 잔여 반응물 또는 가수분해 생성물로서, 상업적인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성분으로서이다. 두번째는 조성물에 대한 술포숙신산 또는 그의 염의 분리 첨가 및 직접 첨가에 의한 것이다. 물론, 이들 두 첨가 경로를 병용하여 전술된 점도 유지 수준을 달성할 수 있다. 술포숙신산의 도입 방법에 상관없이,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총중량에 대한 술포숙신산의 중량%으로서 표현되는 술포숙신산의 총량은 전술된 임계값보다 커야 한다.
임의 성분
완충제
조성물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7,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6.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1 내지 약 6.4이다.
또한, pH 변화에 저항하는 적당한 산 완충능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성물의 물리적 보관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산 완충능은 조성물 1리터에 첨가되어 pH를 1 pH 단위씩 떨어뜨릴 수 있는 산(예컨대, 양성자 또는 히드로늄 이온)의 몰수로서 정의된다. 산 완충능은 시험 조성물을 pH 전극을 사용하여 강산(예: HCl)의 표준 용액으로 적정함으로써(일반적으로 10배 희석) 측정할 수 있다. 실제로, 조성물의 산 완충능은 조성물 1리터당 히드로늄 이온 약 0.0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2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3몰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산/염기 쌍을 완충 시스템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완충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암모늄으로 중화된 시트르산, 및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암모늄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이다.
컨디셔닝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실리콘 컨디셔닝제 및 비실리콘 컨디셔닝제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컨디셔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컨디셔닝제는, 완전 제형화된 제품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다면, 액상, 반고상 또는 고상일 수 있는 액적 또는 미립자 형태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오일상 컨디셔닝제의 임의의 액적은 바람직하게는 액상 또는 반고상 액적으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액상 액적으로서 존재한다.
i) 실리콘 컨디셔닝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및 피부 컨디셔닝 이점을 제공하기에 유효한 농도의 실리콘 컨디셔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농도는 샴푸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중량%이다.
실리콘 컨디셔닝제는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이지만, 수용성 및 휘발성 실리콘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실리콘은 조성물내에서 혼합되어, 분산된 불용성 미립자의 분리된 불연속 상의 형태(액적으로도 불림)가 될 것이다. 이러한 액적은 전형적으로 후술되는 임의의 현탁제에 의해 현탁된다. 실리콘 컨디셔닝제 상은 실리콘액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실리콘 수지와 같은 기타 성분을 포함하여 실리콘액 침적 효율을 개선시키거나 윤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특히 고굴절률의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
적합한 실리콘으로는 폴리디유기실록산, 특히 CTFA명이 디메티콘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특히 샴푸 및 컨디셔너(conditioner))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한 것은 히드록실 말단기를 갖는 폴리디메틸 실록산(CTFA명 디메티코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한 것은, 예를 들어 WO 96/31188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약간 가교결합된 실리콘 검 또는 수지이다. 모발 용도의 경우에, 이들 물질은 모발에 형태, 부피 및 스타일성(stylability) 뿐만 아니라, 우수한 습식 및 건식 컨디셔닝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에 의해 GE SS4230 및 GE SS4267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실리콘 수지는 일반적으로 저점도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액에 용해된 형태로 공급되겠지만, 이들은 또한 미리 형성된 유화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불용성 실리콘액 컨디셔닝제의 다른 범주는 굴절률이 약 1.46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48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5 이상인 고굴절률의 실리콘이다. 폴리실록산액의 굴절률은 일반적으로 약 1.70 미만, 전형적으로는 약 1.60 미만일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실론산 "액"은 오일 및 검을 포함한다. 고굴절률의 폴리실록산액은 굴절률을 전술된 바람직한 수준으로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아릴-함유 치환체를 함유한다.
유화된 실리콘 자체(유화액, 또는 최종 모발 또는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이 아님)의 점도는 전형적으로 10,000cst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00cst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cst 이상, 이상적으로는 1,000,000cst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점도는 제형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10,000,000cst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유화된 실리콘은 전형적으로 평균 실리콘 액적 입도가 약 0.1㎛ 내지 약 100㎛일 것이다. 샴푸 용도를 위하여, 더 작은 실리콘 액적 입도가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반대로, 바디워시(body wash) 용도의 경우에는 약 50㎛ 내지 100㎛를 넘는 더 큰 액적 입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리콘 유화액은 또한 통상적인 것으로서 또는 미세유화액으로서 미리 유화된 형태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적합한 미리 형성된 유화액의 예로는 유화액 DC2-1766, DC2-1784, 및 미세유화액 DC2-1865 및 DC2-1870이 있고, 이들 모두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이들은 모두 디메티코놀의 유화액/미세유화액이다. 가교결합된 실리콘 검은 또한 제형화를 용이하게 하기에 유리한 미리 유화된 형태로 입수가능하다. 바람직한 예는 다우 코닝으로부터 DC X2-1787로서 입수가능한 물질로서, 가교결합된 디메티코놀 검의 유화액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예는 다우 코닝으로부터 DC X2-1391로서 입수가능한 물질로서, 가교결합된 디메티코놀 검의 미세유화액이다.
WO 9953889호에는 샴푸 조성물에 유화된 실리콘 및 미세유화된 미세콘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계면활성제계 샴푸 조성물내 실리콘의 컨디셔닝 성능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실리콘의 유화 입자 대 실리콘의 미세유화 입자의 중량비는 적합하게는 4:1 내지 1:4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의 유화 입자 대 실리콘의 미세유화 입자의 비는 3:1 내지 1:3, 더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샴푸 및 컨디셔너에 포함시키기에 바람직한 추가의 실리콘 부류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이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이란, 1종 이상의 1급, 2급 또는 3급 아민 기, 또는 4급 암모늄 기를 함유하는 실리콘을 뜻한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몰% 아민 관능성이 약 0.1 내지 약 8.0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0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0몰%일 것이다.
적합한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예로는 CTFA명 "아모디메티콘"의 폴리실록산,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이라 불리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디메티콘 및 폴리알킬렌옥사이드의 아미노관능성 공중합체(예: 제너럴 일렉트릭 스페셜티 머티리얼스(General Electric Specialty Materials)의 실소프트 톤(SILSOFT TONE))(정식으로는 OSI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EP-A-0 530 974호에 기술된 4급 실리콘 중합체가 있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점도는 특히 중요하지 않고, 적합하게는 약 100 내지 약 500,000cst일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오일의 유화액이 적합하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미리 형성된 유화액은 또한 다우 코닝 및 제너럴 일렉트릭과 같은 실리콘 오일 공급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DC929 양이온성 유화액, DC939 양이온성 유화액, 및 비이온성 유화액 DC2-7224, DC2-8467, DC2-8177 및 DC2-8154가 있다(모두 다우 코닝 제품). 미세유화된 아미노 실리콘이 또한 매우 적합하다.
"복합성" 모발(즉, 기름진 모근 및 푸석푸석한 모발 끝)의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과 비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서,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대 비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의 중량비는 전형적으로 1:2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20,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8일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비휘발성 실리콘이 바람직하지만, 모발에 윤기와 같은 추가의 성질을 부여하는 휘발성 실리콘이 또한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닝제는 대기압 비점이 약 220℃ 미만이다.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너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약 3%, 바람직하게는 약 0.25 내지 약 2.5%,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시클로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시클로메티콘액(예: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폴리디메틸시클로실록산)이 있다.
덜 바람직하지만 적합한 수용성 비휘발성 실리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세틸 트리에틸암모늄 디메티콘 코폴리올 프탈레이트, 스테아르알코늄 디메티콘 코폴리올 프탈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리콘 컨디셔닝제로는 다우 코닝의 디메티코놀 유화액, 활성성분 60%, DC1785(평균 입도, 예컨대 D32 약 1㎛); 다우 코닝의 디메티코놀 유화액, 활성성분 40%, DC1786(평균 입도 약 0.3㎛); 다우 코닝의 디메티코놀 유화액, 활성성분 50%, DC1788(평균 입도 약 0.3㎛); 다우 코닝의 아모디메티콘 유화액, 활성성분 35%, DC939(평균 입도 약 0.3㎛); 제너럴 일렉트릭의 아모디메티콘 미세유화액 SME 253(평균 입도 약 20㎚); 바실돈 실리콘즈(Basildon Silicones)의 실리콘 검-아모디메티콘 블렌드, PCP 2056S(평균 입도 약 1㎛)가 있다.
실리콘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실리콘의 현탁제가 또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현탁제를 이하에 따로 기술한다.
ii) 비실리콘 오일상 컨디셔닝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분산된, 비휘발성, 수불용성 오일상 컨디셔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불용성"이란, 물질이 250℃에서 0.1중량%의 농도에서 물(증류수 또는 등가의 물)에 가용성이지 않음을 뜻한다.
적합하게는, 오일상 컨디셔닝 성분의 D3,2 평균 액적 입도는 0.4㎛ 이상,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오일상 또는 지방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바람직한 컨디셔닝제이다. 적합한 오일상 또는 지방 물질은 탄화수소 오일, 지방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다.
탄화수소 오일로는 환상 탄화수소, 선형 지방족 탄화수소(포화 또는 불포화), 및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포화 또는 불포화)가 있다. 선형 탄화수소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약 12 내지 약 30일 것이다. 분지형 탄화수소 오일은 더 많은 수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함유할 수도 있다. 알케닐 단량체의 중합체성 탄화수소가 또한 적합한데, 그 예는 C2-C6 알케닐 단량체이다. 이들 중합체는 선형 또는 분지형 중합체일 수 있다. 선형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이고, 일반적으로 선형 탄화수소의 경우 전술된 총 탄소수를 갖는다. 분지형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더 긴 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탄화수소 오일의 구체적인 예로는 파라핀 오일, 광유, 포화 및 불포화 도데칸, 포화 및 불포화 트리데칸, 포화 및 불포화 테트라데칸, 포화 및 불포화 펜타데칸, 포화 및 불포화 헥사데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이들 화합물의 분지형 이성질체, 및 더 긴 쇄 길이의 탄화수소의 분지형 이성질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분지형 이성질체는 고도분지된 포화 또는 불포화 알칸, 예를 들어 퍼메틸-치환된 이성질체, 예컨대 헥사데칸 및 에이코산의 퍼메틸-치환된 이성질체(예: 2,2,4,4,6,6,8,8-디메틸-10-메틸운데칸 및 2,2,4,4,6,6-디메틸-8-메틸노난), 폴리부텐(예: 이소부틸렌과 부텐의 공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탄화수소 오일은 다양한 등급의 광유, 및 특히 피부 관리 용도를 위한 바셀린이다.
적합한 지방 에스테르는 탄소수가 1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고, 지방산 또는 지방알콜로부터 유도된 히드로카르빌 쇄를 갖는 에스테르, 예컨대 모노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다가 알콜 에스테르, 및 디- 및 트리-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있다.
모노카르복실산 에스테르로는 화학식 R'COOR(식중, R' 및 R은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과 R의 탄소수 합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임)의 알콜 및(또는) 산의 에스테르가 있다.
카르복실산의 디- 및 트리-알킬 및 알케닐 에스테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C4-C8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헥산산, 헵탄산 및 옥탄산의 C1-C22(바람직하게는 C1-C6) 에스테르가 있다.
다가 알콜 에스테르, 예를 들어 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도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지방 에스테르는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더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롤 및 장쇄 카르복실산(예: C1-C22 카르복실산)의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이다. 이들 유형의 다양한 물질은 식물 및 동물 유지, 예를 들어 코코넛유, 피마자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대구 간유, 아몬드유, 아보카도유, 야자유, 참깨유, 땅콩유, 라놀린유 및 대두유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합성 오일로는 트리올레인 및 트리스테아린 글리세릴 디라우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아 버터, 야자 스테아린, 해바라기유, 대두유 및 코코넛유가 있다.
오일상 또는 지방 물질은 적합하게는 0.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5%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양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는 임의로는 비휘발성, 수불용성 실리콘의 침적을 증진시킴은 물론, 그 자체로 컨디셔닝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조성물내 양이온성 중합체의 수준은 약 0.01 내지 약 2%,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5 내지 약 0.45%의 범위일 수 있다.
양이온성 컨디셔닝 중합체는 4급 암모늄 또는 양성자화 아미노 기와 같은 양이온성 질소-함유 기를 함유한다. 양이온성 양성자화 아민은 샴푸 조성물의 특정 종 및 선택된 pH에 따라 1급, 2급, 또는 3급 아민(바람직하게는 2급 또는 3급)일 수 있다. 양이온성 컨디셔닝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1,000만 내지 약 5,000이다. 중합체는 또한 양전하 밀도가 약 0.2 내지 약 7meq/g이다.
양이온성 컨디셔닝 중합체가 물내에서, 조성물내에서 또는 조성물의 코아세르베이트(coacervate) 상에서 가용성이거나 쉽게 분산성인 채로 있고, 반대이온이 조성물의 필수 성분과 물리적으로 또한 화학적으로 상용성이거나 달리 제품 성능, 안정성 또는 심미성을 지나치게 손상시키지 않는다면, 이 중합체와 함께 임의의 음이온성 반대이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반대이온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할라이드(예컨대, 염소, 플루오르, 브롬, 요오드), 술페이트 및 메틸술페이트가 있다.
양이온성 중합체의 양이온성 질소-함유 잔기는 일반적으로 그의 단량체 단위의 전부 또는 더 전형적으로 일부에 치환체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임의로는 본원에 스페이서(spacer) 단량체로서 나타낸 비양이온성 단량체와 함께, 4급 암모늄 또는 양이온성 아민-치환된 단량체 단위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등이 있다. 이러한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문헌[CTFA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ition, edited by Wenninger, JA and McEwen Jr, GN,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1995)]에 기술되어 있다. 이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폴리사카라이드 중합체, 예를 들어 양이온성 셀룰로즈 유도체, 양이온성 전분 유도체 및 양이온성 구아가 있다.
양이온성 셀룰로즈 중합체의 예는 아머콜 코포레이션(Amerchol Corp.)(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으로부터 폴리머(POLYMER) JR 및 LR 시리즈의 중합체 중에서, 산업상(CTFA) 폴리콰터늄(Polyquaternium) 10으로서 불리는, 트리메틸 암모늄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시킨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의 염으로서 입수가능한 것이다. 다른 유형의 양이온성 셀룰로즈로는 산업상(CTFA) 폴리콰터늄 24로서 불리는, 라우릴 디메틸 암모늄-치환된 에폭사이드로 처리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의 중합체성 4급 암모늄 염이 있다. 이들 물질은 아머콜 코포레이션(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으로부터 상표명 폴리머 LM-200으로 입수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양이온성 구아 검 유도체(예: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이고, 그의 구체적인 예로는 로디아 코포레이션(Rhodia Corporat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재규어(JAGUAR) 시리즈(예컨대, 재규어 엑셀(JAGUAR EXCEL) 또는 재규어 C13S)가 있다. 다른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4급 질소-함유 셀룰로즈 에테르가 있고, 그의 몇몇 예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3,962,418호에 기술되어 있다. 기타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에테르화 셀룰로즈의 공중합체, 구아 및 전분이 있고, 그의 몇몇 예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3,958,581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임의의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양이온성 양성자화 아민 또는 4급 암모늄 관능성을 갖는 비닐 단량체와 수용성 스페이서 단량체(예: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및 디알킬 아크릴아미드, 알킬 및 디알킬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카프로락톤 또는 비닐 피롤리돈)의 공중합체가 있다. 알킬 및 디알킬 치환된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7 알킬 기, 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3 알킬 기를 갖는다. 다른 적합한 스페이서 단량체로는 비닐 에스테르, 비닐 알콜(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됨), 말레산 무수물, 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다른 적합한 임의의 합성 중합체로는 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디알킬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모노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알킬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킬 메타크릴옥시알킬 암모늄 염, 트리알킬 아크릴로일알릴 암모늄 염, 디알릴 4급 암모늄 염으로 치환된 비닐 화합물, 및 환상 양이온성 질소-함유 고리(예: 피리디늄, 이미다졸륨 및 4급화된 피롤리돈)를 갖는 비닐 4급 암모늄 단량체(예컨대, 알킬 비닐 이미다졸륨, 알킬 비닐 피리디늄, 알킬 비닐 피롤리돈 염)가 있다. 이들 단량체의 알킬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C1, C2 또는 C3 알킬과 같은 저급 알킬이다.
샴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또 다른 임의의 합성 중합체로는 1-비닐-2-피롤리돈 및 1-비닐-3-메틸이미다졸륨 염(예컨대, 클로라이드 염)의 공중합체(미국 화장품제조업협회(Cosmetic, Toiletry &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 의해 산업상 폴리콰터늄-16으로서 불림)(예: 바스프 와이언도트 코포레이션(BASF Wyandotte Corp.)(미국 뉴저지주 파시파니 소재)으로부터 상표명 루비콰트(LUVIQUAT)(예컨대, 루비콰트 FC 370)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 1-비닐-2-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CTFA에 의해 산업상 폴리콰터늄-11로 불림)(예: ISP 코포레이션(미국 뉴저지주 웨인 소재)으로부터 상표명 가프콰트(GAFQUAT)(예컨대, 가프콰트 755N)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 양이온성 디알릴 4급 암모늄-함유 중합체(예를 들어,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단독중합체 및 아크릴아미드와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각각 산업상(CTFA) 폴리콰터늄 6 및 폴리콰터늄 7로서 불림); 및 탄소수 3 내지 5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아미노-알킬 에스테르의 광산 염이 있다.
증점제 및 현탁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확실히 불용성 물질이 안정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증점제/현탁제를 추가로 도입한다.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로는 팽윤성 및 결합성 중합체, 망상구조를 형성하는 미분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무기 및 유기 물질, 전해질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유기 중합체로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2,798,053호에 기술된 폴리알릴슈크로즈와 가교결합된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카르복시비닐 중합체가 있다. 이들 중합체의 예로는 노베온(NOVE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카보폴(CARBOPOL) 934, 940, 941 및 956, 및 롬 앤 하스(Rohm and Haas)에 의해 상표명 아크리졸(ACRYSOL) 또는 아쿨린(ACULYN)으로 판매되는 알칼리 팽윤성 아크릴 라텍스 중합체가 있다.
다른 적합한 현탁제로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0.3 내지 약 3%,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약 1.2% 농도의 크산탄 검이 있다.
조성물에 겔과 같은 점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것, 예를 들어 셀룰로즈 에테르와 같은 수용성 또는 콜로이드상 수용성 중합체(예컨대, 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부틸 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에틸 에틸셀룰로즈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 구아 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검, 전분 및 전분 유도체, 및 기타 증점제, 점도조절제, 겔화제 등을 포함한 다른 적합한 중합체성 현탁제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의 혼합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결정질 유기 현탁제로는 아실 유도체, 장쇄 아민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고, 이들의 농도는 샴푸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중량%이다. 이들 현탁제는 샴푸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결정질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현탁제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741,855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현탁제로는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약 16 내지 약 22인 지방산의 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가 있다.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모노- 및 디-스테아레이트)가 있고, 특히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약 7% 미만으로 함유하는 디스테아레이트가 있다. 기타 적합한 현탁제로는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약 16 내지 약 22, 더 바람직하게는 약 16 내지 18인 지방산의 알칸올 아미드가 있고, 그의 바람직한 예로는 스테아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스테아르산 디에탄올아미드, 스테아르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및 스테아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스테아레이트가 있다. 다른 장쇄 아실 유도체로는 장쇄 지방산의 장쇄 에스테르(예컨대,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등); 글리세릴 에스테르(예컨대,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및 장쇄 알칸올 아미드의 장쇄 에스테르(예컨대, 스테아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미드 디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미드 스테아레이트)가 있다. 상기 기재된 바람직한 물질 이외에, 장쇄 아실 유도체, 장쇄 카르복실산의 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장쇄 아민 옥사이드, 및 장쇄 카르복실산의 알칸올 아미드를 현탁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8-C22 쇄를 갖는 장쇄 히드로카르빌을 갖는 현탁제를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현탁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쇄 아민 옥사이드의 예로는 알킬 (C16-C22)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예컨대 스테아릴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가 있다.
다른 유용한 결정질 현탁제는 상표명 틱신 R(THIXCIN R)로 판매되는 트리히드록시스테아린이다.
망상구조 형성 무기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점토 및 실리카가 있다. 점토의 예로는 벤토나이트 및 헥토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스멕타이트 점토가 있다. 합성 헥토라이트(라포나이트) 점토는 종종 점토를 증점시킬 수 있는 전해질 염(알칼리 및 알칼리 토 염, 예컨대 할라이드, 암모늄 염 및 술페이트)과 함께 사용된다. 벤토나이트는 콜로이드상 알루미늄 점토 술페이트이다. 실리카의 예로는 비정질 실리카, 흄드 실리카 및 침강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결합성 중합체는 불안정한 가교결합을 단독으로 또는 계면활성제 마이셀(micelle)과 함께 형성할 수 있는 소수성 기를 도입한 것이다. 결합성 중합체의 예는 노베온에 의해 상표명 페뮬렌(PEMULEN)으로 판매되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가교결합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다른 예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즈 에테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폴리우레탄이다.
본 발명의 증점제 및 현탁제의 특히 바람직한 부류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수용성 비이온성 폴리올이다. 본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수성으로 개질된 수용성 비이온성 폴리올은 PEG 120 메틸 글루코사이드 디올리에이트(아머콜로부터 상표명 글루카메이트 도에 120(GLUCAMATE DOE 120)으로 입수가능함), PEG-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스테아레이트(크로다(Croda)로부터 상표명 크로틱스(CROTHIX)로 입수가능함), PEG-75 디올리에이트(케스코(Kessco)로부터 상표명 PEG-4000 디올리에이트(PEG-4000 DIOLEATE)로 입수가능함) 및 PEG-150 디스테아레이트(위트코(Witco)로부터 상표명 위트코날 L32(WITCONAL L32)로 입수가능함)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장쇄 지방 에스테르, 예컨대 PEG-150 디스테아레이트는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증점제 및 현탁제이다. PEG 지방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의 효능 및 효율은 임의의 전해질과 혼합될 때 크게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PEG-150 디스테아레이트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전해질은 시트르산나트륨 및 염화나트륨인데, 이들은 낮은 총농도(예컨대, 약 15중량% 미만)의 계면활성제를 갖는 조성물에서 낮은 포함 수준으로 적절한 증점을 허용하는 상승작용적 증점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상기 증점제 및 구조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보관안정제
술포숙신산 이외에, 임의의 가용성 양이온을 제공하는 전해질도 또한 고온 보관중에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전해질의 첨가는 또한 보관중의 조성물의 점도가 허용불가능하게 증가하는 것(이는 술포숙시네이트와 양쪽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이상한 특성인 것으로 보임)을 방지시킨다. 이러한 전해질은 본 발명에서 유용한 임의의 성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전해질은, 액체에 완전히 해리되어 있고 그의 구성 이온이 완전히 용해되어 있는 전해질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전해질은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상이한 종으로서 침전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전해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매우 가용성이고 요구되는 양이온의 전달에 가장 효율적인 전해질이고, 그 자체가 다른 제형화 성분의 순함, pH 또는 용해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수용성 염 1가 무기 이온, 특히 암모늄, 나트륨 및 칼륨 염(덜 바람직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로는 클로라이드, 술페이트, 카르보네이트 및 약한 유기산의 다양한 염(예: 시트레이트, 글리콜레이트, 숙시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폴리아크릴레이트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전해질의 음이온은 바람직하게는 자체가 조성물에 사용되는 수준으로 물내에서 마이셀화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분자가 아니어야 하는데, 마이셀화는 용액내에서의 전해질 음이온의 이용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이온이 유기 분자이면, 음이온은 탄소수가 약 5보다 큰 치환되지 않은 탄화수소 쇄를 갖지 않아야 한다.
암모늄 및 나트륨의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점도를 그의 초기 값으로 유지시키는데(상기 논의된 정도로) 필요한 전해질의 정확한 수준은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그의 수준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양이온의 수준은 조성물에 사용되는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총중량%에 따라 좌우된다. 전해질의 수준은 조성물의 약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이상이어야 한다.
심미성 및 보조 성분
광범위한 임의의 성분은, 조성물에 의해 제공되는 순함 및 모발 컨디셔닝 이점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배합물에 도입될 수 있다.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향료; 진주광택제 및 불투명제(예: 더 고급의 지방산 및 지방알콜, 에톡실화 지방산, 고체 에스테르, 진주광택의 "간섭 안료"(예: TiO2 코팅된 운모); 염료 및 안료 착색제; 센세이트(sensate)(예: 멘톨); 산화방지제 및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한 방부제; 유화안정제; 보조 증점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추가의 모발 및 피부 이점 제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다양한 임의의 성분을 도입하여 모발 및 두피 건강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조성물의 순함과 조화를 이루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가능한 이점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지질(예: 콜레스테롤, 세라미드 및 슈도세라미드); 추가의 비실리콘 모발 컨디셔닝제(예: 합성 또는 천연 탄화수소 에스테르 및 왁스); 보습제(예: 글리세롤 및 소르비톨); 항균제(예: 아연 피리딘티온 및 트리클로잔(TRICLOSAN); 일광차단제(예: 시나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평가 방법
배합물 점도 프로토콜
6온스들이의 유리병에 함유된 샴푸 샘플을 26.7℃로 설정된 수욕에 놓았다. 26.7℃에서 보관한 지 1일 후에, 샴푸 샘플을 꺼내어, 회전 속도 20rpm의 RV4 스핀들(spindle)이 달린 브룩필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그의 점도를 즉시 측정하였다. 스핀들을 20rpm에서 1분동안 회전시킨 후, 점도 측정값을 기록하였다.
보관안정성 시험 프로토콜
샴푸 샘플을 6온스들이의 병에 넣고 보관 유지된 각각의 시간의 정도를 라벨로 나타내었다. 샴푸 병을 필요한 보관 온도, 예컨대 49℃로 설정된 오븐에 넣었다. 각 병의 보관 시간에 도달하면, 병의 보관을 중지하고 전술된 배합물 점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보관된 샴푸 샘플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관내 제인(Zein) 용해도 분석
제인 용해도는 순함의 간단한 직접적 표시를 제공하고, 두 계면활성제 원료, 샴푸 및 피부 세정 조성물의 순함을 시험하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된다. 제인은 피부 케라틴 단백질과 유사하게 계면활성제에 반응하여 팽윤하고 변성되는 단백질(옥수수로부터 유도된 아미노산의 블렌드)이다. 이 과정은, 제인이 표준화된 시험 조건하에 주어진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의해 더 많이 가용화될수록, 조성물의 자극성이 더 커진다는 점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비록 합리적인 상관관계가 증명되었을지라도, 제인 용해도는 임상 실험 또는 더 많이 생물학적으로 근거하는 시험관내 플루오레세인 누출 분석의 대체물로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인 용해도의 원리 적용은 일어날 수도 있는 자극 가능성의 우수한 예측기를 제공하는 초기 검색을 위한 것이다. 사용된 하기 시험 조건하에, 1% 미만의 제인 용해도는 잠재적으로 순한 조성물의 우수한 지표인 반면에, 1%보다 큰 제인 용해도는 조성물이 눈에 자극이 될 것이라는 우수한 지표이다.
장치
분석 저울, 100㎖들이 비이커, 교반 막대, 중간 크기의 교반 플레이트, 10㎖들이 주사기, 20㎖들이 섬광계측 바이알, 75℃로 설정된 통상의 오븐.
과정
1. 샴푸 6.25g을 100㎖들이 비이커내로 칭량해 넣고 DI수로 희석하여 50g이 되게 한다.
2. 이 용액을 균일하게 보이거나 전 샘플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 플레이트상에서 300rpm(교반 플레이트의 다이알을 4에 맞춤)으로 혼합한다.
3. 용액의 pH를 기록한다.
4. 주사기를 사용하여 용액 6㎖를 취한다.
5. 용액을 0.45미크론의 주사기 필터를 통해 섬광계측 바이알로 여과시킨다.
6. 바이알의 뚜껑을 닫고 블랭크(blank)라고 라벨 붙인다. 블랭크는 임의의 가용성 물질을 보정하는데 필요하다.
7. 나머지 용액에 제인 2g을 첨가하고, 일정한 교반 속도(300rpm)로 1시간동안 평형화한다. 10분동안 교반한 후, 제인이 전부 또는 대부분 용해되면, 제인 1g을 추가로 첨가한다. 용해되지 않은 제인이 용액에 부유할 때까지 매 5 내지 10분마다 제인을 1g씩 증가시키면서 계속 첨가한다.
8. 일정하게 1시간동안 교반한 후, 용액을 5분동안 정지시킨다.
9. 주사기를 사용하여 상층액 6㎖를 취하고, 이를 0.45미크론 주사기 필터를 통해 섬광계측 바이알로 여과시킨다.
10. 바이알의 뚜껑을 닫고 샘플이라고 라벨 붙인다.
11. 75℃로 설정된 통상의 오븐을 사용하여 두 샘플에 대하여 비휘발성 실험한다. 샘플을 밤새 건조시킨다.
12. 제인의 용해율을 계산한다.
계산
가용화된 제인% = 샘플의 비휘발성 물질% - 블랭크의 비휘발성 물질%
주관적인 비누 거품 평가단
머리가 치렁치렁한 10명 이상의 참가자로 이루어진 실험 경험이 없는 평가단에 의해 시험 샴푸 조성물의 전체적인 비누 거품을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시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았다:
1) 물 온도를 40℃로 조절한다.
2) 먼저 손과 머리채를 적신다(4g의 머리채).
3) 샴푸 0.5㎖를 적용한다(미리 주사기에 측정해 놓음).
4) 머리채를 1분동안 마사지하여 비누 거품을 평가한다.
5) 머리채를 철저히 헹군 다음, 다음 샴푸 샘플로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
6) 머리채를 4가지의 전 샘플로 처리한 후, 각 샴푸의 비누 거품을 최상(4)으로부터 최하(1)로 점수 매긴다.
주: 참가자에게 주어진 샘플의 순서는 각 참가자에 대하여 무작위로 정하였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나타낸 것이며, 그의 범주를 어떤 식으로든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보관안정성에 대한 술포숙신산 대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 비의 임계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Ex 1A 내지 Ex 1H(그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냄)는 하기 기술된 프리믹스(premix)의 혼합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 프리믹스 제조
필요한 카보머 980 프리믹스(A): 이 프리믹스는 카보머 980을 실온의 물에 용해시키고 완전히 수화되어 용해될 때까지(표면 반점(fisheyes) 덩어리가 없음) 혼합함으로써 형성한다.
재규어 C13S 프리믹스(B)(또는 다른 양이온성 중합체)는 재규어 C13S를 프로필렌 글리콜에 10분동안 또는 완전히 용해되어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염화암모늄(또는 NaCl)/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 25중량% 프리믹스(C)는 물에 염화암모늄(또는 염화나트륨)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PEG-150 디스테아레이트(5중량%) 프리믹스(D)는 65℃로 가열된 CAPB(또는 다른 양쪽성 계면활성제) 용액의 일부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의 물을 첨가한다.
B. 주요 배치 제조:
혼합기에 물을 첨가한 후 카보머 프리믹스(A)를 첨가한다. 혼합하면서 필요에 따라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와 같은 임의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예컨대, SLES-1, 70%), 분산될 때까지 혼합한다. 그 다음, 재규어 C13S 프리믹스(B)를 첨가하고 배치를 100rpm에서 30분동안 혼합한다. 그 다음,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를 첨가하고 분산시킨 후, 나머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그 다음, 진주광택제, 실리콘, 방부제 및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고 분산시킨다. 그 다음, 염화암모늄(또는 NaCl)/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 프리믹스(C)를 첨가한다. 그 다음, 점도 및 pH를 측정하고, 각각 추가의 염, ppg-9, 또는 PEG-150DS 프리믹스(D) 및 NaOH 또는 시트르산으로 조절한다.
실시예 1의 조성 및 물성
성분 Ex 1A Ex 1B Ex 1C Ex 1D Ex 1E Ex 1F Ex 1F
라우릴 에톡시 술페이트(1EO) 6 6 6 6 6 6 6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4 4 4 4 4 4 4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3 3 3 3 3 3 3
술포숙신산 0.163 0.238 0.46 0.56 0.6 0.625 0.687
카보폴(카보머 980) 0.4 0.4 0.4 0.4 0.4 0.4 0.4
실리콘 유화액(실리콘 검/아모디메티콘 블렌드 PCP2056S) 1.5 1.5 1.5 1.5 1.5 1.5 1.5
양이온성 구아(재규어 C13S) 0.2 0.2 0.2 0.2 0.2 0.2 0.2
진주광택제(미라쉰(Mirasheen) CP920; 로디아) 6.5 6.5 6.5 6.5 6.5 6.5 6.5
염화암모늄 2.0 2.0 2.0 2.0 2.0 2.0 2.0
시트르산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부성분, 향료, 방부제, 염료 0.22 0.22 0.22 0.22 0.22 0.22 0.22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pH(NaOH로 조절됨) 6.3 6.3 6.3 6.3 6.3 6.3 6.3
술포숙신산 수준(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로서) 4.1 5.9 11.5 14.0 15.0 15.6 17.2
초기 점도(cps) 6200 5700 5500 4300 5200 4000 5000
49℃에서 11주 보관후의 최종 점도 10800 9500 8200 6500 6700 6000 7000
49℃에서 11주 보관후의 점도 증가 4600 3800 2700 2200 1500 2000 2000
보관후 초기 값으로부터 점도 증가율% 74% 67% 49% 51% 29% 50% 40%
실시예 조성물의 초기 점도 및 보관후의 점도 변화도 또한 표 1의 밑부분에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에 대한 술포숙신산의 %와 함께 기록한다.
술포숙신산의 수준은 조성물의 초기 점도에 대한 효과보다 승온에서 보관된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훨씬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동일한 기간동안 실온에서 보관된 조성물의 점도는 그의 초기 값으로부터 거의 변하지 않는다(나타내지는 않음). 따라서, 술포숙신산은 통상의 의미에서 전형적인 점도 조절자로서 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특히 승온에서 보관시 매우 특이적인 보관안정제로서 작용한다.
승온에서의 보관은 주위 조건에서의 보관안정성의 가속 시험으로서 널리 사용된다(즉, 저장수명). 초기 값의 약 75% 미만의 점도 증가는 초기 점도 약 5000 내지 7000CPS의 조성물(즉, 표 1의 조성물)의 경우 여전히 허용가능하다. 표 1로부터 보관후 점도를 이 역치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약 4% 이상의 술포숙신산 수준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술포숙시네이트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면 점도를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실시예 Ex 2A 및 Ex 2B, 및 비교예 C2A 내지 C2D(그 조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냄)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조성 및 물성
성분 Ex2A Ex2B C2A C2B C2C
중량%
라우릴 에톡시 술페이트(1EO) 6 6 6 6 6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4 4 4 4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3 3 3
술포숙신산 0.163 0.46 0.163 0.46 0
실리콘/아미노실리콘 블렌드 1.5 1.5 1.5 1.5 1.5
양이온성 구아(재규어 C13S) 0.2 0.2 0.2 0.2 0.2
진주광택제(미라쉰 CP920; 로디아) 6.5 6.5 6.5 6.5 6.5
카보폴(카보머 980) 0.4 0.4 0.4 0.4 0.4
염화암모늄 2.0 2.0 2.0 2.0 2.0
부성분, 향료, 방부제, 염료 0.22 0.22 0.22 0.22 0.22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pH(NaOH로 조절됨) 6.3 6.3 6.3 6.3 6.3
술포숙시네이트의 %로서 술포숙신산 수준 4.1 11.5 4.1 14.1 0
49℃에서 11주 보관후의 점도 증가 4,600 2,700 1,488a 704a -406a
a) 49℃에서 4주 보관한 자료에 근거하여 외삽된 값
가속 보관한 후(49℃에서 11주)의 점도 변화를 표 2의 밑부분에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에 대한 술포숙신산 %와 함께 기록한다. 몇 개의 값은 주목할 만하다.
가장 놀랍게도, 가속 보관후의 가장 큰 점도 증가는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둘다 함유하는 조성물에서만 일어난다(이 경우, 베타인)(Ex 2A 및 Ex 2B를 C2A 내지 C2C와 비교함). 또한, 이러한 혼합물에서 술포숙신산의 수준이 중요하다(Ex 2A와 Ex 2B의 보관후 점도를 비교함).
대조적으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은 보관후 점도에서 그렇게 큰 증가를 나타내지 않고 그의 점도는 술포숙시네이트 수준에 반응하지 않는다(비교예 C2A 내지 C2C의 보관후 점도를 비교함). 따라서, 술포숙신산은 전형적인 "일반적" 점도 조절제로서 작용하지 않으며, 그의 작용은 본원에 개시된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대하여 매우 특이적이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것의 순함 및 비누 거품에 대한 영향을 예시한다.
실시예 Ex 3 및 비교예 C3A 내지 C3C(그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냄)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조성 및 물성
성분 Ex3 C3A C3B C3C
중량%
라우릴 에톡시 술페이트(1EO) 6 13 6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4 13 7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3
술포숙신산 0.56 1.8 0.56 0.98
실리콘 유화액(실리콘 검/아모디메티콘 블렌드 PCP2056S) 1.5 1.5 1.5 1.5
양이온성 구아(재규어 C13S) 0.2 0.2 0.2 0.2
진주광택제(미라쉰 CP920; 로디아) 6.5 6.5 6.5 6.5
염화암모늄 2 2 2 2
부성분, 향료, 방부제, 염료 0.22 0.22 0.22 0.22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pH(NaOH로 조절됨) 6.3 6.3 6.3 6.3
술포숙시네이트의 %로서 술포숙신산 수준 14.0 14.0 0 14.0
평균 비누 거품 점수 3.2 1.4 3.4 2.0
시험관내 순함 분석(제인 용해도) 1.8 2.1 3.07 2.41
평균 비누 거품 점수(상기 방법 부분에서 기술된 주관적인 비누 거품 평가단에 의해 측정됨), 및 시험관내 순함 분석(상기 방법 부분에서 기술된 제인 용해도 시험에 의해 측정됨)을 표 3의 밑부분에 기록한다.
결과로부터, 시험된 모든 계면활성제중에서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Ex 3)이 최저의 제인 용해도를 나타내므로 가장 순할 것임이 분명하다. 또한, 이 혼합물은 우수한 비누 거품을 나타내므로, 사용시 특성 및 순함 효능이 희생되지 않는다(Ex 3과 C3B를 비교함).
따라서, 이 실시예는 인체 모발 및 피부를 세정하기 위한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의 바람직함 및 이러한 혼합물에 본질적인 보관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는 관련성을 나타낸다.
순함(제인 용해도) 및 비누 거품 성능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본질적으로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2-6%;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2-5%; 라우릴 에톡시 술페이트 (1-3 EO) 5-9%; 술포숙신산 4-20%(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를 기준으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며, 이는 제인 용해도 시험에 의해 측정된 제인 용해도가 2 이하이고, 주관적 비누 거품 평가단에 의해 측정된 평균 비누 거품 점수가 3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이란 용어는 다양한 임의의 성분이 조성물의 순함 및 비누 거품 성능을 상기 정의된 역치 미만으로 손상시키지 않는다면(즉, 감소시키지 않는다면) 포함될 수 있음을 뜻한다. 유용한 임의의 성분은 염화암모늄 및(또는) 염화나트륨 0-2.5%; 시트르산나트륨 0-2%; 양이온성 중합체 0-1%; 실리콘 0-5%; 증점제 0-10%; 심미성 보조제(색소, 향료, 살생제 등) 0-5%를 포함한다.
실시예 4 내지 6은 본 발명에서 유용한 다양한 조성물중 일부를 예시하겠지만, 사용될 수 있는 감각적 첨가제, 보조제 및 이점 제제의 범주를 결코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4.
하기 표 4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이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상이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예
성분 Ex 4A Ex 4B Ex 4C Ex 4D Ex 4E Ex 4F Ex 4G Ex 4H
중량%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1EO) 6.0 10.0 5.0 7.0 5.0 6.0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2EO) 8.0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4.0 6.7 10.0 2.0 4.0 4.0 5.0 4.0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3.0 5.0 7.5 3.0 2.0 2.0
히드록시술타인 3.0 2.0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3.0 1.0
카보폴 98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재규어 C13S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폴리옥스(Polyox) WSR308 0.025 0.025 0.025 0.025 0.025 0.025 0.025 0.025
메토셀(Methocel) 40-0202 0.3 0.3 0.3 0.3 0.3 0.3 0.3 0.3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L-리신 염산염 0.010 0.010 0.010 0.010 0.010 0.010 0.010 0.010
실크 아미노산 0.010 0.010 0.010 0.010 0.010 0.010 0.010 0.010
지치 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미라쉰 CP920; 로디아 6.50 6.50 6.50 6.50 6.50 6.50 6.50 6.50
DC1788 0.65 0.65 0.65 0.65 0.65 0.65 0.65 0.65
SME253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향료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DMDM 히단토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카톤 CG(Kathon CG)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베르센(Versene) 10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NaOH, 5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술포숙신산 0.18 0.335 0.65 0.08 0.2 0.4 0.3 0.18
NH4Cl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PG-9 0.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연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5.
하기 표 5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이한 컨디셔닝 시스템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상이한 컨디셔닝 시스템의 예
성분 Ex 5A Ex 5B Ex 5C Ex 5D Ex 5E Ex 5F Ex 5G
중량%
카보폴 9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1EO) 6.0 6.0 6.0 6.0 6.0 6.0 6.0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4.0 4.0 4.0 4.0 4.0 4.0 4.0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3.0 3.0 3.0 3.0 3.0 3.0 3.0
재규어 C13S 0.10 0.20 0.20 0.20 0.20 0.20 0.20
폴리옥스 WSR308 0.025 0.025
메토셀 40-0202 0.3 0.3
폴리옥스 WSR-N-60K 0.025
미라쉰 CP920; 로디아 6.50 6.50 6.50 6.50 6.50 6.50 6.50
DC1788 0.65 1.30
SME253 0.10 0.20 0.20 0.20 0.20 0.20 0.20
DC7036 - 1.30 - 1.30 1.30 1.30 1.30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향료 0.80 0.80 0.80 0.80 0.80 0.80 0.80
DMDM 히단토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카톤 CG 0.04 0.04 0.04 0.04 0.04 0.04 0.04
베르센 10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NaOH, 5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술포숙신산 0.16 0.2 0.28 0.18 0.24 0.16 0.4
NH4Cl 2.00 1.5 2.00 1.5 1.4 2.00 1.00
NaCl 0.6 0.8 0.3 1.0
시트르산나트륨 0.25 1.0 0.6
PPG-9 0.60 0.35 0.20 0.35 0.35 0.35 0.35
연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6.
하기 표 6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이한 이점 제제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상이한 이점 제제의 예
성분 Ex 6A Ex 6B Ex 6C
중량%
카보폴 90 0.40 0.40 0.40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1EO) 6.0 6.0 6.0
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4.0 4.0 4.0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3.0 3.0 3.0
재규어 C13S 0.20 0.20 0.20
폴리옥스 WSR308 0.025 0.025 0.025
메토셀 40-0202 0.3 0.3 0.3
글리세린 1.000 1.000 1.000
L-리신 염산염 0.010 0.010
실크 아미노산 0.010 0.010
지치 추출물 0.001
미라쉰 CP920; 로디아 6.50 6.50 6.50
SME253 0.20 0.20 0.20
DC7036 1.30 1.30 1.30
향료 0.80 0.80 0.80
DMDM 히단토인 0.10 0.10 0.10
카톤 CG 0.04 0.04 0.04
베르센 100 0.20 0.20 0.20
NaOH, 50% 0.40 0.40 0.40
NH4Cl 2.1 1.6 2.00
시트르산나트륨 0.75 0.2
PPG-9 0.35 0.35 0.35
연수 ~100% ~100% ~100%

Claims (10)

  1. i)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 1 내지 20%,
    ii) 양쪽성 계면활성제 1 내지 20%, 및
    iii)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을 포함하고,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이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4%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모발 및 피부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순한 수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가 C10-C14 알킬 또는 C10-C14 알킬 에톡시 (1-4 EO) 술포숙시네이트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베타인, 암포아세테이트, 히드록시 술타인, 아민 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베타인이 C10-C18 알킬 베타인 또는 C10-C18 알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술포숙신산의 염이 나트륨, 암모늄 또는 알칸올암모늄 술포 숙시네이트이고,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이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6%보다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옥사이드 기 1 내지 5개를 갖는 C10-C22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8항에 있어서, 알킬 에톡시 술페이트 계면활성제 대 술포숙시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2:1 내지 1:1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암모늄 또는 나트륨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5% 이상의 수준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유기 실리콘, 아미노 관능성 유기 실리콘, 아미노 관능성 유기 실리콘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실리콘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전분,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즈,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구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77001402A 2004-07-20 2005-06-28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 KR20070032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402A KR20070032338A (ko) 2004-07-20 2005-06-28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94,891 2004-07-20
KR1020077001402A KR20070032338A (ko) 2004-07-20 2005-06-28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338A true KR20070032338A (ko) 2007-03-21

Family

ID=4365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402A KR20070032338A (ko) 2004-07-20 2005-06-28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3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49A1 (ko) * 2011-11-18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기포력이 우수한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WO2013073865A1 (ko) * 2011-11-18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염색모의 색빠짐을 최소화한 저자극의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101373404B1 (ko) * 2012-10-09 2014-03-26 애경산업(주) 양이온성 고분자 보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49A1 (ko) * 2011-11-18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기포력이 우수한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WO2013073865A1 (ko) * 2011-11-18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염색모의 색빠짐을 최소화한 저자극의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CN104244915A (zh) * 2011-11-18 2014-12-2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具有优异的起泡能力的无硫酸盐洗发剂组合物
KR101373404B1 (ko) * 2012-10-09 2014-03-26 애경산업(주) 양이온성 고분자 보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63404B2 (en) Mild, moisturizing cleansing compositions
EP1771148B1 (en) Mild, moisturizing sulfosuccinate cleansing compositions
WO2006007926A1 (en) Mild, moisturizing cleans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US6329353B1 (en) Clear personal care formulations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other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EP1725213B1 (en) Mild, viscous cleansing composition with versatile compatibility and enhanced conditioning
JP6134265B2 (ja) フケ止めシャンプー
JP2013544266A (ja) フケ防止シャンプー
AU678450B2 (en) Stable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an anionic surfactant, a fatty alcohol, a silicone conditioner and polyethyleneimine
JP2003137770A (ja) モイスチャライジング
JP2013534231A (ja) フケ止めシャンプー
JP6427191B2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EP0671463B1 (en) Detergent composition
KR20070032338A (ko) 순한 보습 세정 조성물
JPH08501101A (ja) マイルドで実質上無色のシャンプー組成物
KR20070032339A (ko) 순한 보습성 술포숙시네이트 세정 조성물
JP2023520778A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